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972B1 - 렌즈미터 - Google Patents
렌즈미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2972B1 KR100902972B1 KR1020020059659A KR20020059659A KR100902972B1 KR 100902972 B1 KR100902972 B1 KR 100902972B1 KR 1020020059659 A KR1020020059659 A KR 1020020059659A KR 20020059659 A KR20020059659 A KR 20020059659A KR 100902972 B1 KR100902972 B1 KR 100902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measurement
- optical
- parallel
- light b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IOA)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FOA)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미터는,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P1)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위치에 의해 피검렌즈(TL)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IOA)를 이용하여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 측정광속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O1)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TL)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P1)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가,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 P1")을 측정광속으로서 피검렌즈(TL)에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미터, 피검렌즈
Description
도 1은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입사시켜 피검렌즈 투광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과학특성을 구하는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패턴판의 평행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광학계의 측정광로에 피검렌즈가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 에리어 센서에 형성되는 개구투영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정의 파워를 갖는 피검렌즈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 에리어 센서에 형성되는 개구투영상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가동시키면서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하여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측정광원의 배치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타겟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타입의 광학계(FOA)를 이용하여 렌즈미터의 측정광로에 피검렌즈를 세트하고,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로를 따라 가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타입의 광학계(IOA)를 이용하여 렌즈미터의 측정광로에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를 향해서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백 포커스값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타입의 광학계(FOA)를 이용하여 렌즈미터의 측정광로에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를 향해서 측정했을 때 얻어지는 백 포커스값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타입의 광학계(IOA)를 이용하여 렌즈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백 포커스값과 도 5에 나타내는 측정원리 타입의 렌즈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백 포커스값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양자를 중첩시켜 그린 모식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b는 광원(1a)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평행하는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c는 광원(1b)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d는 광원(1d)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측정광원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를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측정결과를 플롯한 그래프도이다.
도 15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복수개의 개구를 갖는 타겟판을 광학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는 도 15에 나타내는 타겟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타겟판을 통과한 광속에 의거하여 에리어 센서에 형성되는 개구투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검영법에 의한 렌즈미터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복수개의 개구를 갖는 타겟판을 광학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는 도 15에 나타내는 타겟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타겟판을 통과한 광속에 의거하여 에리어 센서에 형성되는 개구투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검영법에 의한 렌즈미터의 설명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1:측정광축
TL:피검렌즈
TL:피검렌즈
삭제
X3:편심된 위치
P1, P1', P1":평행광속
P1, P1', P1":평행광속
삭제
본 발명은,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入射)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IOA)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FOA)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렌즈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하는 렌즈미터에는, 일반적으로 2종류의 원리의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소위 IOA(Infinit on Axis)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도 1에 있어서, 1은 1개의 LED로 이루어진 측정광원, 2는 콜리미터 렌즈, 3은 패턴판, 4는 수광센서로서의 에리어 센서, 5는 렌즈받침, 6은 측정광로, TL은 피검렌즈, O1은 측정광축이다. 측정광원(1)은 콜리미터 렌즈(2)의 광축(O1)상에서, 또 그 전방측 초점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콜리미터 렌즈(2)는 측정광원(1)으로부터의 측정광속을 평행광속(P1)으로 변환하고, 평행광속(P1)은 광축(O1)을 따라 피검렌즈(TL)로 보내져서, 그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TL)에 입사하게 된다.
콜리미터 렌즈(2)는 측정광원(1)으로부터의 측정광속을 평행광속(P1)으로 변환하고, 평행광속(P1)은 광축(O1)을 따라 피검렌즈(TL)로 보내져서, 그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TL)에 입사하게 된다.
패턴판(3)은 피검렌즈(TL)의 후면측(오목면 측)에 설치되고, 그 패턴판(3)에는 가령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원형의 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3a) 사이의 간격을 2h라 한다. 또한, 각 개구에는 마이크로 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개구의 형상도 원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슬릿형상의 것, 직사각형상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그 콜리미터 렌즈(2)로부터 출사된 평행광속(P1)이 그대로 패턴판(3)으로 보내지고, 평행광속(P1)은 굴절을 받지 않고 그 패턴판(3)의 개구(3a)를 통과하여 에리어 센서(4)로 보내진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리어 센서(4)에 투영된 패턴판(3)의 개구투영상(3a')의 간격(2H)과 패턴판(3)의 개구(3a)의 간격(2h)은 같다.
이에 대해, 정(正)의 도수인 피검렌즈(TL)를 측정광로(6)에 세트하면, 평행광속(P1)은 피검렌즈(TL)에 의해 굴절되어 수속광(收束光)이 되어, 개구투영상(3a')의 간격(2H)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아진다. 또, 부(負)의 도수인 피검렌즈(TL)를 측정광로(6)에 세트하면, 평행광속(P1)은 피검렌즈(TL)에 의해 굴절되어 발산광이 되어, 개구투영상(3a')의 간격은 넓어진다.
피검렌즈(TL)의 이면 정점위치(X1)로부터 패턴판(3)까지의 거리(Δ), 패턴판(3)으로부터 에리어 센서(4)까지의 거리(d)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에리어 센서(4)로부터 피검렌즈(TL)의 백 포커스 위치(X1')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면,
Δh=h-H
Δh/d=H/x
이므로,
피검렌즈(TL)의 백 포커스(BF)는,
BF=(d/Δh)H+Δ+d
에 의해, 구해진다.
에 의해, 구해진다.
삭제
즉, 피검렌즈(TL)의 광학특성의 구면도수(S), 원주도수(C), 축각도(A)를 에리어 센서(4) 상에 형성된 개구투영상(3a')의 간격(2H)을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연산을 행하여 구할 수 있다.
도 5는 매뉴얼식의 렌즈미터나 일부의 오토 렌즈미터로 이용되고 있는 소위 FOA(Focus on Axis)라고 불리는 타입 중, 오토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에 있어서, 10은 측정광원부, 11은 콜리미터 렌즈, 12는 패턴판으로서의 타겟판, 13은 투영렌즈, 14는 결상렌즈, 15는 에리어 센서, 16은 렌즈받침, 17은 측정광로이다.
측정광원부(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는 4개의 측정광원(LED)(10a∼10d)을 갖는다. 각 측정광원(10a∼10d)은 측정광축(O1)을 경계로 대칭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그 타겟판(1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2a)가 형성되고, 개구(12a)의 중심은 측정광축(O1)과 일치되어 있다. 타겟판(12)은 그 기준위치(R1)를 기점으로 하여 광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개구(12a)의 형상은 원형에 한하지 않고, 슬릿형상의 것, 직사각형 상의 구성인 것이어도 좋다.
콜리미터 렌즈(11)는 그 전방측 초점(f1)이 측정광원(10a∼10d)의 배열위치과 일치되고, 그 측정광원(10a∼10d)의 측정광속을 각각 평행광속으로 변환한다. 그 콜리미터 렌즈(11)의 후방측 초점(f1')은 타겟판(12)의 기준위치(R1)과 일치되어 있다. 투영렌즈(13)는 전방측 초점위치(f2)가 기준위치(R1)과 일치되며, 그 후방측 초점위치(f2')가 피검렌즈(TL)의 이면 정점위치(X1)과 일치되어 있다. 측정광원(10a∼10d)과 피검렌즈(TL)의 이면 정점위치(X1)는 공역(共役)이며, 측정광원(10a∼10d)의 광원상이 이면 정점위치(X1)에 형성된다.
에리어 센서(15)는 결상렌즈(14)의 후방측 초점위치(f)에 배열되고,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17)에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타겟판(12)과 에리어 센서(15)는, 타겟판(12)이 기준위치(R1)에 있을 때에 공역이다. 타겟판(12)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17)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준위치(R1)에 타겟판(12)이 있을 때에 타겟판(12)의 개구(12a)를 통과한 측정광속이 투영렌즈(13)에 의해 평행광속(P2)이 되고, 결상렌즈(14)에 의해 수속(收束)되어 에리어 센서(15)에 결상되며, 에리어 센서(15)의 측정광축 상에 개구투영상(12a)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정의 파워를 갖는 피검렌즈(TL)를 측정광로(17)에 세트하면,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입사되어 이 피검렌즈(TL)를 통과하는 평행광속(P2)이 피검렌즈(TL)에 의해 수속방향으로 굴절을 받아, 타겟판(12)과 에 리어 센서(15)의 공역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여기에서, 타겟판(12)을 광축방향을 따라 가동시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영렌즈(13)에 의한 타겟판(12)의 타겟상(12')을 피검렌즈(TL)의 백 포커스(BF)와 일치시키도록 타겟판(12)을 위치시킨다.
그러면, 다시 타겟판(12)과 에리어 센서(15)가 공역이 된다. 따라서, 타겟판(12)의 기준위치(R1)로부터의 이동량에 의거하여, 피검렌즈(TL)의 백 포커스(BF)를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투영렌즈(13)의 초점거리를 f2, 타겟판(12)이 에리어 센서(15)와 공역이 될 때까지 타겟판(12)을 측정광축(O1)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기준위치(R1)(0디옵터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을 Z로 하면, 피검렌즈(TL)의 광학특성값(도수)(S)는,
S=Z/(f2)2
이 된다.
마찬가지로, 원주도수(C), 축각도(A)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5에 나타낸 광학계(FOA)의 오토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에 대해서는, 특개평2-21642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켜 피검렌즈(TL)의 도수를 측정하는 타입의 렌즈미터와, 피검렌즈의 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그 피검렌즈(TL)에 입사시켜, 피검렌즈(TL)로부터 출사되는 측정광속이 평행광속이 되도록 타겟판을 이동시키는 타입의 렌즈미터에서, 피검렌즈(TL)의 도수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피검렌즈(TL) 중앙부의 도수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서는, 피검렌즈(TL)의 광축(O2)으로부터 편심된 위치(X3)를 측정할 경우에는, 측정광축(O1)을 따라 평행하게 입사한 평행광속(P1)은 피검렌즈(TL)에 의해 편향되고, 에리어 센서(4)로 보내져서, 피검렌즈(TL)의 초점면(F1) 상에서, 측정광축(O1)으로부터 편심위치로 결상된다.
이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서는, 피검렌즈(TL)의 광축(O2)으로부터 편심된 위치(X3)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타겟판(12)과 에리어 센서(15)가 공역위치가 되도록 타겟판(12)을 위치시켰을 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겟판(12)의 타겟상(12')의 개구상(12'a)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속은, 피검렌즈(TL)에 의해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2')이 되고, 결상렌즈(14)에 의해 에리어 센서(15)의 중앙(측정광축(O1))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상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측정광속(P2')의 진행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면서 도 5에 나타낸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과 오목면 측을 역방향으로 하여,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광속(실선으로 나타냄)(P1)과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광속(파선으로 나타냄)(P2)을 중첩하여 결상상태를 나타내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고,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해 측정한 백 포커스값(BF)과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해 측정한 백 포커스값(BF')이 다르게 되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S)를 측정하면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렌즈미터의 측정원리가 다름으로 인해 차가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TL)의 전면에 2매의 프리즘을 조합시킨 프리즘 콘펜세이터를 배열하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도 5에 나타낸 렌즈미터와 동일한 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게 되면, 구성이 복잡화되어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피검렌즈(TL)로부터 출사되는 측정광속이 측정광축(O1)과 일치할 때까지 프리즘 콘펜세이터를 회전 조절할 필요가 있어, 그 측정이 번잡해지고 측정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그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도수를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값의 불일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서는, 피검렌즈(TL)의 광축(O2)으로부터 편심된 위치(X3)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타겟판(12)과 에리어 센서(15)가 공역위치가 되도록 타겟판(12)을 위치시켰을 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겟판(12)의 타겟상(12')의 개구상(12'a)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속은, 피검렌즈(TL)에 의해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2')이 되고, 결상렌즈(14)에 의해 에리어 센서(15)의 중앙(측정광축(O1))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상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측정광속(P2')의 진행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면서 도 5에 나타낸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과 오목면 측을 역방향으로 하여,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광속(실선으로 나타냄)(P1)과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광속(파선으로 나타냄)(P2)을 중첩하여 결상상태를 나타내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고,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해 측정한 백 포커스값(BF)과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렌즈미터에 의해 측정한 백 포커스값(BF')이 다르게 되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S)를 측정하면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렌즈미터의 측정원리가 다름으로 인해 차가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TL)의 전면에 2매의 프리즘을 조합시킨 프리즘 콘펜세이터를 배열하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도 5에 나타낸 렌즈미터와 동일한 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게 되면, 구성이 복잡화되어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피검렌즈(TL)로부터 출사되는 측정광속이 측정광축(O1)과 일치할 때까지 프리즘 콘펜세이터를 회전 조절할 필요가 있어, 그 측정이 번잡해지고 측정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그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도수를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값의 불일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가, 측정광축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청구항 2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이동시키는 광학계의 타겟판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측정광축에 평행한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킴으로써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과,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경사진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킴으로써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측정값으로부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측정광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평행광속이 측정광축에 대해 상하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측정에 이용하는 평행광속을 측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변환할 지의 여부를, 측정자가 판단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환산할 지의 여부를, 측정광축을 따라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되는 측정광속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환산을 행할 때에, 측정광축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되는 평행광속을 자동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측정광축에 평행한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킴으로써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과,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경사진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킴으로써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측정값으로부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측정광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평행광속이 측정광축에 대해 상하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측정에 이용하는 평행광속을 측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변환할 지의 여부를, 측정자가 판단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환산할 지의 여부를, 측정광축을 따라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되는 측정광속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환산을 행할 때에, 측정광축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되는 평행광속을 자동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후방위치에 복수의 개구를 갖는 패턴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미터.
청구항 9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측정에 이용하는 측정광속을 측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변환할 지의 여부를, 측정자가 판단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환산할 지의 여부를, 측정광속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의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측정할 때에 측정광축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을 상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의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측정할 때에, 타겟판의 측정광축으로부터 벗어난 개구를 통해 측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측정에 이용하는 측정광속을 측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변환할 지의 여부를, 측정자가 판단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으로 환산할 지의 여부를, 측정광속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광학계의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측정할 때에 측정광축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을 상기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렌즈미터는,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광학계의 렌즈미터에 있어서,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값을 측정할 때에, 타겟판의 측정광축으로부터 벗어난 개구를 통해 측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미터의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
삭제
도 12는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키고 피검렌즈(TL) 투광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거하여 피검렌즈(TL)의 도수 를 측정하는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광학계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광원부(1)에는 여기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LED(1a∼1e)가 설치되어 있다. LED(1a)는 측정광축(O1)상에 설치되고, LED(1b∼1e)는 LED(1a)에 대해서 상하좌우 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LED(1a∼1e)는 콜리미터 렌즈(2)의 초점면(F1')에 설치되어 있다. 각 LED(1a∼1e)로부터 출사된 광은 콜리미터 렌즈(2)에 의해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된다. LED(1a)에 의한 측정광속은 콜리미터 렌즈(2)에 의해 측정광축(O1)을 따른 평행광속(P1)이 되고, LED(1b∼1e)에 의한 평행광속은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지게 입사하는 기지(旣知)의 입사각도를 갖는 평행광속이 된다. 도 12에는, LED(1b)에 의한 평행광속이 부호 P1'로 표시되고, LED(1d)에 의한 평행광속이 부호 P"로 표시되어 있다.
피검렌즈(TL)는, 그 피검렌즈(TL)의 광축(O2)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편심된 위치(X3)가 측정광로(6)를 향하도록 하여 렌즈받침(5)의 이면 정점위치(X1)에서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피검렌즈(TL)를 수평으로 하여 측정할 경우에는 전후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측정광로(6)를 향하도록 하여 세트된다.
이들 각 평행광속(P1, P1', P1")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 이미 알고 있는 입사각도로 입사하면, 각 평행광속(P1, P1', P1")은 그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다른 편각을 받음과 동시에, 피검렌즈(TL)의 수차(收差)에 의해 다른 도수의 값이 얻어지게 된다.
도 12a는 도 12b, 12c, 12d의 도면을 중첩시킨 도면이다. 즉, 도 12b는 광원(1a)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평행하는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c는 광원(1b)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d는 광원(1d)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가령,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d)를 점등시키면, 이 LED(1d)에 의거한 경사진 평행광속(P" )이 피검렌즈(TL)에 입사되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굴절을 받아, 패턴판(3)의 개구(3a)를 통과한 광속에 의해, 에리어 센서(4) 상에 개구투영상(3a')이 형성되고, 이 개구투영상(3a')을 연산회로(30)에 의해 연산함으로써, 광학특성값으로서의 백 포커스값(BF" )이 얻어짐과 동시에, 사출각(θ1)이 얻어진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개구(3a) 중심은 측정광축(O1)과 일치하고 있지만,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에서의 측정을 행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투영상(3a')이 가령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벗어나서, 4개의 개구투영상(3a)의 중심위치(W)가 측정광축(O1)에서 벗어난다. 이 4개의 개구투영상(3a')의 중심위치(W)의 측정광축(O1)으로부터의 이동량(WX)으로 하면, 사출각(θ1)은, 패턴판(3)으로부터 에리어 센서(4)까지의 거리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θ1=arctan(WX/d)
또, 프리즘량은 사출각에 의거하여 연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1a)를 점등시키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LED(1a)에 의거한 측정광축(O1)에 평행하는 평행광속(P1)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로 입사되어, 마찬가지로 백 포커스값(BF)이 얻어짐과 동시에 사출각(θ2)이 얻어진다.
도 12a는 도 12b, 12c, 12d의 도면을 중첩시킨 도면이다. 즉, 도 12b는 광원(1a)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평행하는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c는 광원(1b)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d는 광원(1d)을 점등하였을 때, 측정광속(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P1”)이 입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가령,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d)를 점등시키면, 이 LED(1d)에 의거한 경사진 평행광속(P" )이 피검렌즈(TL)에 입사되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굴절을 받아, 패턴판(3)의 개구(3a)를 통과한 광속에 의해, 에리어 센서(4) 상에 개구투영상(3a')이 형성되고, 이 개구투영상(3a')을 연산회로(30)에 의해 연산함으로써, 광학특성값으로서의 백 포커스값(BF" )이 얻어짐과 동시에, 사출각(θ1)이 얻어진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개구(3a) 중심은 측정광축(O1)과 일치하고 있지만,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에서의 측정을 행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투영상(3a')이 가령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벗어나서, 4개의 개구투영상(3a)의 중심위치(W)가 측정광축(O1)에서 벗어난다. 이 4개의 개구투영상(3a')의 중심위치(W)의 측정광축(O1)으로부터의 이동량(WX)으로 하면, 사출각(θ1)은, 패턴판(3)으로부터 에리어 센서(4)까지의 거리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θ1=arctan(WX/d)
또, 프리즘량은 사출각에 의거하여 연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1a)를 점등시키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LED(1a)에 의거한 측정광축(O1)에 평행하는 평행광속(P1)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로 입사되어, 마찬가지로 백 포커스값(BF)이 얻어짐과 동시에 사출각(θ2)이 얻어진다.
LED(1b)를 점등시키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LED(1b)에 의거한 경사진 평행광속(P1')이 피검렌즈(TL)에 입사되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 굴절을 받아, 패턴판(3)의 개구(3a)를 통과한 광속에 의해, 에리어 센서(4) 상에 개구투영상(3a')이 형성되고, 이 개구투영상(3a')을 연산회로(30)에 의해 연산함으로써, 광학특성값으로서의 백 포커스값(BF')이 얻어짐과 동시에, 사출각(θ3)이 얻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프리즘량과 도수(diopter)의 관계를 그래프에 플롯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그 도 14에 있어서, 횡축은 프리즘량(PRISM)을 나타내고, 종축은 백 포커스값의 역수(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Q1은 측정광속(P1")에 의거하여 얻어진 측정점, Q2는 측정광속(P1)에 의거하여 얻어진 측정점, Q3은 측정광속(P')에 의거하여 얻어진 측정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켜 피검렌즈(TL)의 도수를 측정하는 타입의 렌즈미터를 이용하여,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를 측정했을 때의 백 포커스값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검렌즈(TL)로부터 출사되는 측정광속의 사출각(θ)이 0도가 될 때의 값이다.
여기에서, 연산회로(30)는 얻어진 프리즘량과 백 포커스값에 의거하여, 직선 근사를 행하여 직선(L)을 구하고, 프리즘량이 「0」이 될 때의 백 포커스값(BFO)을 구한다. 이 백 포커스값(BFO)은 도 11에 나타낸 백 포커스값(BF')과 이론적으로 일치한다. 그 백 포커스값(BFO)의 역수, 즉, 도수는 표시기(31)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 입사시키고,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구하는 타입의 것에 있어서도,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입사시키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출사시켜,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구한 것과 동일한 도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측정광원(1d, 1a, 1b)을 동시에 점등시키면, 에리어 센서(4) 상에서의 개구투영상(3a')의 구별이 되지 않으므로, 측정광원(1d, 1a, 1b)을 시계열적으로 점등시켜, 에리어 센서(4)에 의해 검출을 행할 때의 각 측정광원에 의한 개구투영상(3a')을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백 포커스값과 프리즘량을 직선 근사하여 프리즘량이 「0」일 때의 도수를 구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수의 LED, 가령 7개 이상의 LED를 설치하여 백 포커스값과 프리즘량을 구하고, 곡선 근사에 의해 프리즘량이 「0」일 때의 도수를 구하는 것으로 하면, 그 환산정도가 한층 향상된다. 또, 이 곡선 근사는 그래프 상에 3점 이상 측정값을 플롯하면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복수개의 측정광원을 차례로 점등시켜 백 포커스값을 구한 후, 환산을 위한 연산을 행하는 구성이므로, 1개의 측정광원을 점등시켜 측정을 행하는 구성에 비해 측정에 시간이 소요되지만, 피검렌즈(TL)의 도수가 작을 경우, 편심량(프리즘량)이 작을 경우에는,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과,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입사시켜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평행광속으로서 출사시키는 타입의 것에서,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에 거의 차는 없다고 판단되므로,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백 포커스값에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측정결과가 그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1개의 LED만을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다른 LED에 의한 측정은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그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만, 다른 LED를 점등시켜 백 포커스량과 프리즘량을 구하고, 환산에 의해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 로부터 측정광속을 평행광속으로서 출사시키는 타입의 것으로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도수를 구하기는 것으로 하면, 조작성을 극력 희생하는 일 없이, 그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피검렌즈(TL)가 누진(累進)렌즈나 바이포컬 렌즈일 때, 그 근용부(近用部)의 측정에서는, 피검렌즈(TL)를 크게 편심시켜서 측정하여야 하지만, 이 때, 피검렌즈(TL)가 볼록렌즈인지 오목렌지인지에 따라서 편각방향이 반대로 되므로, 측정광속은 측정광축(O1)에 대칭으로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검렌즈(TL)가 누진렌즈, 바이포컬 렌즈일 때, 그 근용부를 자동적으로 인식시켜, 각 LED(1a∼1e)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출사시켰을 때의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구하는 구성, 렌즈미터에 피검렌즈(TL)의 근용부를 기억하는 메모리버튼을 설치하고, 측정자가 그 버튼을 눌렀을 때에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출사시켰을 때의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구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LED(a)를 점등시켜 측정광축(O1)을 따라 평행광속(P1)을 피검렌즈(TL)에 입사시키고, 그 LED(1a)를 점등시킴으로써 얻어진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LED(1b∼1e)중 어느 하나를 점등시킬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LED(1a) 이외의 최소한 필요한 LED(1b∼1e)를 점등시켜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출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로 환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 다. 이렇게 구성하면, 측정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렌즈미터에 환산버튼을 설치하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으로부터 평행광속(P1)을 입사시켰을 때의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백 포커스값(BF))(S)만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이 환산버튼을 오프로 하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P2')을 출사시켰을 때의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이 환산버튼을 온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15는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TL)를 향해 측정광속을 입사시키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P2)을 출사시키는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5에 있어서, 도 5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이하 설명한다.
타겟판(12)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개구(12a∼12e)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2a)는 측정광축(O1) 상에 위치하고, 그 개구(12a)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4개의 개구(12b∼12e)가 형성되어 있다. 또, 15'는 에리어 센서(15)이다.
각 LED(10a∼10e)를 각각 점등시켜 측정광속을 콜리미터 렌즈(1)에 의해 타겟판(12)으로 보내지는 것으로 한다. 또, 피검렌즈(TL)는 그 편심된 위치(X3)가 측정광축(O1) 상에 있는 것으로 한다.
타겟판(12)은 도 15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에, 그 중앙의 개구(12a)가 에리어 센서(15')와 공역에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LED(10b 또는 10d)를 각각 별도로 점등시키면,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겟판(12)의 5개의 개구투영상(12a', 12b', 12d', 2c', 12e')이 에리어 센서(15') 상에 형성된다. 피검렌즈(TL)는 상하방향으로만 편심되고, 좌우방향으로는 편심되어 있지 않으므로, LED(10b 또는 10d)를 점등시켰을 때의 개구투영상은 일치한다.
LED(10)를 점등시키면, 도 17(b)에 나타낸 개구투영상(12a'∼12e')이 에리어 센서(15') 상에 형성된다. 좌우방향으로는 개구투영상(12a', 12c', 12e')은 일치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는 개구투영상(12b', 12a', 12d')은 벗어나 있다. 여기서는, 피검렌즈(TL)를 상하방향으로만 편심시킨 것으로써 측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LED(10c)를 점등시키면, 도 17(c)에 도시한 개구투영상(12a'∼12e')이 현성된다. 따라서, 동시에 LED(10a∼10d)를 점등시키면, 에리어 센서(15')에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투영면(12a'∼12e')이 형성되게 된다.
타겟판(12)을 측정광축(O1)을 따라 가동시키고, 개구(12b)가 에리어 센서(15')와 공역위치가 되었다고 하면, 에리어 센서(15')에는, 각 LED(10a∼10d)를 동시에 점등시켰을 때, 도 17(e)에 나타낸 개구투영상이 형성된다. 에리어 센서(15)상에는 측정광축(O1)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5개의 개구투영상(12a'∼12e')이 중첩된 점이 얻어진다. 또, 측정광축(O1) 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투영상(12b', 12a', 12d')이 벗어나서 투영되게 된다.
좌우의 개구투영상(12c' 12e')은 개구투영상(12a')에 중첩된다.
따라서, 타겟판(12)을 이동시켰을 때의 이동량의 차가 피검렌즈(TL)의 입사각도에 의한 도수의 차가 되고, 에리어 센서(15')에서의 개구투영상(12a', 12c', 12d')이 한 점에 중첩되도록 타겟판(12)을 이동시켜, 각 이동위치에서의 도수 차를 구함으로써,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에서 측정을 행했을 때의 도수를 환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프리즘량은 LED(10a∼10d)를 동시에 점등시켰을 때에 얻어진 4개의 투영상의 중심위치와 측정광축(O1)의 거리로서 얻어진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에리어 센서(15')를 이용하여 4개의 투영상의 중심위치를 구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나, 에리어 센서(15') 대신에 라인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타켓판(12)의 개구로서 복수의 슬릿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18은 검영법(檢影法)을 이용한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콜리미터 렌즈(2)를 이용하여 피검렌즈(TL)에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는 것으로,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집광렌즈(40)를 이용하여 LED(1a, 1b)의 광원상을 회전패턴판(41)의 회전축(O3)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한다. 회전패턴판(41)에는 소정의 개구패턴이 형성되고, 회전패턴판(41)은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피검렌즈(TL)가 볼록렌즈일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전방측에 LED(1a, 1b)의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형성되고, 피검렌즈(TL)가 오목렌즈일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후방측에 LED(1a, 1b)의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형성된다. 그 회전패턴판(41)과 에리어 센서(4) 사이에는 결상렌즈(42)가 배열되고, 결상렌즈(42)의 전방측 초점은 회전패턴판(41)과 일치되며,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LED(1a, 1b)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평행광속으로서 에리어 센서(4)로 보내진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에 형성되므로, 회전패턴판(41)의 개구부가 광원상을 가로지르면 에리어 센서(4)의 출력은 급격히 상승하고, 회전패턴판(41)의 차광부가 차광상을 가로지르면, 에리어 센서(4)의 출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의 전방측(피검렌즈(TL)가 볼록렌즈일 때) 또는 후방측(피검렌즈(TL)가 오목렌즈일 때)에 형성되고, 회전패턴판(41) 상에서는, LED(1a, 1b)의 광원상이 흐리기 때문에, 회전패턴판(41)의 개구가 광원상을 가로지를 때, 에리어 센서(41)의 수광출력의 증대가 완만해지고, 또, 회전패턴판(41)의 차광부가 광원상을 가로지를 때에도 에리어 센서(4)의 수광출력의 감소가 완만해지며, 피검렌즈(TL)의 도수가 크면 클수록,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로부터 전방측 핀트 위치 또는 후방측 핀트 위치까지의 편위량이 커지므로, 회전패턴판(41) 상에서의 LED(1a, 1b)의 광원상이 흐림량이 커진다.
따라서 ,에리어 센서(4)의 수광출력의 증감의 경향 정도, 증감이 나타나는 방향에 의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 프리즘량을 구할 수 있으며, LED(1a, 1b)를 순차 점등하여, 각 LED(1a, 1b)에 의한 도수, 프리즘량을 구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검영법에 의한 렌즈미터의 측정의 상세내용은 특개2000-2666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15는 피검렌즈(TL)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피검렌즈(TL)를 향해 측정광속을 입사시키고, 피검렌즈(TL)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P2)을 출사시키는 타입의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5에 있어서, 도 5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이하 설명한다.
타겟판(12)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개구(12a∼12e)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2a)는 측정광축(O1) 상에 위치하고, 그 개구(12a)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4개의 개구(12b∼12e)가 형성되어 있다. 또, 15'는 에리어 센서(15)이다.
각 LED(10a∼10e)를 각각 점등시켜 측정광속을 콜리미터 렌즈(1)에 의해 타겟판(12)으로 보내지는 것으로 한다. 또, 피검렌즈(TL)는 그 편심된 위치(X3)가 측정광축(O1) 상에 있는 것으로 한다.
타겟판(12)은 도 15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에, 그 중앙의 개구(12a)가 에리어 센서(15')와 공역에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LED(10b 또는 10d)를 각각 별도로 점등시키면,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겟판(12)의 5개의 개구투영상(12a', 12b', 12d', 2c', 12e')이 에리어 센서(15') 상에 형성된다. 피검렌즈(TL)는 상하방향으로만 편심되고, 좌우방향으로는 편심되어 있지 않으므로, LED(10b 또는 10d)를 점등시켰을 때의 개구투영상은 일치한다.
LED(10)를 점등시키면, 도 17(b)에 나타낸 개구투영상(12a'∼12e')이 에리어 센서(15') 상에 형성된다. 좌우방향으로는 개구투영상(12a', 12c', 12e')은 일치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는 개구투영상(12b', 12a', 12d')은 벗어나 있다. 여기서는, 피검렌즈(TL)를 상하방향으로만 편심시킨 것으로써 측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LED(10c)를 점등시키면, 도 17(c)에 도시한 개구투영상(12a'∼12e')이 현성된다. 따라서, 동시에 LED(10a∼10d)를 점등시키면, 에리어 센서(15')에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투영면(12a'∼12e')이 형성되게 된다.
타겟판(12)을 측정광축(O1)을 따라 가동시키고, 개구(12b)가 에리어 센서(15')와 공역위치가 되었다고 하면, 에리어 센서(15')에는, 각 LED(10a∼10d)를 동시에 점등시켰을 때, 도 17(e)에 나타낸 개구투영상이 형성된다. 에리어 센서(15)상에는 측정광축(O1)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5개의 개구투영상(12a'∼12e')이 중첩된 점이 얻어진다. 또, 측정광축(O1) 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투영상(12b', 12a', 12d')이 벗어나서 투영되게 된다.
좌우의 개구투영상(12c' 12e')은 개구투영상(12a')에 중첩된다.
따라서, 타겟판(12)을 이동시켰을 때의 이동량의 차가 피검렌즈(TL)의 입사각도에 의한 도수의 차가 되고, 에리어 센서(15')에서의 개구투영상(12a', 12c', 12d')이 한 점에 중첩되도록 타겟판(12)을 이동시켜, 각 이동위치에서의 도수 차를 구함으로써,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에서 측정을 행했을 때의 도수를 환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프리즘량은 LED(10a∼10d)를 동시에 점등시켰을 때에 얻어진 4개의 투영상의 중심위치와 측정광축(O1)의 거리로서 얻어진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에리어 센서(15')를 이용하여 4개의 투영상의 중심위치를 구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나, 에리어 센서(15') 대신에 라인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타켓판(12)의 개구로서 복수의 슬릿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18은 검영법(檢影法)을 이용한 렌즈미터의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콜리미터 렌즈(2)를 이용하여 피검렌즈(TL)에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는 것으로,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집광렌즈(40)를 이용하여 LED(1a, 1b)의 광원상을 회전패턴판(41)의 회전축(O3)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한다. 회전패턴판(41)에는 소정의 개구패턴이 형성되고, 회전패턴판(41)은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피검렌즈(TL)가 볼록렌즈일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전방측에 LED(1a, 1b)의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형성되고, 피검렌즈(TL)가 오목렌즈일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후방측에 LED(1a, 1b)의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형성된다. 그 회전패턴판(41)과 에리어 센서(4) 사이에는 결상렌즈(42)가 배열되고, 결상렌즈(42)의 전방측 초점은 회전패턴판(41)과 일치되며,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LED(1a, 1b)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평행광속으로서 에리어 센서(4)로 보내진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핀트가 맞는 광원상이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에 형성되므로, 회전패턴판(41)의 개구부가 광원상을 가로지르면 에리어 센서(4)의 출력은 급격히 상승하고, 회전패턴판(41)의 차광부가 차광상을 가로지르면, 에리어 센서(4)의 출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피검렌즈(TL)가 측정광로(6)에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의 전방측(피검렌즈(TL)가 볼록렌즈일 때) 또는 후방측(피검렌즈(TL)가 오목렌즈일 때)에 형성되고, 회전패턴판(41) 상에서는, LED(1a, 1b)의 광원상이 흐리기 때문에, 회전패턴판(41)의 개구가 광원상을 가로지를 때, 에리어 센서(41)의 수광출력의 증대가 완만해지고, 또, 회전패턴판(41)의 차광부가 광원상을 가로지를 때에도 에리어 센서(4)의 수광출력의 감소가 완만해지며, 피검렌즈(TL)의 도수가 크면 클수록, 회전패턴판(41)의 배열위치로부터 전방측 핀트 위치 또는 후방측 핀트 위치까지의 편위량이 커지므로, 회전패턴판(41) 상에서의 LED(1a, 1b)의 광원상이 흐림량이 커진다.
따라서 ,에리어 센서(4)의 수광출력의 증감의 경향 정도, 증감이 나타나는 방향에 의해 피검렌즈(TL)의 편심된 위치(X3)에서의 도수, 프리즘량을 구할 수 있으며, LED(1a, 1b)를 순차 점등하여, 각 LED(1a, 1b)에 의한 도수, 프리즘량을 구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검영법에 의한 렌즈미터의 측정의 상세내용은 특개2000-2666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렌즈의 볼록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피검렌즈 투과 후의 측정광속의 변위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광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와, 피검렌즈의 오목면 측으로부터 측정광속을 피검렌즈에 입사시키면서 볼록면 측으로부터 평행광속이 출사되도록 타겟판을 측정광축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타겟판의 이동량에 의해 피검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과학특성을 측정했을 때에, 그 광학특성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3)
- 다수개의 광원(1a~1e)을 투영렌즈(2)로 입사시킴으로써, 피검렌즈(TL)의 볼록면측에 측정광축(O1)과 평행하는 평행광속과,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을 입사시키도록 구성되며, 측정광축(O1)과 평행하는 평행광속 및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의 개구투영상을 통해 사출각이 영(0)으로 수렴할 때의 백포커스(BFO)값을 산출하고, 그 백포커스(BFO)값을 이용하여 광학특성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측정광축(O1)에 대해 경사진 평행광속은 상기 측정광축(O1)에 대해 상하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제 1항에 있어서,피검렌즈의 편심된 위치에서의 측정에 이용하는 평행광속을 측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제 1항에 있어서,편심된 피검렌즈에서 측정한 광학특성값을 상기 렌즈미터의 측정방식을 적용하여 환산할 지의 여부를 측정자가 판단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제 1항에 있어서,피검렌즈의 후방위치에 복수개의 개구를 갖는 패턴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제 1항에 있어서,중앙의 광원(1a)의 점등으로 인해 측정된 광학특성값과 나머지 다른 광원(1b~1e)의 점등으로 인해 측정된 광학특성값을 상호 비교하여 환산값을 산출하고, 점등할 광원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편심된 피검렌즈에 대해 미리 산출된 환산값이 자동 적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305618A JP3749152B2 (ja) | 2001-10-01 | 2001-10-01 | レンズメータ |
JPJP-P-2001-00305618 | 2001-10-0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4671A Division KR20050099475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KR1020050084672A Division KR20050099476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8425A KR20030028425A (ko) | 2003-04-08 |
KR100902972B1 true KR100902972B1 (ko) | 2009-06-15 |
Family
ID=191253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9659A KR100902972B1 (ko) | 2001-10-01 | 2002-10-01 | 렌즈미터 |
KR1020050084672A KR20050099476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KR1020050084671A KR20050099475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4672A KR20050099476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KR1020050084671A KR20050099475A (ko) | 2001-10-01 | 2005-09-12 | 렌즈미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749152B2 (ko) |
KR (3) | KR100902972B1 (ko) |
CN (1) | CN1325894C (ko) |
HK (1) | HK10553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98587B2 (ja) * | 2004-05-28 | 2009-07-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偏心測定結果の表示方法 |
JP2006084405A (ja) * | 2004-09-17 | 2006-03-30 | Topukon Yamagata:Kk | レンズメータ |
US10670494B2 (en) | 2015-05-10 | 2020-06-02 | 6 Over 6 Vision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
SG10201913883UA (en) | 2015-05-10 | 2020-03-30 | 6 OVER 6 VISION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
JP7003041B2 (ja) * | 2016-01-23 | 2022-01-20 | 6 オーバー 6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 レンズの1つ以上の光学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
CN109425312B (zh) * | 2017-09-01 | 2021-12-03 |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 偏心测试装置及方法 |
CN107741206B (zh) * | 2017-09-20 | 2020-02-11 | 宁波舜宇仪器有限公司 | 平行光管及含该光管的标靶单元及模组检测方法 |
CN109186961B (zh) * | 2018-10-16 | 2024-07-09 | 天津中精微仪器设备有限公司 | 一种镜头焦距测量设备 |
CN109696138B (zh) * | 2019-03-01 | 2024-04-09 | 中国计量大学 | 圆柱度检测装置及其偏心校准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37A (ja) * | 1981-06-26 | 1983-01-05 | Nippon Kogaku Kk <Nikon> | 自動レンズメ−タ |
JPS61280544A (ja) * | 1985-12-03 | 1986-12-11 | San Haitetsuku Kk | 自動レンズメ−タ |
JPS62225920A (ja) * | 1986-03-27 | 1987-10-03 | Tokyo Optical Co Ltd | オ−トレンズメ−タ− |
JPH02216428A (ja) * | 1988-03-05 | 1990-08-29 | Hoya Corp | 自動レンズメータ |
JPH0618363A (ja) * | 1992-06-30 | 1994-01-25 | Canon Inc | レンズメータ |
JPH06249749A (ja) * | 1993-02-26 | 1994-09-09 | Topcon Corp | レンズメータ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0239A (ja) * | 1992-09-25 | 1994-06-07 | Nikon Corp | 自動レンズメーター |
JPH0718775B2 (ja) * | 1993-10-01 | 1995-03-06 | 株式会社トプコン | レンズメーター |
JP2598247B2 (ja) * | 1995-10-25 | 1997-04-09 | 株式会社トプコン | レンズメーター |
JP2001124662A (ja) * | 1999-10-25 | 2001-05-11 | Topcon Corp | レンズメータ |
JP2001281098A (ja) * | 2000-03-31 | 2001-10-10 | Topcon Corp | レンズメータ |
-
2001
- 2001-10-01 JP JP2001305618A patent/JP374915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10-01 KR KR1020020059659A patent/KR1009029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0-08 CN CNB021442797A patent/CN132589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10-16 HK HK03107528A patent/HK105532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9-12 KR KR1020050084672A patent/KR200500994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9-12 KR KR1020050084671A patent/KR200500994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37A (ja) * | 1981-06-26 | 1983-01-05 | Nippon Kogaku Kk <Nikon> | 自動レンズメ−タ |
JPS61280544A (ja) * | 1985-12-03 | 1986-12-11 | San Haitetsuku Kk | 自動レンズメ−タ |
JPS62225920A (ja) * | 1986-03-27 | 1987-10-03 | Tokyo Optical Co Ltd | オ−トレンズメ−タ− |
JPH02216428A (ja) * | 1988-03-05 | 1990-08-29 | Hoya Corp | 自動レンズメータ |
JPH0820334B2 (ja) * | 1988-03-05 | 1996-03-04 | ホーヤ株式会社 | 自動レンズメータ |
JPH0618363A (ja) * | 1992-06-30 | 1994-01-25 | Canon Inc | レンズメータ |
JPH06249749A (ja) * | 1993-02-26 | 1994-09-09 | Topcon Corp | レンズメー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749152B2 (ja) | 2006-02-22 |
CN1325894C (zh) | 2007-07-11 |
JP2003106937A (ja) | 2003-04-09 |
KR20030028425A (ko) | 2003-04-08 |
CN1410747A (zh) | 2003-04-16 |
HK1055329A1 (en) | 2004-01-02 |
KR20050099476A (ko) | 2005-10-13 |
KR20050099475A (ko) | 2005-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47202A (en) |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of a camera | |
JP2008541101A (ja) | 物体の表面測定装置およびその表面測定方法 | |
US7471396B2 (en) | Dual polarization interferometers for measuring opposite sides of a workpiece | |
KR20050099475A (ko) | 렌즈미터 | |
KR20140019227A (ko) | 이미지 센서 포지셔닝 장치 및 방법 | |
JP2002071513A (ja) | 液浸系顕微鏡対物レンズ用干渉計および液浸系顕微鏡対物レンズの評価方法 | |
KR101126150B1 (ko) | 렌즈미터 | |
JPH0812127B2 (ja) | 曲率半径測定装置及び方法 | |
JP4694331B2 (ja) | 対物レンズの傾き調整用光学系 | |
US3552857A (en) | Optical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pacing of an object and its angular deviation relative to an initial position | |
US4641961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ptical system to be examined | |
JP3120885B2 (ja) | 鏡面の測定装置 | |
KR100790706B1 (ko) | 렌즈 초점 거리 측정 장치 | |
JP2014145684A (ja) | 測定装置 | |
CN117470390B (zh) | 激光测试装置及激光测试方法 | |
KR100738387B1 (ko) | 비축 조사에 의한 파면 측정장치 | |
KR101133562B1 (ko) | 비점수차 렌즈를 이용한 형상측정장치 | |
CN114690393B (zh) | 一种内调焦望远镜 | |
KR102543317B1 (ko) | 확장된 곡률반경 범위를 갖는 부분 영역 형상 측정 장치 | |
JPS62502421A (ja) | 二次元の対象物を整向、検査及び/または測定するための装置 | |
JP3817232B2 (ja) | 変位測定装置 | |
JPS6136884Y2 (ko) | ||
KR100728334B1 (ko) | 광학부품의 경사각 측정장치 | |
KR200311687Y1 (ko) | 렌즈미터용 광학계 | |
JPH09257643A (ja) | レンズメー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B90T |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817 Effective date: 20060823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S601 |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30 Effective date: 20090326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