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815B1 -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815B1
KR100887815B1 KR1020070105400A KR20070105400A KR100887815B1 KR 100887815 B1 KR100887815 B1 KR 100887815B1 KR 1020070105400 A KR1020070105400 A KR 1020070105400A KR 20070105400 A KR20070105400 A KR 20070105400A KR 100887815 B1 KR100887815 B1 KR 10088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ever unit
rod
head portion
touch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무
김수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에 회전 방지 후크가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이 대향되게 마련된 헤드부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고,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이 복수개 형성된 엔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엔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와셔 및 너트가 불필요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ONE-TOUCH PIN OF AUTO-LEVER UNI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식으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와는 달리 클러치가 없으며,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은 정도와 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해,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센터 페시아에는 운전자가 파지하기 위한 오토 레버 유닛이 장착되어 있다.
오토 레버 유닛은 운전자가 파지하여 쉬프트 하기 위한 노브와, 노브의 하측에 결합되어 노브의 조작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한 쉬프트 레버 및 케이블 등의 각종 부품이 장착된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쉬프트 레버는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스틸 재질의 핀(101)을 매개로 케이싱에 조립되는데, 종래의 핀(101)은 원통 형상의 로드(111)와, 로드(11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로드(1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플랜지(112)를 가지는 헤 드부(110)와; 로드(111)의 타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엔드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101)은 쉬프트 레버를 관통하여 케이싱에 조립되는데, 이 때 와셔(125)와 너트(130)를 이용하여 핀(101)이 케이싱에 고정된다. 이에, 작업자가 쉬프트 레버를 핀(101)을 이용하여 케이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쉬프트 레버와 케이싱에 핀(101)을 삽입하고 핀(101)의 엔드부(120)에 와셔(125)를 끼운 후 너트(130)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세 개(101, 125, 130)의 부품을 들고 조립을 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 개의 부품(101, 125, 130)을 모두 이용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선하여 와셔 및 너트가 불필요 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에 있어서, 단부에 회전 방지 후크가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이 대향되게 마련된 헤드부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고,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이 복수개 형성된 엔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엔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원통 형상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 단부에 상기 로드의 직경보다 크게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와 평행하도록 절곡되며 단부에 상기 회전 방지 후크가 돌출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로드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엔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핀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선하여 와셔 및 너트가 불필요 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이 제공된다.
또한, 헤드부에 회전 방지 후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에 대해 핀이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일이 없이 케이싱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핀(1)은 일반적으로 센터 페시아에 마련되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 중의 하나로서, 오토 레버 유닛을 구성하는 쉬프트 케이블 및 쉬프트 레버 등의 부품이 장착된 케이싱(5)에 결합되어 쉬프트 레버를 케이싱(5)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원터치 핀(1)은 크게 케이싱(5, 도 2의 (a) 참조)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2, 도 2의 (a) 참조)에 결합되는 헤드부(10)와, 케이싱(5, 도 2의 (b) 참조)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공(3, 도 2의 (b) 참조)에 걸리는 엔드부(20)와, 헤드부(10)와 엔드부(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로 구성된다.
헤드부(10)는 원통 형상의 로드(11)와, 로드(11)의 일측 단부에 로드(11)의 직경(D)보다 크게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2)와, 플랜지(12)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로드(11)와 평행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결합편(13)으로 구성된다.
결합편(13)은 서로 대향하도록 플랜지(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회전 방지 후크(13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2의 (a) 와 같이 결합편(13)이 케이싱(5)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2)에 삽입되면, 회전 방지 후크(13a)가 결합공(2)의 내측면에 걸려 로드(1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엔드부(20)는 헤드부(10)의 로드(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D)으로 이루어진 몸체(21)와, 몸체(21)의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20a)에 의해 이루어진 복수의 걸림편(22)으로 구성된다.
각 걸림편(22)의 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걸림 돌기(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2의 (b)와 같이 엔드부(20)가 케이싱(5)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공(3)에 삽입되면, 걸림 돌기(22a)가 걸림공(3)의 외측면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이 때, 각 걸림편(22)은 절개홈(20a)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데, 걸림공(3)을 통과할 때에는 각 걸림편(22)의 내측을 향해 약간 수축되었다가 걸림공(3)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복원되어 걸림공(3)의 외측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30)의 직경(D')은 헤드부(10) 및 엔드부(20)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헤드 임팩트(HEAD IMPACT) 시험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오토 레버 유닛은 사람의 머리가 부딛힐 수 있는 위치인 센터 페시아에 마련되기 때문에 감속도를 법규로 규제하고 있은데, 이를 만족하기 위해 종래에는 헤드 임팩트(HEAD IMPACT) 시험시 별도의 구조를 두어 핀이 케이싱에서 빠져 감속되도록 설계되고 있었다. 이에, 오토 레버 유닛을 설계할 때 충돌 안전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추가 구조가 필요하여 개발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임팩트 시험시 강성이 약한 연결부(30)가 충 격을 흡수하여 파손됨으로써 별도의 추가 구조가 필요없으므로 개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1)은 원터치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의 와셔 및 너트를 삭제할 수 있어 조립 과정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에 회전 방지 후크(1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5)에 대해 핀(1)이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일이 없이 케이싱(5)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헤드 임팩트 시험시 연결부(30)가 파손되기 때문에 충돌 안전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 구조가 불필요하므로 개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헤드부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도 1의 엔드부가 케이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핀과, 와셔 및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터치 핀 10 : 헤드부
11 : 로드 12 : 플랜지
13 : 결합편 13a : 회전 방지 후크
20 : 엔드부 20a : 절개홈
21 : 몸체 22 : 걸림편
22a : 걸림 돌기

Claims (3)

  1. 단부에 회전 방지 후크가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이 대향되게 마련된 헤드부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고,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이 복수개 형성된 엔드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엔드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원통 형상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 단부에 상기 로드의 직경보다 크게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와 평행하도록 절곡되며 단부에 상기 회전 방지 후크가 돌출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로드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엔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KR1020070105400A 2007-10-19 2007-10-19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KR10088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00A KR100887815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00A KR100887815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815B1 true KR100887815B1 (ko) 2009-03-09

Family

ID=4069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400A KR100887815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8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964U (ko) * 1995-10-31 1997-05-23 수동 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시프팅장치
JP2005289221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操作レバー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964U (ko) * 1995-10-31 1997-05-23 수동 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시프팅장치
JP2005289221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操作レバーの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9684B1 (en) Extendable lever for a release mechanism
JP2010038185A (ja) 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およびクリップ
US10190341B2 (en) Door outside handle
US10703346B2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KR100887815B1 (ko) 자동차의 오토 레버 유닛의 원터치 핀
KR100522870B1 (ko)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JP4625503B2 (ja) ワイパ装置
JP3958917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US20110290068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feet
KR100857216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
EP1407947B1 (en) Automobile pedal supporting structure
US20170335957A1 (en) Transmission shifter with multi-position lockout
US20180037199A1 (en) Device for preventing rearward movement of vehicle pedal assembly
JP2006092413A (ja) 車両のペダル支持構造
JP2006151022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構造
JP5876376B2 (ja) グロメット
KR20220010599A (ko) 충격의 경우에 도어의 개방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JP2001099116A (ja) 位置決めピン
US20140318924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19026156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WO2023157538A1 (ja) 電動モータの固定構造
KR101746473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 구조
US20140237810A1 (en) Device for attaching a knob of a gear lever for a motor vehicle
JP4626594B2 (ja) クリップ着脱構造
JP2005170077A (ja) 部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