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474B1 -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 Google Patents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474B1
KR100900474B1 KR1020080089519A KR20080089519A KR100900474B1 KR 100900474 B1 KR100900474 B1 KR 100900474B1 KR 1020080089519 A KR1020080089519 A KR 1020080089519A KR 20080089519 A KR20080089519 A KR 20080089519A KR 100900474 B1 KR100900474 B1 KR 10090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action tank
drug
mixing device
drug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이엔비나노텍(주)
관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비나노텍(주), 관악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비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08008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저수부에 수용된 물질을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오니준설장치로서, 이송관의 일측과 연통된 고압수펌프 및 공기공급부; 이송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의 수용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이송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유체가 저장탱크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이송관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유입파이프가 연통되고, 물질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이격된 타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유출파이프가 연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로부터 이송관 내부로 혼합액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는 이송관에 투입되기 전에 약제와 급수를 반응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킬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관 자체 형상의 변경 또는 이송관 내면 형상의 변경 등을 통하여 이송과정에서도 적절한 혼합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약제혼합, 오니 준설, 콜로이드성 미립자

Description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APPARATUS FOR MIXING CHEMICALS AND SLUDGE DREDGING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약제공급부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물과 혼합시킨 혼합액을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에 공급하는 약제혼합장치 및 이러한 약제혼합장치가 구비된 오니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니준설장치에서는 이송되는 물질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일정한 약제를 이송과정에 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폐수, 오니등을 오니준설장치를 통해 이송시켜 자연침강시킨 후 여과필터 등으로 여과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과 방법은 자연침강에 의한 여과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폐석회의 경우 콜로이드상 미립자로 인해 응집침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응집제 등의 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지 못하여 응집효과 등이 원하는 정도로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혼합시간을 확보하게 위하여 이송관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길어 져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약제 투입 후에도 이송과정에서 일반적인 형태의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므로, 약제와 이송물질이 잘 혼합되도록 이송파이프 내부의 유체흐름이 형성되지도 않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약제를 이송관에 투입되기 전에 적절히 혼합시켜 투입하고자 한다.
둘째, 반응조의 구조를 약제가 보다 잘 혼합되는 구조로 개량한다.
셋째, 약제의 혼합에 이송관 내부에서 이송되는 물과 이송물질을 활용하고자 한다.
넷째, 이송관 자체의 구조적 형상 개선을 통해 혼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약제공급부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공급수와 혼합시킨 혼합액을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에 공급하는 약제혼합장치가 구비되어 저수부에 수용된 물질을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이송관의 일측과 연통된 고압수펌프 및 공기공급부; 이송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의 수용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이송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유체가 저장탱크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약제혼합장치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제1 내부반응조;와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폐쇄된 바닥을 가진 중공 형상의 제2 내부반응조;와 하단에 배출구(131)가 구비된 중공 형상의 외부반응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반응조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내부반응조는 유출구가 상기 제2 내부반응조 바닥과 이격되도록 세워서 배치되며, 외부반응조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내부반응조는 외부반응조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의 일측에는 약제혼합장치의 유입파이프가 연통되고, 물질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이격된 타측에는 약제혼합장치의 유출파이프가 연통되어, 약제혼합장치로부터 이송관 내부로 혼합액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약제혼합을 위한 물이 유입파이프를 통해 제1 내부반응조에 유입구에 급수되고, 약제공급부의 약제도 제1 내부반응조의 유입구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유입파이프는 일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부의 일측은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의 일측과 연통된 제1 유입파이프가 구비되고, 연결부의 타측은 별도의 급수탱크와 연통된 제2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제1 유입파이프 또는 제2 유입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는 개폐부가 구비되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제1 유입파이프 또는 제2 유입파이프 중 적어도 한 파이프에는 펌프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제1 내부반응조의 내부에는 교반팬이 배치되어, 급수된 물과 약제를 혼합하여 제1 내부반응조의 유출구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약제공급부로부터 제1 내부반응조의 유입구에 공급되는 약제는 파우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외부반응조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외부반응조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을 연통시키는 유출파이프를 통해 상기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유출파이프의 일측에는 개폐부 또는 펌프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과 연통된 유출파이프의 단부에는, 이송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놓이는 노즐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의 일 영역은 이송관 자체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 내면은 나선형상이 패인 구조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는 이송관에 투입되기 전에 약제와 급수를 반응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킬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관 자체 형상의 변경 또는 이송관 내면 형상의 변경 등을 통하여 이송과정에서도 적절한 혼합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약제공급부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물과 혼합시킨 혼합액을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에 공급하는 약제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는 반응조(100)를 포함하며, 반응조(100)는 제1 내부반응조(110), 제2 내부반응조(120) 및 외부반응조(130)로 구비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반응조(130)만이 구비된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는 외부반응조(130)의 내부에 제1 내부반응조(110)와 제2 내부반응조(120)를 배치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제1 내부반응조(110)는 양 단에 각각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구비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부반응조(120)는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폐쇄된 바닥을 가진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반응조(130)는 하단에 배출구(131)가 구비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은 반응조(100)에 연결되는 파이프들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개구되거나, 개폐가능하게 닫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부반응조(110)는 제2 내부반응조(120)의 내부에 배치며, 파이프 형상의 일단에 구비된 유출구(112)가 제2 내부반응조(120) 바닥과 이격되도록 세워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유출구(112)가 바닥과 이격되게 놓이고, 유입구(111)가 위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부반응조(120)는 외부반응조(1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반응조(130)의 내면과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반응조(110)에서 물 등의 액상물질과 약제의 혼합이 시작된다. 이를 위해 약제혼합을 위한 물 등이 유입파이프(300)를 통해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입구(111)에 급수되고, 약제공급부(900)의 약제도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입구(111)에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파이프(300)는 이송관(24)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급수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급수탱크(800)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는 이송관(24)으로부터 약제를 혼합시킬 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송관(24)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점성이 매우 높은 상태 등 약제를 혼합시키기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별도의 급수탱크(800)를 통해서도 급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입파이프(300)는 일측에 연결부(320)가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이송관(24)으로부터 급수받기도 하고 급수탱크(800)로부터 급수받기도 하며, 필요시 이송관(24) 및 급수탱크(800) 모두로부터 급수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320)의 일측은 상기 오니준설장치(20)의 이송관(24)의 일측과 연통된 제1 유입파이프(310)가 구비되고, 연결부(320)의 타측은 별도의 급수탱크(800)와 연통된 제2 유입파이프(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유입파이프(310) 또는 제2 유입파이프(320)의 적어도 한 파이프에는 개폐부(500)가 구비되어 제1 유입파이프(310)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제2 유입파이프(330)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입파이프(310) 또는 제2 유입파이프(320)의 적어도 한 파이프에는 펌프(600)가 구비되어, 제1 유입파이프(310)의 공급수압을 증가시키거나, 제2 유입파이프(330)의 공급수압을 증가시키거나, 제1 유입파이프(310)와 제2 유입파이 프(330) 모두의 유압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부반응조(110)의 내부에는 교반팬(200)이 배치되어, 급수된 물과 약제를 혼합하여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출구(112)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약제공급부(900)로부터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입구(111)에 공급되는 약제는 응집제 등 다양한 약제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상태의 제한도 받지 않으므로, 액체상태(liquid stste)와 고체상태(solid state) 모두 가능하다. 다만, 공급수와의 정확한 혼합비 조정을 위한 계량화의 필요성, 공급수와의 신속한 혼합의 필요성 등의 측면에서 파우더(powder; 분말)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반응조(130)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형상, 예를 들어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반응조(130)의 하단에는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출구(131)로 혼합액이 쉽게 배출되게 하고, 또한 배출시 혼합액의 소용돌이를 형성시켜 공급수와 약제의 혼합을 보다 원할히 하기 위해서 상광하협의 형상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반응조(100) 구조를 통해 파우더 상태의 약제와 공급수가 혼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제 혼합에 필요한 공급수가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다. 이때 이송관(24)으로부터 펌프(600)를 통해 펌핑되어 유입될 수도 있고, 급수탱크(800)로부터 펌프(600)를 통해 펌핑되어 유입될 수도 있다. 이때 공급수의 양도 계량화되어 제어될 수 있다.
약제공급부(900)로부터 정해진 양의 약제가 파우더 상태로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입구(111)에 투입된다.
제1 내부반응조(110)의 내부에 배치된 교반팬(200)이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이며, 교반팬(200)에 의해 공급수와 파우더상태의 약제는 신속하게 혼합되기 시작한다.
제1 내부반응조(110)의 상측에 있는 유입구(111)로 계속공급되는 공급수는 하측의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된다. 제1 내부반응조(110)의 유출구(112)와 제1 내부반응조(120)의 바닥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약제와 혼합된 공급수는 이제 제2 내부반응조(120)로 이동된다.
제2 내부반응조(120)에서는 아래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공급될수록 점차 수위가 상승된다. 또한 교반팬(200)에 의해 공급수가 회전되면서 제2 내부반응조(120)에서도 소용돌이가 치는 상태가 일정 정도 유지된다.
제2 내부반응조(120) 내부에 공급되는 혼합액의 수위가 상승되어 제2 내부반응조(120)의 상단을 넘어서면, 혼합액은 외부반응조(130)로 공급되어 하강하기 시작한다.
외부반응조(130)에 공급되는 혼합액도 제2 내부반응조(120)에서의 소용돌이 방향대로 공급된다. 또한 외부반응조(130)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의 배출구(131)로 혼합액이 배출되기 위하여 소용돌이 현상이 일어나도록 유도된다. 이 과정에서 공급수와 약제의 혼합이 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를 통해 혼합된 혼합액은 이송관(24)으로 투입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출파이프(400)는 외부반응조(130)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31)와 오니준설장치(20)의 이송관(24)을 연통시키는데, 이 유출파이프(400)를 통해 혼합액이 이송관(24)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출파이프(400)의 일측에는 개폐부(500) 또는 펌프(60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24)에 혼합액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개폐부(500)에서 혼합액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송관(24)에 혼합액을 보다 강한 수압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펌프(600)를 통해 원하는 수압으로 고속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출파이프(400)에 있어서, 이송관(24)과 연통된 유출파이프(400)의 단부에는 이송관(24)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놓이는 노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유출파이프(400)이 이송관(24)의 표면에서만 연통되면, 유출파이프(400) 내부의 혼합액이 이송관(24)에 투입되기 곤란한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출파이프(400)를 이송관(24)의 내부로 일정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관(24) 내부로 삽입된 유출파이프(400)의 단부에는 노즐을 배치하여, 고압으로 펌핑된 혼합액이 이송관(24)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공급된 혼합액과 이송관(24)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가 보다 잘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송관(24) 내부의 유체 이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인데,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약제혼합장치(10)를 활용하여 이송되는 물질인 이송유체(예로 폐석회수 등의 오니물질)에 응집제 등의 약제가 혼합된 혼합액을 투입하여 신속하게 응집반응 등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저수부(21)에 수용된 물질을 배출부(25)로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질(유체) 그 자체를 신속히 이송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고, 폐석회수 등의 오니물질을 이송과정에서 응집반응을 일으키게 하면서 신속히 이송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는 이송관(24)의 일측과 연통된 고압수펌프(22) 및 공기공급부(23); 이송관(24)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21)의 수용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41); 및 이송관(24)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유체를 저장탱크(25)로 배출시키는 배출부(2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압수펌프(22)에는 일반적으로 제트펌프가 이용된다. 제트펌프는 분사펌프 또는 분류펌프라고도 하며, 높은 에너지를 가진 고속·고압의 유체를 이송관(24) 내부로 세차게 뿜어서, 상대적으로 저압의 흡입부(241)로부터 이송될 물질을 운반해내며, 흡입부(241)로부터 이송된 물질은 고속·고압의 유체와 함께 배출부(242)로 송출되는 펌프를 말한다. 이러한 제트펌프는 운동하는 기계 부분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여 본 발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트펌프는 크게 이송관의 중심부에 배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유체가 분출되는 중심분류형 제트펌프(center-drive jet pump)와 이송관의 주변부에 배치된 분사 노즐을 통해 유체가 분출되는 환형 제트펌프(annular-drive jet pump)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수펌프(22)에는 중심분류형 제트펌프와 환형 제트펌프 모두 사용가능하며, 특히 고형물 등의 이송을 위해 이송관(24)의 중심부가 확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환형 제트펌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수펌프(22)에는 이송관(24) 내부로 소량의 공기를 혼입시키는 공기공급부(23)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부(23)를 통해 혼입된 공기가 구동유체와 이송물질 사이의 인슐레이터(insulator)로 작용하게 하여 구동력을 유지한 채로 이송물질을 계속 이송시키는 방식의 혼기(混氣)제트펌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트펌프로는 환형 혼기제트펌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24)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10)의 유입파이프(300)가 연통되고, 물질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이격된 타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유출파이프(400)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로부터 이송관(24) 내부로 혼합액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24)의 일 영역은 이송관(24) 자체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실시예(도 3 참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24) 내면은 나선형상이 패인 구조인 제2 실시예(도 4 참조)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인 제3 실시예(도 5 참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투입된 혼합액과 이송관(24)내부의 이송물질과의 상호 반응이 보다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약제혼합장치(10)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10)의 다양한 모든 실시예와 명확하게 설명된 모든 기술적 구성이 모두 포함됨은 명백하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혼합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부분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관 내부에 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준설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약제혼합장치 100 : 반응조
110 : 제1 내부반응조 120 : 제1 내부반응조
130 : 외부반응조 200 : 교반팬
300 : 유입파이프 310 : 제1 유입파이프
320 : 연결부 330 : 제2 유입파이프
400 : 유출파이프 500 : 개폐부
600 : 펌프 700 : 분사노즐
800 : 급수탱크 900 : 약제공급부
21 : 저수부 22 : 고압수펌프
23 : 공기공급부 24 : 이송관
25 : 저장탱크

Claims (14)

  1. 약제공급부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공급수와 혼합시킨 혼합액을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에 공급하는 약제혼합장치가 구비되어 저수부에 수용된 물질을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오니준설장치에 있어서,
    이송관의 일측과 연통된 고압수펌프 및 공기공급부; 이송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의 수용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이송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유체가 저장탱크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혼합장치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제1 내부반응조;와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폐쇄된 바닥을 가진 중공 형상의 제2 내부반응조;와 하단에 배출구(131)가 구비된 중공 형상의 외부반응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반응조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내부반응조는 유출구가 상기 제2 내부반응조 바닥과 이격되도록 세워서 배치되며, 상기 외부반응조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내부반응조는 외부반응조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며,
    이송관의 일측에는 상기 약제혼합장치의 유입파이프가 연통되고, 물질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이격된 타측에는 상기 약제혼합장치의 유출파이프가 연통되어, 상기 약제혼합장치로부터 이송관 내부로 혼합액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약제혼합을 위한 물이 유입파이프를 통해 제1 내부반응조에 유입구에 급수되고, 상기 약제공급부의 약제도 제1 내부반응조의 유입구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파이프는 일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의 일측과 연통된 제1 유입파이프가 구비되고, 연결부의 타측은 별도의 급수탱크와 연통된 제2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입파이프 또는 제2 유입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는 개폐부가 구비되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입파이프 또는 제2 유입파이프 중 적어도 한 파이프에는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부반응조의 내부에는 교반팬이 배치되어, 급수된 물과 약제를 혼합하여 제1 내부반응조의 유출구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공급부로부터 제1 내부반응조의 유입구에 공급되는 약제는 파우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반응조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반응조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오니준설장치의 이송관을 연통시키는 유출파이프를 통해 상기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파이프의 일측에는 개폐부 또는 펌프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이송관과 연통된 유출파이프의 단부에는, 이송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놓이는 노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이송관의 일 영역은 이송관 자체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이송관 내면은 나선형상이 패인 구조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혼합장치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KR1020080089519A 2008-09-11 2008-09-11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KR10090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19A KR100900474B1 (ko) 2008-09-11 2008-09-11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19A KR100900474B1 (ko) 2008-09-11 2008-09-11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474B1 true KR100900474B1 (ko) 2009-06-03

Family

ID=4098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19A KR100900474B1 (ko) 2008-09-11 2008-09-11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35A (ko) * 1999-07-21 1999-10-05 임정규 수처리공정에서의관내수처리제혼합장치
KR100639266B1 (ko) * 2005-09-02 2006-10-31 (주)태성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18036B1 (ko) * 2006-04-21 2007-05-14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슬러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35A (ko) * 1999-07-21 1999-10-05 임정규 수처리공정에서의관내수처리제혼합장치
KR100639266B1 (ko) * 2005-09-02 2006-10-31 (주)태성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18036B1 (ko) * 2006-04-21 2007-05-14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슬러지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9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xing a bulk material with a fluid
EP0710148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solving a particulate solid in a liquid
US37826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solid particles in a liquid
CN105417658B (zh) 一种加药装置及其加药方法
KR101622470B1 (ko) 다이캐스팅 공정용 이형제의 클리닝 장치
CN108619968A (zh) 一种选矿用配给药机构
CN208980351U (zh) 结构精简式污水处理加药系统及污水处理系统
CN206395896U (zh) 污水处理沉淀反应器
JP6542940B1 (ja) 構造物のアスベスト含有表層部除去システム
KR100900474B1 (ko) 약제혼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니준설장치
KR100922198B1 (ko) 혼화장치
JP2017000926A (ja) 塗料汚水処理システム
KR200184512Y1 (ko) 분체약품투입기
JP6621192B2 (ja) 容器およびバイオガスシステム
CN204058134U (zh) 高性能溶气装置
CN110898700A (zh) 新型絮凝剂药剂制备装置
JP2019528778A5 (ko)
KR102114883B1 (ko)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CN203593693U (zh) 便于污泥混合的装置
JPH0463121A (ja) 粉体と水との混和槽
JP3420140B2 (ja) 粉粒体移送装置及び該粉粒体移送装置を用いた水処理設備
CN211487226U (zh) 新型絮凝剂药剂制备装置
CN103058293A (zh) 自动配加药装置
CN218435199U (zh) 一种芬顿氧化反应装置
CN219670213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