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572B1 -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572B1
KR100884572B1 KR1020070099385A KR20070099385A KR100884572B1 KR 100884572 B1 KR100884572 B1 KR 100884572B1 KR 1020070099385 A KR1020070099385 A KR 1020070099385A KR 20070099385 A KR20070099385 A KR 20070099385A KR 100884572 B1 KR100884572 B1 KR 10088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lip ring
limit switch
mercury contac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길
Original Assignee
정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길 filed Critical 정상길
Priority to KR102007009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Suspention Mic) 승강장치(LIF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사장 무대일측에 서스펜션마이크가 설치된 마이크와이어가 양쪽의 두 개의 장치를 매개로 한번에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존의 카본 브러쉬의 높은 접속저항을 개선하여 브러쉬가 없는 볼베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이루어진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이동하는 마이크의 신호를 전달해주는 장치이며 서스펜션마이크(Suspention Mic)를 원하는 위치로 한번에 이동시 접촉소음 없이 수평 및 수직이동시키고, 마이크와이어를 감아주는 드럼을 스크류드럼으로 구성함으로서, 마이크와이어가 좌우이동으로 감길경우 속도변화 없이 부드럽고 신속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어 어떠한 무대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은접촉슬립링,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Description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THE SUSPENTION MIC LIFT WITH MECURY SLIP RINGS}
본 발명은 볼베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이루어진 수은접촉슬립링으로 이루어진 기어드모터를 통해 서스펜션마이크(Suspention Mic)를 원하는 위치로 한번에 이동소음 없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정확하게 부드럽게 할 수 있어 어떠한 무대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동형 서스펜션마이크는 무대 연출에 따라 섬세하고 안정성 있게 상하, 좌우이동이 가능한 마이크시스템으로, 지금까지는 접촉방식의론 카본접촉소자 방식과 드럼방식의론 DISK형 드럼으로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디스크드럼 구조적으로 한번 의 수평이동이 불가능하여 추가로 스위치 조작하여 이동위치를 교정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예컨대, 디스크형 드럼방식은 서스펜션마이크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마이크와이어가 좌측의 접점드럼에 감기는 비율과 우측의 접점드럼으로부터 풀리는 비율에 차이가 나므로, 서스펜션마이크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측 방 향으로도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수평이동이 제대로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79830호에서
서스펜션마이크를 접점드럼이 없는 비접촉 방식으로서 원하는 위치로 한번에 이동소음 없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정확하게 부드럽게 할 수 있어 어떠한 무대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는 무접촉 무드럼 전동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를 제시한 바 있으나,
이는 현장천정내부 구조상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어 이에 대안으로 장점인 이동성과 편의성을 겸비하여 어떠한 현장여건 하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서스펜션마이크 콘트롤러는 상, 하(Down)로만 이루어져 있어, 서스펜션 마이크와 연결된 마이크와이어를 좌(Left), 우(Right)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상,하장치로 한쪽은 상을 조작하고 또다른 한쪽은 하를 조작하여야만 좌우로 이동하는 불편함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안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은 볼베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이루어진 수은접촉슬립링으로 이루어진 기어드모터를 통해 서스펜션마이크(Suspention Mic)를 원하는 위치로 한번에 이동소음 없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정확하게 부드럽게 할 수 있어 어떠한 무대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는, 행사장 무대일측에 서스펜션마이크(10)가 설치된 마이크와이어(12)가 양쪽의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매개로 한번에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일측에 마이크와이어를 감아주는 스크류드럼부와; 하단일측의 마이크부로 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볼베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드럼부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을 정확하고 부드럽게 마이크 신호를 전달시켜주는 수은접촉슬립링과; 모터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을 스크류드럼부로 전달하는 체인부와; 그 체인부 일측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를 통해 스크류드럼부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 박스와; 그 리미트스위치 박스 일측에 연결되어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정지(Stop)의 키입력을 통해 서스펜션마이크가 자동으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되도록 하는 컨트롤 유닛부(Control Unit)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크류드럼부는 표면 일측에 스크류형 안내레일부가 형성되어 마이크와이어가 좌우이동으로 감길경우 미끄러지지 않게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트롤유닛 와 연결되는 전원소켓부와, 그 전원소켓부 하단 일측에 마이크 접속부가 포함되어 있는 컨넥션 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미트스위치 박스는 스크류드럼이 1회전 하였다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그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된 회전수가 입력되고 무선리모콘에 미리 셋팅된 회전수 만큼 스크류드럼를 회전시켜 마이크와이어를 일정 위치로 상승, 하강, 정지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에 의하면, 수은접촉슬립링으로 이루어진 기어드모터를 통해 서스펜션마이크를 원하는 위치로 한번에 이동소음 없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정확하게부드럽게 할 수 있어 조작의 신속성은 물론, 원천적으로 작동소음을 차단하여 마이크 사용중인 페이더업(Fader Up)상태에서도 이동시킬 수 있어 어떠한 무대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 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1)는 행사장 무대의 천장이나 벽면 일측에 설치되어 서스펜션마이크(100)가 설치된 마이크와이어(120)가 양쪽의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매개로 한번에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1)는 스크류드럼부(10), 수은접촉슬립링(20), 체인부(30), 리미트스위치 박스(40), 컨트롤 유닛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드럼부(10)는 구동부 일측에 형성되어 마이크와이어(120)를 감아주는 곳으로, 도1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일측에 스크류형 안내레일부가 형성되어 마이크와이어가 좌우이동으로 감길경우 미끄러지지 않게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류드럼부(10)는 구동풀리(11)와 종동풀리(12)사이에 설치되고,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풀리(11) 일측으로는 체인부(30)와 연결되어 리미트스위치 박스(40)의 제어를 통해 모터(31)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이 전달되고,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풀리(12) 일측으로는 수은접촉슬립링(2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은접촉슬립링(20)은 마이크신호를 인가받아 볼베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하단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드럼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을 정확하고 부드럽게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스크류드럼부(10)의 종동풀리(12) 일측에 설치되는 데, 이러한 수은접촉슬립링(20)은 도3 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부의 라인(232a)과 연결되도록 신호부소켓(232b)이 형성되고, 그 신호부소켓(232b)을 따라 상단 일측에 고정부(232c)가 형성되고, 그 고정부(232c)와 대응되어 회전부(232d)가 형성되며, 그 회전부(232d)의 외부표면에는 다수개의 커플링(232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20)은 슬립링접점수가 3P 또는 6P이고, 정격전류 4A~30A이며, 정격전압은 250~500V이고, 평균작동속도는 200~1800Rpm이며, 접속저항은 1mm-Ohm이고, 절연저항은 250MOhm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은접촉슬립링(20) 일측에는 콘넥션부(60)가 구성되는데, 이는 콘트롤유닛 와 연결되는 전원소켓부(62)와, 그 전원소켓부 하단 일측에 마이크 접속부(6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체인부(30)는 모터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 스크류드럼부로 전달하는 곳으로, 이는 스크류드럼부의 구동풀리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리미트스위치 박스의 종단일측에 형성된 리미트기어가 체인로프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 박스(40)는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부 일측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를 통해 스크류드럼부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스크류드럼이 1회전 하였다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그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된 회전수가 입력되고 미리 셋팅된 회전수 만큼 스크류드럼를 회전시켜 마이크와이어를 일정 위치로 상승, 하강, 정지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유닛부(Control Unit)(50)는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 박스(40) 일측에 연결되어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정지(Stop)의 키입력을 통해 서스펜션마이크(100)가 자동으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트롤 유닛이 상(Up), 하(Down)로만 이루어져 있어, 서스펜션 마이크와 연결된 마이크와이어를 좌(Left), 우(Right)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상,하장치로 한쪽은 상을 조작하고 또다른 한쪽은 하를 조작하여야만 좌우로 이동하는 불편함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유닛부(Control Unit)는 마이크와이어를 통한 서스펜션 마이크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두개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를 구성되어 실시예1과 같다.
실시예1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I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II
상(Up) 정회전(시계방향+) 역회전(반시계방향-)
하(Down) 역회전(반시계방향-) 정회전(시계방향+)
좌(Left) 정회전(시계방향+0) 정회전(시계방향+)
우(Right) 역회전(반시계방향-) 역회전(반시계방향-)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로, 도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 원격조정으로 정확한 속도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가 천장 위의 설치공간인 왼쪽과 오른쪽, 위쪽과 아래쪽 등에 각각 서로 부착위치를 달리하여 대각선 방향, 대칭방향 등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서스펜션마이크와 연결된 마이크와이어 일측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의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구동 방향에 따라 마이크와이어를 부드럽게 안내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좌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는 스크류드럼부가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회전하면 마이크와이어가 감기고,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회전하면 마이크와이어가 풀리게 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우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회전하면 마이크와이어가 풀리고,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회전하면 마이크와이어가 감기게 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유닛의 상(Up)버튼을 누르게 되면, 좌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고, 우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마이크와이어가 양측의 스크류드럼부에 감겨서 서스펜션마이크가 올라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유닛의 하(Down)버튼을 누르게 되면, 좌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 치에서는 역방향(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고, 우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마이크와이어가 양측의 스크류드럼부로 부터 풀어져 서스펜션마이크가 내려가게 된다.
이때 양측의 스크류드럼부는 일측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 박스의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길이만큼 내려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유닛의 좌(Left)버튼을 누르게 되면, 좌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고, 우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정방향(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마이크와이어가 좌측의 스크류드럼부에서는 감기고, 우측의 스크류드럼부에서는 풀어져서 서스펜션마이크가 좌측(Left)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유닛의 우Right)버튼을 누르게 되면, 좌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는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고, 우측의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 마이크 승강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역방향(반시계방향 -)으로 수은접촉슬립링을 통해 스크류드럼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마이크와이어가 좌측의 스크류드럼부에서는 풀어지고, 우측의 스크류드럼부에서는 감겨져서 서스펜션마이크가 우측(Right)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인 수은접촉슬립링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인 컨트롤 유닛(Control Unit)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종래의 컨트롤 유닛(Control Unit)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구성요소인 리미트스위치 박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응용 실시예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상측 구동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하측 구동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좌측 구동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의 우측 구동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크류드럼부, 20 : 수은접촉슬립링,
30 : 체인부, 40 : 리미트스위치 박스,
50 :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60 : 콘넥션 박스,

Claims (4)

  1. 행사장 무대일측에 서스펜션마이크(10)가 설치된 마이크와이어(12)가 양쪽의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매개로 한번에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일측에 마이크와이어를 감아주는 스크류드럼부와;
    하단일측의 마이크부로 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볼베이링 구조의 액체 수은접점으로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드럼부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을 정확하고 부드럽게 마이크 신호를 전달시켜주는 수은접촉슬립링과;
    모터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을 스크류드럼부로 전달하는 체인부와;
    그 체인부 일측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를 통해 스크류드럼부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 박스와;
    그 리미트스위치 박스 일측에 연결되어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정지(Stop)의 키입력을 통해 서스펜션마이크가 자동으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되도록 하는 컨트롤 유닛부(Control Unit)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드럼부는 표면 일측에 스크류형 안내레일부가 형성되어 마이크와이어가 좌우이동으로 감길경우 미끄러지지 않게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유닛 와 연결되는 전원소켓부와, 그 전원소켓부 하단 일측에 마이크 접속부가 포함되어 있는 컨넥션 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리미트스위치 박스는 스크류드럼이 1회전 하였다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그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된 회전수가 입력되고 무선리모콘에 미리 셋팅된 회전수 만큼 스크류드럼를 회전시켜 마이크와이어를 일정 위치로 상승, 하강, 정지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KR1020070099385A 2007-10-02 2007-10-02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KR10088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85A KR100884572B1 (ko) 2007-10-02 2007-10-02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85A KR100884572B1 (ko) 2007-10-02 2007-10-02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572B1 true KR100884572B1 (ko) 2009-02-18

Family

ID=4068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385A KR100884572B1 (ko) 2007-10-02 2007-10-02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4B1 (ko) 2011-08-12 2012-03-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KR20180032225A (ko) * 2016-09-21 2018-03-30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25Y1 (ko) 2001-03-07 2001-10-06 조숙자 마이크 승강장치
JP2002078051A (ja) 2000-08-31 2002-03-15 Fuji Onkyo Kk 電動式吊り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357319Y1 (ko) 2004-04-29 2004-07-23 조숙자 마이크 승강장치
KR20060003316A (ko) * 2004-07-05 2006-01-10 곽선근 천장용 마이크의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051A (ja) 2000-08-31 2002-03-15 Fuji Onkyo Kk 電動式吊り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235825Y1 (ko) 2001-03-07 2001-10-06 조숙자 마이크 승강장치
KR200357319Y1 (ko) 2004-04-29 2004-07-23 조숙자 마이크 승강장치
KR20060003316A (ko) * 2004-07-05 2006-01-10 곽선근 천장용 마이크의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4B1 (ko) 2011-08-12 2012-03-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KR20180032225A (ko) * 2016-09-21 2018-03-30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KR101869846B1 (ko) * 2016-09-21 2018-06-22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7579A (ko) 건축물 개구부 덮개 조립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CN209455880U (zh) 一种电梯用防坠落装置
KR100884572B1 (ko) 수은접촉슬립링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CN104882839B (zh) 输电线除冰机器人的越障机构
KR101530169B1 (ko) 케이블릴 콘센트 승강장치
KR10078016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1620316B1 (ko) 디스크형 드럼을 이용한 바튼 승강 안전구동장치
US20110127112A1 (en) Crash Safety Device Having a Rope Drive Mechanism
KR20100132843A (ko) 승하강 조절부가 구비된 부하테스트 장치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20090126875A (ko)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101807688B1 (ko) 스마트 창호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2015011227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중량물 지지장치
JP4202211B2 (ja) ブラインド
KR200357319Y1 (ko) 마이크 승강장치
CN206985451U (zh) 吊顶式楼道电梯行走机构及吊顶式楼道电梯
KR100859180B1 (ko) 무대장치용 걸이대승강장치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CN203088664U (zh) 合开帘电机控制系统
CN103274241A (zh) 一种放卷机
KR200235825Y1 (ko) 마이크 승강장치
CN218919689U (zh) 一种工业现场照明配电控制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