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63B1 -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 Google Patents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63B1
KR100889263B1 KR1020070076487A KR20070076487A KR100889263B1 KR 100889263 B1 KR100889263 B1 KR 100889263B1 KR 1020070076487 A KR1020070076487 A KR 1020070076487A KR 20070076487 A KR20070076487 A KR 20070076487A KR 100889263 B1 KR100889263 B1 KR 10088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olid oxide
oxide fuel
cell
curren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562A (ko
Inventor
배중면
백승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7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63B1/ko
Priority to US11/943,500 priority patent/US20090035637A1/en
Publication of KR2009001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4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극에 집전홀, 및 강도보강홀이 형성되고, 각각 집전부재, 및 강도보강부재가 삽입되어 집전효율을 높여 연료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전해질층(10);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 면에 각각 접촉형성되는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연료극(20)에 집전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은 연료극에 집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에 집전부재가 삽입되며 집전층이 형성되어 생성된 전자의 손실량을 줄일 수 있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집전하여 집전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연료극에 강도보강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에 강도보강부재가 삽입되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집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기극, 연료극

Description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Anode 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극에 집전홀, 및 강도보강홀이 형성되고, 각각 집전부재, 및 강도보강부재가 삽입되어 집전효율을 높여 연료전지의 전기에너지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Fuel Cell)는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로, 수소, 산소와 같이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친환경적 미래형 에너지 기술이다.
연료전지는 공기극(Cathode)에 산소가 공급되고 연료극(Anode)에 연료가스가 공급되어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 형태로 전기화학반응이 진행되어 전기, 열, 및 물이 발생되어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고효율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연료전지는 종래 열기관에서 한계로 작용하는 카르노 순환(Carnot Cycle)의 제한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40% 이상의 효율을 올릴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물질이 물뿐이므로 공해의 우려가 없으며, 종래 열기관과는 달리 기계적으로 운동하는 부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음이 없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에 관련된 각종 기술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그 전해질 종류에 따라 인산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메탄올 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 알칼리 연료전지(AFC, Alkaline Fuel Cell) 등 여섯 가지 종류 정도가 실용화되었거나 계획 중에 있다. 각 연료전지들의 특징을 하기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7055603235-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연료전지들은 그 출력범위 및 사용용도 등 이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알맞은 연료전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상기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작동온도가 높으나, 약 45%의 높은 효율 및 전료밀도를 얻을 수 있어 대규모 발전에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112007055603235-pat00002
도 1은 상기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로, 공기극에 산소가 공급되고, 연료극에 수소가 공급된다. 이 때의 반응은 하기의 식을 따른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상기 연료극에 공급되는 수소의 확산성능이 높을수록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연료극에 공급되는 수소의 확산성을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분자, 또는 카본 등의 첨가물을 부가하여 기체확산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상기 기체확산층에 첨가물을 부가하여 기공이 형성되므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강도가 저하되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료극의 두께를 늘리게 되면 연료극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가스의 확산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연료전지의 성능이 하락되는 문제점을 유발된다. 특히, 고전류 영역에서는 연료전지의 성능에 큰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반응이 진행될수록 탄소침적 등에 의해 상기 가스확산부 통로가 막혀 전해질층과 맞닿는 촉매층으로의 연료공급이 차단되고, 연료극으로부터 생성되는 전지를 집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전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극에 집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에 집전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생성된 전자를 빠르게 집전하여 손실량을 줄이고, 연료극의 외측 일면에 상기 집전부재와 연속되는 집전층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집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극에 강도보강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강도보강홀에 강도보강부재가 삽입되어 연료전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전해질층(10);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 면에 각각 접촉형성되는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연료극(20)에 집전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극(20)은 외측 일면에 상기 집전부재(22)와 연속되는 집전층(2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강도보강홀(24)이 더 형성되 고,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상기 연료극(20)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상기 연료극(2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해질층(10);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 면에 각각 접촉형성되는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연료극(20)에 강도보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은 연료극에 집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에 집전부재가 삽입되며 집전층이 형성되어 생성된 전자의 손실량을 줄일 수 있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집전하여 집전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연료극에 강도보강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에 강도보강부재가 삽입되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사시도이고, 도 3a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AA'방향 단면도이며,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질층(10);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20)에 집전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극(20)과 공기극(30)은 각각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면에 접촉형성되며, 상기 연료극(20)을 통해 상기 전해질층에(10) 연료가스가 얼마나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지에 따라 연료전지의 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상기 연료극(20)은 대체적으로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연료극(20)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되고, 또한, 연료전지의 집전은 셀의 하측에 집전체를 갖다 댐으로써 이루어지나 집전 과정에서 손실이 유발되어 이는 결국 연료전지의 성능 하락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체산 화물 연료전지(100)는 상기 연료극에 집전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됨으로써 전지 내부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직접적으로 집전하여 집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1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집전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단면도로,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집전홀(21)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채널형태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다른 사시도로, 상기 도 5는 강도보강홀(24)이 상기 연료극(2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강도보강홀(24)도 상기 집전홀(21)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료극(20)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크기 및 연료극(2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다른 사시도로, 상기 연료극(20)의 외측 일면에 상기 집전부재(22)와 연속되는 집전층(2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전층(23)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집전부재(22) 및 집전층(23)을 따라 셀 외부로 전자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게 되어 집전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은 각각의 집전부재(22)와 연통되는 집전층(23)이 다수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상기 집전층(23)은 스크린 프린팅, 스퍼터링, 금속용사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가능하다.
상기 집전홀(21)에 삽입되는 집전부재(22)는 Ni와 같은 단일 금속이 이용될 수 있고 금속과 세라믹이 혼합된 서멧(Cermet)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전부재(22)는 Ni, Ce계 산화물, YSZ계 산화물 또는 Ni, Ce계 산화물, YSZ계 산화물의 혼합물 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세라믹은 연료극(20)을 형성하는 세라믹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NiO의 함량을 조절하여 집전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다른 단면도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집전홀(21)뿐만 아니라 강도보강홀(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강도보강홀(24) 및 강도보강부재(25)이 상기 연료극(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료극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25)는 상기 집전부재(22)와 동일하게 Ni와 또는 연료 극(20) 촉매금속과 같은 단일 금속이 이용될 수 있고 금속과 세라믹이 혼합된 서멧(Cermet)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라믹은 연료극(20)을 형성하는 세라믹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열에 의한 변형이 적도록 하고 강도보강부재(25)와 연료극(20)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의 사진으로 연료극(20)의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사진이다. 상기 홀은 어떤 재료가 삽입되느냐에 따라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집전부재(22) 및 강도보강부재(25)는 상기 연료극(20)의 형성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료극(20)에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24), 또는 집전홀(21)에 대응되는 바(Bar)타입으로 제작된 강도보강부재(25) 또는 집전부재(2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시트적층방법에 의해 연료극(2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트에 홀을 형성하고, 시트의 적층 이전에 각각의 홀에 강도보강부재(25) 또는 집전부재(22)를 충전한 후, 적층 및 열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사시도.
도 3a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AA'방향 단면도.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BB'방향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다른 사시도.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다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다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10 : 전해질층
20 : 연료극 21 : 집전홀
22 : 집전부재 23 : 집전층
24 : 강도보강홀 25 : 강도보강부재
30 : 공기극

Claims (7)

  1. 전해질층(10);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 면에 각각 접촉형성되는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연료극(20)에 집전홀(21) 및 강도보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홀(21)에 집전부재(22)가 삽입되며,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20)은 외측 일면에 상기 집전부재(22)와 연속되는 집전층(2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상기 연료극(20)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상기 연료극(2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홀(21) 또는 강도보강홀(24)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7. 전해질층(10); 상기 전해질층(10)의 양측 면에 각각 접촉형성되는 연료극(20), 및 공기극(30)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100)은
    상기 연료극(20)에 강도보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홀(24)에 강도보강부재(2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1020070076487A 2007-07-30 2007-07-30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10088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87A KR100889263B1 (ko) 2007-07-30 2007-07-30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US11/943,500 US20090035637A1 (en) 2007-07-30 2007-11-20 Anode 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87A KR100889263B1 (ko) 2007-07-30 2007-07-30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62A KR20090012562A (ko) 2009-02-04
KR100889263B1 true KR100889263B1 (ko) 2009-03-19

Family

ID=4033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487A KR100889263B1 (ko) 2007-07-30 2007-07-30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35637A1 (ko)
KR (1) KR100889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10B1 (ko) * 2007-07-20 2008-12-15 한국과학기술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연료극 제조방법, 이에 따라제조된 연료극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100889267B1 (ko) * 2007-07-30 2009-03-19 한국과학기술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20140104774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5642269B (zh) * 2022-11-07 2023-04-25 浙江大学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结构及其优化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872A (ja) * 2003-12-15 2005-06-30 Hitachi Maxell Ltd 燃料電池用発電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0859A (en) * 1992-08-24 1994-07-19 University Of Chicago Solid oxide fuel cell with single material for electrodes and interconnect
US6936367B2 (en) * 2002-01-16 2005-08-30 Alberta Research Council Inc.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JP4959138B2 (ja) * 2005-01-07 2012-06-2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US20060199061A1 (en) * 2005-03-02 2006-09-07 Fiebig Bradley N Water management in bipolar electrochemical cell stac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872A (ja) * 2003-12-15 2005-06-30 Hitachi Maxell Ltd 燃料電池用発電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62A (ko) 2009-02-04
US20090035637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66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전지 및 분리판간 결합구조
KR102097434B1 (ko) 연료 전지를 위한 기체 분배 요소
KR100889267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101146568B1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JP5130244B2 (ja) 金属支持体及びそれを含む固体酸化物燃料電池
KR100889263B1 (ko) 연료극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CN101540409B (zh) 电场-膜电极组合结构的燃料电池装置及其可逆式再生氢氧电解装置
KR10101385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6353294B2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シートおよび燃料電池
KR100874110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연료극 제조방법, 이에 따라제조된 연료극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CN202172104U (zh) 一种熔融碳酸盐燃料电池双极板
CN102280645B (zh) 一种熔融碳酸盐燃料电池双极板及其制作方法
JP2009076395A (ja) チューブ型燃料電池セル及び該チューブ型燃料電池セルを備えるチューブ型燃料電池
KR101228763B1 (ko) 반응 면적이 증가된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178793A1 (en) Solid oxide fuel cell
JP5070741B2 (ja) 液体供給型燃料電池による発電方法および液体供給型燃料電池
KR101253956B1 (ko) 금속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KR101113386B1 (ko) 연료극 지지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KR101220740B1 (ko) 유로가 형성된 집전체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532B1 (ko)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1216B1 (ko) 냉각 유로가 포함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바이폴라플레이트
KR100556764B1 (ko) 연료전지의 전극 구조
KR102067798B1 (ko) 평판형 분리판을 갖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단위셀 및 그 제조방법
Mustafa et al. Conceptual Reduced Cost PEM Fuel Cell Design for Domestic Applications
JP201321110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