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16B1 - 원심분리 튜브 - Google Patents

원심분리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316B1
KR100890316B1 KR1020070062388A KR20070062388A KR100890316B1 KR 100890316 B1 KR100890316 B1 KR 100890316B1 KR 1020070062388 A KR1020070062388 A KR 1020070062388A KR 20070062388 A KR20070062388 A KR 20070062388A KR 100890316 B1 KR100890316 B1 KR 10089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main tube
separation
separat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644A (ko
Inventor
김건영
지성훈
박경우
고용권
최종원
박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316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04B7/14Inserts, e.g. armouring plates for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원심분리되어 침전된 제1 분리시료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의 원심분리 튜브가 개시된다.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원심분리 튜브는, 제1 분리시료와 상기 제1 분리시료보다 비중이 작은 제2분리시료가 혼합된 시료를 수용하여 원심분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침전되도록 일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태를 갖는 포집부가 형성된 메인튜브 및 상기 메인튜브 내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메인튜브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1 분리시료를 수용하는 테프론 재질의 리셉터클을 구비한다. 따라서, 원심분리된 제1 분리시료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높은 회수율로 상기 제1 분리시료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심분리기, 원심분리 튜브, 리셉터클

Description

원심분리 튜브{Tube for Centrifu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심분리 튜브의 원심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심분리 튜브 11: 메인튜브
13: 포집부 15: 캡
20: 리셉터클 21: 그립부
23: 수용부 30: 시료
31: 제1 분리시료 32: 제2 분리시료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심분리를 위한 시료를 수용하고, 원심분리된 시료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원심분리 튜브에 관한 것이다.
원심분리법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을 분리, 정제, 농축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원심분리법은 분리방식과 여과방식의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식은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미립자, 콜로이드 등의 부유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방식은 필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특히, 상기 분리방식에 따른 원심분리법은 부유물이 포함된 용액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부유물이 침전되어 상기 부유물과 용액을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원심분리법이라 함은 상기 분리방식에 따른 원심분리법을 말한다.
상기 원심분리법에는 용량별로 규격화되어 있는 메인튜브가 사용된다.
상기 메인튜브에 분리하고자 하는 시료를 채우고 상기 메인튜브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과 비중의 차이로 인해 상기 메인튜브의 바닥에는 상기 부유물이 침전되고, 상기 메인튜브의 상부에는 상기 용액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액을 따라 냄으로써 상기 용액과 상기 부유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원심분리법은 분리하고자 하는 목적이 상기 용액인 경우에는 상기 메인튜브에서 상기 용액을 따라 냄으로써 상기 용액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분리하고자 하는 목적이 상기 침전물인 경우에는 상기 침전물을 완전히 회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침전물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시약 스푼 등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튜브 바닥에서 상기 침전물을 떠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침전물 을 떠내는 방법으로는 상기 침전물을 완전히 회수하기가 어렵다. 특히, 상기 시료 또는 상기 침전물의 양이 적은 경우나, 상기 침전물을 완전히 회수해야 하는 경우에는 회수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침전물이 전량 회수되지 못하면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침전물을 전량 회수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회수 절차를 더 거쳐야 한다. 즉, 시약 스푼을 이용하여 상기 침전물을 일차적으로 회수한 후, 증류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튜브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메인튜브에 잔존하는 침전물을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잔존 침전물의 회수 과정에서 상기 침전물의 성질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전물의 회수가 용이하고 전량 회수가 가능한 원심분리 튜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전물의 회수가 용이한 원심분리 튜브는, 제1 분리시료와 상기 제1 분리시료보다 비중이 작은 제2분리시료가 혼합된 시료를 수용하여 원심분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침전되도록 일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태를 갖는 포집부가 형성된 메인튜브 및 상기 메인튜브 내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메인튜브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1 분리시료를 수용하는 테프론 재질의 리셉터클을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튜브에서 상기 수용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튜브는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침전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메인튜브의 일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포집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포집된 상기 제1 분리시료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반구형 요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메인튜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튜브의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립부는 상기 메인튜브의 개구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캡에 가압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상기 시료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소정의 연성을 갖는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 튜 브에 대해 설명한다.
원심분리 튜브(20)는, 시료(30)를 수용하여 원심분리가 수행되는 메인튜브(11)와, 상기 메인튜브(11) 내에 수용되어 상기 시료(30)로부터 원심분리된 제1 분리시료(31)를 회수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20)을 포함한다.
상기 시료(30)는 소정의 비중을 갖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와, 상기 제1 분리시료(31)보다 비중이 작은 제2 분리시료(32)가 혼합된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분리시료(32)는 용액이고, 상기 제1 분리시료(31)는 상기 제2 분리시료(32)에 비해 비중이 큰 부유물이다. 따라서, 상기 시료(30)를 원심분리하면 비중이 큰 상기 제1 분리시료(31)는 상기 메인튜브(11)의 바닥에 침전되고, 비중이 작은 상기 제2 분리시료(32)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의 상부에 층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튜브(11)는 상기 시료(30)가 수용 가능한 실린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메인튜브(11)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의 침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의 포집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료(3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분리시료(31)는 원심력과 비중차의 작용에 의해 상기 포집부(13)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메인튜브(11) 바닥에 침전된다.
상기 메인튜브(11)의 개방된 단부에는 캡(15)이 구비된다. 상기 캡(15)은 원심분리시 상기 시료(30)가 상기 메인튜브(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튜브(11)의 단부에 대응되어 상기 메인튜브(30)를 밀폐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특히, 상기 캡(15)은 원심분리시 상기 시료(30)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성이 우수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캡(15)은 상기 메인튜브(11)의 개구부를 덮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캡(15)의 외측은 상기 메인튜브(11)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15)과 상기 메인튜브(11) 사이의 접촉면에는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sealling)(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20)은 상기 메인튜브(11) 내에 수용되어 상기 원심분리된 제1 분리시료(31)가 수용되는 수용부(23)와, 상기 리셉터클(20)을 상기 메인튜브(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그립부(2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20)은 상기 시료(30)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시료(30)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상기 시료(30)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클(20)은 화학적 비활성 특성이 우수한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20)은 상기 메인튜브(11) 내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료(30)의 원심분리 시 상기 리셉터클(20)이 상기 메인튜브(11)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분리되는 제1 분리시료(31)가 전량 상기 수용부(23)로 포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클(20)은 소정 연성을 갖는 테프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30)의 원심분리시 상기 메인튜브(11) 내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23)는 상기 포집부(13)에 밀착되도록 상기 포집부(13)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내측으로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요 입부를 갖는다. 즉, 상기 수용부(23)는 내측에 반구형 요입부가 형성된 원추형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부(23)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를 상기 수용부(23)로부터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3)의 내측이 요입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용부(23)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분리시료(31)가 수용 가능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부(21)는 상기 수용부(23)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튜브(11)의 개구부까지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1)는 상기 리셉터클(20)을 상기 메인튜브(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가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리셉터클(20)이 상기 메인튜브(11)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적어도 상기 메인튜브(11)의 개구된 단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부(21)는 상기 캡(15)이 상기 메인튜브(15)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캡(15) 내측에 가압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를 상기 메인튜브(11) 내측에 가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 튜브(1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메인튜브(11)에 분리하고자 하는 시료(30)를 채우고 상기 캡(15)으로 상기 메인튜브(11)를 밀폐시킨 후, 상기 메인튜브(11)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원심력과 상기 제1 분리시료(31)와 상기 제2 분리시료(32)의 비중차로 인해 상기 메인튜브(11)의 바닥에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가 침전되어 상기 제1 분리시료(31) 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리시료(31) 상부에는 상기 제2 분리시료(32) 층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튜브(11)를 기울여 상기 제2 분리시료(32) 층을 따라내서 분리하면, 상기 메인튜브(11) 내에는 상기 제1 분리시료(31) 층만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20)을 상기 메인튜브(11)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리셉터클(20)에 침전된 상기 제1 분리시료(31)를 회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리시료(31)는 시약 스푼을 이용하여 상기 리셉터클(20)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리셉터클을 삽입한 상태에서 원심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리셉터클을 메인튜브에서 분리함으로써 원심분리된 제1 분리시료를 용이하게 전량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 만으로 상기 제1 분리시료를 전량 회수할 수 있어, 시료의 원심분리 및 제1 분리시료의 회수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메인튜브의 구조 변경이 불필요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분리시료와 상기 제1 분리시료보다 비중이 작은 제2분리시료가 혼합된 시료를 수용하여 원심분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침전되도록 일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태를 갖는 포집부가 형성된 메인튜브; 및
    상기 메인튜브 내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메인튜브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1 분리시료를 수용하는 테프론 재질의 리셉터클;
    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포집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분리시료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포집된 상기 제1 분리시료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형성된 반구형 요입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튜브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그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메인튜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튜브의 개구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튜브.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튜브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튜브.
KR1020070062388A 2007-06-25 2007-06-25 원심분리 튜브 KR10089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88A KR100890316B1 (ko) 2007-06-25 2007-06-25 원심분리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88A KR100890316B1 (ko) 2007-06-25 2007-06-25 원심분리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44A KR20080113644A (ko) 2008-12-31
KR100890316B1 true KR100890316B1 (ko) 2009-03-26

Family

ID=4037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88A KR100890316B1 (ko) 2007-06-25 2007-06-25 원심분리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49B1 (ko) * 2010-12-28 2014-08-21 한국세라믹기술원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763A (ja) 1998-09-01 2000-03-07 Toshimasa Yamamoto 分離部材と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KR20010114105A (ko) * 2000-06-21 2001-12-29 이순욱 상하 개폐식 원심 분리 튜브
JP2002058469A (ja) * 2000-08-21 2002-02-2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ペレット分取チューブ
JP2006289222A (ja) 2005-04-08 2006-10-26 Dai Ichi Seiyaku Co Ltd 実験用小動物の骨髄採取方法及び骨髄採取用遠心分離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763A (ja) 1998-09-01 2000-03-07 Toshimasa Yamamoto 分離部材と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KR20010114105A (ko) * 2000-06-21 2001-12-29 이순욱 상하 개폐식 원심 분리 튜브
JP2002058469A (ja) * 2000-08-21 2002-02-2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ペレット分取チューブ
JP2006289222A (ja) 2005-04-08 2006-10-26 Dai Ichi Seiyaku Co Ltd 実験用小動物の骨髄採取方法及び骨髄採取用遠心分離チュ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49B1 (ko) * 2010-12-28 2014-08-21 한국세라믹기술원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44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2788B (zh) 处理流体的方法和流体处理装置
KR100767448B1 (ko) 원심분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1366657B1 (ko) 검체 용기
EP2511011A2 (en) Centrifuge tube
US201001117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luid from a fluid absorbing element
JPH057658B2 (ko)
JP2007170997A (ja) ウィルス浮遊液の採取方法
US20110230328A1 (en) Centrifuge container
KR100890316B1 (ko) 원심분리 튜브
JP2014508949A (ja) 液体サンプルの上澄みを除去する器具及び方法並びに可溶性メンブレンを有する弁装置の使用
KR20120123816A (ko) 분리형 원심분리 튜브
US20120087847A1 (en) Filtering tube and microtube for the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mall sample volumes
JP7431809B2 (ja) 濾過装置
CN106140494A (zh) 一种离心时使用的特殊底开口离心管装置
KR101409333B1 (ko) 세포 검사 도말을 위한 검체 처리 용기
JP5820809B2 (ja) 試料の一部分を分離するための管
CN109939841A (zh) 一种实验用离心沉淀装置
CN105132277B (zh) 一种新型淋巴细胞分离管
KR102482029B1 (ko) 멤브레인 원심분리 농축기
KR20120123817A (ko) 필터링이 가능한 원심분리 튜브
KR102116966B1 (ko) 검체 용기
KR101953868B1 (ko) 시료의 채취 및 성분별 분리가 용이한 원심분리키트
KR101588754B1 (ko) 원심분리용 튜브
CN218308014U (zh) 一种插片式过滤离心管
CN216910630U (zh) 离心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