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671B1 -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671B1
KR100894671B1 KR1020070129069A KR20070129069A KR100894671B1 KR 100894671 B1 KR100894671 B1 KR 100894671B1 KR 1020070129069 A KR1020070129069 A KR 1020070129069A KR 20070129069 A KR20070129069 A KR 20070129069A KR 100894671 B1 KR100894671 B1 KR 10089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mma
acrylate
weight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인
전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아크릴 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한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 계 충격보강제,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후성

Description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Composition of PMMA with impact resistant, toughened surface hardness, abrasion resistant and UV screen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가전제품 및 건축자재의 외관용 소재로 적용이 가능한 취성, 내마모성, 내후성 및 외관특성이 부여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PMMA)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수지는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수지로서 각종 모니터의 도광판, 확산판, Projection TV 스크린 등 디스플레이 투명 소재로 널리 적용되어 왔다.
최근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r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수지 등에 아크릴 고유의 특성인 표면경도, 내후성, 외관 특성을 부여시키기 위하여 MMA와의 공중합이나 PMMA와의 블렌딩이 널리 이뤄지며 각종 전자제품의 외장 용 소재로서 PMMA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내충격 폴리스티렌(HI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 지, 폴리비닐염화물(Polyvinyl chloride, PVC)수지 등과 같은 특정의 구조 용 플라스틱 제품, 예를 들어, 건축용 재료, 창틀, 셔터 및 욕조, 가전제품 하우징 등과 같은 불량한 내후성 및 표면경도를 가지고 있는 구조용 플라스틱의 표면을 보호하는 캡스톡 제품으로서 PMMA계 수지가 적용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성분을 함유하는 충격보강제를 배합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널리 행해져 왔다. 이러한 충격보강제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계 수지, 염화에틸렌(CPE) 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장 용 소재로서 PMMA의 적용을 고려할 경우 조립이나 가공 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적합한 취성을 가짐과 동시에 외장 용 소재로서 내마모성을 가져야 하는데 PMMA 수지에 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충격보강제를 첨가하였을 때 수지의 내마모성은 충격보강제 특성에 의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가지며, 압출이나 사출 등 가공에 의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한 유동성 확보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아크릴 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수지에 취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우수한 표면 특성을 부여하는 PMMA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전자제품 등의 외장재의 경우 사출 성형 후 운반 등의 취급 과정에서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성형 후 실리콘유 등의 합성 윤활유를 제품 표면에 도포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도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적절한 합성윤활유의 첨가를 통해 제품 표면에 윤활 특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수지의 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2차적인 생산 공정의 단축을 통하여 공간 및 원가의 절감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지는 각종 가전제품 및 구조용 플라스틱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외장재로 적용되는 PMMA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이나 사출 등 가공에 의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한 유동성을 가지며, 조립 등에 적합한 취성(충격강도)을 가지고, PMMA 고유의 광택을 저하시키지 않고 탁월한 내마모성 및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PMMA계 수지 에 실리콘-아크릴 계 충격보강제와 합성 윤활유 및 UV안정제를 혼합함으로써 충분한 취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며, 특히 착색 후에도 광택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탁월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A) PMM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디메틸 실록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중합하여 코어 또는 코어와 중간층을 형성하는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갖는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충격보강제 5~30중량부 (C) 합성 윤활유 0.02~1 중량부 (D) UV안정제로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HALS, 트리아진 계열의 화합물 0.4 ~ 5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높은 취성, 탁월한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 PMMA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정한 성분들을 특정한 함량의 범위로 사용함으로써 70%이상의 표면광택과, 2H이상의 높은 연필경도, 3kJ/㎡ 이상의 아이조드강도, 4g/10min (230℃, 3.8kg) 이상의 유동성이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H 이상, 예를 들면 2H~5H의 연필경도를 가지는 고경도 내충격 수지로서 외부의 반복적인 마찰에 따른 내마모성이 필요한 전자제품의 외장용 소재 및 건축용 자재로서의 적용에 유용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서,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의 것과 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단량체들의 조성비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주요성분으로 사용하는 한에는 크게 제한을 받지 않지만, 좋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99중량%와 공단량체 1~50중량%의 비로 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좋게는 MMA 65~97중량%, 공단량체 35~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표면특성을 상실하지 않으므로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 PMMA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6만 ~ 15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만 ~ 13만이다. 상기 (A) 수지의 분자량이 15만이상일 경우는 충격강도를 좋게 하나,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하여 후가공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분자량이 6만 이하일 경우는 조성물의 유동성이 양호하나 충격강도가 부족하여 좋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B) 충격 보강제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메틸실록산, 스티렌 계 방향족 화합물과 , 아크릴계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등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들을 고무입자 코어와 그라프트 중합하여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갖는 충격보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평균입경은 0.1~0.3㎛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상기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록산과, 상기 스티렌계 방향족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아크릴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와,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고무중합체를 코어물질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수지 입자로서 평균입경은 0.1~0.3㎛이며, 최외층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그라프트된 충격보강제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층으로 된 입자로 내부 또는 내부와 중간층이 상기 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낮은 Tg를 가지는 고무 코어로 되어 있어 우수한 충격강도를 발현하고, 최 외부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스티렌으로 그라프팅 되어 있어 PMMA와의 상용성을 높여 분산을 좋게 한다. 이러한 예로는 실리콘계 충격보강제로 LG화학의 SIM100을 사용하였으며 입자의 평균입경은 0.2㎛이다. 그 함량은 5~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가 낮아 내스크래치성 및 광택이 저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C) 합성 윤활유는 성형 후 표면의 윤활성을 좋게 하며, 취성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유(silicon oil), 합성 탄화 수소유, 불소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실리콘유를 적용할 경우에는 수지의 충격강도를 증가시켜 제품의 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충격보강제와 합성 윤활유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충격강도가 증가하고, 보다 미려한 외관특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유는 디메틸실록산(dimethyl siloxane)의 중합체 또는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 혹은 그 일부가 수소, 페닐기, 할로겐화 페닐기, 할로겐화 알킬기, 플루오르 에스테르(fluoro ester)기 등의 일종 이상의 지방족계 또는 방향족계로 치환된 형태의 디멜틸 실록산 유도체이다. 상기 실리콘유의 점도는 5~50,000cSt가 가능하며, 50~5,000cSt의 점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특별히 투명성을 요하는 성형물에서는 굴절률 범위가 1.45 ~ 1.52인 실리콘유를 선택함으로써 수지의 투명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원하는 표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합성윤활유의 함량은 0.02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D) UV안정제 비율은 0.1 ~ 10 중량부, 유리하게는 0.2 ~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 ~ 5중량부이다. 사용할 수 있는 UV안정화제의 목록은 본 특허 출원에 참조된 문헌 “Stabilization of Poymeric Materials, Appendix 3" edited by Hans Zweifel, Springer, pages 181~213”에서 검색할 수 있다. 바람직한 UV안정제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HALS, 트리아진 계열의 화합물이다. UV 방사선에 대해 보다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UV안정제의 복합 처방이 가능하다. 사용할 수 있는 UV안정제의 예로서 Tinuvin 770, Tinuvin P, Tinuvin 328, Cyasorb UV531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혼합 방법은 종래에 잘 알려진 헨셀 믹서, 볼 밀(ball mill),텀블러 믹서(tumbler mixer) 등의 혼합기로 혼합한 뒤 용융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 혼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블랜딩 온도는 섭씨 180도 내지 250도 사이가 적합하다. 융합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충격보강제나 대전방지제를 미리 고농도로 베이스 수지에 배합한 펠렛(pellet)을 성형직전에 혼합하여 성형하는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지 조성물은 충진제, 보강제, 착색제, 활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내열제 및 다른 화합물 성분과 같은 일반적인 열가소성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들에 의하여, 기술 분야의 당 업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발명의 요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용도, 조건 및 구체적인 예에 적합한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및 충격강도 등이 바람직한 물성의 균형을 이루어 사출, 압출, 조립 등의 후가공이 가능하고, 탁월한 내마모특성 및 높은 광택을 가지는 유려한 외관의 외장 소재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가공성, 충격성, 내마모성 및 광택이 매우 우수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어서, 그 자체로 외장재로 가공가능한 PMMA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PMMA계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취성은 ASTM D256에 따라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충격강도가 3kgcm/cm이하이면 조립 시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내스크래치성은 ASTM D3363에 따라 1kg 하중에서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고경도 외장용 소재로서 연필경도 2H 이상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표면 경도는 ASTM D785에 따라 M-Scale 로 측정하였다.
가공성은 ASTM D1238(I)에 의거 230℃, 3.8kg 조건에서 유동성(Melt Flow Index, MI)을 측정하였다. Melt Flow Index가 4 이상인 경우 정밀한 제품에서의 사출 및 압출 등이 가능하다.
수지의 내후성을 평가하기 위해 배합된 조성물을 1mm두께 시험 시편으로 사출하여 최대 4500시간 (ASTM D4329 Cycle C) 동안 촉진된 기후 시험을 수행하였으 며,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색상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색상의 안정성은 ΔE값이 8.0이하, ΔL값이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의 외관 특성은 ASTM D523에 의거 glossmeter를 사용하여 45도 광택도를 측정하였으며, 위의 내후성 평가를 위해 최대 4500시간 촉진 기후 시험이 수행된 샘플의 광택도를 측정하였으며, 광택도가 70% 이상인 경우 외관이 양호하다 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1에 기재된 수지와 첨가성분을 기재된 조성비 함량으로, Evonik사의 카본블랙 HIBLACK 50L 0.2중량부, 징크 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를 각각 첨가하여 PMMA 수지 조성물을 제조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먼저, 표1의 물성을 가지는 수지성분을 혼합하고, 수지 조성물은 32파이 이축 스크류 압출기(L/D:30) (제조사 SM플라텍)을 사용하여 200rpm으로 스크류를 교반하면서 호퍼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투입하였다. 호퍼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하였다. 스크류는 전단부(1~2존)을 180℃로 유지하고 후단부(3~7존)을 210℃로 유지하여 용융 혼련 하였으며, 압출다이의 온도는 235℃로 유지하고 20kg/hr로 압출하고 냉각하고 컷팅하여 펠렛화하였다.
기본물성시험을 평가하기 위한 샘플은 사출성형기(LG전선, 100톤)을 이용하여 노즐온도 220℃에서 1차 사출압력을 100 kg/cm2, 2차 사출 압력을 60 kg/cm2, 배압 10kg/cm2 및 사출시간은 15초로 하고 사출스크류를 100 rpm으로 하여 사출물을 제조하였다. 사출물은 물성 평가를 위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체류 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1. 실시예의 조성 성분 (단위:중량부)
Figure 112007089355180-pat00001
(1) PMMA는 LG MMA사 제품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5중량부와 메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로 구성된 중합물을 사용. (중량평균분자량 120,000)
(2) LG화학의 SIM100 사용.(실리콘 러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구성)
(3) LG화학의 MB838 사용. (부타디엔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
(4) Ciba specialty chemicals 의 Tinuvin P (벤조트리아졸 계 UV안정제)
(5) Ciba specialty chemicals 의 Tinuvin 770(HALS계 안정제) 사용
(6) Shinetsu 화학 공업사의 KF-96-50 사용.(Kinetic viscosity 50cSt, 굴절 률 1.402)
(7) Shinetsu 화학 공업사의 KF-54 사용.(Kinetic viscosity 400cSt, 굴절률 1.505)
표2. PMMA계 성형물의 물성비교
Figure 112007089355180-pat00002
상기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유동 지수가 3이상, 취성이 3이상, 연필경도가 2H 이상으로 정밀 사출 및 압출 가공에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높은 광택 및 장기간 UV노출에도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 3을 비교하였을 때 실리콘 러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Izod 강도가 증가하는 반면, 실리콘 러버 함량이 줄어듦에 따라서는 Izod 강도는 감소하지만 Melt Index, 연필경도, Rockwell 경도 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에서 실리콘 오일 함량에 따른 Izod 강도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안정제 함량 감소에 따라 ΔE, ΔL 값이 높아지나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 실리콘 오일의 종류를 Shinetsu 화학 공업사의 KF-54 (Kinetic viscosity 400cSt, 굴절률 1.505)을 사용하였을 때 실시예1과 비교하여 Izod 충격강도가 소폭 상승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우수한 표면특성, 취성, 내후성 및 광택을 가지는 각종 가전제품 및 건축자재의 외장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HALS계 UV 안정제 처방이 미흡한 경우 ΔE, ΔL 값이 각각 10과 4로 원하는 수준인 8과 2보다 높은 값을 가지며, 광택도 역시 70이하로 만족스러운 색상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에서의 경우 MBS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함에 따라 Izod강도 및 유동성은 성형 가능한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연필경도 및 Rockwell 경도와 같은 표면 특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UV안정제의 충분한 처방에도 불구하고 ΔE, ΔL 값이 각각 12과 5로 원하는 수준인 8과 2보다 높은 값을 가지며, 광택도 역시 70이하로 만족스러운 색상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A) PMMA계 수지;
    상기 PMM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실리콘-아크릴계 충격보강제 5~30중량부;
    (C) 합성윤활유 0.02~1중량부; 및
    (D) UV안정제 0.4~5중량부;
    를 포함하는 PMMA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록산, 스티렌계 방향족 화합물 및 아크릴계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들을 가교제와 중합하여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갖는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충격보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MA계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혹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인 PMMA계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99중량%와 공단량체 1~50중량%의 비로 중합한 것인 PMMA계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상기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실록산과, 상기 스티렌계 방향족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스티렌계 방향족 화합물과, 상기 아크릴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와, 상기 가교제로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고무중합체를 코어물질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수지 입자로서 평균입경은 0.1~0.3㎛이며, 최외층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그라프트된 충격보강제인 PMMA계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윤활유는 실리콘유(silicon oil), 합성 탄화 수소유, 불소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PMMA계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윤활유는 50~5,000cSt의 점도 범위를 가지는 PMMA계 수지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90% 이상의 표면광택과, 2H 이상의 연필경도, 3kJ/㎡ 이상의 아이조드강도, 4g/10min 이상의 유동성을 갖는 PMMA계 수지.
  8. 제 7항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외장성형체.
KR1020070129069A 2007-12-12 2007-12-12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89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69A KR100894671B1 (ko) 2007-12-12 2007-12-12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69A KR100894671B1 (ko) 2007-12-12 2007-12-12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671B1 true KR100894671B1 (ko) 2009-04-24

Family

ID=4075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069A KR100894671B1 (ko) 2007-12-12 2007-12-12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6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89B1 (ko) 2008-07-22 2010-06-07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 및 광택이 우수한캡스톡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WO2011129596A3 (en) * 2010-04-12 2012-03-08 Lg Mma Corp. Impact-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KR101127700B1 (ko) * 2009-12-17 2012-03-2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대형 백라이트 유닛 도광판용 고내열 고강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KR20190068901A (ko) * 2017-12-11 2019-06-19 (주)엘지하우시스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72449A (zh) * 2022-09-30 2023-01-06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紫外线、高韧性的pmma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06714A (zh) * 2022-12-30 2023-03-17 苏州朗建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pmma/c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196A (ja) * 1992-04-20 1993-11-09 Showa Denko Kk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4658B1 (ko) * 1997-12-30 2000-12-15 하영준, 마르코스 고메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충격보강제용 코어-쉘 복합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3792294B2 (ja) * 1996-04-11 2006-07-0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表面外観の優れたシリコーンオイル含有着色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法
KR100788736B1 (ko) 2006-12-18 2008-01-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무도장 외장재용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196A (ja) * 1992-04-20 1993-11-09 Showa Denko Kk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92294B2 (ja) * 1996-04-11 2006-07-0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表面外観の優れたシリコーンオイル含有着色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法
KR100274658B1 (ko) * 1997-12-30 2000-12-15 하영준, 마르코스 고메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충격보강제용 코어-쉘 복합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88736B1 (ko) 2006-12-18 2008-01-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무도장 외장재용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89B1 (ko) 2008-07-22 2010-06-07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 및 광택이 우수한캡스톡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127700B1 (ko) * 2009-12-17 2012-03-2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대형 백라이트 유닛 도광판용 고내열 고강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WO2011129596A3 (en) * 2010-04-12 2012-03-08 Lg Mma Corp. Impact-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KR20190068901A (ko) * 2017-12-11 2019-06-19 (주)엘지하우시스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3544B1 (ko) * 2017-12-11 2021-03-29 (주)엘지하우시스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72449A (zh) * 2022-09-30 2023-01-06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紫外线、高韧性的pmma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572449B (zh) * 2022-09-30 2023-07-07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紫外线、高韧性的pmma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06714A (zh) * 2022-12-30 2023-03-17 苏州朗建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pmma/c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06714B (zh) * 2022-12-30 2024-03-22 苏州朗建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pmma/c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0458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其模制品
KR100511423B1 (ko)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978366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894671B1 (ko)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4000551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962368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20807B1 (ko) 내스크래치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고내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246568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0725940B1 (ko)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CN101072829A (zh) 具有改进的抗积垢形成性的树脂组合物及方法
KR20120066446A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080045798A (ko) 내광성이 우수한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788736B1 (ko) 무도장 외장재용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100804547B1 (ko) 표면광택, 대전방지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30074427A (ko) 유동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2594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83872B1 (ko) 고광택, 고경도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WI388626B (zh) 熱塑性樹脂組成物
KR202100334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10073672A (ko) 캡스톡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960589B1 (ko)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 및 광택이 우수한캡스톡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LU501799B1 (en) Weather-resistant asa-based composite material, co-extruded plastic product and plastic product
CN114269847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包括其的成型品
KR1026428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