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149B1 -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149B1
KR101432149B1 KR1020100136274A KR20100136274A KR101432149B1 KR 101432149 B1 KR101432149 B1 KR 101432149B1 KR 1020100136274 A KR1020100136274 A KR 1020100136274A KR 20100136274 A KR20100136274 A KR 20100136274A KR 101432149 B1 KR101432149 B1 KR 10143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removal member
present
deposi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444A (ko
Inventor
최기인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3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1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알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원심분리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의 바닥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퇴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Precipitate Removal Member For Centrifugation Vial}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의 바이알의 세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심분리기의 바이알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원심분리기는 현탁액(懸濁液) 또는 유체에 녹은 물질의 농축과 정제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회전하는 용기에서 현탁액보다 밀도가 더 높은 현탁 입자는 가장자리로 퍼지려고 하고, 밀도가 작은 것은 중심으로 모인다. 만약 모든 입자가 원심분리기의 용기 바깥쪽 벽에 몰릴 때까지 원심분리가 계속된다면, 현탁매질과 현탁입자는 실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데, 크기가 다른 현탁 입자를 2개의 무리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큰 입자들이 침전물로 완전히 뭉쳐지도록 오랫동안 원심분리를 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작고 많은 입자들이 유체 속에 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원심 분리기로 고형 입자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경우, 고형 입자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 오랜 시간 원심분리를 행하면, 고형 입자는 원심 분리용 용기의 벽면에 들러 붙게 된다.
도 1은 종래 통상의 실린더형 바이알(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이알의 구성 부분은 마개(12) 및 바디(14)로 구분할 수 있다. 바이알의 마개(12) 및 바디(14)는 글래스, PP, P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마개와 바디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바이알(10)로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 바디의 하부 바닥면(20)에는 퇴적물이 침전되는데, 원심 분리의 회전 속도 및 원심 분리 시간에 따라 퇴적물은 응집되어 바닥면에 매우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이알의 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밖에 없는데, 입구가 협소하고 입구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가 멀어 통상의 바이알의 경우 퇴적물의 완전한 세척이 매우 어렵다. 특히, 바이알 바닥면의 선단부(A)에 퇴적된 퇴적물의 경우 세척이 더욱 곤란하다.
이와 같이 퇴적된 퇴적물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고 바이알이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후속 실험에서는 퇴적물이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실험 결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알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원심분리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의 바닥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퇴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거 부재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부재는 글래스, PP 및 PE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퇴적부는 상면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퇴적부는 상면이 편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의 바닥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퇴적부와 상기 퇴적부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바이알의 마개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바이알 마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거 부재의 제거와 동시에 바이알 내부에 퇴적된 퇴적물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되며, 연속적인 시험에서 바이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퇴적물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실험 정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원심분리기용 바이알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거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거 부재가 바이알 내부에 인서트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퇴적물 제거 부재(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거 부재(30)는 손잡이부(32), 기둥부(34) 및 퇴적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거 부재(30)는 각 부분이 하나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별개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32)와 상기 기둥부(34) 및/또는 상기 기둥부(34)와 퇴적부(36) 사이에는 적절한 연결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그 연결 수단은 나사 결합이거나 끼워 맞춤 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32)는 상기 제거 부재(30)를 원심 분리 바이알 내로 인서트하거나 리프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손잡이부(32)는 도우넛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상기 손잡이부(32)는 다양한 그립을 제공하기 위해 고리형 또는 T형 등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퇴적부(36)는 원심 분리 바이알 바디의 하부 바닥면(도 1의 20)과 접촉한다. 상기 퇴적부(36)가 하부 바닥면과 원활히 접촉하기 위해 상기 퇴적부(36)의 접촉면은 바디의 바닥면(20)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바이알 바닥면(20)이 원추형일 경우, 상기 퇴적부(36) 접촉면도 원추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이알 바닥면(20)이 반구형일 경우, 상기 퇴적부(36)의 접촉면도 반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4)는 상기 퇴적부(32)로부터 연장되어 일단이 손잡이부(32)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거 부재(300)는 원심 분리될 현탁액의 비중보다 높은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거 부재(300)는 퇴적물 비중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거 부재(300)는 원심 분리의 바이알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거 부재(300)는 유리(glass) 재질이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거 부재(300)의 비중은 원심 분리기에 최초 로딩시 제거 부재(300)가 비중차로 인해 현탁액 내에서 부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제거 부재(300)와 바이알 바닥면 사이에 현탁액의 존재로 인해 바이알 바닥면에 고형 지꺼기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거 부재(30)에서 상기 퇴적부(36)는 나머지 부재 즉 손잡이부(32) 및 기둥부(34)에 비해 큰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제거 부재(30)를 기둥부(34)의 축 방향(A-A')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퇴적부(36)의 상면은 기둥부(34)가 연장되는 부위가 함몰되도록 오목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현탁액 내의 고형분의 퇴적 공간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퇴적부(36) 상면은 편평한 평면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거 부재(30)가 원심 분리용 바이알(100)에 인서트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 부재(30)의 길이는 바이알의 사용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둥부(34)는 바이알 마개(120)의 결합시 손잡이부가 바이알 마개(120)와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리프트시 상기 제거 부재의 용이한 리프트가 가능하도록 그 길이는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거 부재(30)가 인서트되고 마개(120)로 봉합한 후 상기 바이알(100)이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고 원심 분리가 행해진다. 원심 분리가 종료되면, 바이알 마개(120)를 개방하고, 바이알 내부의 원심 분리된 액체를 수득한다. 이후, 상기 제거 부재(30)를 리프트하면 상기 제거 부재(30)에 퇴적된 고형물은 리프트와 동시에 바이알 밖으로 배출되며, 상기 제거 부재를 세척함으로써 고형물은 온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식 제거 부재(30)는 퇴적물의 제거에 용이하고 그 결과 바이알의 세척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거 부재(30)는 상기 바이알 마개(120)에 결합되거나 바이알 마개(120)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바이알 마개(120)와 상기 제거 부재(30)는 접착, 나사 결합 또는 끼워 맞춤 등의 적절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 마개(120)와 상기 제거 부재(30)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제거 부재를 바이알 내부로 인서트 하거나 제거 부재를 리프트 하는 동작이 마개의 조작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변형하거나 일부 수단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100 바이알 12, 120 바이알 마개
14, 140 바이알 바디 20 바이알 바닥면
30 제거 부재 32 손잡이부
34 기둥부 36 퇴적부

Claims (8)

  1.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의 바닥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퇴적부 및 상기 퇴적부에서 연장되는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퇴적부의 상면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부위가 함몰되도록 오목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과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글래스, PP 및 PE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용 제거 부재.
  5. 삭제
  6. 삭제
  7.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바이알의 바닥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퇴적부와 상기 퇴적부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퇴적부의 상면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부위가 함몰되도록 오목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바이알의 마개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바이알 마개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제거 부재.
KR1020100136274A 2010-12-28 2010-12-28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KR10143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74A KR101432149B1 (ko) 2010-12-28 2010-12-28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74A KR101432149B1 (ko) 2010-12-28 2010-12-28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44A KR20120074444A (ko) 2012-07-06
KR101432149B1 true KR101432149B1 (ko) 2014-08-21

Family

ID=4670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274A KR101432149B1 (ko) 2010-12-28 2010-12-28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1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891A (ja) 1998-11-26 2000-06-13 Dainippon Seiki:Kk 遠心分離用沈殿管
JP2004501761A (ja) 2000-06-30 2004-01-22 ベックマン コール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心容器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の適合ライナー
JP2005283356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土壌含有量調査試験液を遠心濾過するための方法、機構及び装置
KR100890316B1 (ko) * 2007-06-25 2009-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심분리 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891A (ja) 1998-11-26 2000-06-13 Dainippon Seiki:Kk 遠心分離用沈殿管
JP2004501761A (ja) 2000-06-30 2004-01-22 ベックマン コール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心容器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の適合ライナー
JP2005283356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土壌含有量調査試験液を遠心濾過するための方法、機構及び装置
KR100890316B1 (ko) * 2007-06-25 2009-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심분리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44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6391B1 (en) Specimen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ing serum or plasma from whole blood
US5738784A (en) Device for separating a blood component from blood or plasma
EP1057534A1 (en) Centrifugation bowl with filter core
US4854933A (en) Plasma separator
EP2349574B1 (en) Centrifugal assembly for ova detection
JP3615226B2 (ja) 細胞洗浄装置および方法
US20140206521A1 (en) Centrifugal separating assembly
GB2535284A (en) Centrifuge sample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KR20130131714A (ko) 검체 용기
CN103567082B (zh) 离心容器组件
US6387030B1 (en) Internal adapter with a pellet well for a centrifuge container
KR101432149B1 (ko) 원심 분리기 바이알용 퇴적물 제거 부재
JP2012044876A (ja) 遠心分離容器
US10406534B2 (en) Blood washing and separation system
CN206935404U (zh) 一种新型离心管
US5891327A (en) Centrifuge tube with rotational position index
KR20120123816A (ko) 분리형 원심분리 튜브
KR101953868B1 (ko) 시료의 채취 및 성분별 분리가 용이한 원심분리키트
KR100890316B1 (ko) 원심분리 튜브
US5382362A (en) Paint solvent recycle device
CN109207355A (zh) 一种离心管
US20200197956A1 (en) Blood washing and separation system
CN217490936U (zh) 一种离心管套装
US10130951B2 (en) Open-ended conical tube for recovering cells from a microfludic chip
CN219849686U (zh) 一种离心管盖及离心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2

Effective date: 201407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