KR100903914B1 - 유골함 진열장 - Google Patents

유골함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914B1
KR100903914B1 KR1020080100864A KR20080100864A KR100903914B1 KR 100903914 B1 KR100903914 B1 KR 100903914B1 KR 1020080100864 A KR1020080100864 A KR 1020080100864A KR 20080100864 A KR20080100864 A KR 20080100864A KR 100903914 B1 KR100903914 B1 KR 10090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air
storage part
moisture
ashe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김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남 filed Critical 김종남
Priority to KR102008010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함이 진열된 유골보관부와 인접한 지점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영정보관부가 마련되어 있고, 유골보관부 내부의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방습수단을 구비하는 유골함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은 유골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지지판 및 수직판들에 의해 구획되며,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고, 일측에 흡입구와 송풍구가 마련된 유골보관부와, 유골보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어 유골함들의 영정사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정보관부와, 유골보관부의 흡입구와 송풍구를 상호 연결하는 유동관과, 유동관을 통해 유골보관부의 내부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순환 시키는 순환팬과, 유동관로 상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골보관부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를 포함하는 방습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은 유골함이 진열되는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습기에 의한 유골의 부패와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납골, 제습

Description

유골함 진열장 {Display shelf for urn}
본 발명은 유골함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골함이 진열된 유골보관부와 인접한 지점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영정보관부가 마련되어 있고, 유골보관부 내부의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방습수단을 구비하는 유골함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묘지 1기당 차지하는 평균면적은 약 15평으로 4.3평의 1인당 평균 주택 면적의 3배에 달한다. 매년 여의도의 1.2배에 달하는 면적이 묘지로 잠식되고 있으며, 따라서 죽은자가 차지하는 땅이 산자가 살아가야 할 땅의 면적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장묘 관행은 막대한 비용이 들며,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봉분속의 시신이 나무뿌리와 해충 및 습기로 인해 심하게 훼손이 되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폐해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장묘 관행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최근들어 화장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망자의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분쇄하여 유골함에 넣은 뒤, 이를 납골당이나, 납골묘에 안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납골묘는 접근성이 좋으며, 가족 전체의 유골함을 한데 모아둠으로써 후손이 관리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골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습도의 조절인데, 유골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거나 부패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683호에는 유골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유골함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구성되는데 하부부재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별도로 제조한 후 외부용기 내에 생석회를 삽입하고 다음에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이중구조벽을 실링재로 마감처리하여 제조되므로, 이중벽 구조이고 벽 사이에 습기를 흡수하는 생석회를 삽입하여 내부용기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유골에 미생물과 곰팡이의 생성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유골함이 진열되는 진열장 또는 납골묘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유골함 자체의 제습기능만으로는 습기에 의한 결로현상의 발생이나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유골함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는 습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유골함에서 습기를 모두 흡수하지 못하고, 유골과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접촉하여 유골의 변질이 발생하는 일이 다반사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유골함이 진열되는 진열장 자체의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골함이 진열되는 진열장 내부의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방습수단을 가져 유골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인의 영정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 진열장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은 유골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지지판 및 수직판들에 의해 구획되며,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고, 일측에 흡입구와 송풍구가 마련된 유골보관부와, 유골보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어 유골함들의 영정사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정보관부와, 유골보관부의 흡입구와 송풍구를 상호 연결하는 유동관과, 유동관을 통해 유골보관부의 내부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순환 시키는 순환팬과, 유동관로 상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골보관부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를 포함하는 방습수단을 구비한다.
유골함 진열장은 지지판 또는 수직판에 설치되며, 유골보관부 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흡습판을 더 구비하고, 방습수단은 영정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은 유골함이 진열되는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 로 제거하여 습기에 의한 유골의 부패와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유골함 진열장(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10)은 유골함(1)이 진열되는 유골보관부(11)와, 유골보관부(11)의 하부에 마련되며, 영정사진을 보관할 수 있는 영정보관부(30)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정보관부(30)에 설치되어 유골보관부(11)의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방습수단(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골보관부(11)는 영정보관부(3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12)들과, 수직판(12)들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영정보관부(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배면판(13)과, 수직판(12)들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유골함(1)이 안착되는 안착실(19)들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지지판(14) 및 안착실(19)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사면이 수직판(12) 및 지지판(14)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전면판(17)을 구비한다.
수직판(12)에는 지지판(14)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돌출부재(21)가 수직판(12)들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게 설치된다. 양쪽 최 외측에 위치한 수직판(12)의 경우 상호 마주보는 면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1 돌출부재(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한 수직판(12)들은 제1 돌출부재(21)가 양측면을 통해 모두 안착실(19)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수직판(12)의 후방에는 제1 돌출부재(21)와 동일한 높이에 제2 돌출부재(22)가 설치되고, 제1, 제2 돌출부재(21,22)에 의해 지지판(14)이 지지된다.
지지판(14)은 유골함(1)을 유골보관부(11)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판(12)에 설치된 제1, 제2 돌출부재(21,22)의 상부에 얹혀져 지지된다. 지지판(14)의 후방에는 배면판(13)과 접촉하지 않도록 전방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15)이 형성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판(14)들이 수직판(12)들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유골보관부(11) 내에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지지판(14)의 상면에는 흡습판(16)이 마련되어 있다. 흡습판(16)은 유골보관부(11) 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공기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과 실리카겔을 이용해 제작된 것이다.
숯과 실리카겔은 모두 다수의 기공을 가진 물질이기 때문에 흡습력이 뛰어나며, 특히 숯은 탈취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유골보관부(11)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습판(16)으로서 숯과 실리카겔이 적용되었으나, 유골보관부(11)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흡습제가 흡습판(16)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면판(17)은 수직판(12)과 지지판(14)에 의해 형성된 유골함(1)을 안치하기 위한 안착실(19)의 전면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폭은 상기 수직판(12)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고, 높이는 지지판(14) 사이의 거리에 대응된다.
전면판(17)을 안착실(19)의 전면에 끼워넣은 뒤, 전면판(17)의 후면이 상측 지지판(14)을 지지하는 제1 돌출부재(21)에 접촉하도록 결합시키면 전면판(17)에 의해 안착실(19)의 전면이 폐쇄된다. 안착실(19)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면판(17)의 가장자리와 지지판(14) 및 수직판(12) 사이의 경계부에 실리콘 접착제(18)를 도포하여 유골보관부(11)의 내부를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영정보관부(30)는 고인의 영정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골보관부(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영정보관부(30)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31)와, 본체(31)의 내부공간을 제1, 제2 공간부(34,35)로 2분할 하도록 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획판(36)과, 구획판(36)의 전면으로부터 본체(31)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보조구획판(37)을 구비한다.
본체(31)의 전면은 보조구획판(37)에 의해 구획된 제1 공간부(3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데, 이 개방된 전면에 개폐도어(38)들이 설치되어 영정사진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공간부(34)는 개폐도어(38)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폐도어(38)에는 각각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고인과 관련이 없는 불특정인이 함부로 영정사진을 꺼내보거나 훼손시킬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영정보관부(30)의 상면은 유골보관부(11)와 연결되는데, 제2 공간부(35)와 유골보관부(11)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본체(31)의 상부에는 흡입구(32)와 송풍구(33)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방습수단(40)은 유골보관부(11)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유골보관부(11)와 영정보관부(30)가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구(32)와 송풍구(33)를 상호 연결하는 유동관(41)과, 제2 공간부(35) 내에 설치되어 흡입구(32)를 통해 유골보관부(1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33) 측으로 이동시키는 순환팬(42)과, 유골보관부(11) 및 영정보관부(30)의 외부에 설치되며 유동관(41)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43)를 구비한다.
유동관(41)은 흡입구(32)와 송풍구(33)를 상호 연결하며, 유동관(4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본체(31)와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어 있다.
순환팬(42)은 유동관(41)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유동관(41) 내의 공기가 흡입구(32)에서 송풍구(33)측으로 이동하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킨다. 따라서 송풍구(33)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골보관부(11)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골보관부(11)의 공기는 흡입구(32)를 통해 다시 유동관(41)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제습기(43)는 흡입구(32)를 통해 유동관(41)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공간부(35)에 설치되는 압축기(44)와, 유동관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증발기(46)와, 증발기(46)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동관로 상에서 증발기(46)보다 후측에 설치되는 응축기(45)와, 상기 압축기(44)와 응축기(45) 및 증발기(46)를 상호 연결하여 냉매가 이동하는 이 송관(47)을 포함한다.
압축기(44)에서 냉매가 압축된 뒤, 응축기(45)로 이동하여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증발기(46)에서 기화된 뒤 다시 압축기(44)로 이동한다. 이러한 순환 과정 중, 증발기(46)에서는 냉매가 기화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증발기(46)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흡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유골보관부(11)의 공기는 증발기(46)를 거칠 때, 증발기(46)에 의해 증발기(46)를 감싸는 유동관(41) 내부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하여 제거된다. 응결된 물은 유동관로를 타고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주기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증발기(46)를 통과한 공기는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한 상태이지만 열을 빼앗겨 저온이기 때문에 저온 건조한 상태이므로 이 상태로 유골보관부(11)로 공급되면 유골보관부(11)의 내부와 외부 공기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유골보관부(11)의 외주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구(33)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기 전에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유골보관부(11)의 외부 온도에 대응하도록 가온할 필요성이 있다.
증발기(46)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순환팬(42)에 의해 송풍구(33)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순환팬(42)의 후방측 유동관로상에는 응축기(45)가 유동관로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증발기(46)를 거쳐 저온건조한 상태의 공기는 응축기(45)를 통과하면서 가온 된다. 따라서 송풍구(33)를 통해 공급되는 유골보관부(1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므로, 유골보관 부(11)의 외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골함(1)에 저장된 유골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분이 제거된 저온 건조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응축기(45)가 유동관로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별도의 가열기를 송풍구(33)와 인접한 유동관(4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방습수단(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방습수단(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방습수단(40)과 동일하게 유골보관부(11)로 연통되는 유동관(51)과, 이 유동관로상에 설치되어 유동관(51)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53) 및, 유동관(51)을 통해 유골보관부(11) 내의 공기가 제습기(53)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52)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53)는 압축기(54)와 증발기(56) 및 응축기(55)가 모두 영정보관부(30)의 제2 공간부(35)에 설치되어 있어서, 유동관을 외부에 설치된 제습기에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 제습기(53)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제2 공간부(35)가 다소 확장됨에 따라 영정보관부(30)의 부피가 커지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53)의 제습과정 및 원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습기(43)와 동일하며, 순환팬(52) 역시 응축기(55)와 증발기(56) 사이에 설치된 것 말고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제습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요 소들과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화장, 납골묘 산업에 있어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진열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골보관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골보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방습수단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방습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방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방습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골함 진열장
11; 유골보관부
30; 영정보관부
40; 방습수단

Claims (3)

  1. 유골함이 안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판 및 수직판들에 의해 구획되며,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고, 일측에 흡입구와 송풍구가 마련된 유골보관부와;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는 전방을 향해 인입홈(15)을 형성하며,
    상기 유골보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골함들의 영정사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정보관부와;
    상기 영정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골보관부의 흡입구와 송풍구를 상호 연결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을 통해 유골보관부의 내부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순환 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유동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골보관부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를 포함하는 방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진열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수직판에 설치되며, 상기 유골보관부 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흡습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진열장.
  3. 삭제
KR1020080100864A 2008-10-14 2008-10-14 유골함 진열장 KR10090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64A KR100903914B1 (ko) 2008-10-14 2008-10-14 유골함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64A KR100903914B1 (ko) 2008-10-14 2008-10-14 유골함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914B1 true KR100903914B1 (ko) 2009-06-19

Family

ID=4098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864A KR100903914B1 (ko) 2008-10-14 2008-10-14 유골함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684A (zh) * 2022-01-24 2022-05-13 江西金辰科技有限公司 一种可防潮防霉的骨灰盒存放架
CN115126333A (zh) * 2022-07-25 2022-09-30 江西钰石实业有限公司 一种防火防潮石材骨灰存放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960Y1 (ko) 1996-08-09 1999-06-15 김준섭 납골안치단
JPH11229670A (ja) * 1998-02-10 1999-08-24 Memorial Sogo Kenkyusho:Kk 墓地納骨室乾燥装置
KR200258025Y1 (ko) 2001-09-24 2001-12-29 구동종합개발 주식회사 납골 안치실의 배기장치
KR200329488Y1 (ko) * 2003-07-11 2003-10-10 주식회사 콜로이드 유골함 보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960Y1 (ko) 1996-08-09 1999-06-15 김준섭 납골안치단
JPH11229670A (ja) * 1998-02-10 1999-08-24 Memorial Sogo Kenkyusho:Kk 墓地納骨室乾燥装置
KR200258025Y1 (ko) 2001-09-24 2001-12-29 구동종합개발 주식회사 납골 안치실의 배기장치
KR200329488Y1 (ko) * 2003-07-11 2003-10-10 주식회사 콜로이드 유골함 보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684A (zh) * 2022-01-24 2022-05-13 江西金辰科技有限公司 一种可防潮防霉的骨灰盒存放架
CN115126333A (zh) * 2022-07-25 2022-09-30 江西钰石实业有限公司 一种防火防潮石材骨灰存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2135A1 (en) An adiabatic incubator
KR100903914B1 (ko) 유골함 진열장
ES2900500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y congelación
JP2006214612A (ja) 保存庫
CN207342465U (zh) 一种小型除湿器
CN215422645U (zh) 一种具有保鲜功能的茶叶暂时存储装置
ES2205673T3 (es) Armario de distribucion.
CN113863770A (zh) 生平记录庭院式骨灰盒存放架及其应用
CN106907803A (zh) 一种全屋式单向流除湿设备
KR102203700B1 (ko) 오존 배출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제습장치
JPH0452098B2 (ko)
CN206709267U (zh) 全屋式单向流除湿设备
CN212786402U (zh) 一种对空气干燥净化的idc机柜
CN211065747U (zh) 一种可除虫防潮的一体化书架书桌
KR200433886Y1 (ko) 유골항아리
JP4008805B2 (ja) 棺冷却システム
JP3114860U (ja) 室温乾燥装置
KR100949437B1 (ko) 저온 한약장
CN218635217U (zh) 一种香菇保鲜装置
JP4091718B2 (ja) 保冷用柩
ES2262683T3 (es) Sistema de refrigeracion.
JP2008138978A (ja) 屋内スポーツ施設の除湿冷房装置
ES2352537T3 (es) Aparato para refrigerar un cuerpo en el interior de un ataúd.
JP2003070642A (ja) 蒸気式食品加熱装置
CN107917596A (zh) 一种制鞋用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