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752B1 - 커튼용 이중 직물지 - Google Patents

커튼용 이중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752B1
KR100886752B1 KR1020080109367A KR20080109367A KR100886752B1 KR 100886752 B1 KR100886752 B1 KR 100886752B1 KR 1020080109367 A KR1020080109367 A KR 1020080109367A KR 20080109367 A KR20080109367 A KR 20080109367A KR 100886752 B1 KR100886752 B1 KR 10088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uji
weft
doubl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537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08010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7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커튼용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의 장식성과 함께 차광효과가 우수한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커튼용 직물지는 실내 측으로 노출되며 제 1위사와 제 1경사로 직조된 전지와;상기 전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지의 제 1위사 및 제 2경사 보다 가는 제 2위사와 제 2경사로 밀집되게 직조된 후지;를 구비하며,상기 전지의 제 1위사와 상기 후지의 제 2경사 또는 상기 전지의 제 1경사와 상기 후지의 제 2위사를 일정간격으로 교차시켜 상기 전지와 상기 후지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이중 커튼용 직물지에 의하면 후지를 전지보다 더 가는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함으로써 빛이 실내로 차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후지의 후면에 코팅막을 구비함으로써 빛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Figure R1020080109367
커튼, 직물, 이중, 코팅

Description

커튼용 이중 직물지{Duplication textile for curtain}
본 발명은 이중 커튼용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구조의 직물지에 차광 코팅막을 구비하여 차광효과가 우수한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커튼은 방풍, 차광, 단열, 방음 등을 주목적으로 주로 창문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실내에서 공간과 공간 사이에 공간 구획과 함께 방음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커튼은 설치 및 사용 구조 등에 따라 좌우로 펼쳐지는 일반적인 커튼과 세로로 다수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버티컬 커튼, 회전롤에 권취되는 롤 커튼, 상하로 접혀지는 로만쉐이드 타입 커튼 등이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커튼은 일반 가정은 물론 학교, 스튜디오, 소음측정실 등에 설치되어 주로 차광, 방풍, 단열, 방음 등의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차광을 주목적으로 하는 커튼에 대하여 살펴보면 종래에는 통상의 장식용 커튼의 후방에 차광을 위하여 별도의 차광용 커튼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및 시간이 이중으로 들었던 폐단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 1994-0005264호에는 이중 커텐지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이중 커텐지는 동일한 굵기의 원사를 이용한 직물을 이중으로 결합하였기 때문에 통풍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차광의 효과는 거의 없어 차광을 위한 커튼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커텐지는 가연성의 소재로 제작되어 화재발생 등에 의해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광효과가 우수한 이중 커튼용 직물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염성이 우수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이중 커튼용 직물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커튼용 직물지는 실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측으로 노출되며 제 1위사와 제 1경사로 직조된 전지와; 상기 전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제 2위사와 제 2경사로 직조된 후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지는 상기 전지의 제 1위사 및 제 1경사 보다 가는 원사로 밀집되게 직조된 제 2위사 및 제 2경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에 결합된 후지의 후면에는 차광을 위해 형성된 차광코팅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 및 후지는 방염을 위한 방염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지는 상기 전지의 제 1위사에 일정간격으로 교차되어 결합된 제 2경사 또는 상기 전지의 제 1경사에 일정간격으로 교차되어 결합된 제 2위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는 제 1위사 또는 제 1경사가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며, 절단된 상기 제 1위사 또는 제 1경사의 일측은 상기 전지에서 전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 커튼용 직물지에 의하면 후지를 전지보다 더 가는 원사를 이용한 이중 직물지에 차광 코팅막을 구비함으로써 빛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직물에 방염처치를 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안전한 직물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커튼용 직물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용 이중 직물지를 이용한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직물지의 단면의 일부를 발췌해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튼용 이중 직물지(20)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10)는 창가의 실내 측에 설치되어 회전 롤(5)에 권취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한다.
상기의 롤 블라인드(10)에 사용되는 이중 직물지(20)는 전지(30)와 후지(40)가 이중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전지(30)는 일정한 굵기를 갖는 제 1위사(31)와 제 1경사(35)가 서로 교차하여 직조된 직물을 이용하고, 창가로 노출되는 후지(40)는 제 2위사(41)와 제 2경사(45)로 직조된 직물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위사(41)와 제 2경사(45)의 원사는 전지(30)의 원사보다 더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30)는 600 내지 700데니어(denier)이고, 후지는 50 내지 100데니어로 형성한다.따라서 후지(40)는 전지(30)보다 더욱 밀집되게 형성하여 실외에서 유입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지는 차광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 검정색 원사를 이용한다.
상기의 전지(30)와 후지(40)의 원사는 폴리에스터를 소재를 이용한다. 이외에도 나일론이나 T/C, T/R등의 혼방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전지(30)와 후지(40)는 상호 결합되어 이중의 구조로 형성되는 데, 전지(30)의 제 1경사(35)와 후지(40)의 제 2위사(41)는 일정간격으로 상호 교차함으로써 전지(30)의 후면에 후지(40)가 결합된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지(30)의 제 1위사(31)와 후지(40)의 제 2경사(45)가 일정 간격으로 상호 교차함으로써 전지(30)와 후지(40)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후지(40)의 후면에는 차광을 위한 차광 코팅막(60)이 형성된다. 차광 코팅막(60)은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차광 코팅막(60)은 함침법에 의해 후지(60)에 안료가 첨가된 아크릴 수지를 함침시키거나 건식 나이프 코팅법에 의해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형성시킨다.
함침법은 방염수지의 점도조절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건조속도가 느려 생산성에 문제점이 있으므로 건식나이프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아크릴 수지에 방염제를 더 첨가한다. 방염제로는 브롬계 중에서도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TBBA(Tetrabromobisphenol A),BPS(Brominated Polystyrene), BEO (Brominated Epoxy Oligomer), DBDPO(Decabrom di phenyl oxi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는 차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검정안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차광 코팅막(60)을 후지(40)에 형성하는 것과 달리 전지(30)와 후지(40)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코팅막(60)은 전지(30)의 후면에 코팅하여 건조하기 전에 후지(40)를 차광 코팅막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30)와 후지(40)의 원단은 난연사를 이용하여 직조함으로써 방염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방염성 외에 내광 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대전방지제, 발수발유제, 오염방지제, 항균제, 수분 흡수제, 슬립 방지제 등의 섬유 가공제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측으로 노출된 전지(30)는 제 1위사(31) 또는 제 1경사(35)가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며, 절단된 상기 제 1위사(31) 또는 제 1경사(35)의 일측은 상기 전지(30)에서 전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 예로 전지(30)의 제 1위사(31)를 일정간격으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위사(31) 중 일측은 제 1경사(35)와 직조된 상태로 놔두고 타측은 제 1경사(35)와 교차를 풀면 일측은 전지(3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전지(30)로부터 이격되어 전면 실내 측으로 돌출된다.
이는 전지를 일정간격으로 군데 군데 절단하고, 절단된 제 1위사 또는 제 1경사를 전면 실내 방향으로 일으켜 세워 멋스러움을 연출시키고,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에 따른 직물지를 섬유시험 연구원에 일광견뢰도(KSK ISO105:2005, XENON-ARC-LAMP, BLUE SCALE), 광투과율(ASTM D 1003-HAZEMETER METHOD) 분석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1은 650데니아의 폴리에스터 원사를 직조한 전지와 75데니아의 폴리에스터 원사를 직조한 후지를 결합하여 이중 직물지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2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후지의 후면에 검정안료가 혼합된 아크릴 수지를 두께 0.3mm로 도포하여 차광코팅막을 형성하여 이중 직물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650데니아의 원사로 전지와 후지를 직조하여 이중 직물지를 제조하였다.
[표1]
구분 일광견뢰도(급) 광투과율(%)
실시예1 4이상 0.2
실시예2 4이상 8.7
비교예1 4이상 30.4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 예 1에 의한 이중 직물지의 경우 광투과율이 8.7%로 나타났고, 실시 예 2에 의한 차광코팅막을 형성한 이중 직물지는 이보다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실시 예 2의 광투과율은 0.2%로 아주 낮아 광차단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1과 2모두 일광 견뢰도도 우수하여 커튼의 직물지로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비교 예에 의한 이중 직물지의 경우 광투과율이 30.4%로 나타나 실시 예 1 및 2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차광효과가 훨씬 낮게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직물지는 커튼으로 사용할 경우 차광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직물지는 도시된 롤 블라인드 외에도 판넬 블라인드, 버티칼 타입의 커튼이나 로만쉐이드 타입의 커튼, 주름 타입의 커튼 등 빛을 차광하기 위한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직물지는 차광을 주목적으로 하는 일반가정, 여관 등의 숙박업소, 스튜디오, 강당, 세미나실, 행사장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용 이중 직물지를 이용한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직물지의 단면의 일부를 발췌해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전지 31: 제 1위사
35: 제 1경사 40: 후지
41: 제 2위사 45: 제 2경사
60: 차광 코팅막

Claims (2)

  1. 실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측으로 노출되며 제 1위사와 제 1경사로 직조된 전지와;
    상기 전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제 2위사와 제 2경사로 직조된 후지;를 구비하며,
    상기 후지는 상기 전지의 제 1위사에 일정간격으로 교차되어 결합된 제 2경사 또는 상기 전지의 제 1경사에 일정간격으로 교차되어 결합된 제 2위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용 이중 직물지.
  2. 삭제
KR1020080109367A 2008-11-05 2008-11-05 커튼용 이중 직물지 KR10088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67A KR100886752B1 (ko) 2008-11-05 2008-11-05 커튼용 이중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67A KR100886752B1 (ko) 2008-11-05 2008-11-05 커튼용 이중 직물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06A Division KR100886751B1 (ko) 2007-08-23 2007-08-23 커튼용 이중 직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37A KR20090020537A (ko) 2009-02-26
KR100886752B1 true KR100886752B1 (ko) 2009-03-04

Family

ID=4068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367A KR100886752B1 (ko) 2008-11-05 2008-11-05 커튼용 이중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853U (ko) * 1990-03-14 1991-12-03
KR20060040530A (ko) * 2004-11-06 2006-05-10 (주)풍전티.티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차광지
JP2007039822A (ja) 2005-08-01 2007-02-15 Tarui Seni Kogyo Kk 二重織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853U (ko) * 1990-03-14 1991-12-03
KR20060040530A (ko) * 2004-11-06 2006-05-10 (주)풍전티.티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차광지
JP2007039822A (ja) 2005-08-01 2007-02-15 Tarui Seni Kogyo Kk 二重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37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404905B2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357683B1 (en) Room darkening material and architectural covering made from same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AU2009307557B2 (en) Highly translucent film material
JP2007055177A (ja) 遮熱効果持続性に優れた採光膜材
JP5062615B2 (ja) 遮熱性に優れた天然繊維調メッシュシート
KR100886751B1 (ko) 커튼용 이중 직물지
KR100886752B1 (ko) 커튼용 이중 직물지
KR101040214B1 (ko) 난연성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제조방법
JPH0633671A (ja) 配光制御カーテン
KR101450060B1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US7172802B2 (en) Casement fabrics
JP2010229640A (ja) 昆虫陰影痕防止性に優れた光天井用膜材、及びその光天井システム
US20120103540A1 (en) Window Treatment With Spatially Varied Transparency
CN201519033U (zh) 免洗阻燃反射节能幕帘
CN210582091U (zh) 一种具有双层peva膜的窗帘布
KR101388086B1 (ko)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JPH0333242A (ja) 耐燃性ポリエステルのモノフィラメントによって形成された編織布シート材料
CN210354273U (zh) 一种新型防尘窗帘布
CN214606360U (zh) 一种多功能阻燃效果好的窗帘
CN210685819U (zh) 一种遮阳卷膜中空节能窗
CN221022713U (zh) 一种抗紫外线窗帘面料
CN219988636U (zh) 一种抗撕裂阻燃窗帘
CN209854957U (zh) 一种隔声吸声屏障
US20210001595A1 (en) Acoustic Absorp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