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59B1 - 판유리 절곡시스템 - Google Patents

판유리 절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59B1
KR100889259B1 KR1020080058731A KR20080058731A KR100889259B1 KR 100889259 B1 KR100889259 B1 KR 100889259B1 KR 1020080058731 A KR1020080058731 A KR 1020080058731A KR 20080058731 A KR20080058731 A KR 20080058731A KR 100889259 B1 KR100889259 B1 KR 10088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roller
stage
forming roll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수
Original Assignee
(주)디아이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아이그라스 filed Critical (주)디아이그라스
Priority to KR102008005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93Tools and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ch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판유리를 열 연화시키는 가열로와, 가열로에서 연화된 판유리를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하는 롤 성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판유리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위가 미려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판유리 절곡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은, 통상의 판유리를 연화시키는 가열로, 및 가열로에서 연화된 판유리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시키는 롤 성형유닛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판유리 절곡시스템{SHEET GLASS BENDING SYSTEM}
본 발명은 판유리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할 수 있는 판유리 절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유리를 열 연화시키는 가열로와, 가열로에서 연화된 판유리를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하는 롤 성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판유리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위가 미려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판유리 절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는 주형과 압연으로 일정한 형상을 만든 다음 표면을 연마해 만들 플레이트형상의 유리를 말하며, 사생활의 보호 및 건물의 미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내외장용 건축자재로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판유리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생산하거나, 또는 판유리의 절곡하여 3차원 형상을 가지도록 생산하는 추세이다. 3차원 형상의 판유리는 양측이 절곡된 대략 "U"자 형상(이하; "유글라스(U-GLASS)"라 한다.)으로 생산되고 있다.
종래 판유리를 이용하여 전술한 유글라스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18693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186935 호"를 살펴보면, 유리의 연속 절곡장치는, 판유리를 안내하면서 판유리를 연화시키고, 연화된 판유리를 양측을 실린더를 이용하여 절곡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절곡장치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판유리를 가압하기 때문에 절곡부위가 미려하지 못하고, 절곡부위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유리를 진행시키면서 판유리를 연화시키기 때문에 절곡장치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는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유리를 열 연화시키는 가열로와, 가열로에서 연화된 판유리를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하는 롤 성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판유리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위가 미려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판유리 절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단부측으로 판유리가 안내되고 연화된 판유리를 타단부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롤러 캐리어가 배치된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롤러 캐리어 상으로 안내된 판유리를 열 연화시킬 수 있도록 전기 가열셀이 내장된 가열 커버와, 지면으로부터 스테이지를 지지하면서 스테이지에 경사를 제공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가열로; 및
가열로에서 연화된 판유리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시키는 롤 성형유닛;으로 이루어진 판유리 절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유리를 연화시키는 가열로 및 연화된 판유리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시키는 롤 성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판유리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위가 미려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열로에 배치된 다수의 롤러 캐리어에 배열링을 형성함과 아울러 스테이지에 경사를 제공하는 선회포스트 및 승강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로에 판유리를 똑바로 넣지 않아도 연화공정 중에 자동적으로 바르게 정렬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롤 성형유닛의 제 2 성형롤러의 제 1 오목부 및 제 4 성형롤러의 제 2 오목부의 외주면 상에 다양한 문양을 양각 및 음각함으로써,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100)은 소비자가 원하는 길이 및 폭으로 재단된 판유리(10a)를 열 연화시키는 가열로(200)와, 가열로(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가열로(200)에 의해서 연화된 판유리(10b)를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10b)의 양측을 절곡하는 롤 성형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100)을 통해 완성 제작된 제품은 대략 "U"자 형상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100)은 판유리(10a)를 유리제작업계에서 통용되는 "유글라스(U-GLASS)"로 제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가열로(200)는 일단부측으로 판유리(10a)가 안내되고 연화된 판유리(10b)를 타단부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롤러 캐리어(212)가 다수의 롤러체인(214)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는 수평한 스테이지(210)와, 스테이지(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롤러 캐리어(212) 상으로 안내된 판유리(10a)를 열 연화시킬 수 있도록 전기 가열셀(222)이 내장된 가열 커버(220)와, 지면으로부터 스테이지(210)를 지지하면서 스테이지(210)에 경사를 제공하는 지지부(230)를 구비한다.
스테이지(210)에는 판유리(10a)를 연화시킬 때 다수의 롤러 캐리어(212)를 반복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6)가 스테이지(210)의 일단에 배치된다.
또한, 가열 커버(220)는 판유리(10a)가 롤러 캐리어(212) 상으로 안내될 때 가열 커버(220)를 스테이지(210)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롤러 캐리어(212) 상으로 안내된 판유리(10a)를 연화시킬 때에는 가열 커버(220)를 스테이지(210)의 상부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커버 실린더(224)를 구비한다. 커버 실린더(224)는 스테이지(210)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고, 커버 실린더(224)에서 연장되는 커버 실린더로드(226)는 가열 커버(220)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230)는 스테이지(21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선회포스트(232) 및 스테이지(210)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면서 선회포스트(232)와 마주보는 승강실린더(238)를 구비한다.
선회포스트(232)는 지면에서 수직하게 스테이지(210)의 하부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선회포스트(232)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장착되고, 선회포스트(232)의 상부는 스테이지(210)의 하부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선회브라켓(234)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선회브라켓(234)과 선회포스트(232)의 상부는 선회축(23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승강실린더(238)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장착되고, 승강실린더(238)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승강 실린더로드(240)의 연장단은 스테이지(210)의 하부 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브라켓(24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승강브라켓(242)과 승강 실린더로드(240)의 연장단은 승강축(24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롤러 캐리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포스트(232) 측에 인접한 롤러 캐리어(212)의 단부에는 롤러 캐리어(212)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배열링(218)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링(218)에는 연화되는 판유리(10b)의 일측이 밀착된다.
즉, 연화공정 중 판유리(10b)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실린더(138)는 승강 실린더로드(240)를 신장시켜 스테이지(210)를 기울이게 되는데, 이때 연화중인 판유리(10b)의 일측은 각각의 배열링(218)에 접하게 된다. 그 결과 연 화 중인 판유리(10b)는 연화공정 중에 비틀어짐이 없이 연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캐리어(212) 및 배열링(218)은 내열성 재료, 예를 들면 세라믹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열로(200)에서 연화된 판유리(10b)는 절곡성형을 위해서 롤 성형유닛(300)으로 안내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롤 성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롤 성형유닛(300)은 가열로(200)에서 연화된 판유리(10b)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판유리(10b)의 양측을 상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1차 절곡되게 하는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와,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를 사이를 통과하면서 1차 절곡된 판유리(10c)의 양측을 수직하게 2차 절곡되게 하는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3 성형롤러(330) 및 제 4 성형롤러(340)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의 양단, 그리고 한 쌍의 제 3 성형롤러(330) 및 제 4 성형롤러(340)의 양단은 서로 이격 배치된 수직플레이트(350)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성형롤러(320)는 제 1 성형모터(352)와 제 1 구동체인(354)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마찬가지로 제 4 성형롤러(340)는 제 2 성형모터(356)와 제 2 구동체인(358)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서로 이격된 수직플레이트(350)는 다리프레임(360)에 의해서 지지되고, 제 1 성형모터(352) 및 제 2 성형모터(356)는 다리프레임(360) 상에 배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성형롤러 및 제 2 성형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3 성형롤러 및 제 4 성형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성형롤러(310)는 제 1 볼록부(312)를 가지며, 제 2 성형롤러(320)는 제 1 오목부(322)를 가진다. 또한 제 3 성형롤러(330)는 제 2 볼록부(332)를 가지며, 제 4 성형롤러(340)는 제 2 오목부(342)를 가진다.
제 1 볼록부(312) 및 제 1 오목부(322)에는 연화된 판유리(10b)의 양측을 상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절곡면(314) 및 제 2 경사절곡면(324)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볼록부(332) 및 제 2 오목부(342)에는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의 양측으로 수직하게 절곡하는 제 1 수직절곡면(334) 및 제 2 수직절곡면(344)이 형성된다.
제 1 경사절곡면(314)은 제 1 볼록부(312)의 양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서 제 1 볼록부(312)의 양단 회전중심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2 경사절곡면(324)은 제 1 오목부(322)의 양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서 제 1 오목부(322)의 중심, 즉 제 1 오목부(322)를 수평하게 이등분하는 가운데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경사절곡면(314) 및 제 2 경사절곡면(324)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45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수직절곡면(334)은 제 2 볼록부(332)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수직절곡면(344)은 제 2 오목부(342)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경사절곡면(314) 및 제 2 경사절곡면(324)이 형 성된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 사이를 지나는 연화된 판유리(10b)는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 또한,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는 제 1 수직절곡면(334) 및 제 2 수직절곡면(344)이 형성된 제 3 성형롤러(330) 및 제 4 성형롤러(340) 사이를 지나면서 양측이 수직하게 절곡된 유글라스(10d)로 성형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소비자의 주문에 맞추어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만 절곡된 형상을 원할 경우에는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로 만을 사용하고, 소비자의 주문에 맞추어 양측이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을 원할 경우에는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와, 제 3 성형롤러(330) 및 제 4 성형롤러(340)를 같이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성형롤러(320)의 제 1 오목부(322), 또는 제 4 성형롤러(340)의 제 2 오목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이 양각 또는 음각된다. 이렇게 제 1 오목부(322) 또는, 제 2 오목부(342)에 형성된 문양은 완성제품의 표면을 반투명하게 형성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로(200)와, 롤 성형유닛(300) 사이에는 가열로(200)에서 배출되는 연화된 판유리(10b)에 열원을 공급하는 제 1 보조열원장치(400)가 배치된다. 제 1 보조열원장치(400)는 통상의 가스버너를 채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성형롤러(310)와, 제 3 성형롤러(330) 사이에는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에 열원을 공급하는 제 2 보조열원장치(500)가 배치된다. 제 2 보조열원장치(500)는 통상의 가스버너를 채택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판유리 절곡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판유리(10a)를 유글라스(10d)로 절곡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커버실린더(224)의 커버 실린더로드(226)를 신장시켜 스테이지(210)와 가열커버(220)를 이격시킨 상태 하에서, 스테이지(210)의 롤러 캐리어(212) 상으로 절곡하고자 하는 판유리(10a)를 안내하고, 다시 커버실린더(224)의 커버 실린더로드(226)를 수축시켜 가열 커버(220)가 스테이지(210)의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로(200)에 판유리(10a)가 안내되면, 판유리(10a)가 연화될 수 있도록 가열셀(222)을 750~760℃로 가열함과 동시에 승강실린더(238)의 승강 실린더로드(240)를 신장시키고, 구동모터(216)를 정회전 및 역회전 시켜 판유리(10a)가 안치된 롤러 캐리어(212)를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킨다. 이와 같이, 승강 실린더로드(240)가 신장되면, 스테이지(210)는 선회축(236)을 중심으로 스테이지(210)의 상부측으로 선회되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안내된 판유리(10a)는 연화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롤러 캐리어(212)를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키는 이유는 판유리(10a)가 고정된 상태로 연화되면 롤러 캐리어(212) 사이로 판유리(10a)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승강 실린더로드(240)는 스테이지(210)가 대략 3~5도의 경사로 기울어지도록 신장됨이 바람직하며, 스테이지(210)가 경사짐에 따라 스테이지(210) 내의 판유리(10a)의 일측은 배열링(218)에 의해서 정렬된 상태에서 롤러 캐리어(212)를 따라 가열로(210) 내에서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하면서 연화 된다.
가열로(210)에서 연화가 완료된 판유리(10b)는 절곡을 위해 롤 성형유닛(300) 측으로 안내되는데, 이를 위해서 커버 실린더(224)는 커버 실린더로드(226)를 신장시키고, 구동모터(216) 및 롤러 캐리어(212)는 연화된 판유리(10b)를 롤 성형유닛(300) 측으로 안내한다. 이때, 가열로(210)에서 배출되는 연화된 판유리(10b)가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냉각되지 않도록 제 1 보조열원장치(400)는 작동하게 된다.
롤 성형장치(300) 측으로 안내되는 연화된 판유리(10b)는 우선,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를 통과하면서 양측이 소정의 각도롤 절곡되고,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는 제 3 성형롤러(330) 및 제 4 성형롤러(340)를 통과하면서 양측이 수직하게 절곡된 유글라스(10d)로 절곡 성형된다. 즉, 제 1 성형롤러(310)의 제 1 경사절곡면(314) 및 제 2 성형롤러(320)의 제 2 경사절곡면(324)은 연화된 판유리(10b)의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며, 제 3 성형롤러(330)의 제 1 수직절곡면(334) 및 제 4 성형롤러(340)의 제 2 수직절곡면(344)은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를 수직하게 절곡하게 된다.
한편, 제 1 성형롤러(310) 및 제 2 성형롤러(320)를 통과한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판유리(10c)가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냉각되지 않도록 제 2 보조열원장치(500)는 작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절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롤러 캐리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롤 성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성형롤러 및 제 2 성형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3 성형롤러 및 제 4 성형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판유리 절곡시스템 200 : 가열로
210 : 스테이지 212 : 롤러 캐리어
218 : 배열링 220 : 가열커버
222 : 가열셀 230 : 지지부
232 : 선회포스트 238 : 승강실린더
300 : 롤 성형유닛 310 : 제 1 성형롤러
312 : 제 1 볼록부 314 : 제 1 경사절곡면
320 : 제 2 성형롤러 322 : 제 1 오목부
324 : 제 2 경사절곡면 330 : 제 3 성형롤러
332 : 제 2 볼록부 334 : 제 1 수직절곡면
340 : 제 4 성형롤러 342 : 제 2 오목부
344 : 제 2 수직절곡면

Claims (16)

  1. 일단부측으로 상기 판유리가 안내되고 연화된 상기 판유리를 타단부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롤러 캐리어가 배치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캐리어 상으로 안내된 상기 판유리를 열 연화시킬 수 있도록 전기 가열셀이 내장된 가열 커버와,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경사를 제공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가열로; 및
    상기 가열로에서 연화된 상기 판유리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상기 판유리의 양측을 절곡시키는 롤 성형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캐리어는 다수의 롤러체인에 의해서 회전되게 배치되고, 일측에는 다수의 상기 롤러 캐리어를 반복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가열 커버는 상기 판유리가 상기 롤러 캐리어 상으로 안내될 때 상기 가열 커버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롤러 캐리어 상으로 안내된 상기 판유리를 연화시킬 때에는 상기 가열 커버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는 커버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 실린더는 상기 스테이지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커버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커버 실린더로드는 상기 가열 커버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선회포스트 및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선회포스트와 마주보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포스트는 지면에서 수직하게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선회포스트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선회포스트의 상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선회브라켓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선회브라켓과 상기 선회포스트의 상부는 선회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승강 실린더로드의 연장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 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브라켓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브라켓과 상기 승강 실린더로드의 연장단은 승강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포스트 측에 인접한 상기 롤러 캐리어의 단부에 는 상기 롤러 캐리어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배열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링은 내열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성형유닛은,
    상기 가열로에서 연화된 상기 판유리를 안내받아 진행시키면서 연화된 상기 판유리의 양측을 상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게 하는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1 성형롤러 및 제 2 성형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성형유닛은,
    상기 제 1 성형롤러 및 상기 제 2 성형롤러를 사이를 통과하면서 양측이 절곡된 상기 판유리의 양측을 수직하게 하는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3 성형롤러 및 제 4 성형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롤러는 제 1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성형롤러는 제 1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에는 연 화된 상기 판유리의 양측을 상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절곡면 및 제 2 경사절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성형롤러는 제 2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 4 성형롤러는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볼록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에는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기 판유리의 양측으로 수직하게 절곡하는 제 1 수직절곡면 및 제 2 수직절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기 제 1 성형롤러 및 상기 제 2 성형롤러의 양단,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 3 성형롤러 및 상기 제 4 성형롤러의 양단은 서로 이격 배치된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성형롤러는 상기 제 1 성형모터와 제 1 구동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 4 성형롤러는 상기 제 2 성형모터와 제 2 구동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다리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성형모터 및 상기 제 2 성형모터는 상기 다리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롤러와, 상기 제 3 성형롤러 사이에는 가스버너로된 제 2 보조열원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롤러의 상기 제 1 오목부의 외주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이 양각 또는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성형롤러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외주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이 양각 또는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와, 상기 롤 성형유닛 사이에는 통사의 가스버너로된 제 1 보조열원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절곡시스템.
KR1020080058731A 2008-06-22 2008-06-22 판유리 절곡시스템 KR10088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31A KR100889259B1 (ko) 2008-06-22 2008-06-22 판유리 절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31A KR100889259B1 (ko) 2008-06-22 2008-06-22 판유리 절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259B1 true KR100889259B1 (ko) 2009-03-17

Family

ID=4069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731A KR100889259B1 (ko) 2008-06-22 2008-06-22 판유리 절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307A1 (en) * 2013-05-16 2014-11-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continuous glass ribbon
KR20150075271A (ko) * 2013-12-24 2015-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5929A (ja) * 1990-12-21 1992-10-01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l ガラスシートの曲げ方法及び装置
JPH0651249U (ja) * 1992-12-24 1994-07-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屈曲装置
KR100186935B1 (ko) * 1996-08-27 1999-04-15 장형기 유리의 연속 절곡장치
KR20030017580A (ko) * 2000-07-13 2003-03-0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유리판 굽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5929A (ja) * 1990-12-21 1992-10-01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l ガラスシートの曲げ方法及び装置
JPH0651249U (ja) * 1992-12-24 1994-07-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屈曲装置
KR100186935B1 (ko) * 1996-08-27 1999-04-15 장형기 유리의 연속 절곡장치
KR20030017580A (ko) * 2000-07-13 2003-03-0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유리판 굽힘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307A1 (en) * 2013-05-16 2014-11-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continuous glass ribbon
KR20150075271A (ko) * 2013-12-24 2015-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제조장치
KR101657749B1 (ko) * 2013-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9365B2 (ja) ガラス板を曲げる方法及び装置
KR900006112B1 (ko) 열연화성 박판 물질의 성형 방법 및 장치
RU2317262C2 (ru) Форма с гибк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US4272274A (en) Slotted glass sheet shaping mold
KR101449501B1 (ko) 불균일 곡률을 갖는 곡면 글라스 열전사 장치 및 방법
KR101180056B1 (ko)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KR100889259B1 (ko) 판유리 절곡시스템
BR112017026188B1 (pt) Método de curvatura por gravidade auxiliado por sobrepressão e dispositivo adequado para o mesmo
KR100653740B1 (ko) 금속판재의 이중곡률 성형용 유니버설 롤 셋과 이를 이용한성형방법
US4586946A (en) Equipment for curving glass sheets
WO1999025659A1 (fr) Procede de bombage d&#39;une plaque de verre, moule en couronne permettant le cintrage de la plaque, et appareil utilisant ledit moule
KR101175679B1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69770B1 (ko) 유자형 글라스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1434360B (zh) 自动装配用于电梯门的吊门壳的侧支架的装置和方法
US3281227A (en) Method of bending glass sheets
CN218749274U (zh) 一种亚克力板折弯加工装置
KR101483222B1 (ko)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US4976763A (en) Installation for curving and tempering a sheet of glass
JPS58163526A (ja) 曲げ加工機
JP5801680B2 (ja) サンドブラスト装置
EP1885534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HE SURFACE TEXTURE OF A BLOCK BEFORE ITS POLYMERIZATION
KR100393411B1 (ko) 라미네이터
US9259854B2 (en) Apparatus for artificially aging pre-cast blocks
KR100239943B1 (ko) 컷팅 블레이드 절곡홈 가공장치
CN214239502U (zh) 一种直线机吹瓶模具的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