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420B1 -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420B1
KR101092420B1 KR1020090108137A KR20090108137A KR101092420B1 KR 101092420 B1 KR101092420 B1 KR 101092420B1 KR 1020090108137 A KR1020090108137 A KR 1020090108137A KR 20090108137 A KR20090108137 A KR 20090108137A KR 101092420 B1 KR101092420 B1 KR 10109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ing
lower plate
diaphragm
assembl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516A (ko
Inventor
고재완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9010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4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각각 배선 덕트와의 결합을 위해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측벽의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조립홈이 형성된 커버몸체; 배선기구의 고정을 위해 상기 조립홈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몸체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선기구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양 측벽의 조립홈 후방에는 접지턱이 각각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기구 고정구가 커버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선기구 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조립홈의 후방에 접지턱을 구비하고 접지볼트에 의해 접지선을 고정함으로써, 배선기구와 대지를 접지선으로 연결하여 감전 등으로 인한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배선 덕트, 접지

Description

배선 덕트{Distributing duct for Under Floor}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과 같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건축물의 바닥면 내에 안전하게 수납되도록 하는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전력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 등에 배선 덕트가 설치되며, 이 배선 덕트의 일부에 콘센트(receptacle) 등의 배선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선 덕트는 통상적으로 몸체 저면에 구비된 양면 테이프를 통하여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하고 내부에 전선을 수납하여 전선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은 사무실에서 이용되는 전기 케이블, 전기 콘센트나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통신케이블 등의 설치 및 분해 시 커버를 덕트 본체에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덕트의 설치 후 케이블 등의 철수 시에 덕트 본체로부터 커버를 신속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선 덕트에 관한 발명/고안을 다수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에 출원된 발명/고안은 덕트 본체나 커버의 1면에만 콘센트 등을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벽체에 부착할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사무실이나 작업장 내 공간에서는 다각도에서 사용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사무실이나 작업장 내 공간에서 다각도에서 배선 덕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배선 덕트의 내부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배선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단에 상측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소정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의 중앙에 배선통로의 구획을 위해 연결되는 격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의 길이를 하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격막의 양측에 사선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몸체; 상기 양측 개구부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가 제공된다.
또한, 하판, 상기 하판의 중앙에 배선통로의 구획을 위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막의 상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격막의 양측에 사선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몸체; 상기 하판 및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대응 결합되되, 양측에는 각각 절곡부가 형성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무실이나 작업장 내 공간에서 다각도에서 배선 덕트의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덕트 몸체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덕트 커버를 결합함으로써 덕트 커버에 콘센트를 결합할 경우에도 덕트 몸체 내부의 공간이 여유롭게 되어 배선 덕트의 내부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선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선 덕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선 덕트는 전선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선통로를 갖는 덕트 몸체(100)와, 이 덕트 몸체(100)에 결합되는 덕트 커버(200)를 포함한다.
덕트 몸체(100)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이러한 덕트 몸체(100)는 크게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판(120)과 하판(110)으로 구성된다. 상판(120)과 하판(110)은 서로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며, 상판(120)은 하판(11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때, 하판(110)의 양단에는 상측 방향으로 절곡부(111)가 소정 높이 절곡 형성된다. 즉, 절곡부(111)는 하판(110)의 양단에 90도 각도로 일체로 직립되며, 절곡부(111)의 끝단에는 덕트 커버(200)가 결합되도록 조립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120)과 하판(110)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격막(130)이 설치되어 상판(120)과 하판(110)을 서로 연결 지지해 줌과 더불어 덕트 몸체(100)를 2구역으로 구획한다.
즉, 격막(130)은 상판(120)과 하판(110)의 배선통로를 좌우로 구분하여 일측 배선통로는 전기선 등 전력선의 배선전용으로 사용되고 타측 배선통로는 통신케이블 등의 통신선의 배선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양쪽 배선통로는 상판(120)과 하판(110)과 격막(130)으로 세 방면이 폐쇄되고 양옆으로 개방된 개구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개구부(140)의 하부에 해당되는 절곡부(111)의 끝단과 개구부(140)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판(120)의 양단에는 각각 덕트 커버(2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조립부(112)(121)가 형성되어 있다.
덕트 커버(200)는 개구부(140)에 결합되어 덕트 몸체(100) 내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덕트 커버(200)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에는 덕트 몸체(100)에 형성된 조립부(112)(121)에 대응 결합되도록 조립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덕트 커버(200)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규격품으로 생산되는 통상의 콘센트(R)가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따라서 덕트 커버(200)의 폭은 콘센트의 세로 폭의 규격에 의거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덕트 몸체(100)는, 상판(120)이 하판(110)에 비해 길이가 짧으므로 덕트 커버(200)는 상판(120)의 끝단과 하판(110)의 끝단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덕트 몸체(100)의 양측에 덕트 커버(200)를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게 되면, 배선 덕트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선 덕트에 콘센트(R)를 사선 방향으로 눕혀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더욱이 하판(110)의 절곡부(111)가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덕트 몸체(100)의 내부공간 즉, 배선통로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판(120)의 길이와 하판(110)의 절곡부(111)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제작하면 개구부(140)의 경사각을 원하는 각도로 얻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덕트 커버가 덕트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배선 덕트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덕트 몸체(100)와 덕트 커버(200)로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덕트 몸체(110)는 제1실시예에 언급된 상판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격막(130)의 상측에 상판을 대신할 수 있는 지지부(131)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110)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제1실시예와 같은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덕트 커버(200)는 상판(120)과 지지부(131)의 양측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때 덕트 커버(200)의 양측에는 지지부(131)와 하판(110)에 각각 대응 결합되도록 절곡부(220)(230)가 형성된다. 지지부(131) 및 하판(110)의 양단에는 가요성 결합부(132)(112)가 외측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각 절곡부(220)(230)에는 가요성 결합부(221)(231)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31) 및 하판(110)에 덕트 커버(200)가 쉽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131)와 하판(110)에 형성되는 가요성 결합부는 결합홈으로 구현되고, 덕트 커버(200)의 양측 절곡부(220)(230)에 형성되는 가요성 결합부는 결합돌기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덕트 몸체로부터 덕트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하판과 덕트 커버의 절곡부 간에 결합된 가요성 결합부를 회전축으로 삼아 격막의 지지부와 덕트 커버의 절곡부 간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덕트 커버(200)의 양측 절곡부(220)(230)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제작하면 개구부(140)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판(120)의 길이와 하판(110)의 절곡부(111)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하면 개구부(140)의 경사각을 원하는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요성'의 의미는 유연성(flexible, pliant), 복원력(elastic, resilient)이 있다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단어로, '가요 성'은 합성수지나 금속과 같은 각종 소재의 특성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결합부의 길이를 통상의 배선 덕트의 결합부보다 길게 하여 돌기의 '탄성'을 얻도록 구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막(130)의 상부에는 지지부(131)와 소정 높이차를 두고 수평 방향으로 고정구 결합부(132)가 더 구비되고, 이 고정구 결합부(132)의 양단에는 각각 양측 개구부(140)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조립홈(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110)의 양측에도 수직으로 고정구 결합부(114)가 더 구비되며, 각 고정구 결합부(114)의 상단에는 격막의 고정구 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홈과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홈(115)이 형성된다.
상술한 조립홈(133)(115)에는 콘센트 고정구(150)를 삽입 결합하여 덕트 커버(200)에 결합되는 콘센트(R)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콘센트 고정구(15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는 콘센트의 일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선 덕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를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의 해체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배선 덕트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덕트 몸체 110 ; 하판
111 ; 절곡부 112 ; 조립부
113 ; 가요성 결합부 120 ; 상판
121 ; 조립부 130 ; 격막
131 ; 지지부 132 ; 고정구 결합부
140 ; 개구부 200 ; 덕트 커버
211 ; 가요성 결합부 212 ; 가요성 결합부

Claims (5)

  1. 양단에 상측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소정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의 중앙에 배선통로의 구획을 위해 연결되는 격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의 길이를 하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격막의 양측에 사선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몸체;
    상기 양측 개구부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양단과 절곡부의 끝단에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덕트 커버의 양단에 조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3. 하판, 상기 하판의 중앙에 배선통로의 구획을 위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막의 상단에는 하판의 길이보다 짧게 지지부가 형성되어 격막의 양측에 사선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몸체;
    상기 하판 및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대응 결합되되, 양측에는 각각 절곡부가 형성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양단과 각 절곡부의 끝단에는 가요성 결합부가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의 상부에는 고정구 결합부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양단에는 개구부의 각도와 대응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양측에는 격막의 조립홈과 마주보는 조립홈을 갖는 고정구 결합부가 직립 설치되며, 상기 격막의 조립홈과 하판의 조립홈에는 콘센트를 고정해 주는 콘센트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KR1020090108137A 2009-11-10 2009-11-10 배선 덕트 KR101092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37A KR101092420B1 (ko) 2009-11-10 2009-11-10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37A KR101092420B1 (ko) 2009-11-10 2009-11-10 배선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6A KR20110051516A (ko) 2011-05-18
KR101092420B1 true KR101092420B1 (ko) 2011-12-09

Family

ID=4436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37A KR101092420B1 (ko) 2009-11-10 2009-11-10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30Y1 (ko) * 2012-11-08 2014-05-14 송성규 전선 배선용 덕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329A (ja) 1998-06-30 2000-01-21 Kawamura Electric Inc 配線ダクト
KR200262590Y1 (ko) 2001-07-25 2002-03-18 김홍삼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KR200412121Y1 (ko) 2005-11-14 2006-03-23 (주)동양인더스트리 매립형 시스템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329A (ja) 1998-06-30 2000-01-21 Kawamura Electric Inc 配線ダクト
KR200262590Y1 (ko) 2001-07-25 2002-03-18 김홍삼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KR200412121Y1 (ko) 2005-11-14 2006-03-23 (주)동양인더스트리 매립형 시스템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6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4036B1 (en) Sectional plate for wall port incorporating recessed scoop for wire management
US5646371A (en) Electrical outlet box and plate therefor incorporating a rear support bracket
US7262371B2 (en) Modular raceway with base and integral divider
US8183471B2 (en) Cable raceway
US7183504B2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20060175086A1 (en) Divided raceway with downwardly facing outlet devices
US7112744B1 (en) Sectional plate for wall port
CA2499197A1 (en) Triplex/sixplex receptacle
US7645935B1 (en) Outlet assembly
JP4079150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US10040625B2 (en) Fastener-free box with fast assembly
KR101092420B1 (ko) 배선 덕트
JP4079149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US11223186B2 (en) Utility conduit system
KR200282491Y1 (ko)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JP4135033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IE86114B1 (en) Service outlet floor box with depth adjustment
EP2482405B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RU24856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блока в канале для проклад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или проводов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и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71332Y1 (ko) 배선덕트
KR200262937Y1 (ko) 배선덕트
JP7229875B2 (ja) 覆い部材、及び覆い構造
CN113169536B (zh) 凹嵌式地板配件及其封盖
JP4160019B2 (ja) 配線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