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24B1 -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 Google Patents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24B1
KR100900724B1 KR1020020080999A KR20020080999A KR100900724B1 KR 100900724 B1 KR100900724 B1 KR 100900724B1 KR 1020020080999 A KR1020020080999 A KR 1020020080999A KR 20020080999 A KR20020080999 A KR 20020080999A KR 100900724 B1 KR100900724 B1 KR 10090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lever
clamp
lock
closed positi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546A (ko
Inventor
아프타나스제프리엠.
크미타제랄드제이.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독자적인 스프링이나 가압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브래킷 조립체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브래킷 조립체는 크로스바부재의 대향 끝에 체결되어 있고 그리고 각각의 브래킷 조립체는 차량의 외부몸체면에 체결된 각각의 지지레일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브래킷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에서 각각 선회가능한 잠금 클램프와 작동레버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레버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작동레버와 잠금 클램프사이의 상호작용은 잠금 클램프가 폐쇄되도록 하고 그리고 잠금 클램프를 폐쇄위치에 유지한다. 작동레버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움직일 때, 작동레버와 잠금 클램프사이의 상호작용은 잠금 클램프가 개방되도록 하고 그리고 지지레일을 결합해제한다.
루프부분, 물품 캐리어장치, 모터차량, 브래킷 조립체, 잠금 클램프, 플랜지,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 클램프, 핸들, 하, 하부 잠김 클램프,

Description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A SIMPLIFIED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브래킷 조립체와 지지레일의 일부, 그리고 크로스바의 일부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브래킷 조립체의 하부 잠금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브래킷 조립체의 작동레버의 사시도;
도 5a는 브래킷 조립체가 폐쇄된 위치에 그리고 도 1의 지지레일에 체결된 도 1의 브래킷 조립체와 크로스바의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b는 브래킷 조립체가 절반 개방된 위치에서 예시된, 도 1의 브래킷 조립체와 크로스바의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c는 브래킷 조립체가 도 1의 지지레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도록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예시된 도 5b의 브래킷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차량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은 간단하고 그리고 개선된 잠금기구를 가진 브래킷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물품 캐리어는 차량의 외부면상에 여러가지 크기의 물품을 지지하고 체결하기 위해서 널리 쓰이고 있다. 전형적으로, 차량 물품 캐리어는 차량의 외부몸체면에 체결된 한쌍의 지지레일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레일은 전형적으로 외부몸체면에 직선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지지레일은 통상 차량루프, 후방 데크 리드(lid), 또는 트럭 베드(be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가 2개의 지지레일사이에서 뻗어있다. 크로스바는 크로스바의 각각의 끝에 해제가능하게 체결된 브래킷 조립체에 의해 각각의 지지레일에 체결되어 있다. 각각의 브래킷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조립체를 대향 지지레일중 관련된 하나에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잠금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의 차량 물품 랙은 그 의도하는 사용목적에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히, 대부분의 현재의 물품 랙의 잠금기구는 비교적 많은 수의 복잡한 부품을 포함하여, 잠금기구를 만드는데 다소 어렵고 및/또는 조립에 비용이 많이 든다. 대부분의 이러한 잠금기구는 필요한 잠금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이상의 독립적인 스프링이 필요한데, 이것은 제작하는데 더 복잡하게 만들고 그리고 잠금기구의 가격을 상승시킨다. 더욱이, 일부의 물품 캐리어에는, 잠금기구는 개방할 때 지지레일을 완전히 해제할 수 없어서 브래킷 조립체가 관련된 지지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다시 자리잡는 것을 방해하거나 또는 지지레일로부터 브래 킷 조립체가 제거되는 것을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조립하기가 더 쉽고, 제작하는데 비용이 덜들고 그리고 잠금방향으로 우수한 신뢰성을 제공하는 간단한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각각의 끝에서 브래킷 조립체를 가진 크로스바를 가지고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감소된 부품수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는 브래킷 조립체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종래의 단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브래킷 조립체는 잠금기구로서 작용하고 그리고 크로스바부재의 대향 끝에 체결되어 있다. 각각의 브래킷 조립체는 차량의 지지레일에 결합되어 지지레일사이에서 크로스바를 현가한다.
각각의 브래킷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한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잠금부재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하다. 작동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작동부재와 잠금부재사이의 상호작용은 잠금부재를 폐쇄하도록 가압하고 그리고 잠금부재를 폐쇄위치에 유지하여 브래킷 조립체를 지지레일에 체결한다. 작동부재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운동할 때, 작동부재와 잠금부재사이의 상호작용은 잠금부재가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하게 하여 지지레일로부터 해제하게 된다. 개방위치에 위치할 때, 잠금 클램프는 개방되어 브래킷 조립체는 브래킷 조립체가 지지레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밀리지 않고 지지레일로부터 직접 상승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브래킷 조립 체는 각각의 지지레일을 따라 조절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잠금 및 해제작용은 브래킷 조립체에서 임의 내부 스프링이나 가압요소의 사용없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더 응용분야는 이하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이고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바람직한 실시예의 아래 설명은 원래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그리고 본 발명, 그리고 그 적용 또는 그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10)가 예시되어 있다. 물품 캐리어장치(10)는 예시적으로 모터차량(12)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특히, 물품 캐리어장치(10)는 모터차량(12)의 루프부분(14)에 설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루프부분(14)에 체결된 물품 캐리어장치(10)를 도시하고 있지만, 물품 캐리어장치(10)는 모터차량(12)의 외부에 대하여 여러가지 다른 면에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더욱이, 물품 캐리어장치(10)는 다용도 차량, 스테이션 웨건, 세단 등 과 같은 실제로 임의의 형태의 차량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물품 캐리어장치(10)는 전체적으로 한쌍의 길다란 지지레일(16), 적어도 2개의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 그리고 적어도 1개의 크로스바(20)를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의 적용에 있어서 2개의 조절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는 크로스바(20)가 사용되지만, 크로스바(20)중에 하나는 고정된(즉, 움직이지 않는) 크로스바 부재로 쉽게 구성될 수 있다. 설명 및 예시의 목적으로, 2개의 크로스바(20)는 조절가능한 크로스바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같이, 지지레일(16)은 전체적으로 루프부분(14)의 대향면을 따라서 평행한 관계로 위치되어 있다. 지지레일(16)은 적절한 지지다리(22)에 의해 루프부분(14)위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지지레일(16)중에 하나, 크로스바(20) 그리고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중에 하나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레일(16)은 전체적으로 하부면(24), 상부면(26), 내부면(28), 상부 외부면(30), 그리고 하부 외부면(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전체적으로 하우징(36)으로부터 뻗은 크로스바 네크(neck)(34)을 포함하고 있다. 크로스바 네크(34)는 크로스바(20)내로 신축적으로 삽입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크로스바 네크(34)와 크로스바(20)사이의 상호작용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하우징(36)은 상부 클램프부분(38)과 하부 지지부(39)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36)은 하부 잠금 클램프(42)와 작동레버(44)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부 클램프부분(38)은 상부면(46), 하부면(48), 그리고 내부면(50)을 가지고 있다. 상부면(46), 하부면(48), 그리고 내부면(50)의 모양은 지지레일(16)의 내부면(28), 상부면(26), 그리고 상부 외부면(30)의 모양과 보완적이어서 상부 클램프부분(38)은 지지레일(16)상에 견고하게 자리 잡을 수 있다. 상부 클램프부분(38)과 지지레일(16)사이의 상호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 고무 또는 다른 패드(51)가 접착제 또 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부면(48)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클램프부분(38)의 상부면(46)내에는 오목한 부분(52)이 있다. 이 오목한 부분(52)에는 작동레버(44)가 자리잡고 있다. 작동레버(44)는 핸들(56) 그리고 베이스부분(54)으로부터 뻗어있는 립 즉 플랜지(58)를 가진 베이스부분(54)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통구멍(60)이 베이스부분(54)을 통해 뻗어있다. 작동레버(44)는 작동레버(44)가 하우징(36)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는 적절한 체결장치에 의해 오목한 부분(52)내에 결합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같이, 관통구멍(60)은 하우징(36)내에 위치된 그리고 관통구멍(60,62)을 통해서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되어 있는 피벗핀(64)에 의해 제위치에 체결된 유사한 관통구멍(62)과 정렬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잠금 클램프(42)는 전체적으로 구멍(68)을 가진 센터부분(66)을 포함하고 있다. 센터부분(66)으로부터 클램프부분(70)이 뻗어있다. 클램프부분(70)은 지지레일(16)의 하부면(24)과 보완의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하부 잠금 클램프(42)가 지지레일(16)중의 각각의 하나에 위치된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하부면(24)과 접합한다. 패드(72)는 클램프부분(70)에 체결될 수 있어서 클램프부분(70)과 지지레일(16)사이에 상호작용을 완충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태브(tab)(74)는 클램프부분(70)과 대향한 센터부분(66)으로부터 뻗어 있다. 태브(74)는 상부 클램프부분(38)쪽으로 상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태브(74)는 한쌍의 절결부 즉 노치(78a)에 의해서 태브(74)내에 형성된 플랩(78)으로부터 뻗어있는 상승부(76)를 포함하고 있다. 플랩(78)은 태브(74)의 표면위로 뻗어있고 그리고 약간 구부릴 수 있다. 약간 아치형의 표면(75)이 또한 태브(74)에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면(76a)이 상승부(76)를 한정한다. 상승부(76)는 도 5a 내지 도 5c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잠금 및 해제 과정동안에 촉감을 느끼게 한다.
하부 잠금 클램프(42)는 하우징(36)내에 자리 잡아서 구멍(68)이 하우징(36)의 구멍(80)과 정렬된다. 구멍(68)과 구멍(80)이 정렬되면,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된 피벗핀(82)이 구멍(68,80)을 통해 삽입되어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하우징(3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한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여, 크로스바(20)를 상세히 설명한다. 크로스바(20)는 전체적으로 상부부분(81), 바닥부분(84), 제 1 최외부 끝(86), 제 2 최외부 끝(88)(도 1), 그리고 내부구역(90)을 가진 길다란 관형의, 타원형(단면)부재로 이루여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부분(81)은 그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채널(92)을 가지고 있다. 채널(92)은 오목한 플랜지(94)에 의해 한정된다. 대부분의 채널(92)은 고무 범퍼(96)로 덮혀있다. 고무 범퍼(96)는 오목한 플랜지(94)에 자리잡고 있다.
내부구역(90)은 제 1 최외부 끝(86)에서 크로스바 네크(34)를 수용하고 있다. 제 2 최외부 끝(88)에서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바(20)에 체결되어 있다. 크로스바 네크(34)는 크로스바(20)와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나사 화스너(도시생략)와 같은, 임의의 종래 방식으로 내부구역(90)내에 체결되어 있다.
도 5a는 도 2의 부품이 설치되어 예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잠금 클램프(42)와 작동레버(44)는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내에 설치될 때 서로 접촉한다. 특히, 도 5a는 작동레버(44)의 플랜지(58)가 태브(74)의 가장자리면(76a)과 접촉한 상태에서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잠금위치에 있다. 도 5a의 잠금위치에서, 하부 잠금 클램프(42)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레버(44)로부터 바깥쪽으로 멀리 선회될 수 없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피벗핀(64,82)의 정렬때문이다. 지지레일(16)의 하부면(24)으로부터 멀리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당기려는 경향이 있는 임의의 힘(즉, 도 5a의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은 플랜지(58)에 의해서 작동레버(44)의 태브(74)에 적용된 반작용 힘에 의해 저항을 받을 것이고, 그리고 실제로 작동레버(44)가 지지레일(16)에서 더 타이트하게 지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레버(44)가 잠금위치에 있을때,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지지레일(16)에 견고하게 체결될 것이다.
도 5a의 잠금위치로부터 작동레버(44)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리프팅력이 작동레버(44)에 적용되어 플랜지(58)가 상승부(76)를 클리어시킨다. 그러므로, 상승부(76)의 존재는 물품 캐리어장치(10)의 사용동안에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작동레버(44)가 잠금 및 해제위치사이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개인에게 촉감신호를 제공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바깥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작동레버(44)의 핸들(56)이 도 5a의 잠금위치로부터 절반 개방된 위치(도 5b) 또는 완전 개방된 위치(도 5c)로 움직여야 한다. 절반 개방된 위치(도 5b) 및 완전 개방된 위치(도 5c)에서, 작동레버(44)는 하우징(36)으로부터 회전된다. 이것은 플랜지(58)가 도 5b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작동레버(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플랜지(58)는 상승부(76)위로 움직이는데, 이것은 도 5b의 도면에서 전체적인 하부 잠금 클램프(42)가 피벗핀(8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태브(74)쪽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피벗핀(82)의 위치와 클램프부분(70)의 무게는 이러한 시계방향 회전을 촉진한다. 따라서,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잠금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독자적인 스프링이나 가압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플랜지(58)가 상승부(76)를 지나면, 플랜지(58)는 태브(74)의 약간 아치형의 표면(75)과 접촉하도록 움직인다(도 5b). 반시계방향으로의 작동레버(44)의 더 운동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벗핀(8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하부 잠금 클램프(42)의 회전을 계속 허용한다. 이 지점에서,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지지레일(16)을 따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작동레버(44)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 개방된 위치로 회전할 때, 플랜지(58)는 근본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그러므로 하부 잠금 클램프(42)가 완전 개방되도록 하여 클램프부분(70)은 거의 90도의 각도로 하우징(36)으로부터 뻗어있다. 그러므로, 하부 잠금 클램프(42)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개방될 때,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 그리고 관련된 크로스바(20)는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의 추가적인 회전, 선회 또는 부딪힘이 없이 지지레일(16)과의 결합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유리하게, 하부 잠금 클램프(42)를 도 5c에 도시된 완전 해제위치에 유지하는데 독자적인 가압요소(예를들면, 스프링)가 필요치 않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지지레일(16)에 잠금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지지레일(16)에 잠그는 단계는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해제하는 단계와 반대이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작동레버(44)가 도 5c에 예시된 완전 개방된 위치로 회전할 때 지지레일(16)상에 위치한다.
상부 클램프부분(38)이 지지레일(16)상에 위치하면,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작동레버(44)의 회전을 통해서 제위치에 잠겨져서 작동레버(4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목한 부분(52)내에 자리잡는다. 도 5a, 도 5b,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레버(44)의 잠금위치로의 회전은 플랜지(58)가 하우징(36)의 크로스바 네크(34)쪽으로 안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플랜지(5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플랜지(58)는 하부 잠금 클램프(42)의 약간 아치형의 표면(75)을 타고 그리고 태브(74)를 반시계방향 회전운동으로 내부면(50)으로부터 멀리 아래로 가압한다. 차례로 태브(74)의 아래쪽으로의 회전은 클램프부분(70)이 상부 클램프부분(38)쪽으로 상향으로 회전시켜서 지지레일(16)과 접촉한다. 작동레버(44)가 회전하여 오목한 부분(52)내에 완전히 자리잡으면서, 플랜지(58)는 상승부(76)상을 지나며 그리고 태브(74)상에 자리잡는다. 플랜지(58)가 상승부(76)를 통과하면, 피벗핀(64,82)의 방향 그리고 플랜지(58)와 상승부(76) 사이의 접촉은 하부 잠금 클램프(42)가 지지레일(16)로부터 멀리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지지레일(16)에 잠근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10)를 제공한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는 최소의 부품수를 가진 간단한 잠금기구를 포함하여, 잠금기구를 더 쉽게 그리고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잠금기구는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가 지지레일(16)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또는 밀지않고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가 지지레일(16)과의 접촉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될 수 있는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상당히 중요하게, 각각의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의 잠금 및 해제운동은 임의의 별도의 스프링이나 가압요소의 사용없이 달성된다. 이것은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의 구성을 상당히 단순화시키고 그리고 이들 부품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킨다. 크로스바 브래킷 조립체(18)의 구성부품의 수의 감소는 이들 부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데 더 공헌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않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감소된 부품으로 브래킷 조립체를 구성하여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브래킷 조립체에서 임의의 내부 스프링이나 가압요소없이 잠금 및 해제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0)

  1.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외부 몸체면에 배치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상기 외부 몸체면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을 분리하는 거리만큼 간격을 벌리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진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대향 끝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레일사이에서 상기 크로스바를 현가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한 작동레버; 그리고
    상기 지지레일에 대하여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레일에 상기 브래킷 조립체를 체결하는 잠금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레버의 일부는 상기 작동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풀릴 때, 상기 잠금 클램프의 선회운동이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선회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클램프상에 위치된 상승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상승부와 상호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상승부와의 상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개방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클램프의 무게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까지 움직이면서 상기 잠금 클램프를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지지레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5.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외부 몸체면에 배치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상기 외부 몸체면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실제로 벌리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진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대향 끝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레일사이에서 상기 크로스바를 현가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리고 파지가능한 부분과 플랜지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운동가능한 작동레버;
    상기 작동레버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클램프부분과 태브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운동가능한 잠금 클램프;
    잠금 클램프의 관련된 상기 브래킷 조립체를 상기 각각의 지지레일에 체결하기 위해서 상기 잠금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레일중 각각의 하나와 결합되는 상기 잠금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로 가압되면서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태브부분과 접촉하여, 동시에 상기 잠금 클램프가 상기 잠금위치내로 가압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파지가능한 부분의 무게는 사용자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수동으로 상기 폐쇄위치내로 가압되고 그리고 풀리면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에 유지되도록 작동되며; 그리고
    상기 잠금 클램프는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클램프부분의 무게는 상기 태브부분이 상기 플랜지부분과 일정하게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잠금 클램프는 별도의 가압요소의 사용없이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분의 상기 무게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내로 움직이면서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를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선회지점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선회지점으로부터 측면으로 오프셋되어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운동은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폐쇄위치내로 더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 제 1 회전방향으로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운동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한 제 2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각각의 지지레일의 상부면과 결합하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클램프부분은 상기 잠금 클램프가 상기 잠금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각의 지지레일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부분은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내로 완전히 움직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촉감을 제공하기위한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0.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외부 몸체면에 배치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상기 외부 몸체면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을 분리하는 거리를 실제로 벌리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진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대향 끝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레일사이에서 상기 크로스바를 현가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으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한 작동레버;
    상기 지지레일에 대하여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지지레일에 상기 브래킷을 체결하고, 클램프부분과 태브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운동가능한 잠금 클램프;
    상기 잠금 클램프상에 위치하는 상승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의 일부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풀릴 때,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상기 잠금 클램프의 선회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상승부와 상호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상승부와의 상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잠금 클램프의 무게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 움직이면서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를 움직이며;
    상기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레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선회지점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선회지점으로부터 측면으로 오프셋되어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운동은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폐쇄위치로 더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 제 1 회전방 향으로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운동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한 제 2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각각의 지지레일의 상부면과 결합하도록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클램프부분은 상기 잠금 클램프가 상기 잠금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각의 지지레일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부분은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로 완전히 움직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촉감을 제공하기위한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장치.
  15.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체결하기위한 클램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운동을 통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한 작동레버;
    상기 제 2 부재에 대하여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잠금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 2 부재에 상기 클램핑 조립체를 체결하고 그리고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운동가능하고 클램프부분과 태브 부분을 가진 잠금 클램프;
    상기 잠금 클램프상에 위치한 상승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작동레버의 일부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풀릴 때,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상기 잠금 클램프의 선회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상승부와 상호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상승부와의 상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사이에서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잠금 클램프의 무게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 움직이면서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차량 물품 캐리어 크로스바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는 차량 물품 캐리어 지지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조립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조립체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조립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선회지점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피벗지점으로부터 측면으로 오프셋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운동은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폐쇄위치로 더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조립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 제 1 회전방향으로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운동은 상기 잠금 클램프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한 제 2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조립체.
  20. 물품을 차량위에 지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 몸체면에 체결된 한쌍의 지지레일에 차량 물품 캐리어 크로스바를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지지레일사이에 현가하기 위해서 상기 크로스바의 대향 끝에 체결된 한쌍의 브래킷 조립체를 상기 지지레일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의 작동레버를 선회가능하게 배치하므로서 상기 브래킷 조립체를 상기 지지레일에 잠그므로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의 잠금 클램프가 개방위치로 선회되는 것을 막고, 그리고 상기 브래킷 조립체가 상기 지지레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의 상기 작동레버를 선회가능하게 배치하므로서 상기 지지레일로부터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을 해제하므로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각각의 상 기 잠금 클램프가 개방위치로 선회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레일로부터 상기 브래킷 조립체의 해제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크로스바를 체결하는 방법.
KR1020020080999A 2002-10-22 2002-12-18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KR100900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77,594 2002-10-22
US10/277,594 US6796471B2 (en) 2002-10-22 2002-10-22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a simplified locking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46A KR20040035546A (ko) 2004-04-29
KR100900724B1 true KR100900724B1 (ko) 2009-06-05

Family

ID=3209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999A KR100900724B1 (ko) 2002-10-22 2002-12-18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96471B2 (ko)
JP (1) JP2004142723A (ko)
KR (1) KR100900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2215B1 (en) 1996-05-21 2002-06-11 American Moto Products, Inc. Vehicle cargo bed extender
KR100535059B1 (ko) * 2004-04-06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로스바어셈블리 장착구조
DE602005005939T2 (de) * 2005-02-04 2009-05-28 Thule Sweden Ab Lastträger für befestigte Dachschienen eines Fahrzeugs
US20080029563A1 (en) * 2006-08-02 2008-02-07 Malone Larry D Adapter system for roofrack carrier
US7878743B2 (en) * 2006-08-14 2011-02-01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cooperative tie-down and load bar assemblies
US11433953B2 (en) 2006-10-27 2022-09-06 Lund Motion Products, Inc. Vehicle cargo tailgate enclosure
US7841638B2 (en) 2006-10-27 2010-11-30 89908, Inc. Vehicle cargo tailgate enclosure
US8167179B2 (en) * 2007-04-27 2012-05-01 Chrysler Group Llc Retractable crossbow roof rack
US20080290123A1 (en) * 2007-05-25 2008-11-27 Merlynn Llc Vehicle roof rack having a height adjustable cross-member
NZ561809A (en) * 2007-09-21 2009-11-27 Hubco Automotive Ltd Resilient infill
NZ561811A (en) 2007-09-21 2010-06-25 Hubco Automotive Ltd Extendable roof rack
NZ561860A (en) * 2007-09-24 2010-04-30 Hubco Automotive Ltd Versatile leg for a roof rack
US7959203B2 (en) * 2007-10-29 2011-06-14 89908, Inc. Vehicle tailgate enclosure with enhanced adjustment
AU2008340170A1 (en) * 2007-12-21 2009-07-02 William Turner Payne Roof rack system
WO2009140496A2 (en) * 2008-05-14 2009-11-19 Frank Elezaj Vehicle roof storage system
DE102009025034A1 (de) * 2008-06-11 2009-12-24 JAC Products, Inc., Saline Fahrzeuggepäckträger mit einseitig lösbaren und verstaubaren Querträgern
US8393508B2 (en) * 2008-06-23 2013-03-12 Yakima Products, Inc. Rack tower for securing crossbars on top of a vehicle
NZ571287A (en) * 2008-09-15 2011-03-31 Hubco Automotive Ltd A bracket and a crossbar assembly for a roof rack
JP5619589B2 (ja) * 2009-12-16 2014-11-05 ジェイエーシー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着脱自在かつ収納自在なクロスバーを備える車用荷台
US8727415B2 (en) 2011-06-30 2014-05-20 Lund Motion Products, Inc. Vehicle bed extender
US9187047B2 (en) 2012-04-30 2015-11-17 Yakima Products, Inc. Retention dock
CA2880705A1 (en) 2012-07-30 2014-02-06 Yakima Innov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Crossbar t-slot infill
ITMI20130012A1 (it) * 2013-01-08 2014-07-09 Walmec Spa Supporto di aggancio e bloccaggio di barre trasversali a barre longitudinali di veicoli.
EP2923892B1 (en) * 2014-03-27 2018-08-22 Bosal ACPS Holding 2 B.V. Roof rack for motor vehicles
US9399391B2 (en) 2014-08-04 2016-07-26 Roll-N-Lock Corporation Retractable truck bed cover having slat array with flexible joiner members and shielded seams
US9346344B2 (en) 2014-08-06 2016-05-24 Lund Motion Products, Inc. Tonneau cover and method of attachment
US10040403B2 (en) 2015-06-09 2018-08-07 Yakima Products, Inc. Crossbar clamp actuator
US10144335B2 (en) 2016-11-18 2018-12-04 Jac Products, Inc. Spring loaded tie down assembly and method for use with a vehicle cargo area
US10457124B2 (en) 2017-08-18 2019-10-29 Roll-N-Lock Corporation Modified retractable tonneau cover
US10723277B2 (en) * 2018-01-31 2020-07-28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with end support having tunable clamping force
US10919369B2 (en) 2018-04-16 2021-02-16 Lund, Inc. Clamp assembly for tonneau cover
US11220163B2 (en) 2018-10-26 2022-01-11 Roll-N-Lock Corporation Vehicle rack assembly
US11654978B2 (en) 2019-11-04 2023-05-23 Lund Motion Products, Inc. Vehicle rack assembly
US11299104B1 (en) 2020-11-25 2022-04-12 Dus Operating Inc. Universal crossmember assembly for a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US11577658B2 (en) 2020-11-25 2023-02-14 Plasman Us Holdco Llc Crossmember assembly with a scotch yoke for an adjustable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285A (en) 1993-12-07 1995-01-31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US5419479A (en) 1993-05-06 1995-05-30 Happich Fahrzeug-Dachsysteme Gmbh Transverse carrier clamp for roof luggage carrier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roof rack
US5492258A (en) 1993-10-08 1996-02-20 Gebr. Happich Gmbh Cross support for roof loads on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roof railing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983A (en) * 1988-09-20 1990-11-27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5174484A (en) * 1988-09-20 1992-12-29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5143267A (en) * 1988-09-20 1992-09-01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5207365A (en) * 1988-09-20 1993-05-04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5082158A (en) * 1988-09-20 1992-01-21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5104019A (en) * 1988-09-20 1992-04-14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4982886A (en) * 1989-03-27 1991-01-0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5133490A (en) * 1989-03-27 1992-07-2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5366128A (en) * 1993-11-05 1994-11-22 Yakima Products, Inc. Crossbar support for vehicle roof rack
DE69502175T2 (de) * 1994-01-26 1998-10-22 Advanced Accessory Sys Llc Lastenträger
US5791536A (en) * 1996-07-18 1998-08-11 Advanced Accessory Systems Llc Article carrier assembly
US6112965A (en) * 1996-09-10 2000-09-05 Industri Ab Thule Railing bracket
US6050467A (en) * 1997-04-03 2000-04-18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adjustable within a range of infinite operating positions
US6010048A (en) * 1997-07-09 2000-01-04 Yakima Products Roof rack with quick release tower assembly
US6102265A (en) * 1998-02-18 2000-08-15 Sportrack Llc Article carrier assembly for a vehicle ro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479A (en) 1993-05-06 1995-05-30 Happich Fahrzeug-Dachsysteme Gmbh Transverse carrier clamp for roof luggage carrier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roof rack
US5492258A (en) 1993-10-08 1996-02-20 Gebr. Happich Gmbh Cross support for roof loads on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roof railings
US5385285A (en) 1993-12-07 1995-01-31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6471B2 (en) 2004-09-28
JP2004142723A (ja) 2004-05-20
KR20040035546A (ko) 2004-04-29
US20040074939A1 (en)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24B1 (ko)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US7258387B2 (en) Clamp for a tonneau cover
US4982886A (en) Article carrier
US7052053B2 (en) Load floor latch
KR100407032B1 (ko) 래칫 폴 래치
EP0993391B1 (en) Re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US6715828B1 (en) Infant carrier
AU2005263296A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roof box
US8393678B2 (en) Infant child restraint system
US20150274084A1 (en) Roof Rack for Motor Vehicles
US20060032878A1 (en) Car top carrier
US20040206858A1 (en) Adjustable armrest
RU2746582C1 (ru) Багажник
US5577650A (en) Split stanchion article carrier with pivoting thumbwheel
US5232138A (en) Article carrier
KR960040231A (ko) 은폐식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KR20070058350A (ko) 일측 해제 방식의 차량용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
US6662982B1 (en) Device at a roof-mounted load carrier for vehicles
GB2180291A (en) A locking device
US6959844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and bracket assembly
US8061675B2 (en) Vehicle seat rotation apparatus
JP2001152710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US5074676A (en) Rod guide member
JPH0542691Y2 (ko)
JP4027150B2 (ja) 座席および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