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010B1 -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010B1
KR100898010B1 KR20080099333A KR20080099333A KR100898010B1 KR 100898010 B1 KR100898010 B1 KR 100898010B1 KR 20080099333 A KR20080099333 A KR 20080099333A KR 20080099333 A KR20080099333 A KR 20080099333A KR 100898010 B1 KR100898010 B1 KR 10089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uried hole
grounding
rod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영
최원영
최지활
Original Assignee
제일엔지니어링 (주)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엔지니어링 (주), 최원영 filed Critical 제일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08009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선로, 통신시설 및 각종 건축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접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접지저항을 얻을 수 있는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지대상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 1 매립공, 제 2 매립공, 제 3 매립공을 천공하는 매립공 천공 단계;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각각 한 쌍의 접지동봉을 배치하고, 제 3 매립공에는 접지동판과 접지동봉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 및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저감제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과, 천공시에 굴토된 원토로 형성되는 원토층을 번갈아 메우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동봉 배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접지대상 구조물의 제 1 접지모선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접지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판을 연결하고, 제 2 접지모선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신주, 접지, 접지저감층

Description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oil insensitive loop type ground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송배전선로, 통신시설 및 각종 건축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접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 대상 구조물에 접지 모선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접지 모선에는 2 쌍의 접지동봉과 접지동판을 연결하고, 제 2 접지 모선에는 접지동봉을 연결한 후, 제 1 접지모선의 단부에 연결된 접지동판과, 제 2 접지모선에 연결된 접지동봉을 하나의 매립공에 함께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송배전선로, 통신시설 및 각종 건축 구조물 등에는 접지구조물이 설치된다. 접지구조물은 심탁법, 보링공법, 망사접지 등의 방법에 의하여 지중에 시공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심탁법은 접지모선에 접지동봉을 연결하고, 접지동봉을 지중에 박아 넣는 것이다.
그런데, 심탁법으로 접지동봉을 설치하는 경우 토지의 성질에 따라서 보통암이나 연암의 경우에는 원하는 깊이까지 박아 넣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강암의 경우에는 원하는 깊이까지 접지동봉을 매립할 수 없다. 보통암이나 연암의 경우에도 지중에 잡석 등이 혼합되어 있거나 암반층이 존재하는 경우 시공이 곤란하며, 또한 시공후에도 원하는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타설하는 과정에서 접지동봉의 피막이 손상되는 경우도 많아서 원하는 접지 저항을 얻기 어렵고, 아울러 토질의 특성에 따라서도 접지 저항값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지 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질의 특성에 관계없이 원하는 접지 저항을 얻을 수 있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접지대상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 1 매립공, 제 2 매립공, 제 3 매립공을 천공하는 매립공 천공 단계;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각각 한 쌍의 접지동봉을 배치하고, 제 3 매립공에는 접지동판과 접지동봉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 및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저감제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과, 천공시에 굴토된 원토로 형성되는 원토층을 번갈아 메우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동봉 배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접지대상 구조물의 제 1 접지모선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접지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판을 연결하고, 제 2 접지모선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물은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 단위접지동봉의 연결부와, 접지동봉의 상단과 하단이 접지저감층에 매립되므로 토질의 특성에 관계없이 일정한 접지 저항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물 시공 방법은 천공을 한 후, 접지동봉을 매립하는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접지동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접지 저항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 접지모선과 제 2 접지모선을 접지대상 구조물에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접지모선의 단부와 제 2 접지모선의 단부를 동일한 접지저감층에 매립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접지 저항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접지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전신주(10)에 설치되는 접지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나, 전신주(10)이외에 송배전탑, 송배전설비, 변전설비 등의 기타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물은 접지 대상 설비인 전신주(10)의 중성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접지모선(20)과, 상기 제 1 접지모선(20)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지선(30)과, 접지선(30)에 연결되고 지중에 중력방향으로 매립되는 접지동봉(50)과, 접지선(3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동판(70)과, 제 1 접지모선(20)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접지모선(22)과 상기 제 2 접지모선(2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동봉(80)을 포함한다.
제 1 접지모선(20)에 연결되는 접지동봉(50)은 모두 4개이며, 하나의 매립공 에 한쌍씩 매립된다.
그리고, 접지선(3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동판(70)과, 제 2 접지모선(2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동봉(80)이 동일한 매립공에 매립된다.
매립공은 총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는 접지선(30)에 연결된 한 쌍의 접지동봉(50)이 매립되고, 제 3 매립공(300)에는 접지동판(70)과 제 2 접지모선(22)에 연결된 접지동봉(80)이 매립된다.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은, 접지동봉(50)과 접지선(30)이 연결되는 부분(51), 접지동봉(50)의 하단부(53), 상기 단위접지동봉(40)의 연결부(5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접지저감재와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지저감층(61,62,63)을 포함한다.
접지동봉(50)은 단위길이를 가지는 단위접지동봉(40)을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단위접지동봉(40)은 1 m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1 m 단위접지동봉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2 m 길이의 접지동봉(50)을 형성한 것이다.
단위접지동봉(40)의 길이나, 직렬연결개수는 접지대상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단위접지동봉의 길이나 직렬연결개수는 변화할 수 있다.
접지저감층(61,62,63)은 접지저감재에 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접지동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접지저감층(61,62,63)은 물과 접지저감재가 중량비로 1:1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흙이나 도전성 필러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접지저감층(61,62,63)은 직경 0.5 ~ 0.8 m, 두께 0.1 ~ 0.6 m 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저감층(61,62,63)을 제외한 접지동봉의 나머지 외부면들은 굴토된 원토를 되메워 형성되는 원토층(65)에 감싸진다.
접지저감층(61,62,63)을 접지동봉(50) 외주면 전체에 형성하게 되면, 굴토된 원토를 별도로 처리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접지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은 원토층(65)으로 감싸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제 3 매립공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하단의 층은 접지저감제와 물을 1: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된 접지저감층(93), 중단의 층은 접지저감제와 물을 1:1로 혼합한 후 흙을 첨가한 접지저감혼합층(92), 상단의 층은 굴토된 원토로 형된 원토층(01)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접지동판(70)은 접지저감혼합층(92)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동봉(80)의 하단은 접지저감층(93)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접지모선(22)에 연결되는 접지동봉(80)은 단위접지동봉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접지 구조물 시공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은, 접지대상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 1 매립공(100), 제 2 매립공(200), 제 3 매립공(300)을 천공하는 매립공 천공 단계(S-10)와, 상기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 각각 한 쌍의 접지동봉(50)을 배치하고, 제 3 매립공(300)에는 접지동판(70)과 접지동봉(80)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S-20)와, 각각의 매립공(100, 200, 300)에 접지저감제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과, 천공시에 굴토된 원토로 형성되는 원토층을 번갈아 메우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동봉 배치 단계(S-20)의 이전 또는 이후에, 즉 매립공 천공 단계(S-10)와 접지동봉 배치 단계(S-20) 또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S-20)와, 매립공 되메움 단계(S-30)의 사이에,
접지대상 구조물의 제 1 접지모선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접지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판을 연결하고, 제 2 접지모선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모선은 피복되어진 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지선은 피복되지 않은 동선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접지모선과 제 2 접지모선은 접지대상 구조물의 중성선에 병렬로 연결된다.
도 3은 매립공 천공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대상구조물인 전신주(10)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 격되어 일렬로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과, 제 3 매립공(300)을 천공한다.
전신주(10)와 제 1 매립공(100) 사이의 간격은 0.8 ~ 1.2 m,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 사이의 간격은 1.3 ~ 1.7 m, 제 2 매립공(200)과 제 3 매립공(300) 사이의 간격은 1.3 ~ 1.7 m 로 시공한다.
또한,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은 직경 0.5 ~ 0.8 m, 깊이 2.2 ~ 2.4 m, 제 3 매립공(300)은 직경 0.5 ~ 0.8 m 깊이 0.5 ~ 1.5 m 로 시공한다.
매립공의 깊이가 상이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는 1 m 길이의 단위접지동봉 2개를 연결한 2 m 길이의 접지동봉이 매립되고, 제 3 매립공(300)에는 1 m 길이의 단위접지동봉을 그대로 접지동봉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천공작업은 압반굴착장비를 사용한다. 압반굴착장비를 사용하면 지하에 암반이나 잡석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크기의 매립공을 천공할 수 있고, 천공된 매립공에 접지동봉을 배치함으로써 심탁법 사용시의 문제점이 접지동봉 표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동봉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는 각각 한 쌍의 접지동봉(50)이 배치되고, 제 3 매립공(300)에는 한 개의 접지동봉(80)과 한 개의 접지동판(70)을 배치한다. 이 때 하나의 매립공안에서 접지동봉(50) 상호간 및 접지동판(70)과 접지동봉(80) 상호간에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 배치되는 접지동봉(50)은 2m 내외의 길이를 가지는 접지동봉(50)을 사용하고, 제 3 매립공(300)에 배치되는 접지동봉(80)은 1m 내외의 길이를 가지는 접지동봉(80)을 사용한다.
접지동판(70)으로는 두께 10 ~ 40 mm, 면적 0.05 ~ 0.15 ㎡ 를 가지는 동판을 사용한다.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 배치되는 접지동봉(50)과 접지동판(70)은 모두 접지선(30)으로 제 1 접지모선(20)에 연결되며, 제 3 매립공(300)에 배치되는 접지동봉(80)은 제 2 접지모선(22)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동봉과 접지동판 배치의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접지동봉 배치 후 시행되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동봉과 접지동판을 배치한 후에는 다시 매립공을 접지저감재, 물, 흙을 사용하여 다시 매립한다.
접지저감재와 물을 혼합하면 접지저감층이 형성되고, 원토를 사용하면 원토층이 형성된다.
접지저감층은 원토층에 비하여 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접지동봉이나 접지동판이 접지저감층에 매립되는 경우에 원토층에 매립된 경우보다 접지 저항 값이 낮아지게 된다.
그런데, 매립공 전체를 접지저감층으로 형성하는 것은 접지저감재 사용량 증가에 따른 비용증가, 굴토한 원토 처리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접지 저항 값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접지저감층과 원토층을 번갈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지 저항값에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접지동봉의 상단부, 하단부와, 단위접지동봉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주변에는 접지저감층을 형성하고 다른 부분들에는 원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매립공(100)과 제 2 매립공(200)에 형성되는 접지저감층(61,62,63)은 접지저감재인 아스론(earthron)과 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혼합비율은 아스론 1 kg에 물 0.5~1.5 kg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지저감층에는 도전성 필러 또는 원토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접지저감층(63,62,61)은 접지동봉의 하단부(53)와, 단위접지동봉 연결부(52)와, 접지동봉 상단의 접지선 연결되는 부분(51)이 위치되는 곳에 형성된다. 상기의 부분들은 접촉저항이 발생하는 부분들로 접지 저항값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부분들을 접지저감층(61,62,63)으로 감싸서 원하는 접지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3 매립공(300)에는 제 1 접지모선(20)의 가장 끝 부분에 연결된 접지동판(70)과 제 2 접지모선(22)에 연결된 접지동봉(80)이 함께 매설된다.
따라서, 제 1 매립공(100)이나 제 2 매립공(200)과는 다른 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단층에는 접지동봉(80)의 하단부가 매립되므로 접지저감재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93)을 형성하고, 접지동판(70)과 접지동봉(80)이 함께 매립되는 중간층에는 접지저감재와 물과 흙을 혼합하여 접지저감혼합층(92)을 형성하고, 상단층은 원토층(91)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접지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접지 구조물 시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3은 매립공 천공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동봉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접지동봉 배치 후 시행되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신주 20 : 제 1 접지모선
22 : 제 2 접지모선 30 : 접지선
40 : 단위접지동봉 50 : 접지동봉
61, 62, 63 : 접지저감층 65 : 원토층
70 : 접지동판 80 : 접지동봉
100 : 제 1 매립공 200 : 제 2 매립공
300 : 제 3 매립공

Claims (8)

  1. 접지대상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 1 매립공, 제 2 매립공, 제 3 매립공을 천공하는 매립공 천공 단계;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각각 한 쌍의 접지동봉을 배치하고, 제 3 매립공에는 접지동판과 접지동봉을 배치하는 접지동봉 배치 단계; 및
    각각의 매립공에 접지저감제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과, 천공시에 굴토된 원토로 형성되는 원토층을 번갈아 메우는 매립공 되메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동봉 배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접지대상 구조물의 제 1 접지모선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접지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매립공과 제 2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판을 연결하고, 제 2 접지모선과 제 3 매립공에 배치되는 접지동봉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단계는,
    상기 제 1 매립공과 상기 제 2 매립공은 직경 0.5 ~ 0.8 m, 깊이 2.2 ~ 2.4 의 크기로 천공되고,
    상기 제 3 매립공은 직경 0.5 ~ 0.8 m 깊이 0.5 ~ 1.5 m 크기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되메움 단계는,
    상기 제 1 매립공과 상기 제 2 매립공은 접지동봉의 상단부와, 하단부 그리고 접지동봉의 연결부가 접지저감층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되메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되메움 단계는,
    상기 제 3 매립공은 접지동봉의 하단부는 접지저감재와 물을 혼합한 접지저감층에 의하여 감싸지고, 접지동판은 접지저감재와 물과 흙을 혼합한 혼합접지저감층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되메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접지구조물 시공방법.
  6. 접지 대상 설비의 중성선에 연결되는 제 1 접지모선과 제 2 접지모선;
    상기 제 1 접지모선에 연결되며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지선;
    상기 접지선에 병렬로 연결되고, 지중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며 2개의 단위접지동봉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4개의 접지동봉과 접지동판;
    상기 제 2 접지모선에 연결되는 접지동봉; 및
    상기 접지동봉과 접지선이 연결되는 부분, 접지동봉의 하단부, 상기 단위접지동봉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접지저감재와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직경 0.5~0.8m, 두께 0.1~0.6m 범위인 접지저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지모선에 연결되는 접지동판과, 상기 제 2 접지모선에 연결되는 접지동봉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접지저감제와 물과 흙을 혼합한 혼합접지저감층에 상기 접지동판과 상기 접지동판이 함께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구조물.
  7. 삭제
  8. 삭제
KR20080099333A 2008-10-09 2008-10-09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9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9333A KR100898010B1 (ko) 2008-10-09 2008-10-09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9333A KR100898010B1 (ko) 2008-10-09 2008-10-09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010B1 true KR100898010B1 (ko) 2009-05-19

Family

ID=4086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9333A KR100898010B1 (ko) 2008-10-09 2008-10-09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WO2021026308A1 (en) * 2019-08-06 2021-02-11 Glxt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earthing systems
US11349227B2 (en) 2017-03-03 2022-05-31 Groundlinx Technologies, Llc Electrical grounding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040A (en) 1975-10-15 1977-04-16 Nitto Chem Ind Co Ltd Earthing resistance reducing agent for instant use
JPH06163133A (ja) * 1992-07-10 1994-06-10 Toagosei Chem Ind Co Ltd 接地抵抗低減用組成物
KR200190171Y1 (ko) * 1999-11-19 2000-07-15 주식회사신원전기 배전선로 접지 코어링 굴착 구조
KR100561179B1 (ko) * 2003-10-15 2006-03-15 주식회사 그라운드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040A (en) 1975-10-15 1977-04-16 Nitto Chem Ind Co Ltd Earthing resistance reducing agent for instant use
JPH06163133A (ja) * 1992-07-10 1994-06-10 Toagosei Chem Ind Co Ltd 接地抵抗低減用組成物
KR200190171Y1 (ko) * 1999-11-19 2000-07-15 주식회사신원전기 배전선로 접지 코어링 굴착 구조
KR100561179B1 (ko) * 2003-10-15 2006-03-15 주식회사 그라운드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9227B2 (en) 2017-03-03 2022-05-31 Groundlinx Technologies, Llc Electrical grounding systems
WO2020243610A1 (en) * 2019-05-31 2020-12-03 Mat Ipsum LLC Earth ground enhancing systems
WO2021026308A1 (en) * 2019-08-06 2021-02-11 Glxt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earthing systems
US11329406B2 (en) 2019-08-06 2022-05-10 Glxt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earthing systems
EP4010946A4 (en) * 2019-08-06 2023-11-01 GLXT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GROUNDING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8612U (zh) 利用杆塔基础降低输电线路接地电阻的接地装置
CN104577364B (zh) 大型设备小阻值接地网及设计施工方法
CN105201001B (zh) 一种岩溶地区大型溶洞的复合防渗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882884A (zh)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98010B1 (ko)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루프형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8186748A (ja) 地中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接地構造及び方法
CN112144583A (zh) 一种减小基岩水平约束嵌岩桩及其施工方法
CN108242604B (zh) 一种输电线路杆塔水平接地降阻装置及施工方法
CN108086308A (zh) 填海区局部暗埋淤泥包上冲孔灌注桩的施工方法
CN203684204U (zh) 一种流塑状软土地基加固结构
KR101255118B1 (ko) 시트형 접지판
KR100865136B1 (ko) 토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접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643359B (zh) 一种爆破挤淤处理坡肩位置残留淤泥的方法
CN105672248A (zh) 一种不规则浅埋溶洞加筋注浆填充结构及施工方法
CN217603494U (zh) 一种便于施工的石化公用工程管网开槽埋管结构
CN103590390A (zh) 一种流塑状软土地基加固结构及加固方法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CN105098389B (zh) 一种利用设备基础降低接地电阻的方法和结构
CN103337719B (zh) 高频干扰防护接地极及其埋设方法
CN207868413U (zh) 一种离子缓释型柔性石墨绳接地结构
CN108374392B (zh) 河道防渗方法和河道防渗结构
CN101640385B (zh) 一种喀斯特地区防雷接地网的结构及其制作方法
CN207961734U (zh) 埋地管道的防护装置和防护系统
TWI328061B (en) Three-dimensional drainage process and structure in the gravity field
CN104280585B (zh) 一种计量落地柜及其防潮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