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37B1 -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737B1
KR100903737B1 KR1020060073933A KR20060073933A KR100903737B1 KR 100903737 B1 KR100903737 B1 KR 100903737B1 KR 1020060073933 A KR1020060073933 A KR 1020060073933A KR 20060073933 A KR20060073933 A KR 20060073933A KR 100903737 B1 KR100903737 B1 KR 10090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se film
film
optical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706A (ko
Inventor
김경모
박광승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7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73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각각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점착층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복수의 집광체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사층이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층을 절단함에 따라 복수의 반사체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이 구비된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광학필름, 집광체, 반사층, 점착층

Description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METHOD FOR PREPAR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PREPARED BY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베이스 필름 20 : 집광체
21 : 광입사부 22 : 광출사부
30 : 공기층 40 : 반사층
40a : 반사체 50 : 점착층
50a : 점착체 60 : 제2 베이스 필름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집광효율을 향상시켜 높은 휘도를 제공할 수 있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이 구비된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CD),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Emitting Diode)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액정은 자체 발광을 하는 발광물질이 아니라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수광성 물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와,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확산필름 및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의 램프 위치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의 후방에 배치된도광판의 측방에 램프가 설치된 엣지형과 액정표시패널의 후방에서 액정표시패널의 판면방향을 따라 액정표시패널과 마주보게 램프가 배치된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확산필름은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시켜 액정표시패널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광학필름은 확산필름에 의해 확산된 광을 액정표시패널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학필름의 한 예로 미국특허공보 US 6,788,470호에는 역사다리꼴을 갖는 복수의 프리즘, 복수의 프리즘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삼각형 단면 형상의 쇄기홈에 형성되는 공기층, 및 공기층에 대응하여 공기층의 하측에 마련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광학필름의 경우, 쇄기홈이 매우 좁게 형성됨에 따 라, 이를 위한 금형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상에서도 금형에서 광학필름을 이형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불량발생율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집광효율을 향상시켜 높은 휘도를 제공할 수 있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이 구비된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는 (a)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각각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점착층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복수의 집광체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사층이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층을 절단함에 따라 복수의 반사체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는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고, 각각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 개재되어,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 및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는 제2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는 전술한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향해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으로서,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 및 상기 확산필름에서 확산된 빛을 집광하는 전술한 광학필름으로 구성된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은 (a)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각각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층 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점착층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복수의 집광체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사층이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금속 몰드(mold)를 이용하여,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각각 삼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복수의 집광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명수지를 준비한 후, 압출, 캐스팅 혹은 연신 등의 방법으로 제1 베이스 필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역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집광체를 형성하기 위해, 역사다리꼴홈이 형성된 어느 금속 몰드(미도시)의 전면적에 투명수지를 바른다.
이렇게 준비된 금속 몰드를, 미리 준비한 제1 베이스 필름에 다른 평평한 금속 몰드를 이용하여 압착시킨 후, 열 또는 빛을 통해 경화시키면 제1 베이스 필름 상에는 각각 역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복수의 집광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베이스 필름은 투명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설폰,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에테르케톤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광체는 라디칼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형태의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테르아크릴레이트, 또는 라디칼 발생형 모노머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마주보는 제2 베이스 필름의 제1면에 점착물질을 솔벤트 케스팅 등의 방법을 통해 도포하거나 미리 이형필름에 도포된 점착층을 제2 베이스 필름의 제1면에 전사하여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물질로 핫 멜트(hot melt) 등의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판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복수의 집광체가 형성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판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집광체의 높이에 대해 0% 초과 50% 이하의 비율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를 초과하는 경우는 집광체를 점착층에 삽입시킬 때, 삽입되어지는 집광체의 부피만큼 점착층이, 공기층이 있어야 할 자리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점착층을 두껍게 형성하고 집광체를 원하는 정도만 삽입시킬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는 실제 공정상 균일하게 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점착층을 적정 두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는 반사물질을 점착층 상에 도포하여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의 두께는 0.05 ~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성 반사체일 경우 반사체는 50nm이상이면 반사체로써의 가능하고, 무기물 형태의 반사체라면 아주 두껍게도 할 수 있으나 선택적인 접착의 효과 증대를 위해선 1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반사물질로서 금속입자와 무기물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투명한 수지 층을 먼저 형성한 후, 투명한 수지층의 일면에 증착이나 스퍼터링의 방법을 통해 금속 박막을 입혀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로 라디칼을 이용, 경화하는 형태의 경화성 수지나 용제에 의해 용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로는 굴절율이 1.6 이상인 재료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굴절률이 1.6 이상인 TiO2, BaSO4, Al(OH)3, Al2O3, CaCO3, ZnO 및 Zn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입자로는 반사율이 우수한 은입자, 알루미늄 입자, 이들의 합금 입자, 및 유기 금속 입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투명한 수지층 위에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상기 반사층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 박막용 재료로는 은이나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층을 절단함에 따라 복수의 반사체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가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는경우, 상기 반사층은 각 집광체의 첨단(尖端)부에 의해 절단되면서, 상기 제1 베이 스 필름의 판면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 개재되는 복수의 반사체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의 공간은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층은 각 반사체에 의해 상기 집광체의 삼각형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역전된 형태의 삼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상기 점착층에서 벗어나는 빛이 입사될 수있도록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았던 종래 광학필름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빛을 입사시킬 수 있는 광입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필름을 간소화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통해 상기 점착층의 끝단 까지 뚫고 들어가도록 제1 베이스 필름과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점착층이 상기 집광체의 첨단(尖端)부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상기 반사층이 복수의 반사체로 구획되고, 상기 점착층이 각 반사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의 첨단(尖端)부 영역 간에 개재되는 복수의 점착체 형태로 구획된다(도 1c 참조).
이때 형성된 각 반사체는 하부개구를 갖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게 되며, 각 점착체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체는 내부로 삽입된 집광체의 첨단(尖端)부 영역에 부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점착체와 상기 집광체의 굴절율은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집광체의 첨단(尖端)부 영역과 점착체의 경계면에서 빛이 적정하지 않은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점착체와 상기 집광체의 굴절율을 맞추는 방법으로, 집광체의 굴절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체를 형성하는 점착물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광체를 형성하는 수지의 고분자 분자단위 밀도를 조절하여, 집광체의 굴절율을 변경시킨다. 여기서, 고분자의 분자단위 밀도가 높으면 굴절율이 향상되며, 고분자의 밀도가 낮은면 굴절율이 낮아 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광학필름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고, 각각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 개재되어,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 및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는 제2 베이스 필름을 포함한다.
이에 제2 베이스 필름으로 입사된 빛 중에서 큰 입사각도를 가지고 입사된 빛은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제2 베이스 필름을 향하게 되고, 작은 입사각도 를 가지고 입사된 빛은 반사체와 반사체 사이에 형성된 광입사부로 입사된다.
광입사부를 통과한 빛은 공기층과 집광체의 계면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진행각도가 작아짐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해 직진하게 되므로 집광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집광효율이 증대되어 액정표시패널에 대한 수직 입사성이 향상되므로, 높고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상태로서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학필름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개재되는 확산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필름은 광원부로부터 광을 산란하여 광의 휘도 분포를 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확산필름은 투명 수지와, 투명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2 내지 0.1 이하인 광산란성 입자를 포함한다.
투명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설폰,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테르케톤 및 폴리우레탄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광산란성 입자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부타디엔 등의 고분자 유기물 단독 혹은 혼합물 형태나 실리카 등의 무기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및 실리카 각각 단독 으로 광산란성 입자를 제조하거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중 어느 하나와 실리카를 혼합하여 광산란성 입자를 제조하거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부타디엔 중 선택된 둘 이상을 이용하여 공중합체 형태로 제조하거나, 이러한 공중합체에 실리카를 포함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산란성 입자는 타원형 형태이거나, 애스펙트 비(aspect ratio)가 1에 가깝거나 즉, 구형에 가깝거나, 무정형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학필름 사이에 확산필름이 배치되는 경우, 광학필름은 확산필름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의 램프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과 엣지형으로 구분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광원부는 복수의 반사부를 갖는 반사프레임과, 복수의 반사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램프로 구성된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광원부는 확산필름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된 램프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향해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백라이트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 및 상기 확산필름에서 확산된 빛을 집광하는 전술한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패널의 한 예인 액정표시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컬러필터 어레이기판;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이에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은 확산필름을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광학필름으로 입사되며, 광학필름은 확산필름에 의해 확산된 광을 액정표시패널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시켜 휘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제1 베이스 필름(10); 제1 베이스 필름(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필름(60); 제1 베이스 필름(10)과 제2 베이스 필름(60)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집광체(20)를 포함한다.
각 집광체(20)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부(21)와, 입사된 광을 제1 베이스 필름(10)을 향해 출사시키는 광출사부(22)를 포함한다.
각 집광체(20)는 광입사부(21)을 기준으로 후술할 공기층(30)과 접촉되는 집광영역(A)과, 후술할 반사체(40a)와 점착체(50a)와 접촉되는 첨단(尖端)부 영역(B)으로 구분된다.
상호 이웃한 어느 한 광입사부(21)와 다른 한 광입사부(21) 사이에는 반사체(40a)가 연속적으로 개재되어 있다.
복수의 반사체(40a)에 의해 복수의 집광체(20) 간에는 공기층(3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반사체(40a) 상에는 점착체(50a)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체(40a)는 하부 개구를 갖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지고, 제1 베이스 필름(10)의 판면과 나란하도록 복수의 광입사부(21) 간에 개재되어 있다.
반사체(40a)는 제2 베이스 필름(60)에 입사된 빛 중에서 광입사부(21)를 향하는 빛만 광입사부(21)로 통과시키고 나머지 빛은 반사시켜 다시 제2 베이스 필름(60)을 향하도록 한다.
공기층(30)은 집광체(20)의 삼각형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역전된 삼각형 단면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공기층(30)이 집광체(20)와 빛을 반사시키는 계면을 형성함에 따라,광입사부(21)를 통해 집광체(20)의 집광영역(A)로 입사된 빛은 이 계면에서 반사되어 광출사부(22)를 통해 제1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출사되면서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의 판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점착체(50a)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지며, 반사체(40a) 상에 적층된 상태로 복수의 집광체(20)의 첨단(尖端)부 영역(B) 간에 개재된다.
점착체(50a)은 집광체(20)의 첨단(尖端)부 영역(B)에 부착되어 집광체(20)의 첨단(尖端)부 영역(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광입사부(21)를 통해서만 빛을 통과시키고, 광입사부(21)를 통과한 빛을 집광체(20)의 집광영역(A)과 공기층(30)의 계면에서 반사시켜 빛의 진행각도를 줄임에 따라, 광학필름에서 최종적으로 출사되는 빛이 액정표시패널의 판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진할 수 있어, 집광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휘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제1 베이스 필름(10) 상에 각각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광입사부(21)와 광출사부(22)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20)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베이스 필름(60) 상에 점착성 물질을 도포하여 점착층(50)을 형성하는 단계; (c) 점착층(50) 상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반사층(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제1 베이스 필름(10)의 복수의 집광체(20)와 제2 베이스 필름(60)의 반사층(40)이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열과 압력을 주며 제1 베이스 필름(10)과 제2 베이스 필름(60)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집광체(20) 각각의 첨단(尖端)부영역(b)이 반사층(40)을 관통하여 점착층(50)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반사층(40)은 복수의 반사체(40a)로 구획되고, 점착층(50)은 각 반사체(40a) 상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점착체(50a)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았던 종래 광학필름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집광체(20)의 집광영역(A)간에는 공기층(30)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반사체(40a) 간에는 빛을 입사시킬 수 있는 광입사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필름을 간소화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화된 공정으로 용이하게 광학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에 의해 집광효율이 증대되어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수직 입사성이 향상되므로, 높고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a)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각 집광체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절단면형상이 삼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인 단계;
    (b)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점착층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복수의 집광체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사층이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층을 절단함에 따라 복수의 반사체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는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간에는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이, 상기 반사층을 관통한 다음 상기 반사층의 하부면에 접하는 상기 점착층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점착층을 구획함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점착체가, 상기 복수의 집광체의 첨단(尖端)부 영역 간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와 상기 점착층은 같은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부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상기 복수의 집광체가 형성된 하부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집광체의 높이에 대해, 0% 초과 50% 이하의 비율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성 물질은 열가소성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반사층의 두께는 0.05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점착층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금속입자와 무기물입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는 물질을 상기 점착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과, 투명한 수지층 및 상기 투명한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 반사층을 상기 점착층 상에 부착하는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은 입자, 알루미늄 입자, 이들의 합금 입자, 및 유기 금속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입자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입자는 TiO2, BaSO4, Al(OH)3, Al2O3, CaCO3, ZnO 및 Zn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은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경계면을 이루는 광출사부를 갖는 복수의 집광체로서, 각 집광체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절단면형상이 삼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인 복수의 집광체;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간에 개재되어,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집광체의 광입사부 및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는 제2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삼각형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역 전된 삼각형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체를 지나 상기 점착층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에 의해 상기 점착층은 복수의 점착체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점착체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상에 각각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집광체 각각의 첨단(尖端)부 영역 간에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각각은 하부개구를 갖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점착체 각각은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7.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개재되는 확산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9.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향해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으로서,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 및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확산필름에서 확산된 빛을 집광하는 광학필름으로 구성된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073933A 2006-08-04 2006-08-04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90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33A KR100903737B1 (ko) 2006-08-04 2006-08-04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33A KR100903737B1 (ko) 2006-08-04 2006-08-04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06A KR20080012706A (ko) 2008-02-12
KR100903737B1 true KR100903737B1 (ko) 2009-06-19

Family

ID=393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33A KR100903737B1 (ko) 2006-08-04 2006-08-04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0020B2 (en) 2020-02-20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02B1 (ko) * 2008-07-29 2009-05-18 이대환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8730579B2 (en) 2008-07-29 2014-05-20 Dae-Hwan Lee Optical sheet having enhanced optical characteristic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808A (ko) * 2003-05-16 2006-02-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표면 구조화된 광학 필름의 적층 방법
KR100784806B1 (ko) 2001-09-04 2007-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특성 보상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광 특성 보상 필름을 포함하는 시야각이 변경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06B1 (ko) 2001-09-04 2007-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특성 보상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광 특성 보상 필름을 포함하는 시야각이 변경된 표시장치
KR20060010808A (ko) * 2003-05-16 2006-02-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표면 구조화된 광학 필름의 적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0020B2 (en) 2020-02-20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06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003B2 (en) Light guide plate with micro-structured reflective film and light-emitting apparatus
KR100823442B1 (ko) 이방성 확산시트
KR20080094876A (ko)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12504253A (ja) 導光装置
WO2020192300A1 (zh) 光学准直组件、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5117761B2 (ja) 光調節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調節組立体を含む液晶表示装置
JP5428313B2 (ja) 光均一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03737B1 (ko)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WO2016086534A1 (zh) 导光板及其制作方法
KR102047232B1 (ko) 확산용 도광필름, 백라이트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N112180497A (zh) 一种玻璃导光板与玻璃扩散板融合背光结构
KR100491835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그 제조방법
JPH10339815A (ja) 導光板、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
KR100879209B1 (ko)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 및 이를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87377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1133605A (ja) レンズシート、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219201971U (zh) 光学扩散复合膜及背光模组
CN214375370U (zh) 一种玻璃导光板与玻璃扩散板融合背光结构
CN218767719U (zh) 一种dpl复合膜片
KR101210412B1 (ko) 일체형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JP5544727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JPH0715203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83730A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69934B1 (ko) 집광기능을 부여한 확산 시트
KR100839776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