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024B1 -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024B1
KR100903024B1 KR1020070141750A KR20070141750A KR100903024B1 KR 100903024 B1 KR100903024 B1 KR 100903024B1 KR 1020070141750 A KR1020070141750 A KR 1020070141750A KR 20070141750 A KR20070141750 A KR 20070141750A KR 100903024 B1 KR100903024 B1 KR 10090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sound absorbing
fiber
lower mold
fib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삼
장인수
Original Assignee
한국펠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펠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펠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되 밀도가 균일하고 결속력이 강한 흡차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은, 다수개의 섬유덩어리를 하부주형에 적재하는 적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 적재된 섬유덩어리를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과 상부주형을 결합하여 흡차음재를 압착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흡차음재를 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절단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스팀을 분사하여 흡차음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차음재, 밀도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 { MANUFACTURING METHOD FOR 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MATERIAL FOR AUTOMOBILE AND 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MATERIAL THEREBY }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되 밀도가 균일하고 결속력이 강한 자동차용 흡차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흡차음재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부재로서 특히 자동차에 설치되어 주행 중 엔진이나 동력전달계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자동차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차음재는 소음을 주로 흡수하는 소프트층과 소음을 반사하여 차단하는 하드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소프트층과 하드층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대개 융점이 200℃ 이상인 고융점 섬유와 융점이 대략 100∼150℃ 정도인 저융점 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종래의 흡차음재는 소프트층과 하드층을 열압착에 의해 각각 별도로 제조한 다음에 이를 상호 접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고융점 섬유와 저융점 섬유로 구성된 흡차음재 소재 섬유를 중첩적으로 적층한 다음에 열압착을 가하면, 상기 저융점 섬유가 용융되면서 섬유 소재를 상호 바인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융점 섬유의 양이 많을수록 하드층이 형성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소프트층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소프트층과 하드층을 접착제 또는 별도의 바인더 섬유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서로 밀착시키고 압착함으로써 소프트층과 하드층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흡차음재를 얻게 된다.
일반적으로 흡차음재는 그 두께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흡차음재의 이러한 두께의 변화에 상관없이 성형전 주형의 모든 위치에 원료섬유를 일정한 량으로 적재하기 때문에, 성형 후 흡차음재의 각 위치에 따른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상부주형과 하부주형 사이에서 원료섬유가 압착되어 흡차음재가 형성되는데, 상부주형과 하부주형 사이의 각 위치에 따른 간격에 상관없이 일정량의 원료섬유를 적재하기 때문에, 압착 후 간격이 작은 곳은 밀도가 높고 간격이 큰 곳은 밀도가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착 또는 복사열에 의해 흡차음재를 성형하기 때문에 원료섬유 상호간의 결속력이 강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섬유시트를 원료섬유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섬유시트의 두께의 한도가 있기 때문에 두꺼운 흡차음재를 제작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균일한 밀도를 갖는 섬유재질의 흡차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폼을 이용하여 균일한 밀도의 흡차음재를 제작하기도 하나, 이는 섬유재질에 비해 고가이고 여러층으로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되, 결속력이 강하고, 전체적으로 밀도가 균일하며, 저가이고, 여러층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은, 다수개의 섬유덩어리를 하부주형에 적재하는 적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 적재된 섬유덩어리를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과 상부주형을 결합하여 흡차음재를 압착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흡차음재를 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절단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스팀을 분사하여 흡차음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하부주형과 상부주형이 결합하였을 때, 각 위치에 따른 상기 하부주형과 상부주형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각 위치에 따라 상기 섬유덩어리의 적재량을 정렬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여 섬유덩어리를 응집시키는 가열단계와; 가열된 섬유덩어리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결합재를 섞어 상기 하부주형에 적재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흡차음재 제조방법은 섬유시트가 아닌 다수개의 작은 섬유덩어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하기 위한 흡차음재의 두께 제한이 거의 없다.
또한, 상기 정렬단계에 의해 섬유시트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렬함으로써, 성형후 흡차음재의 전면적에 걸쳐 거의 동일한 밀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흡차음재에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섬유재질을 결합하여 멀티 흡차음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차음재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차음재 제조방법은, 적재단계(S1)와, 정렬단계(S2)와, 성형단계(S3)와, 절단단계(S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단계(S1)는, 작은 크기의 다수개의 섬유덩어리(40)를 흡차음재를 성형하기 위한 하부주형(10)에 적재하는 단계이다.
상기 섬유덩어리(40)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성분으로 이루어진 잡섬유, 재생섬유, 펠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주형(10)에는 상기 흡차음재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단계(S1)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40)에 결합재를 섞어 상기 하부주형(10)에 적재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재는 저융점섬유 또는 접착재 등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정렬단계(S2)는 상기 하부주형(10)에 적재된 섬유덩어리(40)를 일정한 기준에 맞게 정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렬단계(S2)에서 상기 섬유덩어리(40)의 정렬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단계(S3)에서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이 결합하였을 때, 각 위치에 따른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각 위치에 따라 상기 섬유덩어리(40)의 적재량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흡차음재(30)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을 결합하였을 때 각 위치에 따른 이격거리(a1,a2)가 발생한다.
도 2(b)에서 'a1'은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의 이격거리가 작은 부분이고, 'a2'는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의 이격거리가 큰 부분이다.
이격거리가 작은 'a1'위치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덩어리(40)의 적재량(b1)을 적게 하고, 이격거리가 큰 'a2'위치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40)의 적재량(b2)을 많게 한다.
이는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 사이의 기준이 되는 이격거리를 미 리 설정하여 놓고, 그 기준거리보다 작으면 섬유덩어리(40)를 적게 적재하고, 기준거리보다 크면 섬유덩어리(40)를 많게 적재하면 된다.
상기 성형단계(S3)는,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 사이에 적재되어 있는 섬유덩어리(40)를 압착시킴으로써 흡차음재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렬단계(S2)에서 상기 섬유덩어리(40)를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정렬함으로써, 상기 성형단계(S3)에서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을 결합하였을 경우,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섬유덩어리(40)는 압축률이 거의 비슷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도를 유지한다.
즉,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의 이격거리가 작으면 섬유덩어리(40)를 적게 적재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을 결합하였을 때 압축량이 적게 되고,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의 이격거리가 크면 섬유덩어리(40)를 많게 적재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을 결합하였을 때 압축량이 많게 된다.
단순 압축량만을 비교했을 경우에는 차이가 있으나, 이격거리에 따른 압축량을 계산한 압축률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한 밀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성형단계(S3)는 상기 섬유덩어리(40)를 흡차음재로 성형하기 위해 가열단계(S31)와 냉각단계(S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단계(S31)는 하부주형(10)과 상부주형(20) 사이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섬유덩어리(40)에 열을 가하여 섬유덩어리(40)를 응집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가열단계(S31)는 상기 섬유덩어리(40)에 열풍을 분사하거나 복사열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도 있으나, 가열된 스팀을 분사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섬유덩어리(40)에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면, 열을 가지고 있는 스팀분자들이 상기 섬유덩어리(40)에 결합하여 상기 섬유덩어리(40)에 열전달을 더욱 잘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섬유덩어리(40)에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면, 상기 섬유덩어리(40)에 혼합되어 있는 상기 결합재 즉 저융점섬유 또는 접착재가 녹아 상기 섬유덩어리(40) 상호간을 강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냉각단계(S32)는 상기 가열단계(S31)에 의해 가열된 섬유덩어리(40)를 냉각시켜 원하고자 하는 흡차음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단계(S32)에 의해 상기 섬유덩어리(4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흡차음재로 성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후에 흡차음재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절단단계(S4)는 상기 성형단계(S3)에 의해 성형된 흡차음재를 일정한 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흡차음재 제조방법은 섬유시트가 아닌 다수개의 작은 섬유덩어리(40)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하기 위한 흡차음재의 두께 제한이 거의 없다.
또한, 상기 정렬단계(S2)에 의해 섬유시트를 정렬함으로써, 제조된 흡차음재는 전면적에 걸쳐 거의 동일한 밀도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흡차음재에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섬유재질을 결합하여 멀티 흡차음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흡차음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차음재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적재단계, S2 : 정렬단계, S3 : 성형단계, S31 : 가열단계, S32 : 냉각단계, S4 : 절단단계, 10 : 하부주형, 20 : 상부주형, 30 : 흡차음재, 40 : 섬유덩어리.

Claims (5)

  1. 다수개의 섬유덩어리를 하부주형에 적재하는 적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 적재된 섬유덩어리를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하부주형과 상부주형을 결합하여 흡차음재를 압착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흡차음재를 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절단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스팀을 분사하여 흡차음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하부주형과 상부주형이 결합하였을 때, 각 위치에 따른 상기 하부주형과 상부주형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각 위치에 따라 상기 섬유덩어리의 적재량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여 섬유덩어리를 응집시키는 가열단계와;
    가열된 섬유덩어리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덩어리에 결합재를 섞어 상기 하부주형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20070141750A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KR10090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50A KR100903024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50A KR100903024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024B1 true KR100903024B1 (ko) 2009-06-18

Family

ID=4098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750A KR100903024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00A (ko) * 1992-09-04 1994-04-27 최성모 펄프 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압축텍스의 제조방법
KR20020089277A (ko) * 2002-11-06 2002-11-29 (주)삼원 자동차 내장용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흡음 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00A (ko) * 1992-09-04 1994-04-27 최성모 펄프 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압축텍스의 제조방법
KR20020089277A (ko) * 2002-11-06 2002-11-29 (주)삼원 자동차 내장용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흡음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3858B (zh) 用于覆罩机动车辆的壁的隔音板
US20140030491A1 (en) Flexurally rigid laminated sheets, parts molded therefrom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100219561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or Housing Part of a Vehicle
JP2008543603A (ja) 曲げ剛性に優れた複合材シート
US5501898A (en) Interior equipment part for vehicles
US1163393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nar composite component and composite component produced thereby
JP4685113B2 (ja) 自動車用天井材
KR920001561B1 (ko) 불연속 무기섬유의 고밀도 복합제품
KR101357018B1 (ko) 경량성과 강성이 우수한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JP2009096401A (ja) 自動車用ボディーアンダーカバー
JP2023002513A5 (ja) 板状の複合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複合部材
JP2603905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US20170144388A1 (en) Moulded Product for Automotive Panels
US20080075911A1 (en) Multilayer, composite, fleece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composite, fleece material
CN104723570B (zh) 尤其用于机动车辆的经济结构部件的制造方法
CN1295074C (zh) 纳米钙塑纤维毡复合汽车内饰衬板及其制造方法
CN102336167A (zh) 一种多层结构的汽车用隔音垫及其制造方法
KR100903024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JP3379565B2 (ja) 遮音構造体の製造方法
KR100903025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흡차음재
JP4475190B2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1951B1 (ko) 사이드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US2021037062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ally deformable, fiber-reinforced flat semi-finished product
KR100923938B1 (ko) 3층구조의 흡차음재 제조방법
JP5462696B2 (ja) 複合繊維体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