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082B1 -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 Google Patents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82B1
KR100895082B1 KR1020020054742A KR20020054742A KR100895082B1 KR 100895082 B1 KR100895082 B1 KR 100895082B1 KR 1020020054742 A KR1020020054742 A KR 1020020054742A KR 20020054742 A KR20020054742 A KR 20020054742A KR 100895082 B1 KR100895082 B1 KR 10089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loading
suction
slip
loading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117A (ko
Inventor
황준영
임기성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Abstract

본 발명은 로딩슈트에 의해서 이송트럭에 적재되는 이송물의 적재량 및 이송트럭을 구간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간별 정량불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로딩슈트의 버킷을 경유하여 불출되는 이송물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이 슬립롤러 브래킷(25)에 지지되는 다수의 슬립롤러(22)와, 상기 양측 슬립롤러 브래킷(25)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3)와, 상기 슬립롤러(22)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29)로 이루어지는 구간정지수단과; 상기 다수의 슬립롤러(22)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홀(44)이 형성된 로딩 플레이트(21)와, 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로드셀(45)로 이루어지는 적재물 평량수단과; 상기 구간정지수단에 의하여 정지된 이송물 운반수단에 이송물을 배출하도록 구동실린더(2)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상부커버가 장착된 배출버킷(1)과. 이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도어개폐실린더(31)에 의하여 상기 버킷(1)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흡입도어(32)로 이루어지는 이송물 배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54742
로딩슈트, 적재물평량수단, 구간정지수단, 흡입도어, 슬립롤러

Description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Quantitatively Cokes Through Loading Chute}
도 1은 코크스를 이송하여 선별,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코크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버킷 및 이송트럭의 이동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절출버킷 및 이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문제 발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구성하는 롤링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구성하는 분진방지버킷을 도시한 사사도 및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슬립롤러 브래킷 22:슬립롤러 23:유압실린더 29:지지롤러
44:관통홀 21:로딩 플레이트 45:로드셀 2:버킷 구동실린더
1:배출버킷 31:도어개폐실린더 32:흡입도어 35:중공형 샤프트
34:댐퍼 샤프트 34:댐퍼 샤프트 36:흡입구 38:흡입라인
본 발명은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딩슈트(적재슈트)에 의해서 이송트럭에 적재되는 이송물의 적재량을 정확하게 추적,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송트럭을 구간별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간별 정량불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로딩슈트의 버킷을 경유하여 불출되는 이송물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종래의 최종 불출감지센서의 오동작으로 불출중단상태로 불출버킷이 전환되지 못하던 것을 로드셀에 의한 평량기능에 의해 정확하게 불출작용을 발생시키고, 불출 중에 버킷의 전환작용이 정확하게 발생되도록 하며, 적재함에 골고루 운송물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빈번한 트러블발생으로 정비비용이 과다 소요되고, 운송작업이 중단됨으로써 운송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운전자가 임의로 적당량 이하로 적재하면서 운송횟수만 늘리려는 불성실한 작업방법을 롤링 스토퍼와 평량장치로써 제어함으로써 운송작업의 생산성을 제고시키며, 또한 건조한 코크스의 분진이 최종적으로 버킷에서 이송트럭의 적재함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다량 발생되던 것을 흡입도어로서 포집 토록 함으로써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등의 작용이 발생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벙커(Bunker; 5)에 적재되어 있는 괴광(Coarse Cokes; 4)을 로딩슈트(Loading Chute; 3)를 통해 불출하게 되는데, 이 때 로딩슈트(3)의 하부에는 구동실린더(2)에 의해 개폐되는 버킷(Bucket; 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벙커(5)의 하부에 이송트럭(6)이 입고되면, 전진상태의 구동실린더(2)가 후진되면서 버킷(1)을 통해 괴광(4)이 트럭(6)의 적재함에 적재되고, 이 때 안쪽의 불출감지센서(7)가 트럭(6)의 적재함에 쌓이는 괴광을 감지하여 램프를 점등하게 되면 트럭 운전자는 트럭(6)을 벙커(5)의 바깥쪽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버킷(1)을 통해 트럭(6)의 적재함에 쌓이는 괴광(4)이 불출감지센서(8,9,10,11)에서 차례로 감지되면 그때마다 트럭(6)을 전진시키고 최종적으로 불출감지센서(11)의 램프가 점등되면 운전자는 트럭(6)을 벙커(5)로부터 빼게 되고 , 동시에 구동실린더(2)가 자동적으로 전진작동되면서 버킷(1)의 불출작업을 중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킷(1)은 최종 불출감지센서(11)가 오작동 되어 구동실린더(2)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불출작업이 완료되어도 불출 중단상태로 전환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괴광(4)을 불출하게 되고, 이로써 벙커(5)의 바닥에 불출된 괴광(4)을 처리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투입하게 되어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불출감지센서(7,8,9,10,11)의 감지작용을 무시하고 임의로 조기에 트럭(6)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량의 편차가 발생되게 된다.
즉 적재량을 충족시키지 않은 상태로 운반횟수만 늘리려고 함으로써 운송비 증가 및 운송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되고, 건조한 코크스의 분진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주변부로 비산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주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드셀(Load Cell)과 로딩 플레이트(Loading Plate)로 구성된 평량수단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설된 구간정지수단에 의해 각 롤링 스토퍼(Rolling Stopper) 구간별 운송물의 불출량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량불출 작업 도중에 발생하는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되던 것을 버킷도어에 설치된 분진포집수단의 작용으로 방지토록 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이 슬립롤러 브래킷에 지지되는 다수의 슬립롤러와, 상기 양측 슬립롤러 브래킷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슬립롤러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로 이루어지는 구간정지수단과; 상기 구간정지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슬립롤러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로딩 플레이트와, 이의 사방 모서리부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적재물 평량수단과; 상기 구간정지수단에 의하여 정지된 이송물 운반수단에 이송물을 배출하도록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상부커버가 장착된 배출버킷과. 이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도어개폐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버킷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흡입도어로 이루어지는 이송물 배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구성하는 롤링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구성하는 분진방지버킷을 도시한 사사도 및 요부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간정지수단은 이송트럭(6)의 타이어(20)가 슬립롤러(Slip Roller; 22)에 의해 공회전됨으로써 트럭(6)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다수의 슬립롤러(22)와 전기적으로 연설된 로드셀(Load Cell; 45)의 로드 변동량에 따라서 유압실린더(23)의 전,후진작용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토록 하는데, 슬립롤러 브래킷(27)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서포트(Guide Support; 28)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유압실린더(23)의 전,후진작용 발생시에 슬립롤러(22)가 승하강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간정지수단은,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이 이송트럭(6)의 적재함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는 범위 내에서 길이를 5등분 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구조로 5세트를 고정구조로 구성 설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는 도 4의 좌 상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 플레이트(21)의 관통홀(44)의 중심선과 슬립롤러(22)의 중심선이 수직 구도로 일치되는 구조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량수단이 구간정지수단과 일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를 구성하는 평량수단은 평량작용이 정확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로딩 플레이트(21)의 네모서리 하단부에 각각 로드셀(45)을 한 세트씩 연설시켜 구성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간정지수단 및 평량수단의 전기적인 연결구성은 케이블로써 로드셀(45)을 제어부(미도시)에 연설하고 ,다시 제어부를 케이블로서 유압실린더(23)의 유압밸브(미도시)에 연설시켜 로드셀(45)의 전기적인 감지작용에 의해 슬립롤러(22)가 승하강 하면서 이송트럭(6)의 정지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여 완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물 배출수단은 분진흡입기능을 구비하는데, 그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도어(32)의 내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36)가 경사도를 가짐으로써 입자가 큰 분진은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흡입도어(32)의 내부면에 동일간격을 유지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흡입도어(32)에서 공기의 흡입통로가 개설되는 구조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도어(32)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중공형 샤프트(35)의 내부에 댐퍼샤프트(34)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상기 흡입도어(32)와 상기 댐퍼샤프트(34)의 절개구가 연통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상기 중공형 샤프트(35)는 버킷(1)의 양측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흡입도어(32)의 개폐정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형 샤프트(34)의 내부에 상기 댐퍼 샤프트(35)가 삽입 설치되어 일측에 흡입 블로우(미도시)와 연결된 흡입라인(38)을 연결함으로써 흡입작용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도어(32)는 버킷(1)의 측면부(43)에 고정 설치된 도어개폐실린더(31)에 링크암(40)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31)에서 전진 또는 후진작용에 의하여 버킷(1)의 입구를 정확히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트럭(6)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평량수단의 로딩 플레이트(21)의 상부로 진입하게 되면, 구간정지수단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23)는 후진작용을 받게 되며, 이러한 후진작용에 의하여 구간정지수단을 구성하는 슬립롤러(22)는 상기 로딩 플레이트(21)의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에 트럭의 타이어(20)가 슬립롤러(22)의 저항을 받지 않은 상태로써 계속적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송트럭(6)이 진입한 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이송트럭(6)의 전방 타이어(20)가 다수의 슬립롤러(22) 중에서 최입측이 위치한 제1구간정지수단(46)의 상부에 위치되면, 이송트럭(6)의 운송물 무적재 상태를 평량수단의 로드셀(45)이 전기적인 검출작용으로 평량하게 되고,
상기 트럭(6)의 무적재 상태에 대한 평량 검출신호가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를 경유하여 제1구간정지수단(46)의 유압실린더(23)에 구비된 밸브를 개방시켜 유압실린더(23)가 직상방으로 상승하여, 도 4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롤러(22)에 트럭 타이어(20)의 진행방향측이 상호 간섭되는 구도가 됨으로써 트럭운전자가 임의로 트럭(6)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구속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트럭(6)이 고정된 위치에서 필요한 양만큼의 괴광(Coarse Cokes)을 적재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제1구간정지수단(46)에 의해서 이송트럭(6)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되면, 도 5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개폐실린더(31)의 실린더 로드(41)가 전진작동되게 되고,
상기 로드(41)에 고정된 ㄴ형 링크암(40)이 구동함으로써 이에 연결 고정된 중공형 샤프트(35)가 회전되면서 흡입도어(32)가 버킷(1)의 출구에서 이탈되어 괴광(4)의 운송로를 개설시키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입력량(무게) 만큼의 괴광(4)이 적재함에 적재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도어(32)의 개폐실린더(31)가 전진작동되면서 발생시키는 전기적인 작용이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 흡입라인(38)의 흡입 블로워(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압이 에어 유입구(37)에 강력하게 작용하게 되어 건조한 비산 분진을 포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구간정지수단(46) 의해 트럭(6)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어부는 신호를 흡입도어(37)의 개폐실린더(31)에 인가하게 되고,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실린더(31)는 후진작용을 발생시켜 흡입도어(32)가 버킷(1)의 출구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1구간정지수단(46)의 유압실린더(23)를 후진작동시켜 슬립롤러(22)로부터 트럭 타이어(20)를 자유롭게 해제토록 함으로써 트럭운전자가 다음 순차인 제2구간정지수단(47)까지 위치이동 시키는 것을 가능토록 해 주게 된다.
상기 제1구간정지수단(46)의 작동관계와 동일하게 제2 내지 제5구간정지수단(47, 48, 49, 50)이 순차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이송트럭(6)이 이동하면서 필요한 괴광 적재작업을 완료하게 되며,
이러한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흡입도어(32)는 버킷(1)의 출구를 폐쇄하게 되고, 폐쇄된 상태로 버킷 구동실린더(2)에서 후진작용이 발생됨으로써 버킷(1)은 작업대기상태로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불출작용이 완료되면, 제5구간정지수단(50)이 트럭(6)을 자유롭게 해제하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목적하는 장소로 트럭(6)을 이용한 괴광(4)의 운송작업을 계속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물 배출수단의 흡입도어(32)가 폐쇄됨과 동시에 이에 연결된 흡입라인(38)의 흡입 블로워(미도시)도 정지함으로써 분진흡입작용도 중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괴광 불출용 로딩슈트의 불출작업을 트럭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평량수단 및 이송트럭의 구간별 적재작업이 가능토록 한 구간정지수단에 의해 구간별 정량불출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비산분진을 흡입하여 환경오염유발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괴광 오불출 현상 및 운전자 임의판단에 의한 과소적재 현상과 비산분진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여 정량불출작업이 가능해지고, 운송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설비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산업상의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이 슬립롤러 브래킷(25)에 지지되는 다수의 슬립롤러(22)와, 상기 양측 슬립롤러 브래킷(25)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3)로 이루어지는 구간정지수단과;
    상기 구간정지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슬립롤러(22)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홀(44)이 형성된 로딩 플레이트(21)와, 상기 로딩 플레이트(21)의 사방 모서리부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로드셀(45)로 이루어지는 적재물 평량수단과;
    상기 구간정지수단에 의하여 정지된 이송물 운반수단에 이송물을 배출하도록 구동실린더(2)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상부커버가 장착된 버킷(1)과, 상기 버킷(1)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도어개폐실린더(31)에 의하여 상기 버킷(1)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흡입도어(32)로 이루어지는 이송물 배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 배출수단을 구성하는 흡입도어(32)는 상기 버킷(1)의 배출구 상부에 고정되는 중공형 샤프트(35)에 내장되는 댐퍼 샤프트(34)와, 상기 흡입도어(32)에 내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댐퍼 샤프트(34)와 관통되는 다수의 흡입구(36)와, 상기 중공형 샤프트(35)에 연통 설치되는 흡입라인(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KR1020020054742A 2002-09-10 2002-09-10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KR10089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42A KR100895082B1 (ko) 2002-09-10 2002-09-10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42A KR100895082B1 (ko) 2002-09-10 2002-09-10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17A KR20040023117A (ko) 2004-03-18
KR100895082B1 true KR100895082B1 (ko) 2009-04-28

Family

ID=3732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42A KR100895082B1 (ko) 2002-09-10 2002-09-10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5709A (en) * 1978-08-30 1980-03-12 Hokoku Kogyo Kk Grain shipper
JPS5793832A (en) * 1980-12-03 1982-06-11 Sumitomo Metal Ind Ltd Opening control method of weighing hopper
JPS58186019A (ja) * 1982-04-26 1983-10-29 Sankyo Dengiyou Kk 計量器
JPS6071416A (ja) * 1983-09-28 1985-04-23 Shinko Electric Co Ltd 連続定量供給運転制御方法
JPS60253924A (ja) * 1984-05-31 1985-12-14 Shinko Electric Co Ltd 複槽式計量ホツパ
KR910010951U (ko) * 1989-12-28 1991-07-2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분체의 정량공급장치
KR970043083A (ko) * 1995-12-30 1997-07-26 김종진 원료불출기의 정량불출 및 과부하 제어시스템
JP2003253973A (ja) * 2002-03-05 2003-09-10 Morisuke Kodama 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5709A (en) * 1978-08-30 1980-03-12 Hokoku Kogyo Kk Grain shipper
JPS5793832A (en) * 1980-12-03 1982-06-11 Sumitomo Metal Ind Ltd Opening control method of weighing hopper
JPS58186019A (ja) * 1982-04-26 1983-10-29 Sankyo Dengiyou Kk 計量器
JPS6071416A (ja) * 1983-09-28 1985-04-23 Shinko Electric Co Ltd 連続定量供給運転制御方法
JPS60253924A (ja) * 1984-05-31 1985-12-14 Shinko Electric Co Ltd 複槽式計量ホツパ
KR910010951U (ko) * 1989-12-28 1991-07-2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분체의 정량공급장치
KR970043083A (ko) * 1995-12-30 1997-07-26 김종진 원료불출기의 정량불출 및 과부하 제어시스템
JP2003253973A (ja) * 2002-03-05 2003-09-10 Morisuke Kodama 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17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148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wagon
US9598235B2 (en) Motor vehicle for collecting and sorting material and method of doing same
CA1231588A (en) High volume covered hopper car with loading from below and automatic unloading
CN108861369A (zh) 一种agv小车柔性烟丝输送系统
CN111874614A (zh) 一种双流程高效自动化散货装箱系统及方法
CN109592437B (zh) 一种散货物料集装箱高效自动装箱系统
KR100895082B1 (ko) 로딩슈트의 정량절출장치
JP2771012B2 (ja) 塵芥処理装置
KR100920973B1 (ko) 시트 공급장치
CN112079135B (zh) 用于搅拌站的物料输送控制方法和搅拌站
US4020958A (en) Bulk material container loading and system
JP2011168362A (ja) 粉粒体荷卸し装置
KR102488021B1 (ko)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CN216970864U (zh) 一种转炉上料系统的除尘控制系统
KR102297979B1 (ko) 신재생 발전용 다종 고형연료 이송 시스템
JP3994806B2 (ja) オートドア付き搬送設備
JP4635267B2 (ja) 自動搬送装置
JP2586072Y2 (ja) ビル内搬送設備
JPH0933325A (ja) 穀物貯蔵施設の計量装置
JP3438749B2 (ja) ごみ貯留搬出装置
CN210213670U (zh) 一种防堵塞溜槽
KR20040100071A (ko)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451B1 (ko) 고형연료 공급장치
JPH056245Y2 (ko)
JP2578940Y2 (ja) ゴミ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