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178B1 -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178B1
KR100890178B1 KR1020077022615A KR20077022615A KR100890178B1 KR 100890178 B1 KR100890178 B1 KR 100890178B1 KR 1020077022615 A KR1020077022615 A KR 1020077022615A KR 20077022615 A KR20077022615 A KR 20077022615A KR 100890178 B1 KR100890178 B1 KR 10089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battery
sealing cover
support plat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2471A (ko
Inventor
루 키
지안후아 리
핑 안
시우펭 즈후
Original Assignee
시틱 구오안 맹굴리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틱 구오안 맹굴리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시틱 구오안 맹굴리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12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고, 양단자 또는 음단자는 각각 상부 지지판, 상부 절연기 및 하부 절연기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판 및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리벳이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 상부암의 중심홀, 하부 절연판, 실링커버, 상부 절연기 및 상부 지지판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요소들을 일체로 리벳결합시킨다.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의 하부암은 전지 내부바디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에 대응하여 연결되고, 전지 내부바디는 평행하게 연결된 2개 이상의 감겨진 코어로 구성된다. 전지는 밀봉상태가 향상되고, 전기화학적 성능이 좋아지며, 제작과정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복수의 개별 전지로 이루어진 전지다발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 및 장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전지의 높이면에서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되고, 부피당 발생하는 에너지가 강화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금속 케이스, 단자, 절연기, 지지판, 전극탭, 리벳

Description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High Capacit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Metal Casing}
본 발명은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고, 에너지 분야에 포함된다.
대용량 및 특별한 에너지 밀도에 있어서 장점을 갖는 리튬이온 전지는 점차 다수의 분야에서 니켈-카드뮴 전지 및 니켈 수소화 전지를 대체해왔으며,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리튬이온 전지는 전기 자전거, 전기 모터 및 전기 자동차에 넓게 적용되고 있다.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양단자(positive terminal) 및 음단자(negative terminal)는 모두 볼팅결합을 사용한다. 또한, 수개의 전지에 있어서, 단자들중 하나는 리벳팅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지 케이스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압 전지는 비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하고 보통 그룹을 이루어 사용되며, 따라서 그룹을 이루는 고전압 전지는 부주의에 의해 폭발 및 화재와 같은 안전문제를 발생시키기 쉽다. 그러한 원인들중의 하나는 양음단자가 볼팅결합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지들은 자동차 또는 이동기기에 사용되기 때문에, 전지에 사용되는 볼트들은 진동력에 의해 느슨해지기 쉽다. 결과적으로, 전지의 전해질 누출 및 회로 단락이 야기될 수 있고, 이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전지의 조립은 대량생산시 복잡하고, 신뢰할 수 있는 봉합을 얻어내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전지는 양극 또는 음극을 금속 케이스로 형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다만 사용시 회로가 단락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때 전극 단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베팅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지의 봉합 신뢰성은 증가하고,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 및 전기화학 요소, 특히 충전-방전 사이의 높은 효율성을 갖는 전기화학적 작동이 개선되며, 제작과정 또한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다음과 같은 기술 해결책에 의해 달성된다.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케이스(3), 실링커버(1), 전지 내부바디(2), 폭발방지홀(6), 주입홀(7), 양단자(4) 및 음단자(5)를 포함하고, 양단자 및 음단자가 실링커버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고, 폭발방지홀이 양단자 및 음단자 사이에 위치하고, 주입홀이 실링커버의 일단부 코너에 형성되고; 양단자 또는 음단자는 실링커버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부 지지판(8), 상부 절연기(9), 하부 절연판(10) 및 실링커버의 단부 아래 위치하는 양전극탭(11)이나 음전극탭(14)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지지판 및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조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의 상부지지판을 수용하기 위한 긴 원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2개 이상의 홀이 상기 오목홈에 형성되며, 관(tubular) 형상의 돌기가 각각의 홀 바닥에 형성되며, 관형상의 돌기 외경은 실링커버의 중심홀에 꼭 맞게 형성되며, 관형상 돌기의 내경은 리벳기둥에 꼭 맞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실링커버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절연판은 직사각 형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리벳(12)은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 상부암의 중심홀, 하부 절연판, 실링커버, 상부 절연기 및 상부 지지판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요소들을 일체로 리벳결합시키고;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은 전지 내부바디 위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에 상응하는 바닥에 연결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전지 내부바디는 평행하게 연결되는 2이상의 코어(core)로 구성되고, 각각의 코어는 양극판, 분리기 및 음극판을 감아 형성된다. 상기 리벳은 고체 리벳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음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는 통상 5암페어-시간(ampere-hours) 이상이고, 금속 케이스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로 코팅된 철을 늘이거나 펀칭하여 형성된다. 실링커버의 재료는 케이스와 동일하다. 상기 실링커버는 금속몰드에 의한 펀칭으로 제작된다. 실링커버 코너부에 새겨진 '+'와 "-'의 표시는 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주입홀은 전해질을 충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작은 스틸볼 또는 플라스틱 금속블록으로 밀봉될 수 있으며, 이때 폭발방지홀은 전지 안전수단을 구성한다. 실링커버의 일단부 코너에 위치한 주입홀은 통상 메탈호일(foil)로 용접된 납땜 또는 고강도 점착물질로 밀봉된다. 전지 내부바디는 평행하게 연결된 2이상의 코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코어는 양극판, 분리기 및 음극판을 감아 형성된다. 양전극의 재료는 리튬 산화코발트, 리튬니켈 산화물, 리튬 망간산염 또는 리튬 인산염으로 이루어지고, 음전극의 재료는 탄소물질 또는 리튬이 함유된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상부 절연기와 하부 절연판은 사출성형에 의한 고절연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절연 중합체는 통상 폴리프로필렌 또는 불소가 함유된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나타낸다.
(a)전지 케이스는 양단자 및 음단자로부터 절연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b)전지의 밀봉 및 전기화학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작과정이 단순화되고;
(c)2개 이상의 리벳을 사용한 리벳팅은 전지의 내부저항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동시에 전지의 전류출력 용량을 개선시키며, 부피당 나오는 에너지를 강화시킬뿐 아니라 높이에서 불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킨다.
(d)전지 내부바디는 평행하게 연결된 2이상의 감겨진 코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전지의 내부저항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며, 제작이 용이하다. 따라서, 제작과정이 단순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전지의 양단자 및 음단자를 조립하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케이스(3), 실링커버(1), 전지 내부바디(2), 폭발방지홀(6), 주입홀(7), 양단자(4) 및 음단자(5)를 포함한다. 양단자 및 음단자가 실링커버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고, 폭발방지홀이 양단자 및 음단자 사이에 위치하고, 주입홀이 실링커버의 일단부 코너에 형성된다. 양단자 또는 음단자는 실링커버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부 지지판(8), 상부 절연기(9), 하부 절연판(10) 및 실링커버의 단부 아래 위치하는 양전극탭(11)이나 음전극탭(14)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지지판 및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조각으로 형성되고,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의 상부 지지판을 수용하기 위한 긴 원형의 오목홈이 형성된다. 2개 이상의 홀이 상기 오목홈에 형성되며, 관(tubular) 형상의 돌기가 각각의 홀 바닥에 형성되며, 관형상의 돌기 외경은 실링커버의 중심홀에 꼭 맞게 형성되며, 관형상 돌기의 내경은 리벳기둥에 꼭 맞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의 높이는 실링커버의 두께와 동일하다. 리벳은 관형상 돌기에 의해 실링커버로부터 절연될 수 있고, 이는 전지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상기 하부 절연판은 직사각 형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리벳(12)은 양전극탭 또는 음 전극탭 상부암의 중심홀, 하부 절연판, 실링커버, 상부 절연기 및 상부 지지판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요소들을 일체로 리벳결합시킨다.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은 전지 내부바디 위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에 상응하는 바닥에 연결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은 조립전의 상태이고, 도면의 우측은 조립된 상태이다. 상기 리벳은 고체 리벳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음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전극의 연결은 양단자 및 음단자로부터 전지 케이스를 절연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지의 높이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며, 볼트의 느슨함때문에 전해질이 누출되고 회로가 단락되는 것을 차단하고, 동일 부피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상부 절연기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2개 이상의 홀이 실링커버의 양쪽 끝에 펀칭 형성된다. 상기 홀의 직경은 상부 절연기의 관형상 돌기에 꼭 맞게 형성되고, 이 절연기는 홀에 조립되어 케이스로부터 양전극 및 음전극을 절연시킨다. 폭발방지홀은 실링커버의 중앙에 펀칭되고, 주입홀은 실링커버의 일단부 코너에 펀칭된다. 더욱이, 상부 지지판, 하부 절연기 및 양전극탭과 음전극탭의 상부암(arm)은 각각 2이상의 홀이 펀칭된다. 상기 구성요소에 형성된 홀 사이의 거리는 실링커버에 형성된 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홀의 직경은 리벳기둥의 직경에 꼭 맞게 형성된다. 조립시 2이상의 리벳은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 상부암의 중심홀, 하부 절연판, 실링커버, 상부 절연기 및 상부 지지판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요소들을 일체로 리벳결합시킨다. 또한, 전지 내부바디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실 링커버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 하부암은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에 의해 전지 내부바디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에 각각 대응 연결된다. 그 이후 실링커버 및 케이스는 레이저용접 또는 가장자리를 접는 밀봉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화물 전지에 적용가능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3), 실링커버(1), 전지 내부바디(2), 폭발방지홀(6), 주입홀(7), 양단자(4) 및 음단자(5)를 포함하되, 상기 양단자 및 음단자는 상기 실링커버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폭발방지홀이 상기 양단자 및 음단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주입홀이 상기 실링커버의 일단부 코너에 형성되고; 상기 양단자 또는 음단자는 상기 실링커버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부 지지판(8), 상부 절연기(9), 하부 절연판(10) 및 상기 실링커버의 단부 아래 위치하는 양전극탭(11) 또는 음전극탭(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판 및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조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기는 긴 원형의 상부지지판을 수용하기 위한 긴 원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2개 이상의 홀이 상기 오목홈에 형성되며, 관(tubular) 형상의 돌기가 각각의 홀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관형상의 돌기 외경은 상기 실링커버의 중심홀에 꼭 맞게 형성되며, 관형상 돌기의 내경은 상기 리벳기둥에 꼭 맞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실링커버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절연판은 직사각 형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리벳(12)은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 상부암의 중심홀, 하부 절연판, 실링커버, 상부 절연기 및 상부 지지판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요소들을 일체로 리벳결합시키고;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은 전지 내부바디 위의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에 상응하는 바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내부바디는 평행하게 연결된 2이상의 코어(core)로 구성되고, 각각의 코어는 양극판, 분리기 및 음극판을 감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벳은 고체 리벳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음단자 리벳의 재료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077022615A 2005-03-04 2006-03-03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89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A2005100113867A CN1655389A (zh) 2005-03-04 2005-03-04 大容量金属外壳锂离子二次电池
CN200510011386.7 2005-03-04
PCT/CN2006/000320 WO2006092104A1 (fr) 2005-03-04 2006-03-03 Accumulateur lithium-ion haute capacite a boitier metal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471A KR20070122471A (ko) 2007-12-31
KR100890178B1 true KR100890178B1 (ko) 2009-03-25

Family

ID=3489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615A KR100890178B1 (ko) 2005-03-04 2006-03-03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13657A1 (ko)
EP (1) EP1855345A4 (ko)
JP (1) JP4790732B2 (ko)
KR (1) KR100890178B1 (ko)
CN (1) CN1655389A (ko)
WO (1) WO2006092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8534C (zh) * 2005-12-30 2008-10-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池及其导电结构
CN101232082B (zh) * 2007-01-25 2010-05-26 深圳华粤宝电池有限公司 新型结构的电池盖板及其二次电池
CN101364652B (zh) * 2008-09-05 2010-11-03 西安新竹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镍氢蓄电池
JP5396801B2 (ja) * 2008-10-03 2014-01-2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CN101635336B (zh) * 2009-03-12 2011-10-05 万向电动汽车有限公司 高功率锂离子电池盒
CN201438490U (zh) * 2009-04-30 2010-04-14 天津市捷威动力工业有限公司 一种锂离子动力电池
US9246140B2 (en) *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WO2011024286A1 (ja) * 2009-08-28 2011-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US8877361B2 (en) 2009-09-0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106429B1 (ko) * 2009-12-01 2012-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20015242A1 (en) * 2010-07-16 2012-01-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with improved terminals
WO2012011470A1 (ja) * 2010-07-21 2012-01-26 株式会社 東芝 電池及び組電池
GB2485382B (en) * 2010-11-12 2018-02-28 Energy Control Ltd Terminal pole head for a battery pack
US9478774B2 (en) 2010-12-02 2016-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2059205B1 (ko) 2011-01-31 2019-12-24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축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2790187A (zh) * 2011-05-17 2012-11-21 长春国基电子科技有限公司 采用注塑方法固定电极的防爆动力电池及其制造方法
KR101274806B1 (ko) 2011-07-26 2013-06-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CN102315396B (zh) * 2011-08-08 2014-12-03 佛山市顺德区精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模块结构
TWM420107U (en) * 2011-08-22 2012-01-01 Chang Hong Energy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storage device
TWM420857U (en) * 2011-09-02 2012-01-11 Dijiya Energy Saving Technology Inc Lithium battery Core shell structure
US9634299B2 (en) 2011-09-06 2017-04-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75791B1 (ko) 2011-09-09 2013-06-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101683210B1 (ko) 2011-11-17 2016-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3456996B (zh) * 2013-08-30 2016-01-20 广州力柏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联体锂离子电池组
JP2015149362A (ja) * 2014-02-05 2015-08-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CN104795516B (zh) * 2015-04-15 2017-05-24 苏州安庆富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正/负极盖板的生产方法及电池正/负极盖板
JP6376406B2 (ja) * 2015-05-29 2018-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CN107026252A (zh) * 2017-05-16 2017-08-08 苏州炬鸿通讯电脑科技有限公司 锂电池用一体式引片
CN108110310A (zh) * 2017-12-29 2018-06-01 贵州旌麾科技有限公司 一种可控胶囊内镜机器人专用电池
CN108832193A (zh) * 2018-06-25 2018-11-16 帅福得(珠海保税区)电池有限公司 新型锂电池结构及组装工艺
CN109148154A (zh) * 2018-07-13 2019-01-04 广西吉光电子科技有限公司 螺栓式电容器盖板
US20200091468A1 (en) * 2018-09-14 2020-03-19 Sf Motors, Inc. Dual polarity lid for battery cell of an electric vehicle
WO2020066241A1 (ja) * 2018-09-25 2020-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CN109449322A (zh) * 2018-12-21 2019-03-08 河南鼎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超薄金属外壳的新型锂电池
CN110729421A (zh) * 2019-11-19 2020-01-24 凌帕新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电池盖板组件、电池电芯及其组装方法以及连接片
CN111180782B (zh) * 2019-12-31 2022-11-08 江苏春兰清洁能源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采用双芯包叠片和一体铆接制作二次电池的方法
CN114512751B (zh) * 2022-02-23 2024-02-09 上海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极柱组件及其焊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3442A (en) * 1997-06-06 2000-11-07 Nippon Moli Energy Corp. Prismatic battery
JP2001210284A (ja) 2000-01-24 2001-08-03 Nec Mobile Energy Kk 密閉型電池
JP2003173767A (ja) 2001-12-04 2003-06-20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0617A (en) * 1923-05-22 1927-08-30 Nat Carbon Co Inc Dry battery
US5460904A (en) * 1993-08-23 1995-10-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lectrolyte activatable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cell
US6579640B1 (en) * 1999-09-28 2003-06-17 Sanyo Electric Co., Ltd. Sealed rectangula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02151022A (ja) * 2000-11-14 2002-05-24 Wako Denshi Kk 二次電池の蓋
JP2002299188A (ja) * 2001-03-30 2002-10-11 Nippon Chemicon Corp コンデンサ
JP2002343336A (ja) * 2001-05-10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感熱スイッチ
KR100751310B1 (ko) * 2001-09-24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KR100449763B1 (ko) * 2002-09-11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3442A (en) * 1997-06-06 2000-11-07 Nippon Moli Energy Corp. Prismatic battery
JP2001210284A (ja) 2000-01-24 2001-08-03 Nec Mobile Energy Kk 密閉型電池
JP2003173767A (ja) 2001-12-04 2003-06-20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5345A1 (en) 2007-11-14
JP2008532235A (ja) 2008-08-14
KR20070122471A (ko) 2007-12-31
WO2006092104A1 (fr) 2006-09-08
US20080213657A1 (en) 2008-09-04
EP1855345A4 (en) 2009-01-21
CN1655389A (zh) 2005-08-17
JP4790732B2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178B1 (ko)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CN103227307B (zh) 方形二次电池
US9203059B2 (en) Battery with insulating member including bus bar fixing section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KR101146414B1 (ko) 이차 전지
KR101222376B1 (ko) 이차전지
KR100786875B1 (ko) 전지 모듈
JP2014187040A (ja) 電池及び組電池
JP2016189248A (ja)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KR20150035205A (ko) 이차 전지
EP289977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657334B1 (ko) 이차 전지
KR20080016047A (ko) 이차 전지
KR20080038663A (ko) 이차전지
US20140023913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101329830B1 (ko) 이차 전지
KR20090026650A (ko)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0839782B1 (ko) 이차전지
KR100760786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0686831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1118700B1 (ko) 이차전지
KR20080036737A (ko) 이차전지
KR102335696B1 (ko) 전류차단부재 및 캡 조립체
CN219811635U (zh) 锂离子电池
KR100601544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