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077A -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077A
KR20030067077A KR1020020006892A KR20020006892A KR20030067077A KR 20030067077 A KR20030067077 A KR 20030067077A KR 1020020006892 A KR1020020006892 A KR 1020020006892A KR 20020006892 A KR20020006892 A KR 20020006892A KR 20030067077 A KR20030067077 A KR 2003006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filter
output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락준
최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2000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077A/ko
Publication of KR2003006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옥내형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주 중계장치에 다수개의 부 중계장치가 접속되되, 상기 부 중계장치들의 수신전력레벨을 검출하여 서비스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옥내형 중계장치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음영지역에 하나의 주 중계장치만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음영지역이 인접해 있는 경우 하나의 주 중계장치에 하나의 부 중계장치만을 접속하여 음영지역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소규모 음영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다수개의 주 중계장치가 소요되어 비용이 상승하고 효과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정 음영지역에 사용자가 집중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을 가변할 수가 없어 통화품질이 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주 중계장치에 다수개의 부 중계장치를 접속하여 서로 인접해 있는 소규모 음영지역들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부 중계장치들이 수신전력레벨 검출 및 제어회로를 구비함으로써 통화량이 증가하는 경우 서비스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통화량을 분산시킬 수 있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Intelligent distribution antenna system for in-building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옥내(indoor)형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주 중계장치(master)에 다수개의 부 중계장치(slave)가 접속되되, 상기 부 중계장치들의 수신전력레벨을 검출하여 서비스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옥내형 중계장치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음영지역에 하나의 주 중계장치만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음영지역이 인접해 있는 경우 하나의 주 중계장치에 하나의 부 중계장치만을 접속하여 음영지역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소규모 음영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다수개의 주 중계장치가 소요되어 비용이 상승하고 효과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정 음영지역에 사용자가 집중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을 가변할 수가 없어 통화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주 중계장치(master)에 다수개의 부 중계장치(slave)를 접속함으로써 서로 인접해 있는 소규모 음영지역들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상기 주 중계장치가 부 중계장치들의 수신전력레벨을 검출하여 통화량이 증가하는 부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통화량을 분산시킬 수 있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중계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수신신호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자동 이득 조정부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수신부의 UHF 입력레벨 변화에 대한 RSSI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건물 102. 주 중계장치
103. 케이블 104. 분배수단
105. 부 중계장치 1 105-1. 서비스 영역 1
106. 부 중계장치 2 106-1. 서비스 영역 2
107. 부 중계장치 n 107-1. 서비스 영역 n
108. 단말기 201. 제 1 듀플렉서
203. 제 1 대역통과 필터 204. 제 1 저잡음 증폭기
205. 제 1 믹서 206. 제 1 표면탄성파 필터
207. 제 1 가변 감쇠기 208. 제 1 IF 필터
209. 제 1 IF 증폭기 216. 제 2 듀플렉서
221. 제 2 IF 필터 227. 제 1 증폭기
223. 제 2 표면탄성파 필터 224. 제 2 가변 감쇠기
225.제 2 믹서 226. 제 2 대역통과 필터
222. 제 2 IF 증폭기 301. 제 3 듀플렉서
302. 제 3 IF 필터 305. 제 3 IF 증폭기
306. 제 3 가변 감쇠기 307. 제 3 믹서
308. 제 3 대역통과 필터 309. 제 2 증폭기
311. 제 4 듀플렉서 312. 안테나
313. 수신신호 처리부 314. CPU
315. 제 4 가변 감쇠기 401. 제 2 저잡음 증폭기
402. 플로우 감쇠기 403. UHF 필터
404. 제 3 저잡음 증폭기 405. 제 4 믹서
406. 제 1 저대역 통과필터 407. 제 3 표면탄성파 필터
408. 가변 이득 증폭기 409. 제 2 저대역 통과필터
410. 제 4 IF 증폭기 411. CPU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주 중계장치와;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1을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1과;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2를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2와;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n을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n과; 상기 주 중계장치와 상기 부 중계장치 1 내지 부 중계장치 n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및 (n-1)개의 분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 1 듀플렉서와;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통과대역으로 여파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여파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고주파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1 믹서와; 상기 제 1 믹서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1 표면탄성파 필터와; 상기 제 1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1 가변 감쇠기와;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주는 제 1 IF 필터와; 상기 제 1 IF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제 1 IF 증폭기와; 상기 제 1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전송선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선로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제 2 IF 필터와; 상기 제 2 IF 필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 2 IF 증폭기와; 상기 제 2 IF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2 표면탄성파 필터와; 상기 제 2 표면탄성파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2 가변 감쇠기와;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2 믹서와; 상기 제 2 믹서의 출력에서 원하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2 대역통과 필터; 및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제 1 듀플렉서로 출력하여 주는 제 1 증폭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 중계장치는 상기 주 중계장치와 전송선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도록 하는 제 3 듀플렉서와; 상기 제 3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된 중간 주파수대 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3 IF 필터와; 상기 제 3 IF 필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3 IF 증폭기와; 상기 제 3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3 가변 감쇠기와;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믹서와; 상기 제 3 믹서의 출력신호를 조정하는 제 4 가변 감쇠기와;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의 출력신호로부터 원하는 고주파대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하는 제 3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3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주는 제 2 증폭기와;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안테나와; 상기 제 2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안테나로 신호를 전송하여 주고,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여 주는 제 4 듀플렉서와; 상기 제 4 듀플렉서를 통해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하는 수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신호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 중계장치에 구비된 수신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 4 듀플렉서를 통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소정의 값으로 감쇠시키는 플로우 감쇠기와; 상기 플로우 감쇠기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UHF 필터와; 상기 UHF 필터의 출력을 저잡음 증폭하는 제 3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를 제 1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4 믹서와; 상기 제 4 믹서의 출력신호를 저대역 통과시키는 제 1 저대역 통과필터와; 상기 제 1 저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제 1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3 표면탄성파 필터와; 상기 제 3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변화시키는 가변 이득 증폭기와;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2 저대역 통과필터와; 상기 제 2 저대역 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제 4 IF 증폭기; 및 상기 제 4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각부 특성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 가변 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는 기지국의 전파가 미치지 않는 대형 건물(101) 등에 기지국과 접속되는 주 중계장치(102)를 설치하고, 케이블(103)과 분배수단(104)에 의해 각 층에 설치된 부 중계장치(105 내지 107)를 연결하여 단말기(108)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각각의 부 중계장치(105 내지 107)는 해당되는 서비스 영역(105-1 내지 107-1)을 커버하되, 수신단에 무선신호레벨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수신되는 신호전력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서비스 영역을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중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되어지는 고주파 신호는 주 중계장치의 제 1 듀플렉서(201)로 입력된다. 상기 제 1 듀플렉서(201)를 통해 입력된 고주파대의 신호는 제 1 대역통과 필터(203)에 의해 소정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되어 제 1 저잡음 증폭기(204)를 통해 저잡음 증폭된 후, 제 1 믹서(205)에서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하향 변환되며, 중간 주파수대로 변환된 신호는 제 1 표면탄성파 필터(206)에서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되고 나머지 대역은 필터링 된다.
제 1 가변 감쇠기(207)는 상기 제 1 표면탄성파 필터로부터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킴으로써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의 출력신호는 제 1 IF 필터(208)를 거쳐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된 후 제 1 IF 증폭기(209)에서 증폭되고 전송선로를 통해 각각의 부 중계장치로 전송된다. 제 2 듀플렉서(216)는 상기 제 1 IF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건물내에 구비된 IF 선로망(예로써 케이블 TV망 등)을 통해 각각의 부 중계장치로 송신한다.
이와는 달리, 제 2 듀플렉서(216)는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부 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제 2 IF 필터(221)를 통해 소정의 대역으로 필터링된후 제 2 IF 증폭기(222)를 통해 저잡음 증폭되어 제 2 표면탄성파 필터(223)를 통해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된다. 여파된 신호는 제 2 가변 감쇠기(224)를 통해 소정의 양만큼 감쇠되고, 제 2 믹서(225)를 통해 고주파대의 신호로 상향 변환되어 제 2 대역통과 필터(226)에 의해 여파되고, 제 1 증폭기(227)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제 1 듀플렉서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와같은 주 중계장치는 자체적으로 트래픽(traffic)을 할당할 수 없으며, 기지국의 할당된 트래픽을 그대로 이용하게 되므로 설치시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IF 선로망을 통해 전송되는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는 부 중계장치의 제 3 듀플렉서(301)를 통해 입력되어진다. 상기 제 3 듀플렉서(30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 3 IF 필터(302)는 원하는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만을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고, 여파된 신호는 제 3 증폭기(305)에서 소정의 이득으로 전력 증폭되고, 제 3 가변 감쇠기(306)에서 소정의 비율로 감쇠된다.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 3 믹서(307)를 통해 고주파대의 신호로 상향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는 후술하는 CPU의 제어를 받아 제 4 가변 감쇠기에 의해서 순방향 전력을 정확히 제어하여 제 2 대역통과필터(308)를 거쳐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된다. 여파된 신호는 제 2 증폭기(309)에서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되어 제 4 듀플렉서(311)와 안테나(312)를 통해 음역지역으로 복사된다.
한편, 단말기가 송신하는 고주파 신호는 상기 안테나(312)를 통해 제 4 듀플렉서(311)로 수신되어 후술하는 수신신호 처리부(313)에 의해 신호처리된후 제 3 듀플렉서(301)를 거쳐 IF 선로망을 통해 주 중계장치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수신신호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상기 부 중계장치에 구비된 수신신호 처리부(313)는 상기 제 4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제 2 저잡음 증폭기(401)에 의해 저잡음 증폭하고,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은 플로우 감쇠기(402)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감쇠시켜 UHF 필터(403)로 필터링한 다음 제 3 저잡음 증폭기(404)에 의해 다시 증폭된다.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는 제 4 믹서(405)에 의해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되어 제 1 저대역 통과필터(406)에 의해 저대역 통과시키고, 상기 제 1 저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제 3 표면탄성파 필터(407)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 3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는 가변 이득 증폭기(408)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증감되며,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다시 제 2 저대역 통과필터(409)에 의해 저대역 통과되어 제 4 IF 증폭기(410)가 소정 이득으로 전력 증폭한 후 상기 제 3 듀플렉서(301)를 거쳐 IF 선로망을 통해 주 중계장치로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제 4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CPU(411)가 검출하여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315)를 제어함으로써 자동 이득조정을 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자동 이득 조정부의 회로도로서 상기 대수 증폭기는 통상의 회로를 구성하거나 전용 칩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nalog Device사의 대수 증폭기 AD8307AR을 사용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 중계장치의 수신부의 UHF 입력레벨 변화에 대한 RSSI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F 신호를 대수 증폭기를 사용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였을때 입력 레벨의 변화에 따른 RSSI 변화는 선형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 중계장치는 가입자의 수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주 중계장치에 다수개의 부 중계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서로 인접해 있는 소규모 음영지역들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상기 주 중계장치가 부 중계장치들의 수신전력레벨을 검출하여 통화량이 증가하는 부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통화량을 분산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주 중계장치;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1을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1;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2를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2;
    상기 주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서비스 영역 n을 커버하기 위한 부 중계장치 n;
    상기 주 중계장치와 상기 부 중계장치 1 내지 부 중계장치 n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및 (n-1)개의 분배수단을 갖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통과대역으로 여파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여파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상기 고주파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1 믹서;
    상기 제 1 믹서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1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제 1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1 가변 감쇠기;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1 IF 필터;
    상기 제 1 IF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제 1 IF 증폭기;
    상기 제 1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전송선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선로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듀플렉서;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제 2 IF 필터;
    상기 제 2 IF 필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 2 IF 증폭기;
    상기 제 2 IF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2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제 2 표면탄성파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2 가변 감쇠기;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대의 신호로 변환하여출력하여 주는 제 2 믹서;
    상기 제 2 믹서의 출력에서 원하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2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제 1 듀플렉서로 출력하여 주는 제 1 증폭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중계장치는,
    상기 주 중계장치와 전송선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도록 하는 제 3 듀플렉서;
    상기 제 3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된 중간 주파수대 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3 IF 필터;
    상기 제 3 IF 필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3 IF 증폭기;
    상기 제 3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쇠시키는 제 3 가변 감쇠기;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믹서;
    상기 제 3 믹서의 출력신호를 조정하는 제 4 가변 감쇠기;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의 출력신호로부터 원하는 고주파대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하는 제 3 대역통과 필터;
    상기 제 3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주는 제 2 증폭기;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안테나;
    상기 제 2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안테나로 신호를 전송하여 주고,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여 주는 제 4 듀플렉서;
    상기 제 4 듀플렉서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하는 수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신호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 4 가변 감쇠기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 4 듀플렉서를 통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소정의 값으로 감쇠시키는 플로우 감쇠기;
    상기 플로우 감쇠기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UHF 필터;
    상기 UHF 필터의 출력을 저잡음 증폭하는 제 3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를 제 1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4 믹서;
    상기 제 4 믹서의 출력신호를 저대역 통과시키는 제 1 저대역 통과필터;
    상기 제 1 저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제 1 중간 주파수 대역의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3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제 3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변화시키는 가변 이득 증폭기;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여 주는 제 2 저대역 통과필터;
    상기 제 2 저대역 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제 4 IF 증폭기; 및 상기 제 4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플로우 감쇠기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신호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 4 가변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부 중계장치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제 4 IF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플로우 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부 중계장치의 서비스 영역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KR1020020006892A 2002-02-06 2002-02-06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KR20030067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92A KR20030067077A (ko) 2002-02-06 2002-02-06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92A KR20030067077A (ko) 2002-02-06 2002-02-06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77A true KR20030067077A (ko) 2003-08-14

Family

ID=2780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892A KR20030067077A (ko) 2002-02-06 2002-02-06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0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73B1 (ko) * 2002-10-22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변 통신 반경 제어장치
KR100712652B1 (ko) * 2004-04-19 2007-05-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인-빌딩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를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878998B1 (ko) * 2007-05-22 2009-01-15 양영석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0970036B1 (ko) * 2008-01-25 2010-07-16 강창민 무선화된 임원 및 간부직원의 부재여부 표시장치
CN110445543A (zh) * 2019-08-22 2019-11-12 和源通信(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中继拉远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73B1 (ko) * 2002-10-22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변 통신 반경 제어장치
KR100712652B1 (ko) * 2004-04-19 2007-05-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인-빌딩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를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878998B1 (ko) * 2007-05-22 2009-01-15 양영석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0970036B1 (ko) * 2008-01-25 2010-07-16 강창민 무선화된 임원 및 간부직원의 부재여부 표시장치
CN110445543A (zh) * 2019-08-22 2019-11-12 和源通信(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中继拉远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19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US10630327B2 (en) Uplink noise minimization
US4849963A (en) Cellular radio telephone enhancement circuit
CN1089511C (zh) 蜂窝无线电系统、中继器和基站
AU770706B2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KR100893010B1 (ko)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JPH10126325A (ja) リピータ
JPH07336294A (ja) セルラ無線基地局装置
KR20030067077A (ko) 서비스 영역 가변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KR100862370B1 (ko) 듀얼밴드 비대칭 간선 중개장치
JP4516044B2 (ja) 受信システム
JPH0766775A (ja) 中継増幅装置
WO2005034554A1 (ja) リピータ
US8462830B2 (en)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with spreading
KR101082346B1 (ko)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JP2000031876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100267190B1 (ko) 이동통신 기지국 하향주파수 변환기의 프론-엔드 장치
CA2452267A1 (en) Transmitter circuit architecture for reducing in-band noise in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KR100691376B1 (ko)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KR20010097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KR20070017843A (ko)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
KR100796282B1 (ko) 옥내용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KR200199765Y1 (ko) 이득조정기능을 갖는 무선중계기용 채널선택장치와, 이를이용한 채널선택형 무선중계기
JPH09233010A (ja) 移動無線周波数選択形中継装置
JP20001653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