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925B1 -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925B1
KR100884925B1 KR1020080113089A KR20080113089A KR100884925B1 KR 100884925 B1 KR100884925 B1 KR 100884925B1 KR 1020080113089 A KR1020080113089 A KR 1020080113089A KR 20080113089 A KR20080113089 A KR 20080113089A KR 100884925 B1 KR100884925 B1 KR 10088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hole
rod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11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관체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과 각 수직 관통홀에 장착되는 소화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수직 관통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지중선의 화재 발생시 화약봉을 폭발시켜 외부에서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발부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구비되어 화재를 외부에서 파악한 후 누름봉을 이용하여 지중선의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로 구성되며; 상기 폭발부는,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화약봉 장착홀과, 화약봉 장착홀에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중선 연결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약봉과, 상기 상부 돌출부에 체결되어 화약봉의 둘레를 감싸며 측벽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나선부가 형성된 외부 노출관과, 외부 노출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화약봉의 상부를 체결 고정하는 고정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부는,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 축소 관통홀이 포함되는 중앙홀과, 중앙홀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을 통해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 소화분말이 확산 배출되는 소화 분말통과, 중앙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봉의 누름을 통해 상기 소화 분말통을 눌러주는 소화 누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중성, 배전관체, 소화장치, 화재

Description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device of underground lin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지중선은 지중에 매설되어 공동주택의 각 가정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지중선은, 지하에 매설되고 다수의 맨홀이 구비된 배전관체의 내부에 다수의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지중선에서 부하가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화재를 신속히 진화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시말해 지중에 매설된 배전관체의 내부에 구비된 지중선들은 외부에서 식별을 할 수 없음에 따라서, 지중선의 일부에서 화재가 시작될 경우에는 화염이 전선을 타고 신속히 번지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지중선에서 발생된 화재가 주위의 타 지중선에 신속히 번지 게 됨으로써, 공동 주택의 전체 가정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지중선에서 발생된 화재가 주변 전체의 지중선으로 번지됨으로써 재 복구의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은 물론, 막대한 복구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선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지중선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전관체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과 각 수직 관통홀에 장착되는 소화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수직 관통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지중선의 화재 발생시 화약봉을 폭발시켜 외부에서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발부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구비되어 화재를 외부에서 파악한 후 누름봉을 이용하여 지중선의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로 구성되며; 상기 폭발부는,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화약봉 장착홀과, 화약봉 장착홀에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중선 연결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약봉과, 상기 상부 돌출부에 체결되어 화약봉의 둘레를 감싸며 측벽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나선부가 형성된 외부 노출관과, 외부 노출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화약봉의 상부를 체결 고정하는 고정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부는,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 축소 관통홀이 포함되는 중앙홀과, 중앙홀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을 통해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 소화분말이 확산 배출되는 소화 분말 통과, 중앙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봉의 누름을 통해 상기 소화 분말통을 눌러주는 소화 누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중선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지중선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 주택의 전체적인 정전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지중선의 손상을 최소로 하여 복구 시간 및 비용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는, 지중에 매설되어 상판(11)이 외부로 노출되는 배전관체(1)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12)과, 각 수직 관통홀(12)에 장착되어 배전관체(1)의 내부에 구비된 지중선(3)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소화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배전관체(1)의 내부에는 지중선(3)이 다수의 고정 브라켓(2)을 통해 고 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직 관통홀(12)은 양측 상부에 확장되게 구비된 중간 단부(12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 단부(121)에는 소화장치(4)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탭홀(1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소화장치(4)는, 상기 수직 관통홀(12)에 장착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양측에 구비되어 지중선(3)의 화재 발생시 화약봉(45)을 폭발시켜 외부에서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발부(42)와, 상기 하우징(41)의 중앙에 구비되어 화재를 외부에서 파악한 후 누름봉(5)을 이용하여 지중선(3)의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4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1)의 상부 전,후방에는 소화장치(4)를 용이하게 들고 장착할 수 있는 손잡이부(41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부(414)는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몰홈(415)과 함몰홈(415)에 힌지축(417)으로 삽입 장착되는 손잡이(416)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장치(4)를 구성하는 하우징(41)은, 상부 양측에 다수의 조립홀(412)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 단부(121)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다수의 고정볼트(413)로 고정되는 플렌지부(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폭발부(42)는 하우징의 양측에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나선부(432)가 형성된 상부 돌출부(431)가 구비되어 있는 화약봉 장착홀(43)과, 화약봉 장착홀(43)에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중선 연결천(4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 나선부(452)가 형성되어 있는 화약봉(45)과, 상기 상부 돌출부(431)에 체결되어 화약봉(45)의 둘레를 감싸며 측벽에는 다수의 관통홀(44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나선부(442)가 형성된 외부 노출관(44)과, 외부 노출관(44)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화약봉(45)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캡(44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캡(443)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나선부(442)에 체결되는 둘레 탭부(444)와, 내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화약봉(45)의 상부 나선부(442)에 체결되는 화약봉 고정탭홈(445)을 포함한다.
상기 지중선 연결천(451)은 볼트와 너트를 통해 화약봉(45)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어 하부가 지중선에 감겨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화부(46)는, 하우징(41)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축소 관통홀(471)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홀(47)과, 중앙홀(47)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을 통해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 소화분말이 확산 배출되는 소화 분말통(48)과, 중앙홀(47)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봉(5)의 누름을 통해 상기 소화 분말통을 눌러주는 소화 누름부(49)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 누름부(49)는, 중앙홀(47)의 상부에 고정수단(492)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는 수직홀(49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마감캡(491)과, 상부 마감캡(491)에 장착되는 누름수단(494)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수단(494)은, 상기 수직홀(493)에 관통되고 상부에는 상부 돌출나선축(497)이 구비되어 있는 외부 돌출축(496D)과, 상기 외부 돌출축(496D)의 하부 에 소화 분말통(48)의 상부와 연결수단(496)을 통해 연결 구비된 하부 누름판(49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492)은, 중앙홀(47)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고 다수의 탭홈(492D)이 형성되어 있는 둘레홈부(492C)와, 상부 마감캡(491)의 상부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탭홈(492D)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조립홀(492B)이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492A)와, 상기 조립홀(492B)과 탭홈(492D)에 관통 체결되어 상부 마감캡(491)을 중앙홀(47)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492E)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분말통을 상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분말통을 하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 분말통(48)과 하부 누름판(495)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496)은, 소화 분말통(48)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선부(496B)가 형성된 돌출 개방부(496A)와, 상기 하부 누름판(495)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돌출 개방부(496A)에 체결되는 탭홈(496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 분말통(48)은, 돌출 개방부(496A)가 형성된 상판(481)과, 하부에 나선부(483)가 형성된 둘레 자바라관(482)과, 상기 나선부(483)에 체결되는 하부 마감캡(48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마감캡(484)은, 중앙에 상광하협의 배출호퍼(485)가 구비되어 있고, 배출호퍼(485)를 구성하는 하부 배출부(486)의 하면에는 평소에 소화분말의 누출을 막는 강도가 약한 마감필름(487)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에서 화재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소화장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소화 누름부(49)를 구성하는 누름수단(494)의 외부 돌출축(496D)에는, 상부 돌출나선축(497)에 체결되는 하부 탭홈(51)이 형성된 누름봉(5)이 장착됨에 따라, 외부에서 하부 누름판(495)을 강한 힘으로 누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의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관체(1)의 내부에 구비된 지중선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는 화약봉(45)의 하부에 구비된 지중선 연결천(451)으로 번지게 된다.
다음 지중선 연결천(451)으로 번진 화염은 화약봉(45)을 점화시켜 화약봉(45)에서 순간적으로 폭발이 일어나게 되고, 이와 같이 폭발이 일어나는 순간에는 화약봉(45)을 감싸고 있는 외부 노출관(44)의 관통홀(441)에서 화염 및 연기가 분출되고 큰 소음이 외부로 발산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441)에서는 화약봉(45)에 화염이 점화되는 순간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폭발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지나가는 행인이나 경비자가 육안과 귀로 화재를 감지한 후 주위에 누름봉(5)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소화 분말통(48)을 누르게 되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분말통(48)이 하부로 압축됨으로써 소화 분말통(48)에 채워진 소화분말이 배출호퍼(485)를 통해 하부로 확산 배출되는 과정에서 화재가 진화되는 것이다.
즉 상기 누름봉(5)을 누름수단(494)의 외부 돌출축(496D)에 체결한 다음, 누름봉(5)을 하부로 강하게 누르게 되면 하부 누름판(495)이 순간적으로 하강됨으로써 소화 분말통(48)을 압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중선(3)의 화재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하여 지중선(3)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중선(3)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함에 따라 공동주택의 전체적인 정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지중선(3)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함에 따라 지중선의 손상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지중선의 복구 시간 및 비용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 소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분말통을 상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분말통을 하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소화장치가 장착된 배전관체에서 화재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소화장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전관체 2 : 고정 브라켓
3 : 지중선 4 : 소화장치
5 : 누름봉 11 : 상판
12 : 수직 관통홀 41 : 하우징
42 : 폭발부 43 : 화약봉 장착홀
44 : 외부 노출관 45 : 화약봉
46 : 소화부 47 : 중앙홀
48 : 소화 분말통 49 : 소화 누름부
51 : 하부 탭홈 121 : 중간 단부
122 : 탭홀 411 : 플렌지부
412 : 조립홀 413 : 고정볼트
414 : 손잡이부 415 : 함몰홈
416 : 손잡이 417 : 힌지축
431 : 상부 돌출부 432 : 나선부
441 : 관통홀 442 : 상부 나선부
443 : 고정캡 444 : 둘레 탭부
445 : 화약봉 고정탭홈 451 : 지중선 연결천
452 : 상부 나선부 471 : 하부 축소 관통홀
481 : 상판 482 : 둘레 자바라관
483 : 나선부 484 : 하부 마감캡
485 : 배출호퍼 486 : 하부 배출부
487 : 마감필름 491 : 상부 마감캡
492 : 고정수단 492A : 플렌지부
492B : 조립홀 492C : 둘레홈부
492D : 탭홈 492E : 볼트
493 : 수직홀 494 : 누름수단
495 : 하부 누름판 496 : 연결수단
496A : 돌출 개방부 496B : 나선부
496C : 탭홈 496D : 외부 돌출축
497 : 상부 돌출나선축

Claims (1)

  1. 배전관체(1)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12)과 각 수직 관통홀(12)에 장착되는 소화장치(4)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장치(4)는, 상기 수직 관통홀(12)에 장착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양측에 구비되어 지중선(3)의 화재 발생시 화약봉(45)을 폭발시켜 외부에서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발부(42)와, 상기 하우징(41)의 중앙에 구비되어 화재를 외부에서 파악한 후 누름봉(5)을 이용하여 지중선(3)의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46)로 구성되며;
    상기 폭발부(42)는,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나선부(432)가 형성된 상부 돌출부(431)가 구비되어 있는 화약봉 장착홀(43)과, 상기 화약봉 장착홀(43)에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중선 연결천(4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 나선부(452)가 형성되어 있는 화약봉(45)과, 상기 상부 돌출부(431)에 체결되어 화약봉(45)의 둘레를 감싸며 측벽에는 다수의 관통홀(44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나선부(442)가 형성된 외부 노출관(44)과, 상기 외부 노출관(44)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화약봉(45)의 상부를 체결 고정하는 고정캡(4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화부(46)는, 하우징(41)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 축소 관통홀(471)이 포함되는 중앙홀(47)과, 중앙홀(47)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을 통해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 소화분말이 확산 배출되는 소화 분말통(48)과, 중앙 홀(47)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누름봉(5)의 누름을 통해 상기 소화 분말통(48)을 눌러주는 소화 누름부(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KR1020080113089A 2008-11-14 2008-11-14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KR10088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9A KR100884925B1 (ko) 2008-11-14 2008-11-14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9A KR100884925B1 (ko) 2008-11-14 2008-11-14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925B1 true KR100884925B1 (ko) 2009-02-24

Family

ID=406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089A KR100884925B1 (ko) 2008-11-14 2008-11-14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9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333A (zh) * 2018-07-03 2018-11-30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KR102023998B1 (ko) 2019-06-12 2019-09-23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방지 장치
KR102551025B1 (ko) 2022-02-04 2023-07-05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화재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22Y1 (ko) 2000-02-29 2000-08-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케이블 공동구의 화재감지장치
JP2002360721A (ja) 2001-06-06 2002-12-17 Hatsuta Seisakusho Co Ltd ケーブルトンネル用ガスフォ−ム消火方法
JP2004154448A (ja) 2002-11-08 2004-06-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動消火装置
KR100778458B1 (ko) 2007-06-15 2007-11-21 이종훈 지중 배전선로의 고정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22Y1 (ko) 2000-02-29 2000-08-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케이블 공동구의 화재감지장치
JP2002360721A (ja) 2001-06-06 2002-12-17 Hatsuta Seisakusho Co Ltd ケーブルトンネル用ガスフォ−ム消火方法
JP2004154448A (ja) 2002-11-08 2004-06-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動消火装置
KR100778458B1 (ko) 2007-06-15 2007-11-21 이종훈 지중 배전선로의 고정선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333A (zh) * 2018-07-03 2018-11-30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CN108915333B (zh) * 2018-07-03 2024-03-26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KR102023998B1 (ko) 2019-06-12 2019-09-23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방지 장치
KR102551025B1 (ko) 2022-02-04 2023-07-05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화재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925B1 (ko) 공동주택 지중선의 화재 소화장치
WO2007040560A3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KR102434717B1 (ko) 가스 발생기
KR970069665A (ko) 안전 벨트 시스템
JP4828857B2 (ja) 携行型拘束網展開器および携行型拘束網展開装置
CN106961089B (zh) 一种高压电缆中间接头防水防爆灭火保护壳
CN110681096A (zh) 一种可双向泄压的气溶胶灭火装置及其泄压方法
KR102332156B1 (ko) 점화기 조립체와 그것을 사용한 가스 발생기
CN216022876U (zh) 导火索启动装置及灭火器
CN210110537U (zh) 防爆电容器
JP2010121793A (ja) 携行型拘束網展開装置
CN216022875U (zh) 电引发器启动装置及灭火器
CN208726605U (zh) 提前预警的自动灭火装置
KR20110117352A (ko) 소화장치가 구비된 도어
CN114307004A (zh) 一种感应式干粉自动灭火弹
CN218733317U (zh) 一种新型防护箱
CN217035229U (zh) 一种计算机硬件开发用防火设备
CN105169588B (zh) 一种便携式灭火器
CN110265217A (zh) 防爆电容器
CN109718493A (zh) 碰撞式灭火手雷
KR100309495B1 (ko) 소화기용 압력계의 절연장치
CN220070579U (zh) 一种间接启动的灭火装置
RU24075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12914283U (zh) 一种装甲车辆动力舱固定式自动灭火瓶
CN211295185U (zh) 一种高安全性能的折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