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83B1 -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83B1
KR102114883B1 KR1020180132337A KR20180132337A KR102114883B1 KR 102114883 B1 KR102114883 B1 KR 102114883B1 KR 1020180132337 A KR1020180132337 A KR 1020180132337A KR 20180132337 A KR20180132337 A KR 20180132337A KR 102114883 B1 KR102114883 B1 KR 10211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ank
water
dissolution tank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278A (ko
Inventor
김덕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산
Priority to KR102018013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01F1/0011
    • B01F1/00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30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flow charts; Details of 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5/0057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 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스크류피더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되, 측면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되고, 저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해탱크와,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장소로 배출시키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용해탱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선회류발생케이싱이 설치되며,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은 상, 하가 개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용해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를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용해탱크 내벽을 따라서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해탱크 내부로 투입된 분말폴리머가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용해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폴리머 용해장치{dissolution apparatus of polymer}
본 발명은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에서 고분자 응집제로 사용되는 분말폴리머를 용해시켜 폴리머용해액을 제조하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폐수, 하수 등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처리장에 고분자 응집제인 폴리머를 투입하여 오수, 폐수 하수 등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응집 및침전시킨 후 제거하게 된다.
폴리머(고분자 응집제)는 물에 용해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응집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분말 상태로 생산되어 사용 시 물에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폴리머와 같은 중합체는 고분자로서 분자의 크기가 크고 물과 같은 용제에 쉽게 녹지 않아서 폴리머 용해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66805호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에 의하면, 상기 발명은 분말폴리머를 저장하는 공급 호퍼에서 분말폴리머를 일정량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피더(Screw Feeder), 분말폴리머를 혼화하기 위해 유입되는 혼화수와 분말폴리머가 접촉하는 하부 습윤 챔버(Wetting Chamber), 고속 모터와 연결되어 분말폴리머와 혼화수를 1초 이내에 용해 챔버로 유입하여 폴리머의 엉김 현상(Fisheyes)을 방지하고 고 전단력(High Shearing Force)으로 순간적으로 혼화시키는 원심임펠러(Centrifugal Impeller), 원심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와류현상을 유도하여 하부 습윤 챔버의 습윤 챔버 혼화수와 유입 챔버 혼화수 및 분말폴리머를 보다 빨리 용해 챔버로 유입시키는 와류유도관(Vortex Guide Tube) 등을 구비한 초기 혼화장치인 1단 고속 혼화장치와, 1차 순간 혼화된 젤 형상의 고농도 폴리머를 요구하는 저 농도로 균일하게 희석 및 용해하기 위하여 경사형 중공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만 순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플 판(baffle Plate)이 없이 탱크 모서리부에서 경사형 중공 임펠러의 원심력에 의해 상부로 용액을 이송시켜 상, 하부의 용액이 보다 더 균일하게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각 용해탱크(Square Dissolving Tank), 적은 동력과 회전수에서 큰 원주 속도로 용해할 수 있는 사각 용해탱크 직경 대비 임펠러의 길이 비율이 큰 경사형 중공 임펠러(Taper TypeHollow Impeller), 폴리머 체인의 손상을 파괴하지 않도록 경사형 중공 임펠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및 웜 감속기 등으로 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8368호 ‘폴리머 자동 용해 장치’에는 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분말 상태의 폴리머가 저장되며 상기 폴리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히터코일이 구비된 공급탱크;공급탱크의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내장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 자재되어 폴리머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공급수단; 상기 배출구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차폐하는 차폐판으로 이루어진 차폐수단;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고 스크류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폴리머를 인출하는 깔때기 형상의 인출부재; 상기 인출부재의 저면에 연결되고 벤츄리가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때 부압이 형성되어 인출부재로부터 폴리머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에 연결되어 고압 공기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벤츄리에 의해 흡입된 폴리머가 공기와 잘 섞이고 강하게 흡입되도록 벤츄리 후단의 흡입파이프에 기울어지도록 분기된 보조흡입파이프로 이루어진 흡입수단; 교반기를 가진 용해탱크와, 상기 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간에 노즐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파이프의 종단이 노즐스크린 관통하도록 설치된 용해파이프와, 상기 용해파이프의 상단에 연결되고 폴리머와 혼합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용수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프의 종단에 연결되어 이송파이프 종단에 묻은 폴리머를 세척하는 세척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용해수단; 상기 용해탱크에서 균일하게 용해된 폴리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 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폴리머가 용해되는 과정에서 덩어리지게 되어 폴리머를 용해시키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폴리머 덩어리로 인해 장치가 고장나는 경우가 잦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805호 (선행문헌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836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분말폴리머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이 용해탱크내부로 편심되게 공급되어 상기 물이 원심력에 의해 용해탱크 내부에서 회전되어질 때, 분말폴리머를 소량씩 지속적으로 투입함으로써 폴리머가 덩어리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용해효율성을 높인 분말폴리머 용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 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스크류피더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되, 측면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되고, 저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해탱크와,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장소로 배출시키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용해탱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선회류발생케이싱이 설치되며,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은 상, 하가 개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해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를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용해탱크 내벽을 따라서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해탱크 내부로 투입된 분말폴리머가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용해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의 용해탱크부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스크류피더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용해탱크부에서 분말폴리머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 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스크류피더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되, 측면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되고, 저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해탱크와,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장소로 배출시키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해탱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선회류발생케이싱이 설치되되,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은 상, 하가 개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용해탱크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심력을 가지게 되어, 상기 용해탱크 내벽 및 선회류발생케이싱의 외벽을 따라서 선회하게 되고, 용해 탱크 내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물은 선회류발생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선회류발생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 내부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어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를 2차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분말폴리머 용해장치의 용해탱크부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스크류피더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용해탱크부에서 분말폴리머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분말폴리머를 용해시켜 폴리머용해액을 제조하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피더(100)와, 상기 스크류피더(100)로부터 공급된 분말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키는 용해탱크부(200)와, 상기 용해탱크부(200)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을 저장하고, 상기 폴리머용해액을 2차로 용해시키 위해 교반기가 설치되는 저장탱크부(300)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피더(100)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110)와,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회전되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140)로 구성된다.
상기 분말폴리머는 호퍼(110)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며, 스크류에 의해 일정량 이송되어 배출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는 분말폴리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110)는 상,하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부를 통해 투입되는 분말폴리머가 스크류피더(100)의 하우징으로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퍼(110)의 개방된 하부에는 수평으로 수평플레이트(150)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150)는 실린더에 결합되어, 실린더가 신축됨에 따라 같이 왕복운동되면서, 상기 호퍼(110)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내부는 필요에 의해 폐쇄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 내부로 투입된 분말폴리머가 외부습기에 의해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피더(100)는 분말폴리머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되, 유량과 비례적으로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분말폴리머를 공급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피더(100)는 유량 입력신호에 의해 설정된 투입율에 따라 분말 폴리머를 자동으로 가변적으로 투입될 수 있게 자동 설정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피더(100)의 하부에는 용해탱크부(200)가 설치되며, 상기 용해탱크부(200)는 상기 스크류피더(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측면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220)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30)가 형성된 용해탱크(210)와, 상기 용해탱크(2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선회류발생케이싱(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피더(100)에서 배출되는 분말폴리머는 상기 용해탱크(210) 내부로 투입되어 용해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용해탱크(210) 내부에 설치된 선회류발생케이싱(250) 내부로 투입되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해탱크(2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탱크이며, 측면하부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유입구(220)가 결합되고, 저면에는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20)에는 분말폴리머를 용해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10) 및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물공급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라인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용해탱크(210)의 내부에는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이 설치되되,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은 상,하가 개방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용해탱크(210)의 배출구(23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해탱크(2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분말폴리머가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용해탱크(210)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실시례로서,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내측면에는 선회류의 발생을 돕도록 나선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해탱크(210)의 상부측면에는 오버플로우배관(240)이 설치되어, 용해탱크(210) 외부로 폴리머용해액이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용해탱크(210)의 상부측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용해탱크 내부에 폴리머용해액이 설정값보다 많아지면 물과 분만폴리머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실시례로서, 상기 유입구(220)에는 별도의 에어탱크를 연결하여, 유입구(220)를 통해 물이 용해탱크(210)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 압축공기를 동반하도록 하여 용해탱크(210) 내부로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례로, 상기 유입구(220)는 벤추리관으로 형성되어 용해탱크(210) 내부로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배출구(230)에는 상기 폴리머용해액이 뭉쳐져서 가라앉는 것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가 설치된다.
상기 포집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거름망 내부로 유입된 큰 덩어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용해탱크 내에서 용해되지 못하여 형성된 덩어리진 폴리머는 거름망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거름망 내부로 유입된 후, 거름망 내부에서 용해되어 저장탱크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용해탱크(210) 내부로 물과 분말폴리머가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용해탱크(210)의 유입구(220)를 통해 본체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며, 상기 유입구(220)는 용해탱크(210)의 측면하부에 편심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유입구(220)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심력을 가지게 되어, 상기 용해탱크(210)의 내벽을 따라서 선회하게 된다.
용해 탱크 내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용해 탱크 내부의 물은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되어지며, 이 때,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 내부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어 상기 분말폴리머가 물에 용해되는 것이다.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 내부에 투입된 분말폴리머는 물과 함께 회전되면서 혼합되어 용해되며,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되며 서서히 하강되며 배출구(230)를 통해 다음공정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250)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물이 회전되는 속도가 증가하므로 분말폴리머가 용이하게 용해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용해탱크부(200)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은 저장탱크부(300)로 이송되며, 상기 저장탱크부(300)로 이송된 폴리머용해액은 상기 저장탱크(310) 내에서 농도가 조절되며, 교반기에 의해 2차 용해되어 완전히 용해되어지며, 별도의 사용장소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탱크부(300)는 내부에 폴리머용해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10)와, 상기 저장탱크(3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310) 내부의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교반기(330)로 아지테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아지테이터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334)과, 상기 회전축(334)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축(334)을 회전시키는 모터(33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날개(336)는 상기 회전축(334)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회전축(334)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0)의 측면 상부에는 오버플로우배관(340)이 결합되어, 상기 저장탱크(310) 내부의 폴리머용해액이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오버플로우배관(340)을 통해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어진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0)에는 물공급라인이 직접 연결되어, 저장탱크(310) 내에 저장된 폴리머용해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직접 저장탱크(3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하며, 상기 물공급라인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310) 내 폴리머용해액의 농도 및 수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0)의 측면 하부에는 폴리머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수관(320)이 결합되며, 상기 저장탱크(310) 내에서 교반기에 의해 완전하게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은 공급펌프에 의해 별도의 사용장소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310)에는 폴리머용해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레벨게이지(350) 및 레벨센서(360)가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저장탱크(310)에는 복수개의 레벨센서(360)가 저장탱크(310)의 상, 하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높이 단계별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제어유닛으로 전달한다.
폴리머용해액의 수위가 낮아 하부감지부에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용해탱크부(200)에 물과 분말폴리머를 공급하여 폴리머용해액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수위가 높아져 상측감지부에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용해탱크부(200)에 공급되는 물과 분말폴리머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0)에는 폴리머용해액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농도측정센서가 설치되며, 제어유닛은 상기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물공급라인을 통해 저장탱크(310) 내부로 물을 공급받고, 설정값보다 낮으면 상기 용해탱크부(200)로부터 폴리머용해액을 추가로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0)내부에는 압력센서가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저장탱크(310) 내에서 폴리머용액의 농도에 의해 압력차가 증가하게 되면, 이 압력차를 감지하여 제어유닛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유닛에서 교반스크류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저장탱크(310) 내부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해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를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용해탱크 내벽을 따라서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해탱크 내부로 투입된 분말폴리머가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용해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분말폴리머 20:물
1000:분말폴리머 용해장치
100:스크류피더 110:호퍼
120:하우징 130:스크류
140:모터 150:수평플레이트
200:용해탱크부 210:용해탱크
220:유입구 230:배출부
240:오버플로우배관 250:선회류발생케이싱
300:저장탱크부 310:저장탱크
320:배수관 330:아지테이터
332:구동모터 334:회전축
336:회전날개 340:오버플로우배관
350:레벨게이지 360:레벨센서
410:물탱크

Claims (3)

  1.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 폴리머를 일정량 이송시키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스크류피더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되, 측면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결합되고, 저면에는 폴리머 용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해탱크와;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장소로 배출시키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용해탱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선회류발생케이싱이 설치되며,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은 상, 하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는 벤추리관으로 형성되어 용해탱크 내부로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용해탱크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심력을 가지게 되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용해탱크 내벽 및 선회류발생케이싱의 외벽을 따라서 선회하게 되고, 용해 탱크 내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물은 선회류발생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선회류발생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선회류발생케이싱 내부로 분말폴리머가 투입되어 용해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폴리머용해액이 뭉쳐져서 가라앉는 것을 포집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거름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폴리머 용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어 상기 용해탱크에서 용해된 폴리머용해액를 2차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폴리머 용해 장치.
KR1020180132337A 2018-10-31 2018-10-31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KR10211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37A KR102114883B1 (ko) 2018-10-31 2018-10-31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37A KR102114883B1 (ko) 2018-10-31 2018-10-31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78A KR20200049278A (ko) 2020-05-08
KR102114883B1 true KR102114883B1 (ko) 2020-05-25

Family

ID=7067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37A KR102114883B1 (ko) 2018-10-31 2018-10-31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6319B (zh) * 2021-01-07 2023-12-26 中昊晨光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从聚合乳液中提纯聚合物的装置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73B1 (ko) 2014-11-12 2015-04-07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폴리머 자동 용해장치
KR101737431B1 (ko) * 2017-02-17 2017-05-18 주식회사 케이디 하이브리드형 자동 제어 폴리머 용해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68B1 (ko) * 2003-10-28 2005-09-30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폴리머 자동 용해 장치
KR101166805B1 (ko) * 2010-05-13 2012-07-26 주식회사 동방수기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73B1 (ko) 2014-11-12 2015-04-07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폴리머 자동 용해장치
KR101737431B1 (ko) * 2017-02-17 2017-05-18 주식회사 케이디 하이브리드형 자동 제어 폴리머 용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7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256A (en) Apparatus for treating effluents
US6337024B1 (en) Chlor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737431B1 (ko) 하이브리드형 자동 제어 폴리머 용해 처리 장치
CN105417658B (zh) 一种加药装置及其加药方法
CN105019195A (zh) 一种粉末投放和溶解装置及洗衣机
KR102114883B1 (ko)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CN110038476A (zh) 一种射流-搅拌耦合式粉状絮凝药剂定量分散混合系统
KR101166805B1 (ko)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KR101063766B1 (ko) 폴리머 이송 용해장치
KR101212398B1 (ko) 수처리용 약품 용해장치
CN108620014A (zh) 一种液态富硒营养螯合肥生产设备
CN205313156U (zh) 一种加药装置
WO2018076150A1 (zh) 一种高效管箱混凝器
CN110496548A (zh) 搅拌装置和尿素机
US5338779A (en) Dry polymer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532258B2 (ja) 濁水処理装置
CN105771749A (zh) 一种自动加药装置
CN216137101U (zh) 一种三腔式自动溶药装置
CN109289564A (zh) 一体化加药装置
CN220310162U (zh) 一种絮凝剂溶解装置
CN220012277U (zh) 一种污水处理厂加药装置
CN216778682U (zh) 一种pam药液制备装置
CN102001811B (zh) 改进的污泥混合设备
CN201825834U (zh) 一种改进的污泥混合设备
CN211864922U (zh) 一体式全自动连续加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