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986B1 -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 Google Patents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986B1
KR100898986B1 KR1020080119634A KR20080119634A KR100898986B1 KR 100898986 B1 KR100898986 B1 KR 100898986B1 KR 1020080119634 A KR1020080119634 A KR 1020080119634A KR 20080119634 A KR20080119634 A KR 20080119634A KR 100898986 B1 KR100898986 B1 KR 10089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inge
plate
percussion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기
Original Assignee
정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기 filed Critical 정세기
Priority to KR102008011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등의 타악기 연주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조화로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객들에게는 균형잡힌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투명 혹은 반투명 차음판과; 상기 차음판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차음판 사이의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첩;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가 제공된다.
드럼, 타악기, 소리, 제어, 경첩, 패킹, 투명, 반투명, 에어홀

Description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device for controlling sound of precussion in musical performance}
본 발명은 드럼 등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및 기타 타악기 연주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 및 관객들에게 균형잡힌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악기중 드럼은 영어로 북을 뜻하지만, 음악 그룹에서의 드럼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북과 심벌즈로 이루어진 드럼셋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드럼의 사운드는 과도한 음량으로 인해 음량을 적절히 조절하지 않은 채 직접적으로 들을 경우에는 귀가 따가운 소리로 인식되기 쉽다.
따라서, 음악그룹에서의 드럼 연주시, 드럼의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한편, 관객들에게 균형이 잡힌 음악을 들려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드럼 및 기타 타악기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함으로 인해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현대 교회에서의 찬양 연주시, 과도한 드럼 소리는 반주자나 싱어, 엔지니어가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어 내는 것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반주자나 싱어 그리고 일반 회중에게 많은 불편을 주게 되며, 결과적으로 예배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어 내게 된다.
즉, 기존에는 드럼등 타악기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제어할 수단이 없어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 및 관객들에게 음악적으로 균형이 잡히지 않은 음악을 들려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럼등의 타악기 연주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조화로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객들에게는 균형잡힌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투명 혹은 반투명 차음판과, 상기 차음판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차음판 사이의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첩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의 하단부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어, 양측 차음판 하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의 면상에는 에어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홀은 필요에 따라 플러그(plug)에 의해 개도(開度)가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재질이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며, 투명 혹은 반투명 상태에서 빨강, 노랑, 파랑 따위의 색상을 띨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와, 상기 잠금나사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경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축 경첩 구조로서, 2개의 힌지축과, 상기 2개의 힌지축에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커넥터와, 상기 회전커넥터와 함께 2개의 힌지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와, 상기 잠금나사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의 하측 단부에 차음판이 설치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럼 등의 타악기 연주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한 수준의 드럼 소리로 만들어 줌으로써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에게는 불편을 주지 않게 되며, 관객들에게는 균형잡힌 음악을 들려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투명도로 드럼은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 관객석에서는 시각적으로 전혀 장애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필요에 따라 병풍처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며, 사용자의 필요 및 음악적 상황에 맞게 차음판의 설치 갯수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차음(遮音)은 완전한 음의 교류차단이 아닌 음의 조절(controll)을 의미함을 전제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4는 도 1의 "A"부에 적용되는 경첩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복수개의 투명 혹은 반투명 차음판(1)과, 상기 차음판(1)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차음판(1) 사이의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첩(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음판(1)의 하측 단부에는 차음판의 설치 바닥면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패킹부재(3)가 구비되어, 차단판과 바닥면의 직접 마찰에 의한 소음 방지 및 차음판 하단부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음판(1)의 하단부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어, 양측 차음판(1) 하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케이블(4)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음판(1)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 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투명 혹은 반투명 상태에서 빨강, 노랑, 파랑 따위의 색상을 띨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첩(2)은, 힌지축(210)과, 상기 힌지축(2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230)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1)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250)와, 상기 잠금나사(250)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30)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1)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25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브라켓(230)은 회전판(2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리벳(24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210)의 길이방향 가운데에는 축에 삽입되는 상부 및 하부 회전판(22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삽입위치를 결정짓는 멈춤편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작용 설명은 본 발명 차음장치가 타악기중 드럼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주용 차음장치는 드럼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차음판(1)이 드럼 등의 타악기 연주시 발생하는 과도한 음량을 적절한 수준의 드럼 소리로 만들어 줌으로써 같이 연주하는 연주자에게는 불편을 주지 않게 되며, 관객들에게는 균형잡힌 음악을 들려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차음판(1)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판으로 제작될 경우, 드럼은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 관객석에서는 시각적으로 전혀 장애를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차음판(1)이 투명 혹은 반투명 상태에서 빨강, 노랑, 파랑 따위의 색상을 띠도록 할 경우, 시각적으로 다양한 변화 및 색채감을 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차음판(1)의 설치 갯수를 사용자의 필요 및 음악적 상황에 맞게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상기 차음판(1)의 하측 단부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가 구비되어 있어, 차음판(1)이 설치 바닥면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판넬을 보호함과 아울러 바닥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음판(1)의 하단부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어, 양측 차음판(1) 하단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 케이블 등이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배선 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경첩(2)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잠금나사(250)는 십자형 스크류 드라이버(screw driver)로 쉽게 조임이 가능하며, 차음판(1)과 접촉하는 끝단부에는 고무나 실리콘등의 보호패드(250a)가 구비되어 있어, 잠금나사(250)를 죄어 차음판(1)을 고정시키더라도 차음판(1)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편리한 작업성으로 인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첩(2)을 적용한 경우에는 차음판(1)이 90°각도(도면의 가상선 위치)까지 접어질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이동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2]
한편, 도 4는 도 1의 "A"부에 적용되는 경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경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첩(2)은, 이축 경첩 구조로서, 2개의 힌지축(210)과, 상기 2개의 힌지축(210)에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260)와, 상기 커넥터(260)와 함께 2개의 힌지축(2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230)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1)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250)와, 상기 잠금나사(250)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30)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1)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25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브라켓(230)은 회전판(2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리벳(2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힌지축(210)의 길이방향 가운데에는 축에 삽입되는 상부 및 하부 회전판(22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삽입위치를 결정짓는 멈춤편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첩을 구성하는 커넥터(260)는 2개의 회전판이 리벳팅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리벳팅 구조를 취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축 경첩이 구비된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며, 다만 경첩의 구조적 차이에 기인하여 차음판(1)을 접어서 보관할 경우, 그 접힘각이 훨씬 커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첩(2)을 적용한 경우에는 차음판(1)이 180°각도(도면의 가상선 위치)까지 접어질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병풍처럼 접어서 보관함에 있어서 완전히 포개어지므로 더욱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이동 역시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1 및 본 실시예의 경첩(2)은, 크기를 최소화하여 시각적인 장애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이즈는 최소화되면서도 차음판(1)을 지탱해주는 경첩의 상하 방향으로의 설치 간격이 충분하여 기능상 최상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실시예3]
도 7은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차음판(1)의 면상에 소정 직경의 에어홀(100)이 복수개 구비된 구성으로서, 상기 에어홀(100)은 필요에 따라 플러그(도시는 생략함) 에 의해 개도(開度)가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는 시각적인 면을 고려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러그로 에어홀(100)을 원하는 갯수 만큼 막거나 열어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연주자는 드럼 등의 타악기 연주시 차음판(1) 외부로 방사되는 연주음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차음판의 에어홀(100)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며, 경첩은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에 적용되는 경첩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경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부에 적용되는 경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경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6은 도 1의 "B"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음판 100: 에어홀
2: 경첩 210:힌지축
220: 회전판 230: 브라켓
240: 리벳 250: 잠금나사
250a: 보호패드 3: 패킹부재
260:커넥터 4: 케이블

Claims (6)

  1. 복수개의 투명 혹은 반투명 차음판(1)과;
    상기 차음판(1)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차음판(1) 사이의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첩(2);을 포함하되,
    상기 경첩(2)은,
    힌지축(210)과, 상기 힌지축(2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230)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1)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250)와, 상기 잠금나사(250)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30)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1)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250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2. 복수개의 투명 혹은 반투명 차음판(1)과;
    상기 차음판(1)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차음판(1) 사이의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첩(2);을 포함하되,
    상기 경첩(2)은 이축 경첩 구조로서,
    2개의 힌지축(210)과, 상기 2개의 힌지축(210)에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260)와, 상기 커넥터(260)와 함께 2개의 힌지축(2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브라켓(230) 내측에 위치하는 차음판(1)을 고정시키는 잠금나사(250)와, 상기 잠금나사(250)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30) 내측에 고정되는 차음판(1)의 접촉면을 보호하게 되는 보호패드(25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1)의 면상에는 에어홀(1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1)의 하단부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어, 양측 차음판(1) 하단부 사이에는 케이블(4)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1)의 하측 단부에 차음판이 설치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KR1020080119634A 2008-11-28 2008-11-28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KR10089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634A KR100898986B1 (ko) 2008-11-28 2008-11-28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634A KR100898986B1 (ko) 2008-11-28 2008-11-28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986B1 true KR100898986B1 (ko) 2009-05-25

Family

ID=4086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634A KR100898986B1 (ko) 2008-11-28 2008-11-28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9832A (zh) * 2019-08-07 2019-11-26 杭州友邦演艺设备有限公司 一种舞台伸缩式反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172U (ja) 1982-09-28 1984-04-04 積水樹脂株式会社 陳列什器用パネルの連結具
JPS6142598U (ja) 1984-08-23 1986-03-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穴あき吸音パネル
KR100593603B1 (ko) * 2006-03-23 2006-06-28 이택만 이동식 병풍형 방음벽
JP2011005642A (ja) * 2009-06-23 2011-01-13 Pilot Ink Co Ltd 水変色性布帛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玩具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172U (ja) 1982-09-28 1984-04-04 積水樹脂株式会社 陳列什器用パネルの連結具
JPS6142598U (ja) 1984-08-23 1986-03-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穴あき吸音パネル
KR100593603B1 (ko) * 2006-03-23 2006-06-28 이택만 이동식 병풍형 방음벽
JP2011005642A (ja) * 2009-06-23 2011-01-13 Pilot Ink Co Ltd 水変色性布帛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玩具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9832A (zh) * 2019-08-07 2019-11-26 杭州友邦演艺设备有限公司 一种舞台伸缩式反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935B1 (en) Outlet assembly
US7129412B2 (en) Adapter plate for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to exposed logs in log-construction buildings
US6825414B2 (en) Exterior mounting block for electrical fixtures
US11670269B2 (en) Keyboard instrument
KR100898986B1 (ko) 타악기 소리 제어용 차음장치
US7312397B1 (en) Panel cover structure for a computer casing
WO2004038734A8 (ja) データ伝送用ケーブル
JP5396683B2 (ja) 音響面材配置システム
KR200347854Y1 (ko) 다용도 방음부스
FI11839U1 (fi) Akustinen valoelementti
JP2934846B2 (ja)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の収納箱
JPH01274610A (ja) 配線装置
KR20210021771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장식용 패널 교체를 위한 결합 구조체 및 방법
US6027369A (en) Hingeable wiring block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CN219592578U (zh) 一体透光的音响
EP3519643A1 (de) Schallschutzhaube für musiker und büroangestellte
CN210156089U (zh) 钢琴隔音装置
KR101295605B1 (ko) 피아노
KR101092420B1 (ko) 배선 덕트
JP2010053637A (ja) 音響調整装置
JP3515009B2 (ja) フロアプレート
JP2593294Y2 (ja) 列盤ケーブル配線装置
JP3390323B2 (ja) 手摺りブラケット台座
KR200150057Y1 (ko) 절첩식 책상용 전선닥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