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966B1 -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966B1
KR100897966B1 KR1020037003038A KR20037003038A KR100897966B1 KR 100897966 B1 KR100897966 B1 KR 100897966B1 KR 1020037003038 A KR1020037003038 A KR 1020037003038A KR 20037003038 A KR20037003038 A KR 20037003038A KR 100897966 B1 KR100897966 B1 KR 100897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data
control code
control
appl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893A (ko
Inventor
미끼 아베
다까후미 호소이
에이찌로 모리나가
마사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모듈 구조의 간소화 및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이다.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는, 변환 모듈에 의해 접속된 기기에 따른 제어 코드로 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접속된 기기에 의존하는 처리의 제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에 대해서는,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용한다. 예를 들면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또는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Figure R1020037003038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 제어 코드, 변환 모듈, 디바이스 드라이브

Description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DEVICE CONTROL METHOD, DATA TRANSFER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지는 시스템에서 적합한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1차 기록 매체로서 취급하여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저장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다른 기록 매체(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음악 등의 재생을 즐긴다고 하는 사용 형태가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란,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배신/전송/사용의 목적이 주가 되는 데이터이다.
이 경우, HDD에는, CD-DA(Compact Disc Digital Audio)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되거나, 혹은 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음악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에 2차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를 접속하여, HDD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복제) 또는 무브(이동)시켜, 해당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재생 장치에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2차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혹은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서, 이들 미디어(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레코더/플레이어는, 널리 보급되어 있어, 거치형의 기록 재생 장치나, 포터블 타입의 기록 재생 장치 등으로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기호나 소유하는 기기에 맞춰,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사용 형태를 생각할 때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등을 행하여, HDD에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한 후, 그 콘텐츠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하면, 저작권자의 정당한 보호가 도모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급상 저작권 보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데이터 처리상의 약정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라는 규격이 있다.
이 SDMI로 책정된 데이터 패스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된 콘텐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네트워크 콘텐츠)나,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혹은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디스크 콘텐츠)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기록이, 저작권 보호와 일반 사용자의 이익(사적 복제의 권리)을 감안한 후에, 적절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2차 기록 매체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복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나 사적 복제의 권리의 양쪽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즉 상기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전송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 등이 상정되고, 이 2차 기록 매체에는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에서는, SDMI 방식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암호화가 실시되어 축적되고, 따라서, 그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되게 된다.
물론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기기에서는, 암호 해독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암호화 상태로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포맷 후, 준비되어 있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의 기기에서 1차 기록 매체(HDD)에 축적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되어,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지만,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도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과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권리 관리에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 권리란, 1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권(2차 기록 매체에 복사시킬 권리)이고, 2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복사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이 된다.
또한, 이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권리 양도)을 「체크아웃」이라 하고,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실제로는 권리의 반환)을 「체크인」이라 한다.
SDMI 방식에서는, 체크아웃, 체크인에 관해서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진다.
일례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체크아웃은 3회 허용된다(상기 전송권은 「3회」로 된다).
체크아웃이 행해지면, 권리가 2차 기록 매체측으로 양도되게 되어,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의 남은 전송권은 2회로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얻게 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에 체크인을 행하면, 권리가 반환되게 된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전송권이 하나 부활된다.
이러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는, 각 콘텐츠 데이터 별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체크아웃 시에는,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ID가 2차 기록 매체측에 기록됨으로써,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해진다(재생권을 얻는다). 1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ID를 하나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감소시킨다.
또한 체크인 시에는, 실제로는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 전송은 행해지지 않고, 2차 기록 매체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ID가 반환된 것으로 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증가시킨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암호화 상태로 복사 기록되고,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따라 콘텐츠의 권리가 관리됨으로써, 무제한의 복사를 방지하여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며, 또한 한편으로 사용자의 사적 복제권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해,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ATRAC3 방식(물론 다른 압축 방식이어도 되지만)으로 압축된 콘텐츠 데이터 「A3D」가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위해, 키 X로 암호화된 데이터 y를, E(x, y)로 표현한다.
또한 그 암호화 데이터 E(x, y)에 대하여, 키 x에 의해 암호화를 복호한 데이터를, D{x, E(x, y)}로 표현하기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를 「A3D」라고 하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A3D」는, E(CK, A3D)로 된다.
또한 E(CK, A3D)가 키 CK로 복호된 데이터는, D{CK, E(CK, A3D)}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루트 키 KR로 암호화된 상태의 콘텐츠 키 CK, 즉, E(KR, CK)도 저장된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가 다운로드된다.
이 경우,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송신하면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서는, 루트 키 KR을 보유하고 있음으로써,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콘텐츠 키 CK를 복호하고, 또한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게 된다.
단 루트 키 KR은, 저작권자측의 의지나 각종 사정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콘텐츠 데이터마다 다른 루트 키 KR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 만, 루트 키 KR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 배신처를 한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EKB(Enabling Key Block: 유효화 키 블록)로 불리는 데이터가 배신되는 경우도 있으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정규 단말기에서는, EKB에 의해 루트 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방식도 채용되고 있다. 즉 EKB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나 암호화 콘텐츠 키와 함께 서버로부터 배신되어 HDD에 저장된다.
여기서,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를 2차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를 생각하는 경우, 그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는,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인 E(CK, A3D)의 상태로 미니 디스크에 기록되게 된다.
그리고 재생 시에는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가,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를 얻은 후에, 소정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미니 디스크에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 당연히,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는 암호 해독 기능은 없다.
따라서,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에 기록하였다고 해도, 그 미니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SDMI 대응이 아닌 대부분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재생 호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일반 사용자가 구입한 SDMI 콘텐츠의 적정한 이용을 제한하게 되어, 일반 사용자에 대한 SDMI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가치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SDMI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때에,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로 전송하여,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위법한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여지를 남기게 되어, SDMI 본래의 목적인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전송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송 방식을 본 출원인은 먼저 제안한다.
즉,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전송처로 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인증을 행하여, 인증 OK로 되는 것, 및 콘텐츠 제공자측(저작권자 등)의 허락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허가한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 상태로 전송로 상으로 전송되지만, 2차 기록 매체에는 암호화가 풀어져 기록된다.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대한 권리 관리도 행해진다.
이에 의해, 비암호화 상태에서의 복사 기록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편의를 도모함과 함께, 저작권 보호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를 HDD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로 하고, 한쪽 데이터 기록 장치를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 하여,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인 미니 디스크에 대한 콘텐츠 전송을 행하는 것이, 실제상 콘텐츠 제공자측과 사용자측 쌍방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처의 2차 기록 매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메모리 카드나 미니 디스크 등 다양한 것으로 된다. 즉 메모리 카드 기록 장치나 미니 디스크 레코더를 임의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1차 기록 매체측인 데이터 전송 장치(퍼스널 컴퓨터)에 대하여 생각하면, 메모리 카드 기록 장치나 미니 디스크 레코더 등의 각종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체크아웃/체크인 혹은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처리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다시 말하면, 각종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 대하여, 각각 기기에 따른 커맨드(제어 코드)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것이 요구된다.
현재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 기록 장치나 미니 디스크 레코더 등의 각종 기기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 커맨드에 관하여, 제어 코드 형태나 커맨드 프레임 구조 등의 포맷이 공통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 케이션에 대해서는, 접속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마다 독립된 어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 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서 다양한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종별에 의존하는 각종 처리,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녹음, 편집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들 제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다른 로컬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된다.
여기에서,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행하는 제어 커맨드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 의존하는 각종 처리의 제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이 발행하는 제어 커맨드는, 제어 코드 형태나 커맨드 프레임 구조 등도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처리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전환하는 번잡한 처리가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모듈 구조를 제공하여, 소프트웨어 구조의 간소화 및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로 전송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기기 제어 방법으로서, 제1 제어 순서와, 제2 제어 순서가,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행해지도록 한다.
제1 제어 순서는,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하고,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라 변환 모듈에 의해 제어 코드의 변환을 행하여, 이 변환된 제어 코드를,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한다.
제2 제어 순서는,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하고, 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순서에서는,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또는 상기 제2 제어 순서에서는,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종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제어 코드를 송신하고,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접속 기기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기기 제어 수단은,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접속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른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응하며,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제어 코드와,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 각각을 상기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혹은,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로 전송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로서,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접속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른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응하며,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제어 코드와,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 각각을 상기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하게 된다
또는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는, 변환 모듈에 의해 접속된 기기에 따른 제어 코드로 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접속된 기기에 의존하는 처리의 제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에 대해서는,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의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의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예의 설명도.
도 3은 실시예의 1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4는 실시예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 모듈 구조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의 프로그램 모듈에 의한 변환 커맨드 프레임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의 로컬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변환 커맨드 프레임의 설명도.
도 8A와 도 8B는 실시예의 센드 컨트롤 커맨드 및 리시브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9A와 도 9B는 실시예의 센드 벤더 커맨드 및 리시브 벤더 커맨드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 순서로 설명한다.
1. 시스템 구성
2.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3.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4.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5. 어플리케이션 모듈 구조
《1. 시스템 구성》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이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접속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이다. 그리고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퍼스널 컴퓨터(1)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단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반드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기동되는 SDMI 콘텐츠 데이터의 축적/전송 등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동일하게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군에 의해, 접속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한 제어, 즉 체크아웃/체크인이나, 2차 기록 매체 상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녹음, 편집 등의 제어를 행하는 기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에 내장(또는 외부 부착)된 HDD(5)가 1차 기록 매체(및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로 된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HDD(5)를 1차 기록 매체로 하지만, 물론 1차 기록 매체에 상당하는 기록 미디어는 HD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미디어, 기기 내장의 반도체 메모리, 가반형의 반도체 메모리(메모리 카드 등) 등,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콘텐츠 서버(91)와 통신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물론 콘텐츠 서버(91)는 복수 존재하며,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는 다양한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도 있으며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도 있다.
네트워크(110)를 형성하는 전송로는,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 회선망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퍼스널 컴퓨터(1)와 콘텐츠 서버(91)의 전용 회선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110)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 위성 통신망, 광 파이버망, 그 밖에 각종 통신 회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는, 내장 혹은 외부 부착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CD-DA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90)(이하, 디스크(90),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라고도 함)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킬 수도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를 접속하고, 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HDD(5)에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체크아웃)이 가능하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기록 재생 장치)로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의 구체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는 SDMI 대응의 기록 장치이다.
이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서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가 상정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란,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메모리 카드 드라이브)가 된다.
이 경우,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되게 된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의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관리 정보 포맷이 형성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HDD(5)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콘텐츠 ID가 발생되어,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HDD(5)에 저장된다. 또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도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ID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SDMI 대응이 아닌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고, 이 경우, 저작권 보호가 요구되는 SDMI 콘텐츠를, 암호화를 푼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2차 기록 매체의 예로서는 미니 디스크를 예로 든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미니 디스크 레코더)로 된다.
이 경우, SDMI 콘텐츠를 비암호화 상태로 기록해도 저작권 보호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기기의 인증 등이 복사의 조건으로 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기록 재생하는 미디어는 미니 디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혹은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된다.
퍼스널 컴퓨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등의 전송 규격에 기초하는 접속이 행해진다. 물론 다른 전송 규격의 유선 전송로, 혹은 무선 전송로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를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로 표기하고, 또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를,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2.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은 시스템을 상정한 경우의 SDMI로 책정된 데이터 패스를 도 2에 도시한다.
또한, 이 데이터 패스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 및 외부 기기(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전송 처리에 대한 데이터 패스이며, 다시 말하면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전송 처리를 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 이다.
도 2의 데이터 패스 상의 순서/처리는 DP1∼DP9의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응 개소를 이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110)를 통해 외부의 콘텐츠 서버(91)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네트워크 콘텐츠)는, 우선 그것이 SDMI에 준거한 저작권 보호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1).
배신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로서는, 서버측이 SDMI에 준거한 콘텐츠로서 송신해 오는 것(이하, SDMI 준거 콘텐츠)과, SDMI와는 무관계한 콘텐츠(이하, 비(非)SDMI 콘텐츠)가 있다.
그리고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예를 들면 DES 등의 키 암호에 의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 자체를, 원래는 ATRAC3 등의 압축 방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A3D)라고 하면, SDMI 준거 콘텐츠는 E(CK, A3D)의 상태로 배신된다.
배신된 네트워크 콘텐츠가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1차 기록 매체인 HDD(5)에 SDMI 콘텐츠로서 축적된다(DP1→DP2).
이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배신된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된다. 혹은, 암호화가 일단 복호된 후, 다른 키 CK'로 암호화가 행해지고, 즉 키의 교환이 행해져,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콘텐츠가 비SDMI 콘텐츠인 경우에는, 워터마크 체크, 즉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스크리닝 처리가 행해진다(DP1→DP3).
또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장착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내장 드라이브, 혹은 퍼스널 컴퓨터(1)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디스크 콘텐츠)에 대해서는, 직접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진다(DP3).
즉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지게 된다.
만약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데이터 패스 상에서 복사 불가로 취급된다(DP3→DP5). 구체적인 취급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의해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HDD(5)에는 저장하지만, 다른 미디어에의 복사/이동을 위한 전송이 불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취급되도록 하거나, 혹은 SDMI 준거의 콘텐츠 처리상 HDD(5)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한 경우, 즉 전자 워터마크가 존재하고, 또한 복사 컨트롤 비트로서 복사 허가가 확인된 경우에는, 합법적으로 복사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판단되며, 계속해서 그 콘텐츠 데이터를 SDMI 취급으로 할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4).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것으로서 취급할지의 여부는, 소프트웨어 설계나 사용자 설정 등에 따른 것으로 하면 된다.
SDMI 취급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SDMI 취급으로 하고 해당 SDMI에 준거한 콘텐츠 데이터 패스로부터 제외된다(DP6).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기록 장치로의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한편, SDMI 취급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DP4→DP2).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 또는 E (CK', A3D)의 상태로 HDD(5)에 축적된다.
이상의 데이터 패스에 의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얻어진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나, CD-DA 등의 디스크 혹은 다른 미디어로부터 추출한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디스크 콘텐츠)가 축적되게 된다.
또한 SDMI 콘텐츠에 대해서는, 콘텐츠별로 후술하는 Usage Rule의 관리 등을 위해, 콘텐츠마다 고유한 데이터로 되는 콘텐츠 ID가 생성되어 HDD(5)에 기억된다.
HDD(5)에 저장된 SDMI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 또는 SDMI 디스크 콘텐츠)는, 소정의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로 전송되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 이외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도 소정 조건 하에서 전송 가능하게 된다.
우선, HDD(5)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1)에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인 경우에는,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되는 전송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에 대하여 복사를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8).
또한 이 데이터 패스에서, 1차 기록 매체(HDD(5))로부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또는 20A)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2차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 등)에 대한 복사 전송이 「체크아웃」이고, 반대로 2차 기록 매체로부터의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 전송이 「체크인」이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인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서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는 소거된 상태로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예를 들면 3회까지의 체크아웃이 허용되는 등, 소정의 체크아웃 상한 횟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3개의 2차 기록 매체까지는 복사(체크아웃)가 허가된다. 또한 체크인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체크아웃 횟수가 감산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한 후라도, 그 중 하나의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시키면, 그 콘텐츠는 다시 한번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즉, 항상 최대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가 병존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인 경우에도, SDMI 네트워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에 대하여 복사을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7).
이 취급 룰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크아웃 횟수의 상한 등이 정해지지만, 그 상한 횟수 등은, SDMI 디스크 콘텐츠의 경우의 취급 룰과 마찬가지로 해도 되고, 다른 횟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체크아웃 상한을 1회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다른 하나의 SDMI 대 응의 2차 기록 매체에만 복사할 수 있지만, 그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하면, 재차 복사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들 취급 룰에 따라,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복사하기 위해 SDMI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또한, 암호화되어 전송되어 온 SDMI 콘텐츠를 수신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는, 그 SDMI 콘텐츠를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한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가,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 복호하여 재생한다. 즉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키 CK, 또는 키 CK'에 의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즉 D{CK, E(CK, A3D)}=A3D, 또는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로서 원래의 콘텐츠 데이터를 얻는다.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ATRAC3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로서 복조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에 체크아웃되기까지의 데이터 패스, 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 도달할 때 까지, 암호화가 실시된 데이터로 되어 있거나, 상기 전송의 취급 룰 체크에 의한 복사 관리가 행해짐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진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채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와는 달리, 2차 기록 매체로서의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등에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이다.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함으로써, 그 미니 디스크에 복사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재생 가능하게 되어,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전송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①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될 것, ②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복사 기록을 저작권자측이 인정할 것, ③ 체크아웃/체크인으로서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을 만족시킬 것의 3개로 된다.
이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 의 기기에 대해서도, 무제한의 복사 전송은 할 수 없어, 저작권 보호 기능도 확보된다. 또한, 전송을 행하는 전송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로 되어도(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측에서 암호 해독을 행함)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체크된다(DP9).
즉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 정보 등으로부터, 저작권자측의 복사 허가의 의지가 확인된다. 또한 체크인/체크아웃의 취급 룰이 부과된다.
이들 조건에 따라,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 암호화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는, 후술하는 도 4의 구성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서 수신 처리된 후, 복호 처리부(28)에서 암호화가 복호되어, 예를 들면 원래의 ATRAC3 압축 데이터(A3D)로 된다. 그리고 그 암호화가 풀린 콘텐츠 데이터는, 도 4의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한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 공급되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미니 디스크(100)로 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대하여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디코드 처리, 즉 EFM 복조, ACIRC 에러 정정, ATRAC 압축 방식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하면 된다.
이것은, 해당 복사 기록된 미니 디스크(100)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내장된 경우에도, 콘텐츠 데이터를 통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SDMI 비대응의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시켜, 음악 등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도 2의 데이터 패스에서, DP7, DP8, DP9의 취급 룰 체크 등에 의해 전송 허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 대한 전송이 행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3.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도 3에, 데이터 전송 장치로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예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형성하는 경우이지만,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축되는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전용 기기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에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기능, 즉 접속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와의 사이에서의 체크아웃/체크인이나,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재생, 편집 등을 지시하는 제어 기능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인스톨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로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실현된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도 5에서 어플 리케이션 모듈군으로서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라고 하는 것은, 소위 범용 컴퓨터로서의 광의의 의미이다.
도 5에서 후술하는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HDD)(5)나 ROM(3)에 사전에 기록해 둘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는 소위 패키지 소트프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의 인공 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8)에서 수신하여, 내장하는 HDD(5)에 인스톨할 수 있다.
도 3의 컴퓨터(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를 내장하고 있다. CPU(2)에는, 버스(12)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0)가 접속되어 있다. CPU(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7)가 조작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CPU(2)는, HDD(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어, 통신부(8)에서 수신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9)에 장착된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CPU(2)는, 후술하는 SDMI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6)로부터 출력, 혹은 통신부(8)로부터 송신, 또는 HDD(5)에 기록시킨다.
본 예의 경우, 통신부(8)는 도 1의 네트워크(110)를 통한 각종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즉 컴퓨터(1)는 외부의 콘텐츠 서버(91)로부터 음악 콘텐츠 등의 네트워크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다운로드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는, 상술한 데이터 패스에 따라, SDMI 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 혹은 SDMI 비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가 행해져, 예를 들면 적어도 SDMI 대응의 처리에서는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 HDD(5)에 축적된 SDMI 콘텐츠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 또는 인증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전송 대상의 콘텐츠가 된다.
접속부(11)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 IEEE1394 인터페이스 등의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나, 적외선이나 전파 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데이터 패스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는, 각각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로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에 있는 컴퓨터로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4.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의 구성예를 도 4에 도시한다.
이 예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100)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의 예가 된다. 이하 「미니 디스크(100)」로도 표기한다.
또한, 도 4에서는, 2차 기록 매체(100)로서의 미니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데이터의 처리계, 및 상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처리계만을 도시하고,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구동계, 서보계, 재생 출력계 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자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MD 제어부(CPU)(2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을 위해, 회전 구동, 스핀들 서보, 포커스 서보, 트랙킹 서보, 쓰레드 서보 등의 제어, 광학 헤드/자기 헤드의 레이저광이나 자계 인가 동작의 제어, 기록 재생 데이터의 인코드/디코드 처리의 제어 등을 행한다.
기록/재생부(25)는, 광학 헤드, 자기 헤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서보계 등이 구비되며,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부위이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및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재생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공지와 같이 미니 디스크 시스템인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는 ACIRC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드 처리나 EFM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기록 데이터에 대하여 ACIRC 인코드 및 EFM 인코드를 행하여 기록/재생부(25)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로부터 판독되어 공급되어 온 데이터(RF 신호)에 대하여 2진화 처리, EFM 복조, ACIRC 방식의 에러 정정 처리 등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버퍼 메모리(30)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특히 쇼크 프루프 기능으로서 알려져 있는 버퍼링 기능도 행한다.
데이터 기록 시에는, 버퍼 메모리(30)에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된 기록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데이터량별로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어, 기록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 재생 시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된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코덱(23)에서의 압축 디코드 처리에 제공된다.
코덱(23)은,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에 의한 압축 처리 및 신장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다.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 후, 상기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에, 압축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예를 들면 PCM 오디오 데이터 등이 기록 데이터로서 입력된 경우에는, 코덱(23)에서 ATRAC 방식 또는 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져, 그 압축 데이터가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에서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 상태의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30)를 통해 코덱(23)에 공급되고, 코덱(23)에서 ATRAC/ATRAC3 방식의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예를 들면 44.1㎑, 16비트 양자화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복조된다.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계의 회로에서, 예를 들면 D/A 변환, 아날로그 신호 처리, 증폭 처리 등이 행해져, 스피커 출력 신호로 되어, 음악 등으로서 재생된다.
혹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로 다른 기기에 대하여 출력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기록 재생 장치에도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지만, 본 예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서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에 대응하는 부위가 더 설치된다. 즉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신·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는 부위로서, 통신부(26), DMA(27), 복호 처리부(28), 캐쉬 메모리(29), 플로우 제어부(31), 시스템 제어부(32)가 설치된다.
시스템 제어부(32)(CPU)는, 해당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의 인증을 위한 통신이나 데이터 생성의 지시나, 퍼스널 컴퓨터(1)와의 각종 커맨드의 수수,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처리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들 제어에 따라 MD 제어부(21)에 지시를 내려,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 관리 정보의 판독이나 갱신 등의 제어도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조작부나 표시부가 설치되지만, 조작부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및 조작에 따른 처리나, 표시부의 표시 제어 등도 행한다.
통신부(26)는, 도 3의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USB 또는 IEEE1394 등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통신으로서는, 각종 커맨드 및 SDMI 콘텐츠 등이 있다.
통신부(26)에서 수신된 SDMI 콘텐츠로서의 데이터는, DMA(Direct Memory Access)(27)의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에 저장된다. 또한 물론, DMA(27)가 아니라 CPU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로의 데이터 이동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복호 처리부(28)는, SDMI 콘텐츠의 암호화 처리에 대응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캐쉬 메모리(29)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 해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비암호화 상태로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캐쉬 메모리(29)의 다른 영역에 기억한다.
SDMI 콘텐츠는 콘텐츠 키 CK 또는 CK'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콘텐츠 키 CK,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SDMI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키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음으로써, 복호 처리부(28)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상태로 송신되는 SDMI 콘텐츠, 즉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의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즉 D{CK, E(CK, A3D)}=A3D로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데이터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SDMI 콘텐츠는, 반드시 ATRAC3 압축 데이터가 암호화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형 PCM 데이터가 키 CK로 암호화된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E(CK, PCM)의 상태의 콘텐츠가 전송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당 연히 복호 처리부에서 D{CK, E(CK, PCM)}=PCM으로 하여 복호된 선형 PCM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 경우에는, 해당 PCM 데이터는, 코덱(23)에서 ATRAC3 압축 처리가 행해진 후,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복호 처리부(28)는, 또한 인증 처리를 위한 키를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공개 키나 암호 키를 기억한다.
또한 비밀키를 이용한 암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복호 처리부(28)는, 해시 엔진도 탑재하고 있어, 소위 해시(HASH) 함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콘텐츠 ID란,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를 위한 식별 정보로서,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의 관리를 위해 생성된다.
암호화가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 예를 들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나, PCM 데이터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는, 캐쉬 메모리(29)로부터 플로우 제어부(31)로 전송되게 된다.
플로우 제어부(31)는, 암호화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기록하기 위해, 기록 처리계인 MD 제어부(21)측(코덱(23),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기록/재생부(25), 버퍼 메모리(30)측)으로 전송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MD 제어부(21)로부터의 요청(XARQ)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플로우 제어부(31)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 암호 해독 처리, 및 미니 디스 크(100)에 대한 기록 처리 사이의 타이밍적인 조정이 도모된다.
버스 라인(22)은 상기 MD 제어부(CPU)(21), 코덱(23), 버퍼 메모리(30),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플로우 제어부(31), DMA(27), 캐쉬 메모리(29), 통신부(26), 복호 처리부(28), 시스템 제어부(32)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하기 위한 통신선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SDMI 콘텐츠 데이터로서 E(CK, A3D)의 상태의 데이터, 또는 E(CK, PCM)의 상태의 데이터는, 비암호화 상태로 되고, ATRAC3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게 된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 그 밖의 통신 세션 시에는 각종 커맨드도 송신한다.
이들 커맨드는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면 시스템 제어부(32)로 전달되고, 시스템 제어부(32)는, 이들 커맨드에 따라 각종 처리를 행함과 함께,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통신부(2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5. 어플리케이션 모듈 구조》
퍼스널 컴퓨터(1)에서, 접속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체크아웃/체크인이나,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재생, 편집 등의 처리에 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군의 구조를 도 5에서 설명한다.
이 어플리케이션 모듈군은, 도 3의 ROM(3) 또는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으로서의 구성이며, CPU(2)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듈군에 기초하여 소요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는 접속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 상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이란, 예를 들면 2차 기록 매체로서의 미니 디스크(100) 등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분할, 연결, 이동 등을 말한다.
본 예의 어플리케이션 모듈군으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 커맨드 변환 모듈(71, 73), 디바이스 드라이버(72, 74), 전환 기능(75, 76),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 78)을 구비한다.
전환 기능(75, 76)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 상의 모듈 선택 기능이다.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은,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로서, 본 시스템에서 2차 기록 매체로 될 수 있는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미디어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 등)가 접속되었을 때에, 체크아웃/체크인 및 그에 부수하는 각종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모듈이다.
이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은, 접속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종별에 상관없이, 공통의 제어 내용의 커맨드(제어 코드)를 발행한다. 즉 각종 제어 내용에 따라 각종 커맨드를 발행하지만, 이들 커맨드는 접속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종별에 따라 다른 것은 아니다.
한편,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를 2차 기록 매체로 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와, 미니 디스크를 2차 기록 매체로 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서는, 대응할 수 있는 커맨드의 코드 형태나 커맨드 프레임 구조 등의 포맷이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플러그인 모듈로서, 커맨드 변환 모듈(71, 73)이 준비된다.
커맨드 변환 모듈(71)은,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로부터 발행된 공통 커맨드를,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 및 커맨드 프레임 구조로 변환하여 발행하는 모듈이다.
퍼스널 컴퓨터(1)에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로부터 발행된 공통 커맨드는 커맨드 변환 모듈(71)에 의해,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가 대응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해당 변환 커맨드가,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72)를 통해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에 공급된다.
이 시스템에 의해,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가 접속되었을 때의 체크아웃/체크인 제어가 행해진다.
커맨드 변환 모듈(73)은,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로부터 발행된 공통 커맨드를,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 및 커맨드 프레임 구조로 변환하여 발행하는 모듈이다.
퍼스널 컴퓨터(1)에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로부터 발행된 공통 커맨드는 커맨드 변환 모듈(73)에 의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대응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해당 변 환 커맨드가,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74)를 통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공급된다.
이 시스템에 의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접속되었을 때의 체크아웃/체크인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이 공통 커맨드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환 기능(75)은 t1측, 즉 커맨드 변환 모듈(73)의 변환 커맨드를 선택하는 상태에 있다.
커맨드 변환 모듈(73)에 의한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응하는 변환 커맨드로서는, 예를 들면 도 6과 같은 커맨드 프레임에서 제어 코드가 발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오프셋 어드레스 「02h」에서의 오퍼레이션 코드에서, 접속되는 기기, 즉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포맷 라이센스 발행자가 정한 벤더 디펜던트 코드인 것이 선언된다.
그리고, 오프셋 어드레스 「0Ah」에서, 실제의 오퍼레이션 코드(제어 코드) 가 기술된다. 즉 벤더 디펜던트 VDC로서의 오퍼레이션 코드이다. 오프셋 어드레스 「0Bh」 이후에는 제어 코드의 인수 필드로 된다.
또한, 오프셋 어드레스 「03h」∼「05h」는, 컴패니 ID로서, 예를 들면 IEEE에 의해 정해진 컴패니 유니크 코드가 기술된다. 즉 이 경우에는, 접속되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포맷 라이센스 발행자의 코드가 기술된다.
오프셋 어드레스 「06h」∼「09h」는, 이 포맷 라이센스 발행자측에서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로 된다.
즉 이러한 변환 커맨드에 의해, 공통 커맨드가,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포맷 라이센스 발행자가 규정한 제어 코드 형태로 변환되어 접속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공급되게 된다.
여기까지 설명한 모듈 구조, 즉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이 공통 커맨드를 발행하고, 플러그인 모듈로서 접속 기기에 따른 커맨드 변환 모듈(71, 73)이 설치되어, 각각 대응하는 기기에 따른 변환 커맨드를 발행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체크아웃/체크인을 위한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을 구비하면 되고, 접속이 상정되는 기기에 따라 대응하는 커맨드 변환 모듈(71, 73 등)을 플러그인하면 된다. 이에 의해 효율적이며 또한 자유도가 높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단,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은, 각종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실행하는 제어에 관한 제어 코드로서의 공통 커맨드 발행을 담당하게 된다.
그런데, 2차 기록 매체로서 각종 미디어의 특성, 및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서의 미디어에 따른 처리 기능 등의 차이에 의해, 특정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접속된 경우에 발행하고자 하는 제어 코드도 상정된다. 즉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에 의해서는 발행되지 않는 제어 내용의 제어 코드(로컬 커맨드)를 발행하고자 하는 경우로서, 이 때문에, 접속 기기에 따른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준비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접속된 경우에, 2차 기록 매체가 되는 미니 디스크(100)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 등의 제어 지시를, 2차 기록 매체에 의존한 제어 내용으로 하여,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 78)에 의해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예로 설명한다.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은,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한 편집 등의 지시를 위한 로컬 커맨드를, 상기 도 6과 같은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응한 변환 커맨드 포맷에 맞춘 상태로 사전에 변환하여 발행하는 모듈이다.
즉, 이 경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로부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맨드 프레임에서 제어 코드가 발행된다.
도 7의 변환 커맨드 프레임은, 도 6의 변환 커맨드 프레임을 확장하고, 오프셋 어드레스 「02h」에서의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대상 기기, 예를 들면 본 예의 경우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포맷 라이센스 발행자 외에 기기 제조자(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메이커)가 정한 벤더 디펜던트 코드인 것이 선언된다.
그리고, 오프셋 어드레스 「06h」 이후가, 실제의 제어 코드(및 인수 등)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필드로 되며, 이 필드에서 로컬 커맨드로서의 정보가 기술된다.
또한, 오프셋 어드레스 「03h」∼「05h」는, 컴패니 ID로서, 예를 들면 IEEE에 의해 정해진 컴패니 유니크 코드가 기술된다. 이 경우에는, 접속되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제조자의 코드가 기술된다. 제조자란 포맷의 라이센서 또는 라이센싱으로 된다.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로부터, 이러한 변환 커맨드가 발행되는 경우에는, 전환 기능(76)이 t3측, 전환 기능(75)이 t2측으로서 기능하고, 이 변환 커맨드 가 디바이스 드라이버(74)를 통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공급되게 된다. 이것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고유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커맨드 변환 모듈(73)로부터의 변환 커맨드와,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로부터의 변환 커맨드는, 마찬가지의 커맨드 프레임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측의 펌웨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공통의 해석 모듈에 의해,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과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이 설치됨으로써,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가 접속되었을 때에, 체크아웃/체크인뿐만 아니라,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특유의 콘텐츠 편집 등의 처리의 제어도 가능해진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과 같이 사전에 변환 커맨드 프레임을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 커맨드를 그 상태 그대로 발행시키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변환을 행하지 않고 로컬 커맨드를 발행하는 모듈 구조도 준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와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 사이는 예를 들면 USB 등의 전송로로 접속된다.
USB 등의 전송로에서는, 도 8A의 센드 컨트롤 커맨드, 도 8B의 리시브 응답 커맨드에 도시한 바와 같이, 「bmRequestType」 필드, 「bRequest」 필드가 준비된다.
이들 필드는, 퍼스널 컴퓨터(1)측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컨트롤 커맨드를 발행할지, 혹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측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컨트롤 커맨드의 응답을 수신할지를 사전에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bmRequestType」 필드의 MSB가, 도 8A와 같이 「0」이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커맨드 방향(센드 방향)을 나타내고, 한편, 도 8B와 같이 MSB가 「1」이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의 커맨드 방향(리시브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bRequest」 필드의 값이 「80h」인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컨트롤 커맨드인 것을 나타내고, 「bRequest」 필드의 값이 「81h」인 경우에는, 도 8B와 같이 응답 커맨드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8A의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제어 커맨드로 되며, 도 8B의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의 응답 커맨드로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 도 8A 내지 도 8B는, 퍼스널 컴퓨터(1)측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발행되는,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공통 커맨드와, 그에 대한 응답이 된다.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에 의해 로컬 커맨드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이 도 8A 내지 도 8B의 구조를 확장 정의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에 의해 발행하는 로컬 커맨드의 구조이다.
즉 「bRequest」 필드의 값으로서 「FFh」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의 제조자가 자유롭게 정한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로부터의 로컬 커맨드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bmRequestType」 필드의 MSB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커맨드 방향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A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로부터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한 로컬 컨트롤 커맨드의 구조이고, 도 9B는 로컬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로부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로의 로컬 응답 커맨드의 구조로 된다.
그리고 도 9A와 도 9B의 로컬 커맨드의 경우, 벤더 디펜던트 데이터로서 나타내는 필드에서, 기기 제조자가 자유롭게 설정한 커맨드 데이터 내용 및 그에 따른 응답 데이터 내용이 기술되게 된다.
이 경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에서 도 9A의 로컬 커맨드의 발행에 따라, 전환 기능(76)이 t4측, 전환 기능(75)이 t2측을 선택하도록 하고,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에서 발행한 로컬 커맨드가 직접 디바이스 드라이버(74)에 공급되어,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도 9B의 구조에 의해 전환 기능(75, 76)이 마찬가지로 t2측, t4측을 선택함으로써,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이, 직접 디바이스 드라이버(74)로부터,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서 발행한 응답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 5의 모듈 구조에 따르면,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70)에서 대응할 수 없는, 접속 기기에 특유의 제어에 관해서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 78)에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또한, 그 때에 디바이스 드라이버(74)는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 78)의 도입에 따라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도입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과 같이, 변환 커맨드를 발행하는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측의 펌웨어 처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8)과 같이 로컬 커맨드를 발행함으로써, 사전에 기종 의존 로컬 커맨드를, 변환 커맨드의 포맷에 맞춰 발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상, 실시예에서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77, 78)에 대해서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20A)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었지만, 당연히 도 5의 구성에서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20B)에 대응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이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서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나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기기도 상정된다. 예를 들면 2차 기록 매체(100)로서는, CD-R, CD-RW, DVD-RAM, DVD-R, DVD-RW 등의 디스크 미디어, 고체 메모리에 의한 미디어, 테이프 미디어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각종 기록 장치가 상정되지만, 이들 접속이 상정되는 기기에 따른 모듈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체크아웃/체크인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는, 변환 모듈에 의해 접속된 기기에 따른 제어 코드로 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송신된다. 이에 의해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접속된 기기에 의존하는 처리의 제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한 제어 코드에 대해서는,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처리에 따라 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공용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하도록 해도,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용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로컬 제어 코드로서 접속되는 기기에 따른 자유도가 높은 제어 방식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모듈 구조의 간소화 및 처리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따르면, 상기한 효과를 얻는 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로 전송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하고,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라 변환 모듈에 의해 제어 코드의 변환을 행하여, 이 변환된 제어 코드를,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제어 순서와,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하고, 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제2 제어 순서
    가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순서에서는,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순서에서는,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방법.
  4.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종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제어 코드를 송신하여,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접속 기기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기기 제어 수단은,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접속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른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응하며,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제어 코드와,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 각각을 상기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7.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 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로 전송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로서,
    2차 기록 매체의 종별에 의하지 않는 공통의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를, 접속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따른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공통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제어 내용에 따른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응하며,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제어 코드와,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발행된 제어 코드 각각을 상기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로 송신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포맷에 맞춘 상태에서,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제어 코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로컬 제어 코드의 발행 취지를 제시하고, 상기 로컬 제어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37003038A 2001-07-02 2002-06-27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897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0971A JP3719396B2 (ja) 2001-07-02 2001-07-02 機器制御方法、データ転送装置、記録媒体
JPJP-P-2001-00200971 2001-07-02
PCT/JP2002/006484 WO2003005359A1 (fr) 2001-07-02 2002-06-27 Procede de commande d'un dispositif, appareil de transfert de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893A KR20030029893A (ko) 2003-04-16
KR100897966B1 true KR100897966B1 (ko) 2009-05-18

Family

ID=1903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038A KR100897966B1 (ko) 2001-07-02 2002-06-27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9366B2 (ko)
EP (1) EP1403867A4 (ko)
JP (1) JP3719396B2 (ko)
KR (1) KR100897966B1 (ko)
CN (1) CN1308847C (ko)
WO (1) WO2003005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009B2 (ja) * 2001-06-13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管理方法
JP3809779B2 (ja) * 2001-06-18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KR20050107487A (ko) * 2003-03-04 2005-11-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허가된 복제의 보장
JP4698211B2 (ja) * 2003-12-15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電子データの移動の取り消し方法
WO2005122167A1 (ja) * 2004-06-08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再生装置
US7702221B2 (en) * 2004-09-14 2010-04-20 Marvell World Trade Ltd. Unified control and memory for a combined DVD/HDD system
US7657160B2 (en) * 2004-09-14 2010-02-02 Marvell World Trade Ltd. Unified control and memory for a combined DVD/HDD system
US7757300B2 (en) * 2004-10-13 2010-07-13 Hitachi, Ltd.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4797881B2 (ja) * 2006-08-21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制御方法、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
JP2011103172A (ja) * 2010-12-28 2011-05-26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851A (ja) 1999-03-30 2000-12-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EP1081574A1 (en) 1999-09-01 2001-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pyrigh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143379A (ja) 1999-11-09 2001-05-25 Kenwood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1145B1 (en) * 1992-05-18 1999-10-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rinter command languages translation
DE69637033T2 (de) * 1995-06-30 2007-10-31 Sony Corp. Datenaufzeichnungsverfahren und -Einrichtung und Datenwiedergabeverfahren und -Einrichtung
US6650761B1 (en) * 1999-05-19 2003-11-18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ed business cards and methods
US6311214B1 (en) * 1995-07-27 2001-10-30 Digimarc Corporation Linking of computers based on optical sensing of digital data
US6522769B1 (en) * 1999-05-19 2003-02-18 Digimarc Corporation Reconfiguring a watermark detector
TW501354B (en) * 1999-05-25 2002-09-01 Sony Corp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digital signal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851A (ja) 1999-03-30 2000-12-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EP1081574A1 (en) 1999-09-01 2001-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pyrigh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143379A (ja) 1999-11-09 2001-05-25 Kenwood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893A (ko) 2003-04-16
EP1403867A4 (en) 2008-05-14
JP3719396B2 (ja) 2005-11-24
US20040015716A1 (en) 2004-01-22
CN1308847C (zh) 2007-04-04
CN1466757A (zh) 2004-01-07
JP2003016723A (ja) 2003-01-17
EP1403867A1 (en) 2004-03-31
US6959366B2 (en) 2005-10-25
WO2003005359A1 (fr)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0705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記録媒体
US7191346B2 (en)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apparatus, data recording apparatus, edit controll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936877B2 (en)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device, data recording device and data transfer method
WO2002007161A1 (fr) Procede et dispositif servant a enregistrer et/ou reproduire des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2373118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US7228568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transfer system
KR100897966B1 (ko)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US7295393B2 (en) Data converting apparatus, data conver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0268497A (ja)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媒体、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4482970B2 (ja) Dvdレコーダ、dvdレコーダ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04064062A1 (ja) 記録装置、記録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467305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data
JP2005522754A (ja) ユーザデータを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333131B2 (ja) 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427786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337811B2 (ja) データ記録装置
KR20060129581A (ko) 저작권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