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548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548B1
KR100888548B1 KR1020070116490A KR20070116490A KR100888548B1 KR 100888548 B1 KR100888548 B1 KR 100888548B1 KR 1020070116490 A KR1020070116490 A KR 1020070116490A KR 20070116490 A KR20070116490 A KR 20070116490A KR 100888548 B1 KR100888548 B1 KR 10088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frame
holder
eyeglasse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탁
Original Assignee
이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탁 filed Critical 이상탁
Priority to KR102007011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테로부터 안경다리를 교체사용할 수 있게 한 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렌즈테로부터 안경다리 혹은 렌즈테를 신속용이하게 교체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안경구입시 다수개의 안경다리와 렌즈테(선글라스 포함)를 준비하였다가 사용이나 용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 또는 선글라스제품으로 조립착용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테와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렌즈테 내측 단부에 연결간을 용접구성하되, 상기 연결간은 절곡부와 홀더로 구성되게 하되, 안경다리의 본체 선단부에는 협지편을 구성하고, 상기 협지편 단부에는 받침부를 본체와 나란히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렌즈테에 구성된 연결간의 홀더에 안경다리 본체의 협지편이 탄력적으로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신속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안경구입시 사용자가 디자인이 각기 다른 다수개의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구입하였다가 장소와 목적, 용도에 따라 적절히 교체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착용중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예비안경다리로 즉시 교체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양질의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렌즈테와 안경다리가 연결간(미미)을 통하여 체결나사로 조립구성되며, 한번 조립된 안경은 디자인의 변형이 불가능하여 장기간 착용시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착용중 렌즈테나 안경다리 부분의 부품이 손상될 경우 안경제품 전체를 수리의뢰하여야 하므로 수리완료시까지 별도의 안경을 구입착용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고,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간을 제작하고, 용접, 조립구성하는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폐단을 감안하여 렌즈테로부터 안경다리를 교체할 수 있게 한 안경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교체수단에 번거로움이 있어 널리 상용화되고 있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렌즈테로부터 안경다리를 교체사용할 수 있게 한 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렌즈테로부터 안경다리 혹은 렌즈테를 신속용이하게 교체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안경구입시 다수개의 안경다리와 렌즈테(선글라스 포함)를 준비하였다가 사용이나 용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 또는 선글라스제품으로 조립착용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테와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렌즈테 내측 단부에 연결간을 용접구성하되, 상기 연결간은 절곡부와 홀더로 구성되게 하되, 안경다리의 본체 선단부에는 협지편을 구성하고, 상기 협지편 단부에는 받침부를 본체와 나란한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렌즈테에 구성된 연결간의 홀더에 안경다리 본체의 협지편이 탄력적으로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테와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안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누구나 쉽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안경구입시 다수개의 렌즈테(선글라스 포함)와 안경다리를 구입하였다가 장소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그에 적합한 안경을 즉시 조립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기능과 디 자인의 안경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안경(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렌즈테(20) 양측에 연결간(21)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간(21)에 안경다리(30)가 분해조립식으로 결합구성된다.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렌즈테(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렌즈테(20)의 내면 양측 단부에 연결간(21)을 용접구성하여 연결간(21)의 용접부위가 렌즈테(20) 전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고, 상기 연결간(21)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구성된 절곡부(22)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22) 단부에는 원통형의 홀더(23)를 구성하고, 상기 홀더(23) 일측 절곡부(22)에는 관통부(24)를 장방형으로 구성되게 한다.
이때 연결간(21)이 용접되는 렌즈테(20)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반테형 렌즈테(20) 및 도 6에서와 같이 일반렌즈테(20)와 같은 모든 종류의 제품에 적용사용할 수 있다.
렌즈테(20)에 분해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안경다리(3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30)를 구성하는 본체(31) 선단부(32)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원호형의 협지편(33)을 절곡구성하되, 도 5에서와 같이 협지편(33) 입구부(35)의 간격이 내경(36)의 간격보다 좁게 구성하되, 상기 협지편(33)의 내경은 렌즈테(20)에 구성된 연결간(21)의 홀더(23) 외경과 일치하게 구성하며, 상기 협지편(33)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만곡구성된 받침부(34)를 구성한다.
이때 안경다리(30)의 본체(31) 선단부(32) 및 받침부(34)의 수직폭은 렌즈테(20)의 연결간(21)에 구성된 관통부(24)의 상하폭보다 조금 좁게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렌즈테(20)와 안경다리(3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안경다리(30)를 구성하는 본체(31)를 잡고, 상기 본체(31) 선단부(32)에 구성된 협지편(33)의 입구부(35)를 렌즈테(20)의 연결간(21) 단부에 구성된 홀더(23) 외측면에 근접시키면, 홀더(23)의 외경보다 좁은 협지편(33)의 입구부(35)가 홀더(23)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홀더(23)와 협지편(33)을 동시에 누르면 협지편(33)의 입구부(35)가 약간 확개되면서 협지편(33)이 홀더(23) 외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이 홀더(23)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경다리(30)를 펼치면 도 3에서와 같이 렌즈테(20)로부터 안경다리(30)가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30)의 본체(21) 선단부에 구성된 받침부(34)의 일부는(확대도 참고) 절곡부(22)의 관통부(24)에 끼워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되고, 받침부(34) 단부는 연결간(21)의 절곡부(22) 외측면에 접하면서 지지되므로 안경다리(30)가 더이상 외측방향으로 확개되지 않고 지지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렌즈테(20)로부터 안경다리(30)를 절첩시키면, 안경다리(30)는 홀더(23)를 축으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이때 안경다리(30)를 구성하는 본체(21)의 선단부(32)가 연결간(21)의 관통부(24)에 끼워지게 되면서 안경다리(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안경(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렌즈테(20)에 구성된 홀더(23) 외면에 안내홈(26)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홈(26)에 안경다리(30)에 구성된 협지편(33)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설치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한 경우 렌즈테(20)의 홀더(23)로부터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이 상하유동없이 견고한 조립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40)은 코받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경(10)은 렌즈테(20)와 안경다리(40)가 서로 분해조립식으로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안경(10)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조립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안경(10)을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안경착용을 위한 장소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며, 일예로서 야외용 선글라스 용도로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선글라스용 렌즈테(20)에 선글라스와 어울리는 안경다리(30)를 선택한 다음 렌즈테(20)에 구성된 연결간 홀더(23)와 안경다리(30) 선단부에 구성된 협지편(33)을 이용하여 렌즈테(20)로부터 안경다리(30)를 신속하게 조립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렌즈테(20)의 홀더(23)에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이 탄력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안경다리(30)를 외측방향으로 펼치면 홀더(23)를 축으로 안경다리(30)가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되고, 위와는 반대로 안경다리(30)를 내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23)를 축으로 안경다리(30)가 절첩된다.
특히 렌즈테(20)로부터 안경다리(30)를 결합하거나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을 렌즈테(20)의 홀더(23) 일측에 근접시킨 다음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들이 신속히 결합되고, 반대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렌즈테(20)의 홀더(23)로부터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을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간단히 분리되므로 렌즈테(20)와 안경다리(30)의 결합 및 분리가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구입시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다수개 구입하였다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안경의 조립상태 평면구성도로서 안경다리를 펼친 상태도
도 4 : 본 발명 안경의 조립상태 평면구성도로서 안경다리를 절첩한 상태도
도 5 : 본 발명 안경에 구성된 홀더와 협지편 부분의 평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안경 사시도
도 7 :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안경 (20)--렌즈테
(21)--연결간 (22)--절곡부
(23)--홀더 (24)--관통부
(26)--안내홈 (30)--안경다리
(31)--본체 (32)--선단부
(33)--협지편 (34)--받침부
(35)--입구부 (36)--내경

Claims (2)

  1. 삭제
  2. 렌즈테(20) 양측 단부에 연결간(21)을 용접구성하되, 상기 연결간(21) 단부에 홀더(23)를 구성하고, 안경다리(30)의 본체(21) 선단부에 협지편(33)을 구성하며, 상기 렌즈테(20)의 연결간(21) 단부에 구성된 홀더(23)에 안경다리(30)의 본체(31) 선단부에 구성된 협지편(33)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종래의 안경에 있어서,
    렌즈테(20)의 연결간(21)에 관통부(24)가 형성된 절곡부(22)를 구성하고, 안경다리(30) 선단부에 구성된 협지편(33) 단부에는 본체(31)와 나란하게 전방으로 절곡구성된 받침부(34)를 구성하여 렌즈테(20)의 홀더(23)에 안경다리(30)의 협지편(33)을 끼운 상태에서 안경다리(30)를 펼치면 받침부(34)의 단부가 연결간(21)의 절곡부(22) 외면과 접하게 하므로서 안경다리(30)의 확장이 제어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070116490A 2007-11-15 2007-11-15 안경 KR100888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90A KR100888548B1 (ko) 2007-11-15 2007-11-15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90A KR100888548B1 (ko) 2007-11-15 2007-11-15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548B1 true KR100888548B1 (ko) 2009-03-11

Family

ID=4069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490A KR100888548B1 (ko) 2007-11-15 2007-11-15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5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057A (ja) * 1995-02-21 1996-09-03 Onaga Megane:Kk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JPH09105888A (ja) * 1995-10-11 1997-04-22 Aoyama Megane Kk 眼鏡のテンプル連結機構
JP2000275584A (ja) * 1999-03-24 2000-10-06 Fukui Koki 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057A (ja) * 1995-02-21 1996-09-03 Onaga Megane:Kk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JPH09105888A (ja) * 1995-10-11 1997-04-22 Aoyama Megane Kk 眼鏡のテンプル連結機構
JP2000275584A (ja) * 1999-03-24 2000-10-06 Fukui Koki 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69B1 (ko) 교체형 안경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KR100888548B1 (ko) 안경
KR102004619B1 (ko) 탈,착식 안경경첩
KR100888547B1 (ko) 안경
MX2013010903A (es) Anteojos.
KR200447407Y1 (ko) 안경다리의 탈착구조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CN111588543A (zh) 一种便于更换镜片的塑胶可折叠护目镜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20080003598U (ko) 이중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KR101833891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20200000886U (ko) 안경테 스타일 및 브릿지 길이에 적합하게 동공간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안경
CN212433522U (zh) 一种拆卸式眼镜架
KR20140001657U (ko) 회전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안경
CN218122379U (zh) 一种无镜框无铰链的眼镜
KR200341085Y1 (ko) 안경다리 탈부착 구조
KR20180092080A (ko) 교체식 안경테
KR200453136Y1 (ko) 코받침연결간을 가진 조립식안경
KR200381236Y1 (ko) 반무테 안경
JP2000028968A (ja) 眼鏡における付加レンズの簡易着脱機構
KR101571392B1 (ko) 접이식 보조안경이 구비된 안경
KR100913364B1 (ko) 안경
KR200460295Y1 (ko) 안경 구조
JPH0990286A (ja) 折り畳み式メガネ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