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03B1 -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03B1
KR100885103B1 KR1020070030246A KR20070030246A KR100885103B1 KR 100885103 B1 KR100885103 B1 KR 100885103B1 KR 1020070030246 A KR1020070030246 A KR 1020070030246A KR 20070030246 A KR20070030246 A KR 20070030246A KR 100885103 B1 KR100885103 B1 KR 10088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member
connecting member
connector
engage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596A (ko
Inventor
세이야 마츠오
아카네 요네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게 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도전체가 탄성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탄성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피걸림 결합부와 결합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측 상에 형성된 경사 표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DOUBLE-SIDED CONNECTOR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POSITIONING A CONNECTION MEMBER}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접속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접속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접속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D는, 상기 접속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조립의 제1 단계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의 제2 단계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조립의 완료 후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VIII-VIII선을 따라 자른, 도 7에 도시된 프레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접속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B는, 다른 측면에서 본 도 7에 도시된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접속부재 중 하나가 아직 프레임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의 XI-X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의 XII-XII 선을 따라 자른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의 접속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접속부재 중 하나가 프레임에 아직 끼워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가 사용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조립 도중에서의 도 15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조립 완료 후에서의 도 15의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접속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게 되어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JPA) 제2005-2285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에 대하 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 21로 나타낸 커넥터는, 프레임(22), 상기 프레임(22)의 중심에 형성된 두 개의 수용 구멍(22a)에 각각 수납된 두 개의 접속 부재(23) 및 상기 프레임(22)의 대향 표면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단일 면(single-sided) 접착 테이프(24, 2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2)은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프레임(22)의 중심에, 직사각형 형상의 두 개의 수용 구멍(22a)이 상기 프레임(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22)에는, 그 일면 상에 두 개의 대각선 방향 코너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보스(bosses, 22b)가 설치되어 그곳으로부터 돌출한다. 위치 결정 보스(22b)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하여 커넥터(21)의 위치를 정하도록 한다.
각각의 접속 부재(23)는 고무나 젤(gel)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절연성 탄성부재(23a)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탄성부재(23a) 상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3a)의 상면, 일측면 및 저면 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도전성막(23b)을 포함한다. 도전성막(23b)은 스퍼터링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도 2A 내지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23a)는 그 길이방향 대향 단부의 근처 다른 측면(즉, 도전성막(23b)이 없는 표면)상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3a1)를 가진다.
단일면 접착 테이프(24, 25)는 프레임(22)의 대향 표면과 형상이 일치(congruent in shape)된다. 단일면 접착 테이프(24, 25)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직사각형 구멍(24a, 25a)이 설치되어, 두 개의 접속부재(23)의 도전성막(23b)이 그곳으로부터 돌출되게 한다. 단일면 접착 테이프(24)는 그 두 개의 대각선 방향의 코너를 펀칭하여 형성된 한 쌍의 원형 구멍(24b)을 가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22)의 접속부재(23)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부재(23)는 도면에서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22)의 수용구멍(22a)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돌기(23a1)가 수용구멍(22a)의 내측 면과 가압접촉하여, 상기 접속부재(23)가 도 3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2)에 임시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각 도전성막(23b)이 삽입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수용구멍(22a)에는 도전성막(23b)에 마주보는 표면상에 형성된 모따기부(chamfered portion, 22c)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면 접착 테이프(24, 25)는 도면에서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낸 대로 프레임(22)의 대향 표면에 각각 접착된다. 그리고 나서, 커넥터(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일면 접착 테이프(24, 25)는 탄성부재(23a)의 폭이 좁은 부분(narrow portion, 23a2)에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접속부재(23)는 프레임(22)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JP-A) 제2005-228504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는 이하의 면에서 불리하다.
1. 접속부재(23)가 프레임(22)에 삽입될 때, 프레임(22)의 휨과 접속부재 (23)의 탄성부재(23a)의 돌기(23a1)와 프레임(22) 사이의 마찰력 편차에 기인한 불균일한 압입 깊이(press-fit depth) 때문에, 프레임(22)에 접속부재(23)를 적절하게 끼우는 것이 어렵다.
2. 프레임(22)에 압입된 접속부재(23)는 임시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프레임(22)으로부터 접속부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일면 접착 테이프(24, 25)가 이용된다. 테이프(24, 25)에 박리력(peeling force)이 인가되면, 테이프(24, 25)는 프레임(2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벗겨져, 접속부재(23)가 수직 방향으로 변위된다. 커넥터(21)가 상당한 진동 또는 기계적 충격을 받으면, 테이프(24, 25)는 프레임(22)으로부터 벗겨진다. 이 경우, 접속부재(23)는 프레임(22)으로부터 이탈된다.
3. 도전성막(23b)이 손상되면, 접속부재(23)를 교환하여야 한다. 이 경우, 교환 부위의 테이프(24, 25)는 프레임(22)으로부터 벗겨내야 한다. 이것은, 작업 효율을 떨어뜨린다. 테이프(24, 25)가 벗겨지면, 다른 도전성막(23b)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4. 커넥터(21)는 접속부재(23), 프레임(22), 및 테이프(24, 25)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증가하며 조립 및 조립 해제 작업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대하여 접속부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부재가 프레임에 대하여 변위되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부재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교환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부품수가 적으며,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립 및 조립해제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진행함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프레임에 삽입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방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체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탄성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피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측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탄성부재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진 제1 경사 표면(slant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탄성부재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체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된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는 양측 커넥터(double-sided connector), 즉 양쪽에서 접속을 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양측 커넥터(1)는, 서로 나란하게 프레임(3)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즉 두 개의 접속부재(2)(도 9A 및 도 9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부재(2)는 강화부재로서 골격부(bone, 2a)와 상기 골격부(2a) 주위에 형성된 탄성부재(2b)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b)의 외부 표면상에, 절연성 시트(2c)가 둘레에 감겨 있다. 절연성 시트(2c)는,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탄성부재(2b)에 고정된다. 절연성 시트(2c)에는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도전체(conductor, 2d)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도전체(2d)는,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연성 시트(2c)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접속부재(2)가 형성된다.
골격부(2a)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rigidity)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 골격부(2a)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수지 또는 프레임 과 동일한 가소성 재료(plastic material)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2b)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는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 도전체(2d)는 금도금 동박(gold-plated copper foil)과 같은 다중층 막을 포함한다.
프레임(3)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그곳을 통하여 삽입되는 접속부재(2)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릿(slits, 3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슬릿(3a)은 두 개의 접속부재(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각 슬릿(3a)에는 상하로 번갈아 형성된 두 개의 상측(upper side) 프레임 돌기와 하나의 하측(lower side) 프레임 돌기를 포함하는 3개의 프레임 돌기(피걸림 결합부, an engaged portion)(3b)가 설치되어 있다. 상, 하측 프레임 돌기(3b)의 조합을 피걸림 결합부라고도 한다.
각각의 접속부재(2)는 제1 방향(A1) 또는 제1 방향(A1)의 역방향인 제2 방향(A2)으로 프레임(3)의 각 슬릿(3a)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접속부재(2)는 제1 방향(A1)에 수직인 제3 방향(A3)으로 탄성부재(2b)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이하에서는, "맞춤못 부분"(dowel portions, 2b1)이라고 함)를 가진다. 맞춤못 부분(2b1)은 탄성부재(2b)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탄성부재(2b)와 일체로 형성된다. 골격부(2a)는 각 맞춤못 부분(2b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탄성부재(2b)에 매립된다.
맞춤못 부분(2b1)은 3개의 프레임 돌기(3b)에 대응하는 3개의 스토퍼 표면(2b2)을 가진다. 각각의 맞춤못 부분(2b1)은 스토퍼 표면(2b2)에 대향하는 측면상에 형성된 경사 표면(2b3)을 가진다. 따라서, 맞춤못 부분(2b1)은 스토퍼 표면(2b2)과 경사 표면(2b3) 사이에서 규정된다. 제1 및 제3 방향(A1 및 A3)에 수직인 제4 방향(A4)에서, 스토퍼 표면(2b2) 및 경사 표면(2b3)은 프레임 돌기(3b)에 대응하여 위치가 서로 반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맞춤못 부분(2b1)은 제4 방향(A4)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서로 인접한 맞춤못 부분(2b1) 중 하나의 경사 표면(2b3)(즉, 제1 걸림 결합부(the first engaging portion))가 제2 방향(A2)을 향하여 탄성부재(2b)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지는 한편, 다른 쪽의 경사 표면(2b3)(즉, 제2 걸림 결합부)는 제1 방향을 향하여 탄성부재(2b)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진다.
도전체(2d)는 제1 및 제2 방향(A1 및 A2)으로 프레임(3)으로부터 돌출한다. 이하에서 더욱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은 각각 프레임(3)으로부터 돌출하는 도전체(2d)의 돌출부와 가압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접속 대상물은 도전체(2d)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프레임(3)에 접속부재(2)를 삽입하는(끼우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프레임 돌기(3b)가 슬릿(3a)의 상측 상에 존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고찰될 것이다. 접속부재(2)가 제1 방향(A1)으로 프레임(3)에 삽입되는 경우, 우선 접속부재(2)가 프레임 돌기(3b) 상에 형성된 경사 표면(3b1)에 의해 가이드되며, 필요하다면 슬릿(3a)으로 삽입되도록 테이퍼진 부분(tapered portion, 3b3)에 의해 가이드된다. 다음으로, 접속부재(2)의 경사 표면(2b3)이 프레임 돌기(3b)와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접속부재(2)의 경사 표면(2b3)이 프레임(3)의 경사 표면(3b1)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2b)가 변형되어 경사 표면(3b1)을 가 로 질러 움직인다.
도 12를 참조하여, 프레임 돌기(3b)가 슬릿(3a)의 하측 상에 존재하는 다른 영역에 대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접속부재(2)가 제1 방향(A1)으로 프레임(3)에 삽입되는 경우, 접속부재(2)는 프레임(3)과 간섭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접속부재(2)의 스토퍼 표면(2b2)이 프레임 돌기(3b) 상에 형성된 스토퍼 표면(3b2)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하여, 접속부재(2)의 삽입이 완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맞춤못 부분(2b1)의 경사 표면(2b3)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경사 표면(2b3)은 코너가 모따기되어 있는 형상(corner-chamfered shape), 코너가 둥근 형상(corner-rounded shape), 또는 둥근 형상(round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경사 표면(2b3)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속부재(2)는 스토퍼 표면(2b2)이 상하로 번갈아 프레임(3)의 슬릿(3a)으로부터 돌출하는 프레임 돌기(3b)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접속부재(2)는 프레임(3)에 대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프레임(3)은 수직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2)는 제2 방향(A2)으로 프레임(3)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맞춤못 부분(2b1)과 프레임 돌기(3b)의 수는 각각 3개이다. 그러나, 그 수는 두 개 또는 4개 또는 그보다 많을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 있어서, 이하의 장점이 기대된다.
1. 접착 테이프가 필요없이 프레임(3)에 접속부재(2)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2. 접속 부재의 탄성부재 상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와 프레임의 피걸림 결합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프레임에 대하여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프레임의 피걸림 결합부와 접속부재의 걸림 결합부가 결합되기 때문에 접속부재가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거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4. 접속부재의 탄성부재의 걸림 결합부가 프레임의 피걸림 결합부로부터 접속해제됨으로써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5. 접속부재가 프레임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는 편리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6. 커넥터는 작은 수의 부품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접속부재와 프레임을 포함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립되고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사한 부품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 나타낸 접속부재(2)에 있어서, 골격부(2a)는 맞춤못 부분(2b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맞춤못 부분(2b1)은 골격부(2a)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골격부(2a)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부재(2)의 구조는 다양한 방식 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 있어서도, 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커넥터와 유사한 장점이 기대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사한 부품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있어서, 접속부재(2')는 탄성부재(2b), 절연성 시트(2c), 복수의 도전체(2d), 및 돌출부(2e)를 포함한다. 프레임(3)은 피걸림 결합부로서 기능하도록 중심에 형성된 프레임 오목부(3c)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슬릿(3a)을 가진다.
접속부재(2')가 제1 방향(A1)으로 프레임(3)의 슬릿(3a)으로 삽입될 때, 접속부재(2')의 돌출부(2e)는 경사 표면(3b1)과 접촉하게 된다. 그 이후에, 돌출부(2e)는 평탄부(3b4)와 접촉하게 되어 좌측으로 밀려, 탄성부재(2b)가 변형된다. 접속부재(2')가 더 삽입되면, 돌출부(2e)는 프레임 오목부(3c)와 걸림 결합되어, 탄성부재(2b)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고정된다.
돌출부(2e)는 탄성부재(2b)보다 고강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고강성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 있어서도, 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커넥터와 유사한 장점이 기대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과 모듈을 서로 접속하는데 이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커넥터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도 15에서, 다양한 부품에 대하여 가장 밑에 있는 부품에서부터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고강성의 재료로 만들어진 강화부재(strengthening member, 11)에는 4개의 나사진 구멍(threaded holes, 11a)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2)에는 금, 니켈, 구리 등으로 만들어진 복수의 랜드(lands, 12a), 두 개의 위치결정 구멍(positioning holes, 12b) 및 4개의 스루홀(through holes, 12c)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 커넥터(1)의 프레임(3)은 각각에 두 개의 위치결정 핀(3d)이 설치된 대향 표면을 가진다. 플라스틱 또는 금속 프레임(13)에는 그 중심에 형성된 모듈 삽입 개구(module insertion opening, 13a), 개구 측벽(13b), 개구 테이퍼부(opening tapered portion, 13c), 두 개의 위치결정 구멍(13d), 및 4개의 스루홀(13e)이 설치되어 있다. 모듈(14)은 복수의 랜드(14a)를 가지는 랜드 그리드 어레이(land grid array)이다. 히트 싱크(15)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도전성(heat conductivity)이 뛰어난 재료로 만들어지며, 4개의 스루홀(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스크류(16)가 히트싱크(15)의 4개의 스루홀(15a), 프레임(13)의 4개의 스루홀(13e), 인쇄회로기판(12)의 4개의 스루홀(12c), 및 강화판(11)의 4개의 나사진 구멍(11a)에 각각 삽입된다.
이어서, 모듈(14)이 프레임(13)의 모듈 삽입 개구(13a)에 삽입된다. 양측 커넥터(1)의 일면 상의 두 개의 위치결정 핀(3d)과 타면 상의 두개의 위치결정 핀(3d)이 프레임(13)의 두 개의 위치결정 구멍(13d)과 인쇄회로기판(12)의 두 개의 위치 결정 구멍(12b)에 각각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네 개의 스크류(16)가 조여진다. 그리고 나서, 조립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성된다(끼움 결합 상태).
지금까지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대하여 접속부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부재가 프레임에 대하여 변위되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부재가 용이하게 간단하게 교환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가 적으며,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립 및 조립해제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체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진 제1 경사 표면(slant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좀더 밀접하게 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 각각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향하는 스토퍼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보다 고강성(higher rigidity)이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강화부재(strengthening member)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보다 고강성이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강화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강화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강화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피걸림 결합부는,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슬릿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 표면과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슬릿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사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피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결합하게 되는 제1 피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결합하게 되는 제2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피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체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된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걸림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피걸림 결합부는 상기 슬릿에 대향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슬릿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여 상기 걸림 결합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슬릿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사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030246A 2006-03-31 2007-03-28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 KR100885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8561A JP4286266B2 (ja) 2006-03-31 2006-03-31 コネクタ
JPJP-P-2006-00098561 200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596A KR20070098596A (ko) 2007-10-05
KR100885103B1 true KR100885103B1 (ko) 2009-02-20

Family

ID=3855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246A KR100885103B1 (ko) 2006-03-31 2007-03-28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51069B2 (ko)
JP (1) JP4286266B2 (ko)
KR (1) KR100885103B1 (ko)
TW (1) TWI327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5355B2 (ja) * 2008-04-14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49690B2 (ja) * 2008-04-16 2012-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63838B2 (ja) 2009-07-29 2011-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70237B2 (ja) * 2012-05-25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30300B2 (ja) * 2012-06-11 2016-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85908B2 (ja) * 2012-07-06 2016-09-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およびコネクタ
CN203631800U (zh) * 2013-11-26 2014-06-0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3871516U (zh) * 2014-02-27 2014-10-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2100189B1 (ko) * 2019-10-15 2020-04-13 주식회사 케이포스 표면 실장형 탄성 전기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633A (ja) * 1993-07-14 1995-02-07 Whitaker Corp:The エラストマコネクタ
JPH1032064A (ja) 1996-01-05 1998-02-03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H11102761A (ja) * 1997-09-29 1999-04-1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US6315576B1 (en) 1997-10-30 2001-11-13 Intercon Systems, Inc. Interpos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4960C3 (de) * 1971-11-26 1975-04-30 Teledyne, Inc., Los Angeles, Calif. (V.St.A.) Elektrischer Stecker
US3998512A (en) * 1975-02-13 1976-12-2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TW445680B (en) * 1999-01-21 2001-07-11 Shinetsu Polymer Co Press-contact electrical interconnec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963386B2 (ja) 2004-02-10 2007-08-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両面接続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633A (ja) * 1993-07-14 1995-02-07 Whitaker Corp:The エラストマコネクタ
JPH1032064A (ja) 1996-01-05 1998-02-03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H11102761A (ja) * 1997-09-29 1999-04-1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US6315576B1 (en) 1997-10-30 2001-11-13 Intercon Systems, Inc. Interpos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2103A1 (en) 2007-10-04
JP2007273314A (ja) 2007-10-18
TWI327395B (en) 2010-07-11
KR20070098596A (ko) 2007-10-05
US7351069B2 (en) 2008-04-01
JP4286266B2 (ja) 2009-06-24
TW200810266A (en) 200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103B1 (ko) 접속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가능한 양측 커넥터
US7479017B1 (en)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8267700B2 (en) Connector structure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JP2001110488A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KR102507203B1 (ko) 커넥터
US8029294B2 (en) Connector set and jointer for use therein
US5967831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785979B1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中継コネク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527522B2 (en) Connector assembly
JP475671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装置
JP4735285B2 (ja) コネクタ
JP2006004949A (ja) コネクタ
CN109193197B (zh) 一种电路板的电连接装置
JP2009266749A (ja) 電気コネクタ
US5211496A (en) Double wedgelock clamp
JP4340636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7239529B1 (en) Fixing member for auxiliary circuit board
KR101667301B1 (ko)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JP2008053119A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US20130163216A1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lectronic component
JP2010102933A (ja) モジュール型コネクタ
KR20090028416A (ko) 전기 커넥터
JP2007109420A (ja) 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
JPH103206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