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059B1 -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059B1
KR100903059B1 KR1020090010053A KR20090010053A KR100903059B1 KR 100903059 B1 KR100903059 B1 KR 100903059B1 KR 1020090010053 A KR1020090010053 A KR 1020090010053A KR 20090010053 A KR20090010053 A KR 20090010053A KR 100903059 B1 KR100903059 B1 KR 10090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stopper member
pr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자호
Original Assignee
윤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자호 filed Critical 윤자호
Priority to KR102009001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등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시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함체에 고정되는 잠금본체와,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본체는; 상기 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제어판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샤프트가 전진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샤프트가 전진하면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1가압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가압부재와;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의 제1가압부가 밀착되는 제1걸림돌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스토퍼부재와;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의 제1가압부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를 가압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홈이 걸쳐지는 고정스토퍼부재와;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걸침부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에 상기 제2걸림홈이 걸림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가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에서 이탈되어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스토퍼부재에 걸쳐지도록 제2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사물함 등을 개폐하는데 열쇠를 사용하지 않아 열쇠의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개인 물품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도어가 걸림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일부 개방되어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더 구비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어, 잠금장치

Description

도어용 잠금장치 { locking device for door }
본 발명은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함 등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시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이나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은 공공용 건물이나 체육시설이나 클럽의 라커룸, 공중목욕탕이나 찜질방 등에는 개인의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사물함이 비치되어 있고 이들 개개의 사물함에는 보관물품을 안정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도어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 잠금장치의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물함(1)이 있다.
상기 사물함(1)은 개인의 물품이 보관가능한 보관공간(12)이 확보되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10)와 도어(11)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물품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상기 함체(10)에 잠금장치 본체(2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1)에는 걸쇠(30)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키실린더(31)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의 키실린더(31)의 열쇠구멍(미도시됨)에 열쇠를 삽입하고 돌리게 되면 걸쇠가 회동하게 되어 시정 또는 해정된다.
그런데 상기 도어용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열쇠를 분실한 경우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열쇠가 도난된 경우 개인 물품을 도난당할 염려가 있고, 악의적으로 열쇠를 복제하는 경우 추후 동일 사물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물품의 분실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용 잠금장치는 해정된 경우에 도어(11)를 개방시켜야 함체(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어(11)의 표면에 도어를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통상적으로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도어의 가공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쇠가 필요없어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가 없고, 추후 다른 사용자가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경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용 잠금장치를 해정시키는 경우 도어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도어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손잡이가 필요없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에 고정되는 잠금본체와,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본체는; 상기 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제어판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샤프트가 전진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샤프트가 전진하면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1가압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가압부재와;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의 제1가압부가 밀착되는 제1걸림돌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스토퍼부재와;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의 제1가압부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를 가압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홈이 걸쳐지는 고정스토퍼 부재와;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걸침부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에 상기 제2걸림홈이 걸림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가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의 제1걸림돌부에서 이탈되어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스토퍼부재에 걸쳐지도록 제2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전방이 가압되는 경우 제4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2가압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가압부재와, 상기 제2가압부의 가압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자화되어 상기 샤프트를 전진시키는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걸침부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홈과 제2걸림돌부의 사이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걸림쇠는 상기 걸림부재의 제2걸림돌부가 체결가능한 '∩'형상의 걸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제2걸림돌부에는 회전이 자류롭게 제3안내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사물함 등을 개폐하는데 열쇠를 사용하지 않아 열쇠의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개인 물품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도어가 걸림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일부 개방되어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더 구비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5는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100)는 사물함 등의 함체(10)에 고정되는 잠금본체(110)와,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로 이루어지며, 사물함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잠금본체(110)는 함체(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112)와; 제어판넬(1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샤프트(122)가 전진하는 작동수단(120)과; 상기 작 동수단(120)의 샤프트(122)가 전진하면 제1힌지부(132)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1가압부(136)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가압부재(130)와;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36)가 밀착되는 제1걸림돌부(14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걸림홈(146)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스프링(141)에 의해 탄지되어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스토퍼부재(140)와;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36)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를 가압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홈(146)이 걸쳐지는 고정스토퍼부재(150)와;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16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걸침부(192)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166)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6)에 상기 제2걸림홈(164)이 걸림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가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6)에서 이탈되어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스토퍼부재(150)에 걸쳐지도록 제2스프링(161)에 의해 탄지되는 걸림부재(16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전방이 가압되는 경우 제4힌지부(172)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2가압부(176)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가압부재(170)와, 상기 제2가압부(176)의 가압 유무에 따라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8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제어판넬(114)의 제어를 통해 도어(11)의 개방을 제어함은 물론 도어(11)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열쇠(미도시됨)가 필요없고, 도어(11)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또는 관리용 컴퓨터 등의 조작을 통해 제어판넬(114)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함으로서 도어(1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작동수단(120)은 샤프트(122)가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솔레노이드(120a)로 이루어져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120a)에 제어판넬(114)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자화되어 작동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이 발생되어 샤프트(122)가 전진하고, 자력이 끊어지면 샤프트(122)가 솔레노이드(120a)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후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작동수단(120)은 모터(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적용함도 바람직하지만, 모두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한다.
디음으로,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는 체결홈(134)이 형성되어 힌지핀(135)에 의해 상기 샤프트(122)의 전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가압부(12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회동가압부재(130)는 작동수단(120)인 솔레노이드(120a)가 구동됨에 따라 샤프트(122)가 전진하면 제1힌지 부(132)를 중심으로 일방향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36)가 후진하게 되어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가압부(144)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26)가 밀착되는 제1걸림돌부(14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걸림홈(146)이 형성되어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는 제1스프링(141)에 의해 탄지되는 구조로 인해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이 존재한다.
이때, 도어(11)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146)은 고정스토퍼부재(150)에 의해 더이상 회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부(144)는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홈(164)이 체결되어 걸림부재(160)가 제2스프링(161)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어(11)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120a)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는 제1힌지부(132)를 중심으로 일방향 회동되어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를 가압하던 제1가압부(136)의 압력이 제거되면 제1스프링(141)의 탄지력에 의해 가동스토퍼부재(140)가 회동하면서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홈(166)이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에서 이탈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재(160)는 제2스프링(161)의 탄성에 의해 제3 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돌부(166)가 도어(11)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걸림부재(160)가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회동하던 중에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홈(164)이 고정스토퍼부재(150)에 걸쳐지면 걸림부재(160)의 회동이 멈춰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재(160)는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16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걸침부(192)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166)가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홈(164)과 제2걸림돌부(166)의 사이에는 라운드부(165)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라운드부(165)는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와 고정스토퍼부재(150)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운드부(165)가 안내되는 경우 마찰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제1안내롤러(144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스토퍼부재(150)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제2안내롤러(150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60)가 회동으로 인해 라운드부(165)가 밀착되는 경우 제1 및 제2안내롤러(144a,150a)가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돌부(166)에는 회전이 자류롭게 제3안내롤러(166a)가 구비되어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형상의 걸침부(192)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쇠(190)는 도어(11)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1)는 일측이 경첩부(19)에 의해 함체(10)의 전면에 힌지결합되어 용이하게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60)가 해제되어 제2스프링(161)의 탄지력에 의해 회동되어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돌부(166)가 함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도어(11)를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11)가 전방으로 열리면서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형 걸침부(192)을 타고 상승하게 되어 걸림쇠(190)에서 걸림부재(160)가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일부 개방되면 사용자가 함체(10)의 전면에 둘출되는 도어(11)의 일측면을 당기게 되면 용이하게 함체(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는 제2회동가압부재(17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회동가압부재(170)는 제4힌지부(172)를 중심으로 상기 걸림쇠(190)의 '∩'형상 걸침부(192) 전방이 가압되도록 일단에는 돌출부(17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리미트스위치(180)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17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74)와 제2가압부(176)에는 제4 및 제5안내롤러(174a,176a)가 구비되어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리미트스위치(180)가 오프(Off)되고, 도어(11)가 닫히는 경우에는 리미트스위치(180)가 온(On)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180)의 감지신호는 제어판넬(114)로 입력되며, 리미트스위치(180)의 감지신호가 도어(11)의 개방을 알리는 오프신호인 경우에는 제어판넬(114)은 상기 작동수단(120)인 솔레노이드(120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샤프트(122)가 후진시켜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가 닫히는 경우 걸림쇠(190)의 '∩'형상 걸침부(192) 전방이 제2회동가압부재(170)의 돌출부(174)를 가압하여 제4힌지부(17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가압부(176)가 리미트스위치(180)를 가압하여 온신호가 입력되면 도어(11)가 닫힌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동수단(120)은 모터(121)과, 상기 모터의 축상에 구비되는 피니언(123)과 상기 피니언(123)과 치합되는 렉부(125)가 형성되는 직선샤프트(122)로 이루어져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모터(121)은 제어판넬(114)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자화되어 작동된다.
즉, 상기 모터(12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정회전 및 역회전이 발생되고 이는 피니언(123) 및 렉부(125a)에 의해 샤프트(122)가 전후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 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용 잠금장치가 장착된 사물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5는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함체 11: 도어
110: 잠금본체 112: 케이스
120: 작동수단 130: 제1회동가압부재
140: 가동스토퍼부재 150: 고정스토퍼부재
160: 걸림부재 170: 제2회동가압부재
180: 리미트스위치 190: 걸림쇠

Claims (6)

  1. 함체(10)에 고정되는 잠금본체(110)와,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본체(110)는;
    상기 함체(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112)와; 제어판넬(1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샤프트(122)가 전진하는 작동수단(120)과; 상기 작동수단(120)의 샤프트(122)가 전진하면 제1힌지부(132)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1가압부(136)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가압부재(130)와;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36)가 밀착되는 제1걸림돌부(14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걸림홈(146)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스프링(141)에 의해 탄지되어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스토퍼부재(140)와; 상기 제1회동가압부재(130)의 제1가압부(136)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4)를 가압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홈(146)이 걸쳐지는 고정스토퍼부재(150)와;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16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걸침부(192)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166)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6)에 상기 제2걸림홈(164)이 걸림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가 제2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동스토퍼부재(140)의 제1걸림돌부(146)에서 이탈되어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 기 고정스토퍼부재(150)에 걸쳐지도록 제2스프링(161)에 의해 탄지되는 걸림부재(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전방이 가압되는 경우 제4힌지부(172)를 중심으로 타단의 제2가압부(176)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가압부재(170)와, 상기 제2가압부(176)의 가압 유무에 따라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20)은 제어판넬(114)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자화되어 상기 샤프트(122)를 전진시키는 구비되는 솔레노이드(12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20)은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축상에 구비되는 피니 언(123)과, 상기 피니언(123)과 치합되는 렉부(125)가 형성되는 샤프트(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60)는 제3힌지부(162)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제2걸림홈(16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11)에 구비되는 걸림쇠(190)의 걸침부(192)에 체결되는 제2걸림돌부(166)가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홈(164)과 제2걸림돌부(166)의 사이에는 라운드부(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90)는 상기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돌부(166)가 체결가능한 '∩'형상의 걸침부(19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60)의 제2걸림돌부(166)에는 회전이 자류롭게 제3안내롤러(166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090010053A 2009-02-09 2009-02-09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0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53A KR100903059B1 (ko) 2009-02-09 2009-02-09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53A KR100903059B1 (ko) 2009-02-09 2009-02-09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059B1 true KR100903059B1 (ko) 2009-06-18

Family

ID=4098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053A KR100903059B1 (ko) 2009-02-09 2009-02-09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14B1 (ko) 2018-08-29 2019-01-11 최창형 복합 도어 센서
CN109914947A (zh) * 2019-04-29 2019-06-21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车辆门系统的端点锁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538A (ko) * 1998-02-10 1999-09-06 윤종용 클램프 링 속도 제어기를 갖는 중전류 이온 주입기
KR20030027623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유엔아이커뮤니케이션 저금통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538A (ko) * 1998-02-10 1999-09-06 윤종용 클램프 링 속도 제어기를 갖는 중전류 이온 주입기
KR20030027623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유엔아이커뮤니케이션 저금통의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14B1 (ko) 2018-08-29 2019-01-11 최창형 복합 도어 센서
CN109914947A (zh) * 2019-04-29 2019-06-21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车辆门系统的端点锁闭装置
CN109914947B (zh) * 2019-04-29 2021-01-22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车辆门系统的端点锁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112039A1 (en) Vehicle door lock
US20070119220A1 (en) Lockable rotary operating handle such device
KR101060167B1 (ko) 홈바 잠금장치
KR102569910B1 (ko) 도어 오프너
KR100895874B1 (ko) 도어록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10090305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CN207377290U (zh) 一种防盗门防撬锁体
KR100903061B1 (ko)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CN107339024B (zh) 锁结构及行李箱
KR100576080B1 (ko) 도어 잠금장치
EP3857007A1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a swing door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KR200399006Y1 (ko) 서랍 잠금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090120128A (ko)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EP1420100A3 (de)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ie Tür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JP3809636B2 (ja) 錠装置
KR20180004547A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0397395Y1 (ko) 디지털 도어락 개폐장치
JP2008055047A5 (ko)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0708522B1 (ko) 서랍장용 절전형 잠금장치
KR100559108B1 (ko) 디지털 도어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