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010B1 -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010B1
KR100893010B1 KR1020070049186A KR20070049186A KR100893010B1 KR 100893010 B1 KR100893010 B1 KR 100893010B1 KR 1020070049186 A KR1020070049186 A KR 1020070049186A KR 20070049186 A KR20070049186 A KR 20070049186A KR 100893010 B1 KR100893010 B1 KR 10089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over
input sig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571A (ko
Inventor
진양규
김재곤
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4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010B1/ko
Priority to JP2010506089A priority patent/JP2010525727A/ja
Priority to US12/593,590 priority patent/US8340571B2/en
Priority to PCT/KR2008/002826 priority patent/WO2008143456A1/en
Priority to EP08753621.5A priority patent/EP2158696A4/en
Publication of KR2008010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하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가변 감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변 감쇄기를 포함하고, 가변 감쇄기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가변 감쇄하여 상기 서비스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중계기로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이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중계기 및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계기에 과입력 신호가 수신될 경우 원격으로 중계기의 입력 신호 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중계기의 입력 신호 레벨을 관리할 수 있어 중계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70049186
중계기, 원격, 관리, 가변 감쇄기

Description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 관리 시스템{Variable attenuation method of repeater equipped with attenuator and remote management operating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및 그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중계기 관리 서버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와 그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의 입력 신호 세기를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 장치와 그 감쇄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계기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미약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 고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근래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멀티밴드 중계기가 개발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두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듀얼밴드 중계기는 CDMA 및 WCDMA 중계기의 부품 중 일부를 단일 장비안에 공유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되는 입력 신호의 세기가 일정 레벨보다 큰 세기를 갖는 경우 중계기 작동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므로 입력 신호를 적정 레벨로 낮추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종래에는 중계기의 외부에 감쇄기를 부가적으로 장착하여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적정 레벨의 입력 신호로 조정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외부 감쇄기는 고정된 감쇄값을 갖게 되므로 입력 신호 세기 및 중계기 환경에 따라 변화된 감쇄값을 적용하려면 현장 운용자가 직접 중계기가 설치된 현장을 방문하여 감쇄값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계기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멀티 밴드 중계기의 경우 각 대역에 따라 수신되는 입력 신호의 세기가 다르므로 각 대역의 과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각각 감쇄시킬 수 있는 감쇄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대역 입력 신호의 전파 특성에 따른 감쇄값 조정이 가능한 감쇄 장치를 구비하는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중계기 감쇄 장치의 감쇄값을 원격으로 조정하여 중계기의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순방향 신호처리부, 상기 서비스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역방향 신호처리부, 외부의 입력 값에 의해 설정된 감쇄값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감쇄시켜 상기 순방향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가변 감쇄기,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 처리부의 내부 설정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을 제어하는 중계기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 변경요청을 받아 상기 중계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계기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기 감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받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부를 통해 상기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은 외부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어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의 감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감쇄값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감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가변 감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변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감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가변 감쇄하여 상기 서비스측으로 전달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중계기로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이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받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 변경을 상기 중계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쇄 장치를 구비하는 중계기와 그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및 그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00)는 링크 안테나(110), 급전선 공유기(120, 150), 제1 신호처리부(130), 제2 신호처리부(140), 서비스 안테나(160), 중계기 제어부(170) 및 중계기 감시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계기 제어부(170)가 망관리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이하 'NMS'로 지칭함)인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100), 이동통신망(200) 및 중계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공유기(120)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두 대역(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DMA와 WCDMA로 나타냄)의 RF(Radio Frequency)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제1 신호처리부(130)와 제2 신호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신호 처리부(130)는 CDMA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고, 제2 신호 처리부(140)는 WCDMA 대역의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급전선 공유기(120)는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30, 140)를 통해 각각 신호 처리된 두 대역의 RF 신호를 결합하여 링크 안테나(110)로 듀얼밴드 RF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급전선 공유기(150)는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130, 140)를 통해 신호 처리된 두 대역의 RF 신호를 결합하여 서비스 안테나(160)로 듀얼밴드 RF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급전선 공유기(150)는 서비스 안테나(160)을 통해 서비스측(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두 대역의 RF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제1 신호처리부(130)와 제2 신호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중계기(100)의 제1 신호처리부(130)는 링크 안테나(110)와 급전선 공유기(120)를 통해 CDMA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한다. 그리고 제1 신호처리부(130)는 증폭 및 필터링 처리된 RF 신호를 급전선 공유기(150)로 출력한다. 또한, 제1 신호 처리부(130)는 반대로 서비스측(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기지국(미도시)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제1 신호처리부(130)는 대역 분리기(131), 제1 가변 감쇄기(132), 제1 순방향 신호처리부(133),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34) 및 대역분리기(135)를 포함한다.
대역분리기(131, 135)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서비스 안테나(160)를 통해 서비스측(미도시)으로 출력하기 위한 처리 경로와, 서비스 안테나(160)를 통해 서비스측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처리 경로를 분리시킨다.
제1 순방향 신호처리부(133)는 도면상에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이하 'LNA'로 지칭함) 모듈, 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 및 선형전력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 LPA, 이하 'LPA'로 지칭함)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순방향 신호처리부(133)의 LNA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대역의 입력 RF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한다. 그리고 IF 모듈은 LNA를 통해 증폭된 입력 RF 신호에 대해 이득을 조절하고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다음 필터링하고 다시 주파수를 상향변환하고 증폭하여 동일한 신호로 만들어 출력한다. 그리고 LPA 모듈은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을 증폭하여 대역분리기(135)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34) 역시 LNA 모듈, IF 모듈 및 LPA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34)의 신호 처리의 순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순방향 신호처리부(133)와 반대이다. 즉,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34)의 LNA 모듈은 서비스측(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CDMA 대역의 입력 RF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한다. 그리고 IF 모듈은 LNA를 통해 증폭된 입력 RF 신호에 대해 이득을 조절하고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다음 필터링하고 다시 파수를 상향변환하고 증폭하여 동일한 신호로 만들어 출력한다. 그리고 LPA 모듈은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을 증폭하여 대역분리기(131)로 출력한다.
제1 가변 감쇄기(132)는 대역 분리기(131)와 제1 순방향 신호 처리부(133)의 사이에 위치하며, NMS(170)의 제어를 받아 감쇄값을 가변하는 감쇄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RF 신호의 세기를 감쇄시킨다.
한편, 중계기(100)의 제2 신호처리부(140)는 링크 안테나(110)와 급전선 공유기(120)를 통해 WCDMA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한다. 그 리고 제2 신호처리부(140)는 증폭 및 필터링 처리된 RF 신호를 급전선 공유기(150)로 출력한다. 또한, 제2 신호 처리부(140)는 반대로 서비스측(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기지국(미도시)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제2 신호처리부(140)는 대역분리기(141), 제2 가변 감쇄기(142), 제2 순방향 신호처리부(143), 제2 역방향 신호처리부(144) 및 대역분리기(145)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신호처리부(140)의 각 구성요소들은 처리되는 신호가 WCDMA 대역의 RF 신호인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제1 신호처리부(130)의 각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MS(170)는 중계기(100) 내부의 설정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130, 140)를 제어한다. 이때, NMS(170)가 관리하는 중계기(100)의 내부 설정 데이터는 기준 입력 신호 세기, 기준 출력 신호 세기, 이득값, 제1 가변 감쇄기(132)의 감쇄값 및 제2 가변 감쇄기(142)의 감쇄값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NMS(170)는 중계기 감시부(180)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을 받아 현재 중계기(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 세기, 이득값 및 기준 입력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과입력 판단 정보를 중계기 감시부(180)로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기(100)의 현재 출력 신호 세기란 제1 및 제2 순방향 신호처리부(133, 143)를 통해 출력되는 각 RF 신호 세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NMS(170)는 중계기 감시부(180)로부터 제1 가변 감쇄기(132)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42)의 감쇄값 변경 요청을 받아 내부 설정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던 제1 가변 감쇄기(132)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42)의 감쇄값을 변경 요청을 받은 감 쇄값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NMS(170)는 제1 가변 감쇄기(132)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42)의 감쇄값이 변경 요청을 받은 감쇄값으로 변하도록 제어한다.
중계기 감시부(180)는 중계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무선 데이터 또는 SMS(Short Massage Service)를 통해 중계기(100)의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을 받아 NMS(17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NMS(170)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 데이터 또는 SMS(Short Massage Service)를 통해 중계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중계기 감시부(180)는 NMS(170)부터 수신한 과입력 판단 정보 데이터를 SMS를 포함하는 패킷 형태의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계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다음, 중계기(100)의 감쇄 장치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00)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100), 이동통신망(200) 및 중계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중계기(100)에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두 대역의 입력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적정한 레벨을 초과하는 신호 세기를 갖는 과입력 신호인 경우, 중계기(100)의 제1 가변 감쇄기(132)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42)의 감쇄값의 변경을 제어하여 과입력 신호의 레벨이 기준 입력 신호 세기만큼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계기 관리 서버(300)가 중계기(100)의 제1 또는 제2 감쇄기(132, 142)의 감쇄값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중계기 관리 서버(300)와 중계기(100)는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통신을 한다. 즉, 중계기(100)와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무선 데이터 또는 단문메시지(Short Massage Service: SMS, 이하 'SMS'라 지칭함)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중계기(100)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100)와 중계기 관리 서버(300)간에 SMS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200)과 중계기 관리 서버(300) 사이에 단문메시지센터(Short Massage Service Center: SMSC,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00)의 감쇄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중계기 관리 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과입력 감시부(310),과입력 판단부(320), 과입력 처리부(330) 및 송수신부(340)를 포함한다.
과입력 감시부(310)는 송수신부(340)를 통해 중계기(100)의 중계기 감시부(180)으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과입력 감시부(310)는 중계기 관리 서버(300)의 운영자의 요청을 받아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주기적으로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과입력 판단부(320)는 송수신부(340)를 통해 중계기 감시부(180)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과입력 판단 정보를 분석하고 중계기(100)의 현재 입력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과입력 판단부(320)는 수신된 과입력 판단 정보에서 중계기(100)의 두 대역(CDMA, WCDMA)의 각 현재 출력 신호 세기와 이득값을 이용하여 각 대역의 현재 입력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그리고 과입력 판단부(320)는 산출된 각 대역의 현재 입력 신호 세기와 기준 입력 신호 세기를 각각 비교하여 과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과입력 판단부(320)는 판단된 결과를 과입력 처리부(330)로 전송한다.
과입력 처리부(330)는 수신된 과입력 여부 판단 결과를 확인하고, 과입력 신호로 판단된 대역의 가변 감쇄기의 변경될 감쇄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CDMA 대역의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경우 현재 입력 신호의 세기가 기준 입력 신호의 세기만큼이 되도록 제1 가변 감쇄기(132)의 감쇄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과입력 처리부(300)는 계산된 감쇄값을 포함하는 감쇄값 변경 요청을 송수신부(340)를 통해 중계기 감시부(180)로 전송한다.
송수신부(34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중계기 감시부(180)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무선 데이터로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00)의 감쇄 장치의 가변 감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먼저,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중계기 입력 신호 세기 감시 요청을 받아(S100), 이동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한다(S110). 이때, 중계기 입력 신호 세기 감시 요청을 받는 시점은 중계기 관리 서버(300)의 운용자의 요청을 받는 시점이 될 수 있으며, 중계기 관리 서 버(300)가 자체적으로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런 후,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을 수신한 중계기 감시부(180)는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을 분석하여(S120), NMS(170)로 현재 출력 신호 세기, 이득값 및 기준 입력 신호 세기 정보를 요청한다(S130).
그러면 NMS(170)는 내부 설정 데이터 및 현재 출력 신호 세기를 검출하여(S140), 검출된 정보를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한다(S150).
그런 후, 중계기 감시부(180)는 수신한 과입력 판단 정보를 패킷 형식의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고(S160), 이 무선 데이터 형식의 과입력 판단 정보를 이동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중계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170).
그런 다음,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과입력 판단 정보를 분석하여 중계기(100)의 현재 입력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S180). 이때, 현재 입력 신호 세기는 과입력 판단 정보에 포함된 현재 출력 신호 세기와 이득값을 이용해 산출할 수 있으며, 두 대역(CDMA, WCDMA)의 신호에 대해 각각의 입력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그런 후,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산출된 입력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중계기(100)에 현재 입력되고 있는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과입력 신호로 판단되면 과입력 신호의 레벨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변경될 감쇄값을 계산한다(S190). 이때,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과입력 판단 정보에 포함된 기준 입력 신호 세기와 산출된 입력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산출된 입력 신호 세기가 기준 입력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현재 중계기(100)에 입력되고 있는 신호가 과입력 신호라 판단한다. 그리고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현재 입력 신호 세기가 기준 입력 신호 세기만큼의 레벨이 되도록 하는 변경 감쇄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변경 감쇄값은 산출된 두 대역의 입력 신호 중 과입력으로 판단된 대역의 가변 감쇄기(즉, 제1 또는 제2 가변 감쇄기)의 변경 감쇄값으로 지정된다.
그런 다음, 중계기 관리 서버(300)는 이동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중계기 감시부(180)로 계산된 변경 감쇄값을 포함한 감쇄값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200). 이때, 감쇄값 변경 요청에는 중계기(100)의 제1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32, 142)의 변경될 감쇄값이 포함되어 있으며, 중계기(100)에 입력되고 있는 두 대역의 신호 세기가 둘 다 과입력인 경우 제1 및 제2 가변 감쇄기(132, 142) 모두의 변경 감쇄값이 포함되어 있다.
감쇄값 변경 요청을 수신한 중계기 감시부(180)는 이 요청을 분석하여(S210), NMS(170)로 제1 또는 제2 가변 감쇄기(132, 142)의 감쇄값 변경 요청을 한다(S220).
그러면, NMS(170)는 미리 설정되어 있던 제1 또는 제2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을 변경 요청된 감쇄값으로 조정되도록 제어하고, 내부 설정 데이터에 변경된 감쇄값을 저장한다(S230).
이때, 도 3에서는 중계기 관리 서버(300)가 중계기 감시부(18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계기 감시부(180) 자체에서 주기적으로 중계기(100)의 과입력 판단 정보를 중계기 관리 서버로(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서 단계 S100 내지 단계 S130을 중계기 감 시부(180) 자체에서 주기적으로 NMS(170)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계기(100)가 CDMA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처리부(130)와 WCDMA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중계기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듀얼밴드 중계기뿐만 아니라 하나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중계기 또는 복수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밴드 중계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입력단에 감쇄 장치를 구비하고 이 감쇄 장치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쇄값이 원격으로 제어되는 감쇄 장치를 중계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중계기에 과입력 신호가 수신될 경우 원격으로 중계기의 입력 신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중계기의 입력 신호 레벨을 관리할 수 있어 중계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순방향 신호처리부;
    상기 서비스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역방향 신호처리부;
    외부의 입력 값에 의해 설정된 감쇄값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감쇄시켜 상기 순방향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가변 감쇄기;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 처리부의 내부 설정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을 제어하는 중계기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 변경요청을 받아 상기 중계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계기 감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기 감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받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부를 통해 상기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상기 중계되는 주파수 대역 수만큼의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처리부와 가변 감쇄기를 포함하는 중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배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따른 순방향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제1 급전선 공유기; 및
    상기 각 주파수 대역의 순방향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2 급전선 공유기
    를 포함하는 중계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는,
    상기 중계기의 기준 입력 신호 세기와 상기 순방향 신호처리부에서 현재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순방향 신호처리부의 이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감시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중계기 제어부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중계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7.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어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의 감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감쇄값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감쇄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는,
    기준 입력 신호 세기와 상기 서비스측으로 현재 출력되는 출력 신호 세기 및 이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경우는,
    상기 출력 신호 세기와 상기 이득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입력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 입력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값은,
    상기 입력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 입력 신호 세기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입력 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12. 기지국과 서비스측 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가변 감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변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감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가변 감쇄하여 상기 서비스측으로 전달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중계기로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이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로부터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여기서 과입력 판단 정보 요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임―을 받아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과입력 판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 변경을 상기 중계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서비스측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순방향 신호처리부;
    상기 서비스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역방향 신호처리부;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처리부의 내부 설정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을 제어하는 중계기 제어부; 및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 변경 요청을 받아 상기 중계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계기 감시부
    를 포함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과입력 판단 정보를 상기 중계기 감시부로 요청하는 과입력 감시부;
    상기 중계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입력 판단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쇄값이 변경 감쇄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중계기 감시부로 요청하는 과입력 처리부
    를 포함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는 기준 입력 신호 세기, 상기 하나 이상의 순방향 신호처리부로부터 현재 출력되는 출력 신호 세기 및 이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판단부는,
    상기 출력 신호 세기와 상기 이득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세기와 상기 기준 입력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 입력 신호 세기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신호가 과입력 신호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판단부는,
    상기 과입력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별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의 과입력 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과입력 처리부는,
    상기 과입력 신호로 판단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입력 신호 세기만큼 감쇄되도록하는 변경 감쇄값을 계산하고,
    상기 변경 감쇄값을 포함하는 감쇄값 변경 요청을 상기 중계기 감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070049186A 2007-05-21 2007-05-21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KR10089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86A KR100893010B1 (ko) 2007-05-21 2007-05-21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JP2010506089A JP2010525727A (ja) 2007-05-21 2008-05-21 減衰装置を備えた中継装置の可変減衰方法、及びその遠隔管理システム
US12/593,590 US8340571B2 (en) 2007-05-21 2008-05-21 Repeater equipped with attenuator and variable attenuation method in the repeater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the same
PCT/KR2008/002826 WO2008143456A1 (en) 2007-05-21 2008-05-21 Repeater equipped with attenuator and variable attenuation method in the repeater,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the same
EP08753621.5A EP2158696A4 (en) 2007-05-21 2008-05-21 Repeater equipped with attenuator and variable attenuation method in the repeater,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86A KR100893010B1 (ko) 2007-05-21 2007-05-21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71A KR20080102571A (ko) 2008-11-26
KR100893010B1 true KR100893010B1 (ko) 2009-04-10

Family

ID=4003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186A KR100893010B1 (ko) 2007-05-21 2007-05-21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0571B2 (ko)
EP (1) EP2158696A4 (ko)
JP (1) JP2010525727A (ko)
KR (1) KR100893010B1 (ko)
WO (1) WO20081434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19B1 (ko) * 2015-04-20 2016-07-22 (주)씨알이테크 가변 감쇠기 시스템
KR101766813B1 (ko) 2014-12-29 2017-08-09 주식회사 쏠리드 디지털 입력 오버플로우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97B1 (ko) * 2008-08-22 2010-12-13 주식회사 케이티 인 빌딩에서의 급전선 공유 장치 및 시스템
EP2415184B1 (en) * 2009-02-13 2019-04-10 Nextivity, Inc. Remote control for booster
US8494445B2 (en) * 2010-02-03 2013-07-23 Viasat, Inc. Flexible coverage areas for forward link signals in a spot 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GB2517905A (en) * 2013-08-02 2015-03-11 Vodafone Ip Licensing Ltd Telecommunications Relay Function and Data Aggregator
KR101566304B1 (ko) * 2013-11-21 2015-11-06 주식회사 쏠리드 Mtbf 개선을 위한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0466B1 (ko) * 2013-12-18 2015-07-30 주식회사 쏠리드 역방향 신호 과입력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중계기
US9848370B1 (en) * 2015-03-16 2017-12-19 Rkf Engineering Solutions Llc Satellite beamforming
US9537455B2 (en) * 2015-04-10 2017-01-03 Wilson Electronics, Llc Multiplex detector signal boosters
US10735084B2 (en) * 2017-10-18 2020-08-04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Redund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ensure radio service quality under abnormal conditions
CN116782335B (zh) * 2023-08-23 2023-11-07 陕西通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信号处理方法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11A (ko) * 1994-12-16 1996-07-22 양승택 위성중계기용 디지탈 자동이득 제어장치
JPH11112400A (ja) 1997-09-30 1999-04-23 Japan Radio Co Ltd 中継放送機
KR20040108288A (ko) * 2003-06-17 2004-12-23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KR20070012704A (ko) * 2004-05-13 2007-01-26 위데피, 인코포레이티드 검출 및 매체 접속 제어를 갖는 비-주파수 변환 리피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1385C2 (sv) 1996-03-04 1999-09-20 Allgon Ab Sätt och anordning för övervakning av en mobiltelefonrepeater
JPH10313271A (ja) 1997-05-12 1998-11-24 Kokusai Electric Co Ltd 周波数選択形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0316685B1 (ko) 1999-07-23 2001-12-12 박춘호 Rf 중계기의 전후방감쇄 자동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3782616B2 (ja) * 1999-08-31 2006-06-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ブースター、監視装置、ブースター・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監視方法
JP2001156562A (ja) 1999-11-24 2001-06-08 Nec Corp Agc回路
JP3689625B2 (ja) 2000-09-14 2005-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
KR200306599Y1 (ko) 2002-12-18 2003-03-11 조승호 감쇄기를 구비한 중계기
JP2006217408A (ja) * 2005-02-04 2006-08-17 Fujitsu Ltd 信号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11A (ko) * 1994-12-16 1996-07-22 양승택 위성중계기용 디지탈 자동이득 제어장치
JPH11112400A (ja) 1997-09-30 1999-04-23 Japan Radio Co Ltd 中継放送機
KR20040108288A (ko) * 2003-06-17 2004-12-23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KR20070012704A (ko) * 2004-05-13 2007-01-26 위데피, 인코포레이티드 검출 및 매체 접속 제어를 갖는 비-주파수 변환 리피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13B1 (ko) 2014-12-29 2017-08-09 주식회사 쏠리드 디지털 입력 오버플로우 처리 장치
KR101641019B1 (ko) * 2015-04-20 2016-07-22 (주)씨알이테크 가변 감쇠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5727A (ja) 2010-07-22
US8340571B2 (en) 2012-12-25
WO2008143456A1 (en) 2008-11-27
KR20080102571A (ko) 2008-11-26
EP2158696A1 (en) 2010-03-03
US20100120356A1 (en) 2010-05-13
EP2158696A4 (en)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010B1 (ko)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EP21364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CA2566642C (en)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s with oscillation detection circuit
CA2566784C (en)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oscillation within cellular network amplifiers
US8515339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US10236921B1 (en) Signal booster device,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ignal booster device
US20060209997A1 (en) Amplifiers with cutoff circuit to avoid overloading cellular network sites
CN104169815A (zh) 验证并减轻放大器中的振荡
KR20110040201A (ko) 간섭 제거 중계기의 자동 이득 보상 방법
KR10089063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rf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CN101742631B (zh) 一种解决移动体覆盖的直放站及其控制方法
KR20050049456A (ko) 시분할 방식 중계기에 있어 업 다운 링크 공용화 방법
KR20030067077A (ko)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JP4886595B2 (ja) 移動通信リピータ装置、子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767311B1 (ko)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 도너 및 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도너에서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방법
KR101069084B1 (ko) 와이브로 시스템의 rf 중계기에서 프리앰블을 이용한자동이득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rf 중계기
JP2008205576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500047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
CN112953586A (zh) 数据传输系统以及用于操作数据传输系统的方法
KR20060057431A (ko) 기지국에서의 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29785B1 (ko)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 및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의 이득자동 설정 방법
KR20100094315A (ko) 무선통신망의 중계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