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821B1 - 고철 장입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장입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21B1
KR100883821B1 KR20020074794A KR20020074794A KR100883821B1 KR 100883821 B1 KR100883821 B1 KR 100883821B1 KR 20020074794 A KR20020074794 A KR 20020074794A KR 20020074794 A KR20020074794 A KR 20020074794A KR 100883821 B1 KR100883821 B1 KR 10088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etal
unit
air
check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7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773A (ko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02007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고철 슈트의 고철이 제대로 장입되었는지 확인하는 고철 장입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철(14)의 장입을 감지하는 고철 감지부(1)와, 고철 감지부(1)의 동작을 전달받아 공기 조절부(3)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 작동부(2)의 작동에 따라 공기 탱크(4)내의 공기를 확인부(10)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확인부(10)를 동작시키는 공기 조절부(3)와, 공기 저장용 공기 탱크(4)와,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 본체 박스(5)와, 공기 흐름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체크 밸브(6)와, 공기 조절부(3)와 공기 탱크(4)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7)과, 확인부(10)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어 본체 박스(5)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확인부 게이트(8)와, 견인 로프(1b)가 풀리거나 감길 때의 헝클어짐을 방지하는 견인 로프 유도부(9)와, 운전자가 고철(14)의 장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부(10)와, 체크 볼(1a)이 내장되는 체크 볼 홈(11)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로로의 고철 장입 여부를 운전자가 정확하게 파악하여 미장입시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고철 장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철 슈트를 전로로부터 이탈시키다가 고철의 낙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Figure R1020020074794
전로, 고철 슈트, 장입, 감지, 공기 조절, 견인 로프, 체크 볼 홈, 벨로우즈

Description

고철 장입 확인 장치{Confirming Device for Charging of Steel Scrap}
도 1은 종래의 고철을 전로에 장입하는 고철 장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철 장입 장치에서 고철이 미장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고철 슈트가 주,보권에 걸려 권상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가 고철 슈트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고철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작동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공기 조절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공기 탱크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본체 박스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에어 라인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확인부 게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견인 로프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확인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체크 볼 홈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가 고철 장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작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가 고철 장입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철 감지부 2 : 작동부 3 : 공기 조절부
4 : 공기 탱크 5 : 본체 박스 6 : 체크 밸브
7 : 에어 라인 8 : 확인부 게이트 9 : 견인 로프 유도부
10 : 확인부 11 : 체크 볼 홈 12 : 고철 슈트
13 : 전로 14 : 고철
본 발명은 전로에 고철을 장입한 후 고철의 장입이 완료되었는지 아니면 고철의 장입이 완료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운전자가 신속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철 장입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고철을 전로에 장입하는 고철 장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장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들중의 하나인 전로(13)에 고철을 장입하는 작업은 고철(14)이 적재되어 있는 고철 슈트(12)를 고철 장입 크레인의 보권(16)에 의해 권상하여 고철 슈트(12)의 후면이 들어 올림으로써 고철(14)을 미끄러뜨려 전로(13)에 장입하는데, 이때 고철 슈트(12)의 바닥면이 균열되어 있는 등 그 표면이 거칠어서 고철(14)이 걸리거나 또는 고철(14)끼리 뒤얽혀서 고철(14)이 전로(13)에 장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운전실(18)에 있는 운전자나 작업자가 고철의 미장입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어 조치 시간이 지연되고, 특히 고철 장입 이후에 전로(13)에서 고철 슈트(12)를 이탈시키다가 장입되지 않은 고철(14)이 전로(13)의 고철 투입구 앞 바깥쪽으로 낙하되어 하부의 작업자가 안전 사고를 당하거나 설비가 파손될 수 있으며, 지연 조치로 인하여 용선 장입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철 슈트의 후미 하단부에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장착하여 전로에 고철이 장입 또는 미장입되는지 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로에 고철이 미장입되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여 전로에서 고철 슈트를 이탈시키다가 고철이 노상으로 낙하되어 하부의 작업자가 안전 사고를 당하거나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로에 고철이 미장입되었을 때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처하여 이어지는 공정인 용선 장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는 고철이 장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고철 감지부와 상기 고철 감지부에서 인출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단이 곡선형으로 형성된 로드캠 및 다각 기둥형의 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철 감지부의 동작을 전달받는 작동부와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에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운전자가 고철의 장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부와 상기 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며 공기 탱크내의 공기를 상기 확인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확인부를 동작시키는 공기 조절부와 상기 고철 감지부와 작동부와 확인부 및 공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내장되는 본체 박스와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부와 상기 공기 탱크 사이에서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라인과 상기 확인부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본체 박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인부 게이트와 상기 고철 감지부의 견인 로프가 풀리거나 감길 때의 헝클어짐을 방지하는 견인 로프 유도부와 체크 볼이 내장되는 체크 볼 박스와 상기 체크 볼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가 구비된 체크 볼 홈이 포함되고 상기 공기 탱크는 상기 본체 박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축 가능한 고무 주머니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가 고철 슈트(1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철 감지부(1)는 전로에 고철(14)이 장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작동부(2)는 고철 감지부(1)의 동작을 전달받아 공기 조절부(3)를 작동시키며, 공기 조절부(3) 는 작동부(2)의 작동에 따라 공기 탱크(4)내의 공기를 확인부(10)로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여 확인부(10)를 동작시킨다.
또한, 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공기 탱크(4)가 외부에 부착되는 본체 박스(5)는 고철 감지부(1)와 작동부(2)와 공기 조절부(3) 및 확인부(10) 등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구성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고, 공기 조절부(3)와 공기 탱크(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 라인(7)에는 체크 밸브(6)가 장착되어 공기 탱크(4)로부터 공기 조절부(3)로의 공기 흐름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한편, 확인부(10)의 말단에 설치된 확인부 게이트(8)는 확인부(10)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어 본체 박스(5)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 로프 유도부(9)는 견인 로프가 풀리거나 감길 때 헝클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확인부(10)는 운전실(18)내의 운전자가 고철(14)의 전로(13)로의 장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체크 볼 홈(11)은 고철 감지부(1)의 체크 볼을 내장한다.
도 6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각각 분리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 각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고철 감지부(1)를 나타내는데, 고철 감지부(1)는 체크 볼(1a)과 견인 로프(1b)와 릴(1c)과 테이프 스프링(1d)과 기어(1e)와 베어링(1f)과 샤프트(1h)와 지지대(1i)와 베어링 캡(1g) 및 클립(1j) 등 을 포함한다.
구형의 체크 볼(1a)은 고철(14)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견인 로프(1b)는 체크 볼(1a)을 지지하며, 중앙에 사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릴(1c)은 견인 로프(1b)가 감겨지고, 릴(1c)의 측면에 부착되는 테이프 스프링(1d)은 릴(1c)의 관통공과 동일하게 형성된 사각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견인 로프(1b)가 풀리면 함께 풀리고 감기면 원상태로 감기면서 수축하며, 상기한 릴(1c) 및 테이프 스프링(1d)과 동축으로 사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1e)는 견인 로프(1b)가 풀리거나 감길 때 릴(1c)의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작동부(2)의 기어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릴(1c)과 테이프 스프링(1d) 및 기어(1e)의 사각의 관통공들에 삽입되는 사각 기둥부와 사각 기둥부 양단의 원기둥부로 구성되는 샤프트(1h)는 릴(1c)과 테이프 스프링(1d) 및 기어(1e)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고, 베어링(1f)은 샤프트(1h) 양단의 원기둥부와 맞추어져 회전을 원활하게 지지하며, 반원형 홈이 형성된 지지대(1i)는 베어링(1f)의 반원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고, 베어링 캡(1g)은 상기 베어링(1f)의 나머지 반원부를 감싸면서 지지대(1i)와 결합하여 베어링(1f)을 고정하며, 클립(1j)은 견인 로프(1b)가 릴(1c)에 감기거나 풀릴 때 헝크러지지 않도록 상기 견인 로프(1b)를 유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작동부(2)를 나타내는데, 이 작동부(2)는 기어(2a)와 베어링(2b)과 베어링 캡(2c)과 지지대(2d)와 로드캠(2e)과 스 프링(2f)과 로드캠 고정대(2g) 및 샤프트(2h)를 포함한다.
중앙에 사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2a)는 상기 고철 감지부(1)의 기어(1e)와 소정의 기어비로 치합되어 기어(1e)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샤프트(2h)는 상기 기어(2a)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사각기둥부와 이 사각기둥부 양단의 원기둥부로 구성되어 기어(2a)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베어링(2b)은 샤프트(2h) 양단의 원기둥부와 맞추어져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반원형 홈이 형성된 지지대(2d)는 상기 베어링(2b)의 반원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고, 베어링 캡(2c)은 베어링(2b)의 나머지 반원부를 감싸면서 지지대(2d)와 결합하여 베어링(2b)을 고정한다.
상기 로드캠(2e)은 중앙에 상기 샤프트(2h)의 원기둥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곡선형으로 라운딩되어 있으며, 스프링(2f)은 로드캠(2e)의 고정이 극대화되도록 작용하고, 너트형의 로드캠 고정대(2g)는 로드캠(2e)과 마찬가지로 상기 샤프트(2h)의 원기둥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원형의 손잡이가 부착되어 간단하게 손으로도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작동부(2)에서, 상기 스프링(2f)은 로드캠(2e)과 로드캠 고정대(2g) 사이에 배치되고, 로드캠 고정대(2g)의 고정 및 해제는 샤프트(2h)의 원기둥부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로드캠 고정대(2g)의 너트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공기 조절부(3)를 나타내는데, 공기 조절부(3)는 로드 헤드(3a)와 본체 커버(3b)와 로드(3c)와 스풀(3d)과 스프링(3e)과 본체(3f) 및 고정대(3g)를 포함한다.
중앙홀을 갖춘 로드 헤드(3a)는 전면이 곡선형으로 라운딩지고 후면 중앙에 너트부로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로드(3c)와 결합할 수 있고, 본체 커버(3b)는 로드(3c)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부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3c)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볼트부의 반대편, 즉 후면에 원형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3d)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단부 중앙에서 후면 중앙까지 L자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3e)은 상기 로드(3c)의 전후진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며, 상기 로드(3c)와 스풀(3d)과 스프링(3e)이 내장되는 본체(3f)는 전면에는 본체 커버(3b)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에어 라인(7)의 인입 라인과 인출 라인이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고정대(3g)와 결합되는 베이스가 부착되고 후면에는 확인부(10)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고정대(3g)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본체(3f)를 고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공기 탱크(4)를 나타내는데, 공기 탱크(4)는 수축가능한 신축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공기가 저장되는 원형의 고무 주머니(4a)와, 이 고무 주머니(4a)를 감싸는 각각 반원형의 상부 커버(4b) 및 하부 커버(4c)와, 상기 하부 커버(4c)에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공기 탱크(4)를 지지하는 지지대(4d)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본체 박스(5)를 나타내는데, 본체 박스(5)는 전면부에 체크 볼(1a)이 출입할 수 있는 사각형 등 소정 형상의 체크 볼 관통공(가)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확인부(10)의 벨로우즈가 출입할 수 있는 사각형 등 소정 형상의 벨로우즈 관통공(나)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로우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벨로우즈 관통공(나)이 형성된 후면부 내측으로 철판 등의 판재로 제작된 사각형 등 소정 형상의 벨로우즈 유도 가이드(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로우즈 관통공(나)의 양쪽에는 확인부 게이트(8)의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는 고리(라)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상기한 고철 감지부(1)나 작동부(2) 또는 공기 조절부(3) 등의 각종 지지대(1i,2d) 또는 고정대(3g)를 결합할 수 있는 구멍(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양측으로는 고철 슈트(12)의 후면부 또는 하단부 등에 본체 박스(5), 즉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바)이 형성되어 있고, 체크 볼 홈(11)을 고정하기 위한 체크 볼 홈 결합공(사)이 체크 볼 관통공(가)의 양쪽에 상하로 고정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체크 밸브(6)를 나타내는데, 체크 밸브(6)는 본체(6a)와 체크 볼(6b)과 스프링(6c)과 본체 커버(6d)를 포함한다.
본체(6a)는 상부 중앙에 개구부가 천공되어 있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본체 커버(6d)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크 볼(6b)은 공기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체크한다.
또한, 스프링(6c)은 공기가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압축 또는 인장되고, 본체 커버(6d)는 상하단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 볼(6b)과 스프링(6c)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6a)에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에어 라인(7)을 나타내는데, 에어 라인(7)은 공기가 유입되는 인입 라인(7a)과 공기가 유출되는 인출 라인(7b)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확인부 게이트(8)를 나타내는데, 확인부 게이트(8)는 게이트(8a)와 스프링(8b)과 핀(8c) 및 스프링 고정 고리(8d)를 포함한다.
핀(8c)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편 상하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8a)는 확인부(10)의 벨로우즈가 전진할 때는 열리고 후진할 때는 닫힘으로써 이물질이 본체 박스(5)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단에 걸이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8b)은 게이트(8a)가 닫힐 때 원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핀(8c)은 상기 게이트(8a)와 스프링(8b)을 결합하고, 스프링 고정 고 리(8d)는 게이트(8a)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되어 스프링(8b)의 하단 걸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견인 로프 유도부(9)를 나타내는데, 견인 로프 유도부(9)는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 주변으로 상하단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9a)와, 견인 로프(1b)가 감기거나 풀릴 때 좌우로 움직이는 고무 호스(9b)와, 상기 베이스(9a)에 부착되어 고무호스(9b)를 감싸주고 고무 호스(9b)가 좌우로 움질일 때나 또는 멈추었을 때 탄력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스프링(9c)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확인부(10)를 나타내는데, 확인부(10)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천공된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의 베이스(10a)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공기가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전후로 수축 및 팽창하는 벨로우즈(10b)와, 상기 벨로우즈(10b)가 전후로 수축 및 팽창할 때 함께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벨로우즈(10b)를 감싸주어 벨로우즈(10b)의 복귀 동작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스프링(10c)을 포함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체크 볼 홈(11)을 나타내는데, 체크 볼 홈(11)은 전면 테두리에 돌출된 플레이트에는 본체 박스(5)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공(사)과 일치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 중앙에는 견인 로프(1b)가 통 과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 주위로 견인 로프 유도부(9)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작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크 볼 박스(11a)와, 후면 내측에 장착되어 체크 볼(1a)이 부딪혔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체크 볼 박스(11a)의 후면을 보호해 주는 고무 패드(11b)를 포함한다.
상기한 고철 장입 확인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부품들, 즉 고철 감지부(1), 작동부(2), 공기 조절부(3), 공기 탱크(4), 본체 박스(5), 체크 밸브(6), 에어 라인(7), 확인부 게이트(8), 견인 로프 유도부(9), 확인부(10) 및 체크 볼 홈(11)의 조립 방법을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 박스(5)의 본체 커버(5b) 상부에 공기 탱크(4)가 장착되고, 본체 박스(5)의 본체(5a)의 전면 내측부 하단에는 체크 볼 홈(11)이 장착되며, 체크 볼 홈(11)의 후면에는 견인 로프 유도부(9)가 설치되고, 체크 볼(1a)이 상기 체크 볼 홈(11)내에 내장되며, 견인 로프(1b)가 견인 로프 유도부(9)를 관통하게 된다.
또한, 고철 감지부(1)의 지지대(1i)와 작동부(2)의 지지대(2d) 및 공기 조절부(3)의 고정대(3g)가 본체 하단 내측 소정 위치에 각각 장착되고, 고철 감지부(1)의 기어(1e)에 작동부(2)의 기어(2a)가 맞물리며, 위치상으로 볼 때 고철 감지부(1)의 뒤쪽으로 작동부(2)가 배치되고, 다시 작동부(2)의 뒤쪽으로 공기 조절부(3)가 배치된다.
또한, 공기 조절부(3)의 상부측으로 제1 체크 밸브(6a)가 내장된 인입 라인(7a)과 제2 체크 밸브(6b)가 내장된 인출 라인(7b)로 구성된 에어 라인(7)이 연장하여 공기 탱크(4)와 연결되고, 공기 조절부(3)의 후단에 확인부(10)가 연결되며, 이 확인부(10)는 다시 본체(5a)의 후면 하단부 외측에 장착된 확인부 게이트(8)와 연결된다.
상기한 형태로 조립된 고철 장입 확인 장치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철 슈트(12)의 후면에 설치된 보권 걸이 베이스(16)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데, 먼저 도 17의 고철 장입이 원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로(13)에 고철(10)을 장입하는 작업시에 고철 슈트(12)를 경동하면 고철 감지부(1)의 체크 볼(1a)이 화살표(a) 방향으로 구르면서 견인 로프(1b)가 풀리고, 이때 릴(1c)과 기어(1e)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테이프 스프링(1d)이 풀리는 동시에, 작동부(2)의 기어(2a)와 로드캠(2e)은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로드캠(2e)이 공기 조절부(3)의 로드 헤드(3a)를 밀면 로드(3c)가 화살표(d) 방향으로 밀리면서 스풀(3d)도 밀린다.
상기 스풀(3d)이 밀리면 이와 동시에 스프링(3e)이 압축되면서 스풀(3d)에 형성되어 있는 L자형 관통공이 에어 라인(7)의 인입 라인(7a)과 맞춰지고, 이때 공기 탱크(4)의 고무 주머니(4a)가 수축되면서 공기가 인입 라인(7a)을 따라 화살표(e)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상기 인입 라인(7a)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6a)가 동작하여 공기가 스풀(3d)에 형성되어 있는 L자형 관통공을 따라 화살표(d)의 방향으로 흐르고, 이때 확인부(10)의 벨로우즈(10b)가 팽창하면서 확인부 게이트(8)의 게이트(8a)를 밀어내어 돌출시킨다.
운전자는 게이트(8a)가 돌출되어 열리는 것을 확인하여 고철(14)이 전로(13)에 장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로(13)에 고철(14)을 장입한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 슈트(12)의 후면부에 걸려 있는 보권(16) 쪽이 낮아지게 되면 체크 볼(1a)이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구르면서 릴(1c)과 기어(1e)는 화살표(b)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테이프 스프링(1d)은 원상태로 수축 회전하며, 견인 로프(1b)는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끌리면서 릴(1c)에 엉킴없이 감긴다. 이와 동시에 기어(2a)와 로드캠(2e)는 화살표(c)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캠(2e)이 로드 헤드(3a)에서 이격되면서 로드 헤드(3a)와 로드(3c) 및 스풀(3d)이 화살표(d)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e)은 인장된다.
이때 인입 라인(7a)이 차단되면서 체크 밸브(6a)는 동작을 멈추고, 이에 따라 공기가 화살표(d)의 반대 방향으로 흘러 인출 라인(7b)을 따라 화살표(f) 방향으로 흐르면서 체크 밸브(6b)가 동작하여 고무 주머니(4a)는 원상태로 팽창하며, 벨로우즈(10b)는 화살표(d)의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고, 게이 트(8a)는 원상태로 닫히게 된다.
한편, 도 18를 참고로 하여 고철 장입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로(13)에 고철(14)이 미장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체크 볼(1a)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 구르다 미장입 고철(14)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견인 로프(1b)도 풀리다 멈춤으로써 릴(1c), 기어(1e)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멈추게 되며, 테이프 스프링(1d)도 풀리다 멈추게 되고, 기어(2a)와 로드캠(2e)은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멈추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 조절부(3)와 공기 탱크(4)가 작동하지 않아 확인부(10)와 확인부 게이트(8)는 원상태를 유지한다.
운전자는 확인부(10)와 확인부 게이트(8)가 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고 고철(14)이 미장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철 장입 확인 장치을 적용하면 전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고철의 장입 또는 미장입 여부를 운전자가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철 미장입시 보다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철의 미장입 상태에서 고철 슈트를 전로에서 이탈시키다가 고철의 낙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 사고와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고철이 장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고철 감지부와;
    상기 고철 감지부에서 인출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단이 곡선형으로 형성된 로드캠 및 다각 기둥형의 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철 감지부의 동작을 전달받는 작동부와;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에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운전자가 고철의 장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부와;
    상기 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며 공기 탱크내의 공기를 상기 확인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확인부를 동작시키는 공기 조절부와;
    상기 고철 감지부와 작동부와 확인부 및 공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내장되는 본체 박스와;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부와 상기 공기 탱크 사이에서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라인과;
    상기 확인부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본체 박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인부 게이트와;
    상기 고철 감지부의 견인 로프가 풀리거나 감길 때의 헝클어짐을 방지하는 견인 로프 유도부와;
    체크 볼이 내장되는 체크 볼 박스와 상기 체크 볼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가 구비된 체크 볼 홈이 포함되고 상기 공기 탱크는 상기 본체 박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축 가능한 고무 주머니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확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철 감지부는 고철에 직접 접촉되는 체크 볼과, 상기 체크 볼을 지지해주는 상기 견인 로프와, 상기 견인 로프가 감겨지는 릴과, 상기 릴옆에 부착되어 상기 견인 로프가 풀릴 때 풀리고 감길 때 원상태로 수축되어 상기 릴에 감길 때 인력이 생겨 상기 견인 로프가 헝클어지지 않고 잘 감겨지게 하는 테이프 스프링과, 상기 릴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부의 기어(2a)를 회전시키는 기어(1e)와,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릴과 테이프 스프링과 기어(1e)와 베어링을 연결하는 상기 다각 기둥형의 샤프트와, 상기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는 상기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확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단부 중앙에서 후면 중앙까지 L자형 관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풀과, 상기 로드캠이 밀면 전진되어 스풀이 전진하게 하는 로드와, 전면에 곡선형으로 라운딩되고 중앙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로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상기 로드캠이 접촉되면 상기 로드가 전진되도록 하는 로드헤드와,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압축 및 인장되는 스프링과, 상기 로드와 스풀 및 스프링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기 탱크의 공기를 상기 확인부에 공급 및 차단시켜 상기 확인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확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일측편 상하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인부의 벨로우즈가 전진할 때는 열리고 후진할 때는 닫힘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본체 박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이트와, 상하단에 걸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가 닫힐 때 원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게이트와 스프링을 결합하는 핀과, 상기 게이트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 걸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 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확인 장치.
KR20020074794A 2002-11-28 2002-11-28 고철 장입 확인 장치 KR10088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74794A KR100883821B1 (ko) 2002-11-28 2002-11-28 고철 장입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74794A KR100883821B1 (ko) 2002-11-28 2002-11-28 고철 장입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773A KR20040046773A (ko) 2004-06-05
KR100883821B1 true KR100883821B1 (ko) 2009-02-16

Family

ID=3734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74794A KR100883821B1 (ko) 2002-11-28 2002-11-28 고철 장입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8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658U (ko) * 1975-05-23 1976-11-30
JPH07280459A (ja) * 1994-04-11 1995-10-27 Nippon Steel Corp 排滓機の掻板レベル設定装置
JPH08165510A (ja) * 1994-12-13 1996-06-25 Nippon Steel Corp 直流アーク炉の溶鋼レベル検知装置
KR200323468Y1 (ko) * 1999-06-28 2003-08-19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장입원료 레벨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658U (ko) * 1975-05-23 1976-11-30
JPH07280459A (ja) * 1994-04-11 1995-10-27 Nippon Steel Corp 排滓機の掻板レベル設定装置
JPH08165510A (ja) * 1994-12-13 1996-06-25 Nippon Steel Corp 直流アーク炉の溶鋼レベル検知装置
KR200323468Y1 (ko) * 1999-06-28 2003-08-19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장입원료 레벨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773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8605B2 (ja) 予備の命綱部分を有する自動巻き取り式命綱
US20070292253A1 (en) Portable lift hand truck
US7530522B2 (en) Vehicle mountable fence spooling device
US5899646A (en) Securement of lumber or like products on centerbeam railcars using spooled webbing
US4275685A (en)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sheep
KR100883821B1 (ko) 고철 장입 확인 장치
US7731218B2 (en) Retracting tow system
EP1988000A1 (en) Portable lift hand truck
US5152567A (en) Safety release hoisting shackle
CN100455459C (zh) 绞盘、包括该绞盘的车辆及其相关操作方法
US20050279977A1 (en) Winch line tensioner
CN110520347B (zh) 具有轮胎自下降机构和锁的备胎绞盘
JP5952450B1 (ja) 駐車装置
ES2821433T3 (es) Dispositivo de carga auxiliar de una camilla
SI26003A (sl) Škripec z zapiralno loputo in vitel z omenjenim škripcem
DE60014494T2 (de) Abdecksystem für Absetzkipper
US10370225B2 (en) Load line guide
CN215854417U (zh) 线桶上料装置
CN212593589U (zh) 一种可移动装车防坠器
JP4141558B2 (ja) フック格納装置付クレーンの巻過警報装置
AT523714B1 (de) Laufwagen mit Greiferbetriebsmodus
CN109153417A (zh) 通过电子方式激活备用轮胎的安全装置
CN209537866U (zh) 一种可收缩晾衣盒
JPH09278382A (ja) クレーンのワイヤ乱巻防止装置
US6062503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ose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