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857B1 -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857B1
KR100882857B1 KR1020060132529A KR20060132529A KR100882857B1 KR 100882857 B1 KR100882857 B1 KR 100882857B1 KR 1020060132529 A KR1020060132529 A KR 1020060132529A KR 20060132529 A KR20060132529 A KR 20060132529A KR 100882857 B1 KR100882857 B1 KR 10088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alue
identification code
content
section identif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249A (ko
Inventor
오기태
Original Assignee
오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태 filed Critical 오기태
Priority to KR102006013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8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위 서브 코드의 입력을 스킵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아이템 단위로 부여된 구간 식별번호를 모두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구간의 데이터를 선택 재생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예컨대,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별로 분류하여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콘텐츠 재생을 위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되어 입력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와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비교하고, 입력된 코드 값이 구간 식별코드 값일 때 이를 저장 혹은 갱신 저장하며, 입력된 코드 값이 깊이 정보의 코드 개수보다 작은 서브 코드 값일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위의 서브 코드 값과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서비스함으로써, 학습용 콘텐츠에서의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 횟수(입력 숫자)의 절감을 통해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랜덤 억세스의 신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BY USING DISCRIMINATING C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를 갖는 구간 식별코드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에 대한 일 예,
도 5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도,
도 6은 다수의 파일 정보를 갖는 파일 정보 테이블의 순서열 배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8a 및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일 형태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다른 형태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 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702 : 조작 블록 104, 704 : 제어 블록
106, 706 : 식별코드 처리 블록 108 : 메모리 블록
110, 716 : 디멀티플렉서 112, 718 : 음성 처리 블록
114, 720 : 영상 처리 블록 708 : 인터페이스 블록
710 : 네트워크 712 : 콘텐츠 서비스 서버
714 : 콘텐츠 DB
본 발명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학습용 콘텐츠를 원하는 영역별로 사용자 선택적으로 재생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 CD, DV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학습용 콘텐츠들은, 학습 효과의 배가를 위하여, 콘텐츠의 전체 재생 뿐만 아니라 단어, 문장, 문단 또는 페이지 등에 대한 선택적 구간 반복 재생, 문제 풀이 답변에 대한 선택적 반복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필연적으로 필요로 한다.
예컨대, 학습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원하는 구간(단어, 문장, 문단, 특정 요소, 페이지 등)의 음성(혹은 음성과 동영상 또는 음성과 정지영상)을 1회 혹은 n회 반복 재생하거나 다수의 문제 풀이 콘텐츠들 중 원하는 문제 풀이 콘텐츠 및 그 답변만을 1회 혹은 n회 반복 재생하는 등의 재생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카세트 테이프나 비디오 테이프를 되돌려가면서 원하는 구간(단원별, 내용별)을 선택적으로 반복 재생하거나 CD, DVD 등의 TOC 영역에 기록된 콘텐츠의 시간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적으로 원하는 구간(단원별, 내용별)을 반복 재생(예컨대, 특정 구간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는 타임 서치(time search) 기능 등)해야만 하는 종래 방식의 경우 원하는 구간(예컨대, 단어, 문장, 문단, 단원 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사용자들의 서비스 욕구불만을 야기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근래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 가능한 PC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동영상 강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스트리밍 서비스)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동영상 강의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간단하고 손쉽게 억세스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한편, 상기한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미국특허 제4,164,078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서는 항목(질문과 답변 등)별로 각각 별도의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 부여된 각 항목별의 식별코드 입력을 통해 해당 항목의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술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0-0052134, 제2001-004316와 실용신안 출 원번호 제2001-0034388, 제2002-0033503(이하, 선행기술2라 함)에서는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에 어학 학습용 데이터를 기록할 때, 단어, 문장, 그림, 페이지 등에 대하여 구간 식별번호를 단일 일련번호, 페이지별로 구분된 일련번호 또는 유형별로 구분된 일련번호의 형식으로 부여하여 기록하고,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갖는 조작 패널을 휴대용 CD/DVD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 등에 장착하며,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조작을 통해 원하는 단어, 문장, 그림, 페이지 등의 선택 재생 및 선택 반복 재생, 지정한 구간의 선택 재생 및 선택 반복 재생 등의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1 및 선행기술2는 구간 식별번호를 부여해야 할 요소 혹은 아이템의 수가 많아질 경우 기 입력한 코드와의 중복(Redundancy)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므로 구간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코드의 숫자가 많아져 사용자 입력에 많은 불편이 수반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사용자들의 이용 편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위 서브 코드의 입력을 스킵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영역(부분 또는 구간)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위 서브 코드의 입력을 스킵하는 방식으로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원하는 영역(부분 또는 구간)의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콘텐츠 재생을 위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입력될 때 이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 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고 콘텐츠 재생을 위한 새로운 하위 서브 코드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 값과의 조합을 통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의 복원을 통해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상기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상기 해당 영역의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코드 값을 입력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아이템 단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번호 전체를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구간의 데이터를 선택 재생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예컨대,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별로 분류하여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콘텐츠 재생을 위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되어 입력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와 깊이 정보를 비교하고, 입력된 코드 값이 구간 식별코드 값일 때 이를 저장 혹은 갱신 저장하며, 입력된 코드 값이 깊이 정보의 코드 개수보다 작은 서브 코드 값일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위의 서브 코드 값(입력된 서브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과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생성)하고,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간 식별코드가 깊이(depth) 4의 트리 구조, 즉 최상위부터 제 1 서브 코드, 제 2 서브 코드, 제 3 서브 코드, 제 4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할 때, 최초에 구간 식별코드 값을 입력하여 재생을 요청되면, 재생 시스템에서는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일시 저장해 두고, 다른 콘텐츠 영역의 선택 재생을 위해 입력된 코드 값이 깊이 정보의 코드 개수보다 작은 서브 코드 값(예컨대, 제 3 서브 코드와 제 4 서브 코드로 된 코드 값)일 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서브 코드와 제 2 서브 코드를 입력된 제 3 서브 코드 및 제 4 서브 코드와 조합(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를 복원하고, 이와 같이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제 1 서브 코드와 제 2 서브 코드의 사용자 입력(조작)을 생략(스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서브 코드와 제 4 서브 코드는,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S(most significant sub-code)와 LSS(least significant sub-code)를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이 갖는 컨셉은 비용함수의 개념을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통계적 관점에서 볼 때 방법 m에 대한 선형적인 비용함수(Linear Cost Function)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비용함수(m) = p(1)*cost(1,m) + p(2,m) + ... + p(N)*cost(N,m)
상기한 비용함수에서 1, 2, ....., N은 각 사건을 의미하고, p는 사건의 발 생 확률을 의미하며, cost는 방법 m을 적용할 때의 각 사건에 대한 비용을 나타낸다. 여기서, 우리는 사용자가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각 경우를 사건으로 보고, 사용자가 누르는 코드 길이를 cost로 보면서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식별코드 방법 m을 구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확률이 큰 사건에 대해서 작은 비용을 할당하고, 상대적으로 확률이 작은 사건에 대해서는 큰 비용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통신 부분에서 Shannon의 엔트로피 코딩도 자주 발생하는 심볼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코드를 할당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는 심볼에는 상대적으로 긴 코드를 할당하여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용함수를 작게 하기 위하여 첫째 구간 식별코드를 길이가 작은 여러 개의 서브 코드로 분해하여 표현하고, 둘째 구간 식별코드의 표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메모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일부 서브 코드의 지정(입력)을 생략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의 신텍스(syntax)를 정하며, 셋째 사건 발생의 확률이 클수록 더 적은 개수의 서브 코드로 지정할 수 있게 하고(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학습을 목적으로 원하는 아이템을 지정함에 있어서 입력 바로 이전 단계와 비교해서 동일한 상위 서브 코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러한 사건 발생의 확률은 더 크다는 데에 착한하고 있다), 넷째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때 입력 생략된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완전히 복원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논리적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였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의 적용을 위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조작 블록(102), 제어 블록(104),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 메모리(106a), 기록매체(108), 디멀티플렉서(110), 음성 처리 블록(112) 및 영상 처리 블록(114)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작 블록(102)은 0 - 9로 된 숫자 버튼들과 다수의 기능 버튼(예컨대, 콘텐츠 리스트 버튼, 엔터 버튼, 정지 버튼, 시작 버튼, 반복 버튼, 연속 버튼, 삭제 버튼 등)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작 패널로부터 버튼 조작이 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조작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식별번호가 다수의 서브 코드, 예컨대 최상위부터 제 1 서브 코드가 10이고, 제 2 서브 코드가 3이며, 제 3 서브 코드가 8로 된 깊이 3의 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10.3.8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때 그에 상응하는 숫자 키 신호 및 구분코드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점으로 표시된 구분코드는 각 서브 코드간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 구분자로서 기능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 패널을 통해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는, 예컨대 숫자로서 표현되어 학습용 페이퍼 교재의 일부(교재 하단 일부 등)에 기재되거나 혹은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때 모니터(자체 모니터 또는 외부 모니터)의 일부(화면의 하단 일부 등)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구간 식별코드를 구성하는 각 서브 코드는 상위의 서브 코드가 바뀌는 지점에서만 하위 서브 코드와 그 위의(상위의) 상위 서브 코드를 표시(혹은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필요한 표시의 최소화는 물론 사용자의 구간 인식도를 증진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학습용 페이퍼 교재 혹은 모니터를 보고 자신이 원하는 구간의 식별코드가 어떤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원하는 구간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학습용 페이퍼 교재의 일부에 기재되는 구간 식별코드 혹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구간 식별코드는 그 전체 코드를 모두 기재 혹은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상위 서브 코드에서 하위 서브 코드만이 변화할 경우 하위 서브 코드만을 기재 혹은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일 예로서 최상위부터 제 1 서브 코드, 제 2 서브 코드, 제 3 서브 코드로 구성되는 깊이 3의 구간 식별코드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버튼 3.8을 누른 후에 엔터 버튼을 누르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제 1 기록 영역(108a)으로부터 속성정보 내 깊이 정보를 탐색하여 제 2서브 코드와 제 3 서브 코드가 입력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제공하고, 버튼 8을 누른 후 엔터 버튼을 누르면 제 3 서브 코드가 입력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전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사상은 상기와는 다르게, 예컨대 a7.3과 같이 문자와 숫자를 함께 사용하여 서브 코드를 구성하고 이를 식별코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c.12와 같이 문자와 숫자를 사용하되 각기 다른 서브 코드에 할당한 식별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점으로 된 구분코드(서브 코드간 구분자)를 입력함이 없이 화면상에 복수의 입력창을 제공하여 각각의 입력창 내에 숫자만을 입력(구분코드 생략)한 후 엔터 버튼을 누르도록 하거나 혹은 엔터 버튼을 누름이 없이 숫자를 누른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서브 코드의 입력 종료를 자동으로 체크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세부적인 사항들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에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숫자와 구분코드를 사용한 가변 길이 방식을 대표로 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 1 기록 영역으로부터 콘텐츠 속성정보 내 깊이 정보를 탐색함으로써 하나의 재생 방법으로 다양한 깊이를 갖는 구간 식별코드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다양한 깊이가 아닌 단순히 하나의 깊이를 갖는 구간 식별코드만을 재생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기본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어 블록(104)은, 예컨대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작 블록(102)으로부터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이를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코드 값이 전체의 구간 식별코드 값인지 혹은 서브 코드 값(즉, 깊이 정보보다 작은 서브 코드 개수로 된 코드 값)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구간 식별코드 값일 때 이전 구간 식별코드 값의 갱신을 위해 이를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전달하고, 기록 매체(108) 내의 제 1 기록 영역(108a)을 탐색하여 해당 구간 식별코드의 기록 위치 값을 추출하며, 이 추출된 기록 위치 값에 의거하여 기록매체(108) 내의 제 2 기록 영역(108b)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영역의 콘텐츠(학습용 콘텐츠)를 재생(판독)하며, 이와 같이 재생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서(1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는 첫째 TOC 정보 영역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미리 기록해 두고 이를 제어 블록(104)에서 추출(취득)하거나, 둘째 서브 코드의 개수를 충분히 설정해 두고 사용하는 자리에는 유효한 서브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자리에는 약속된 무효한 코드를 기록하여 구간 식별코드 내 유효 서브 코드의 개수를 제어 블록(104)에서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추출(취득)하도록 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블록(104)은 입력된 코드 값이 서브 코드 값일 때 구간 식별코드로의 복원(생성)을 위해 이를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여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부터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제공될 때 기록 매체(108) 내의 제 1 기록 영역(108a)을 탐색하여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의 기록 위치 값을 추출하며, 이 추출된 기록 위치 값에 의거하여 기록매체(108) 내의 제 2 기록 영역(108b)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영역의 콘텐츠(학습용 콘텐츠)를 재생(판독)하며, 이와 같이 재생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서(1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기록매체(108)는 제 1 기록 영역(108a)과 제 2 기록 영역(108b)으로 구성되는데, 제 1 기록 영역(108a)은 콘텐츠 전체에 대한 공통적인 정보(예컨대, 콘텐츠 이름)를 기록한 콘텐츠 정보 영역과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각 파일 정보 값(예컨대, 각 파일의 위치 정보)을 기록한 파일 정보 영역으로 구성되고, 제 2 기록 영역(108b)에는 학습용 콘텐츠의 실제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기록매체(108)로서는, 예컨대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 착탈 자유로운 플래시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광 디스크(예컨대,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용 콘텐츠는 어학 학습용 콘텐츠, 각종 시험용 문제 풀이 콘텐츠, 각 학문 분야별 강의나 해설 콘텐츠, 동식물의 종별 해설 콘텐츠, 각 과학 분야별 해설 콘텐츠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용 콘텐츠는, 예컨대 음성과 동영상, 음성과 정지영상, 정지영상과 텍스트, 음성과 텍스트, 음성, 음성과 동영상/정지 영상, 음성과 동영상/텍스트, 음성과 동영상/정지 영상/텍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108)가 CD인 것이라고 가정할 때,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TOC(510)와 데이터 파일 영역(520)으로 구성되고, TOC(510)에는 TOC 정보 영역(512)과 파일 정보 테이블(514)이 기록되고, 데이터 파일 영역(520)에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된다.
또한, TOC 정보 영역(512)에는 콘텐츠 ID, 콘텐츠 이름, 속성 정보 등이 기록되고, 파일 정보 테이블(514)에는 다수의 파일 정보 레코드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각 파일 정보 레코드는 파일 ID, 시작 위치, 파일 크기 등이 기록되며, 각 파 일 ID에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구간 식별코드, 즉 다수의 서브 코드(즉,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구간 식별코드 값들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TOC 영역은 제 1 기록 영역(108a)에 대응하고, 데이터 파일 영역은 제 2 기록 영역(108b)에 대응한다. 즉, TOC 정보 영역(512)에는 해당 콘텐츠의 ID, 콘텐츠의 이름, 속성정보 등이 기록되고, 속성 정보에는 콘텐츠의 유형과 크기, TOC의 크기, 구간 식별코드 깊이 정보, 파일 개수, 파일 정보 테이블의 형식, 데이터 압축 방법, 콘텐츠 유효 기간 등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는 다수의 서브 코드(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트리 구조를 정의한다.
더욱이, TOC(510)의 파일 정보 테이블(514)에는,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ID, 시작 주소, 파일 크기 등을 포함하는 파일 정보들이 트리 구조의 순서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즉, 검색 속도의 문제와 방향키의 문제를 고려하여 순서열적으로 LSS를 먼저 배열하는 배치 구조)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D 등과 같은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나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나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콘텐츠 ID, 이름, 속성 정보 등이 기록되는 디렉코리 정보 영역과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각 파일 정보 값이 기록되는 파일 정보 영역이 제 1 기록 영역에 해당하 고, 학습용 콘텐츠의 실제 데이터 파일은 제 2 기록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속성 정보에는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콘텐츠 크기, 파일 개수, 콘텐츠 유효 기간 등의 정보들이 포함되고, 파일 정보 영역에는 각 파일이 ID, 시작 위치, 크기 정보가 포함된다.
물론, 인터넷을 통해서 콘텐츠를 다운받을 경우의 콘텐츠의 포맷도 재생 장치가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를 기록 장치로 갖고 디렉토리 시스템을 가지면 이와 동일하다.
다음에,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은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코드 저장 또는 갱신 지령신호와 함께 구간 식별코드 값이 제공될 때 이를 메모리(106a)에 저장하거나 혹은 메모리(106a)에 이전에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를 새로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로 갱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은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코드 복원 지령신호와 함께 코드 값(서브 코드 값)이 제공될 때 메모리(106a)에 기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로부터 입력된 서브 코드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상위의 서브 코드와 입력된 서브 코드를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번호를 복원(생성)하며, 이와 같이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를 메모리(106a)에 저장(갱신 저장)함과 동시에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디멀티플렉서(110)는 콘텐츠 재생 모드를 수행할 때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문자 데이터 포함)로 분리하고, 이와 같이 분리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다음 단의 음성 처리 블록(112)과 영상 처리 블록(114)으로 각각 전달된다. 여기에서, 음성 데이터는 통상적인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인 것으로, 예컨대 mp3, 즘, aac, pcm, ogg 등과 같은 오디오 포맷 등이 될 수 있고, 영상 데이터 또한 통상적인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인 것으로, 예컨대 wmv, avi, mpg, mp4, mov 등과 같은 비디오 포맷 등이 될 수 있으며, 정지영상 데이터인 경우 jpg 포맷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음성 처리 블록(112)은 디멀티플렉서(11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D/A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음성 데이터 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음성신호는 도시 생략된 스피커 측(콘텐츠 재생 시스템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 이어폰 또는 PC, 모니터, TV 등의 외부 스피커)으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또한, 영상 처리 블록(114)은 동영상 디코더, 정지영상 디코더, 문자 디코더를 선택적 혹은 복합적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영상 D/A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디멀티플렉서(11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영상 데이터 등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을 D/A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영상 데이터 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신호(혹은 문자신호)는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콘텐츠 재생 시스템 자체에 구비된 모니터 또는 PC, TV 등의 외부 모니터)으로 전달되어 학습용 재생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와 모니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음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 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 슬롯,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등을 선택적 혹은 복합적으로 탑재한 별도의 단말기이거나 혹은 PC, TV, 전자사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숫자 버튼과 다수의 기능 버튼을 갖는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숫자버튼과 일부 기능키 버튼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패드(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 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도록 설계할 수 있고, 식별 코드를 소리내어 말하고 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으로도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비록 도 1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기록매체로서 CD, DVD 등과 같은 광 디스크를 채용할 경우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판독)할 수 있는 광 픽업 장치를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 장착해야 하는 것이 자명함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시스템이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조작 패널 내의 버튼 조작을 통해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202, 204), 제어 블록(104)에서는 기록매체(108)를 탐색하여 콘텐츠 목록 정보를 독출하고, 이와 같 이 독출된 콘텐츠 목록 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목록 메뉴를 생성한 후 디멀티플렉서(110)와 영상 처리 블록(114)을 경유하여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모니터 상에는 콘텐츠 목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06). 이때, 콘텐츠 목록 정보들은 기록매체(108) 내의 제 1 기록 영역(108a) 또는 제 2 기록 영역(108b)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록매체(108)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래시 메모리 카드, CD, DVD 등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등에 구비된 상하 이동 버튼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콘텐츠들 중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즉, 재생 선택)하면(단계 208), 제어 블록(104)에서는 제 1 기록 영역(108a)을 탐색하여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깊이 정보를 추출(취득)하여 내부의 버퍼 메모리(도시 생략)에 일시 저장한다(단계 210).
여기에서,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한 깊이 정보는, 예컨대 기록매체(108)가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등이라고 가정할 때 제 1 기록 영역에 있는 속성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취득하거나 혹은 파일 ID에 몇 개의 유효한 서브 코드들이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카운트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때, 후자 방식의 경우, 예컨대 구간 식별코드로서 총 5바이트를 할당하고 각 서브 코드마다 1바이트를 할당하면 깊이 5의 구간 식별코드를 표현할 수 있는데, 콘텐츠를 제작할 때 서브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장소는, 예컨대 FE로 채움으로써,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파악할 때 제 1 기록 영역에 포함된 파일 ID를 읽어 FE가 아닌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파일 정보 레코드의 탐색은 복수의 서브 코드들 을 연결된 하나의 파일 ID로 간주하고, 이진 탐색과 같은 방식으로 이를 검색하여 목표로 하는 파일 정보 레코드를 찾는다. 이러한 방식은 구간 식별코드가 여러 개의 서브 코드로 분해되어 있더라도 검색할 때는 전체를 하나의 식별코드로 간주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고속 검색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후, 제어 블록(104)에서는 조작 블록(102)으로부터 원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기 위한 코드 값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12),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코드 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와 깊이 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코드 값이 전체의 구간 식별코드 값인지 혹은 서브 코드 값(즉, 구간 식별코드의 코드 개수보다 작은 개수의 코드로 된 서브 코드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4, 216, 218).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 값은 학습용 콘텐츠, 예컨대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질문, 보기,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의 아이템별로 각각 구분하여 부여한 부분, 구간, 영역 등의 식별자이다.
이때, 사용자는 코드 값을 입력할 때 하나의 코드 값(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서브 코드 값)만을 입력하거나 혹은 어느 영역에서부터 어느 영역까지를 범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두 개의 코드 값을 입력, 예컨대, 해당 콘텐츠가,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3의 트리 구조를 갖는 콘텐츠라고 가정할 때, 사용자는 10.3.8의 구간 식별코드를 입력하거나 혹은 10.3.8과 "-"와 10.4.9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10.3.8과 "-"와 10.4.9를 같이 입력한다는 것은 10.3.8 구간에서부터 10.4.9 구간까지의 범위(영역)에 있는 콘텐츠를 연속 재생(혹은 연속 반복 재생)하도록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선택한 구간의 재생 반복 횟수를 1회 혹은 그 이상의 횟수로 선택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는, 예컨대 숫자로서 표현되어 학습용 페이퍼 교재의 일부(교재 하단 일부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때 모니터(자체 모니터 또는 외부 모니터)의 일부(화면의 하단 일부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학습용 페이퍼 교재 혹은 모니터를 보고 자신이 원하는 구간의 식별코드가 어떤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구간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학습용 페이퍼 교재의 일부에 기재되는 구간 식별코드 혹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구간 식별코드는 그 전체 코드를 모두 기재 혹은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상위 서브 코드에서 하위 서브 코드만이 변화할 경우 하위 서브 코드만을 기재 혹은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깊이 정보가 N이고, LSS(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된 코드의 총 서브 코드 개수가 M이라고 가정할 때, 단계(214)에서는 입력된 코드 값 M이 깊이 정보 N보다 큰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M이 N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입력 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재입력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멀티플렉서(110)와 영상 처리 블록(114)을 통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제공하며(단계 220), 처리는 다시 단계(212)로 진행하여 새로운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한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재생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코드 값을 잘못 입력하였음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한 후속조치(코드 값 재입력)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LSS를 인식하는 방법은 가장 나중에 입력된 서브코드를 LSS로 인식하던지 또는 특정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만족하는 지 체크해서 할 수 있다. 특정 조건을 세우는 방법으로, 구분 코드가 있는 식별코드 시스템에서 뒤따르는 구분코드가 없는 서브코드를 LSS로 인식하게 할 수 있고 (예컨대 입력코드가 3.8이면 8뒤에는 구분코드가 없으므로 8을 LSS로 인식할 수 있다.) 구분코드가 없는 시스템에서도 서브코드의 형식, 위치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계(216)에서는 입력된 코드 개수 M이 깊이 정보 N과 일치(동일)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M과 N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입력된 코드 값이 전체의 구간 식별코드 값인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 또는 갱신 저장 지령신호와 함께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에서는 제공받은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106a)에 저장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새로 제공받은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한다(단계 222).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106a)에 저장한다는 것은 처음(최초)으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구간 식별코드 값을 갱신 저장한다는 것은 최초의 구간 식별코드 값이 이미 입력되어 메모리(106a)에 기 저장된 상태에서 새로운 전체의 구간 식별코드 값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 블록(104)에서는 기록매체(108) 내의 제 1 기록 영역(108a)에 있는 파일 ID와 시작 위치 정보 등을 검색하여(단계 226),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22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면 현재 재생 중인 것을 중지시키고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제 2 기록 영역(108b)으로부터 인출하여 디멀티플렉서(110) 등을 경유하여 출력(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전달하는 재생 모드(선택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230).
따라서, 사용자는 디멀티플렉서(110)를 경유하여 음성 처리 블록(112)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114) 등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또는 정지 영상, 텍스트 등)이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재생 서비스(자신이 선택한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228)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220)로 진행되며, 단계(220)에서는 입력 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재입력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멀티플렉서(110)와 영상 처리 블록(114)을 통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제공하며, 이후의 처리는 다시 단계(212)로 진행하여 새로운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한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재생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코드 값을 잘못 입력하였음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한 후속조치(코드 값 재입력)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단계(218)에서는 입력된 코드 개수 M이 깊이 정보 N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M이 N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입력된 코드 값이 서브 코드 값인 것으로 판단하여 코드 복원 지령신호와 함께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으로 전달하며, 이에 응답하여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에서는 메모리(106a)에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로부터 입력된 서브 코드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상위의 서브 코드 값과 입력된 서브 코드 값을 조합(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번호를 복원(생성)하며(단계 224), 이와 같이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를 메모리(106a)에 저장(갱신 저장)함과 동시에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한다.
예컨대,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이 10.3.8이고 이후 입력된 하위 서브 코드 값이 9라고 가정할 때,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에서는 제어 블록(104)으로부터의 코드 복원 지령신호에 응답하여 10.3.9로 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여 이 코드 값을 메모리(106a)에 갱신 저장한 후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하게 될 것이다.
즉, 구간 식별코드가 x(1)...x(N)이고, 입력된 코드 값이 y(1)...y(M)이라고 가정하고, 입력된 코드 값이 서브 코드 값인 경우라고 가정할 때,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에서는 아래의 일반항과 같이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한다.
[x(1)...x(N-M), y(1)...y(M)]
단, M=1이면 [x(1)...x(N-1), y(1)]을, N=M+1이면 [x(1), y(1)...y(M)]을, N=2, M=1이면 [x(1), y(1)]을 의미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블록(104)에서는 기록매체(108) 내의 제 1 기록 영역(108a)에 있는 파일 ID와 시작 위치 정보 등을 검색하여(단계 226),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22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면 현재 재생 중인 것을 중지시키고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제 2 기록 영역(108b)으로부터 인출하여 디멀티플렉서(110) 등을 경유하여 출력(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전달하는 재생 모드(선택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230).
따라서, 사용자는 디멀티플렉서(110)를 경유하여 음성 처리 블록(112)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114)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이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재생 서비스(자신이 선택한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228)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파일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220)로 진행되며, 단계(220)에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일련의 프로세스(재입력 안내 메시지 제공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계 212, 218, 224, 226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반복 수행(즉, 구간 식별코드의 입력 또는 하위 서브 코드의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영역(구간)에 있는 학습용 콘텐츠들에 대한 선택적인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선택적인 재생 서비스 방법은 학습용 콘텐츠의 같은 단원 내에서 계속적(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해당 콘텐츠에 대한 선택적인 재생 과정이 모두 종료되거나 혹은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조작 블록(102)으로부터 재생 중지 신호가 입력될 때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서는 재생 모드를 종료하게 될 것이다(단계 232, 234).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는 구간 식별코드를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메모리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 재생 서비스를 제공(이하,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이라 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 영역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먼저 체크하고,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할 때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 서비스와 동시(또는 직후)에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를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도록 하도록 설정(이하,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이라 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코드 값을 가장 잘 기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고, 의미 있는 갱신(즉,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갱신)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측면에서는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은 입력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이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함과 동시에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고,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입 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함과 동시에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학습용 콘텐츠를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질문, 보기,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의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서브 코드(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구간 식별코드를 각각 부여하고, 상위 서브 코드가 동일한 구간에서 상위 서브 코드를 입력함이 없이 하위 서브 코드만을 입력하는 방식(상위 서브 코드의 입력 스킵 방식)으로 학습용 콘텐츠에서 원하는 지점(구간)만을 선택 재생함으로써, 학습용 콘텐츠에서의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 횟수(입력 숫자)의 절감을 통해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랜덤 억세스의 신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실시 예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의 적용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 재생 시스템 내부에 선택적으로 탑재 가능한 기록매체에 학습용 콘텐츠, 즉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지점)에 대한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학습용 콘텐츠를 기록해 두는 전술한 실 시 예1 적용의 콘텐츠 재생 시스템과는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원하는 콘텐츠의 선택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 예 적용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조작 블록(702), 제어 블록(704), 식별코드 처리 블록(706), 메모리(706a), 인터페이스 블록(708), 유무선 네트워크(710),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 콘텐츠 DB(714), 디멀티플렉서(716), 음성 처리 블록(718) 및 영상 처리 블록(720) 등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 적용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부재들 중 조작 블록(702), 식별코드 처리 블록(706), 메모리(706a), 디멀티플렉서(716), 음성 처리 블록(718) 및 영상 처리 블록(720)은 전술한 실시 예1 적용의 콘텐츠 재생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부재들인 조작 블록(102), 식별코드 처리 블록(106), 메모리(106a), 디멀티플렉서(110), 음성 처리 블록(112) 및 영상 처리 블록(1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구성부재들에 대한 본 실시 예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어 블록(704)은 조작 블록(702)으로부터 코드 값(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서브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된 코드 값과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부터 미리 제공받은 깊이 정보(각 아이템별로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 내 유효 서브 코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깊이 정보)를 비교하 여 입력된 코드 값이 전체의 구간 식별코드 값인지 혹은 서브 코드 값(즉, 깊이 정보보다 작은 코드 개수로 된 코드 값)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구간 식별코드 값일 때 이전 구간 식별코드 값의 갱신을 위해 이를 코드 갱신 지령신호와 함께 식별코드 처리 블록(706)으로 전달하고, 입력된 코드 값(구간 식별코드 값)을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와 함께 인터페이스 블록(708) 측으로 전달(즉,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의 전송)하여 해당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선택적인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는,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를 가지며, 서버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의 포맷 구조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는 학습용 콘텐츠의 디렉토리 정보 영역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미리 기록해 두고 이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 추출(취득)하여 재생 시스템 측에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블록(704)은 입력된 코드 값이 서브 코드 값일 때 구간 식별코드로의 복원(생성)을 위해 이를 식별코드 처리 블록(706)으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여 식별코드 처리 블록(706)으로부터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제공될 때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와 함께 인터페이스 블록(708) 측으로 전달(즉,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의 전송)하여 해당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선택적인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인터페이스 블록(708)은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 접속 가능한 웹 부라우저 등의 인터넷 접속 수단과 변/복조 수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 블록(704)으로부터 제공되는 코드 값과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 등을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조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 전송하고,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부터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 학습용 콘텐츠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변조 전의 원 데이터로 복조한 후 제어 블록(7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는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재생 시스템(즉, 도 7에서 네트워크, 콘텐츠 서비스 서버 및 콘텐츠 DB를 제외한 구성부재로 된 시스템)으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 필요한 각종 메뉴 화면, 콘텐츠 목록 데이터 등을 인출하여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고, 원격지의 재생 시스템 측으로부터 코드 값과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 콘텐츠 DB(714)를 탐색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즉, 수신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지점)의 콘텐츠 데이터)를 인출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DB(714)에는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예컨대,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질문, 보기,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부여하여 제작한 다수의 학습용 콘텐츠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일 형태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재생 시스템이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조작 패널 내의 버튼 조작을 조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 접속(로그인)한 후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택하면(단계 802),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콘텐츠 DB(714)를 탐색하여 콘텐츠 제목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원격지 재생 시스템 측의 제어 블록(704)으로 제공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블록(704)에서 디멀티플렉서(716)와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모니터 상에 콘텐츠 목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804). 여기에서, 사용자는 상하 이동 버튼을 이동시키거나 마우스로 클릭하는 방식 등을 통해 자신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등에 구비된 상하 이동 버튼 등을 이용하여 다 수의 학습용 콘텐츠들 중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즉, 스트리밍 서비스 선택)하면(단계 806), 콘텐츠 선택 관련 메시지가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재생 시스템 측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하게 되는데(단계 808), 이것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할 때 그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 측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택한 콘텐츠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여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제공하거나 혹은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가 재생 시스템 측으로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콘텐츠의 깊이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콘텐츠의 선택과 동시에 해당 콘텐츠의 깊이 정보가 재생 시스템 측에 자동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깊이 정보의 추출은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 측에서 디렉토리 정보 영역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들어 있는 깊이 정보를 추출하거나 혹은 각 아이템별로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 내 유효 서브 코드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추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 측에서는 서비스 종류(예컨대, 일반 서비스, 선택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 화면을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제공함으로써(단계 810),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종류의 선택을 대기한다(단계 812, 814).
여기에서, 일반 서비스라 함은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용 콘텐츠의 전체 내용을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콘텐츠 재생 시스템 측으로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를 의미 하고, 선택 서비스라 함은 사용자가 입력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만을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선택 인출하여 콘텐츠 재생 시스템 측으로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814)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일반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704)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콘텐츠 DB(714)를 탐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용 콘텐츠의 전체 데이터를 인출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재생 시스템 측으로 스트리밍한다(단계 816).
그 결과, 제어 블록(704)이 디멀티플렉서(716)와 음성 처리 블록(718)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도시 생략된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해당 학습용 콘텐츠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음성 및/또는 영상의 학습용 콘텐츠가 출력되는 일반 서비스 모드(전체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모드)가 실행된다(단계 818).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처리 블록(718)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출력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의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일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이후, 해당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과정이 모두 종료되거나 혹은 일반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조작 블록(702)으로부터 서비스 중지신호가 입력될 때 재생 시스템에서는 일반 서비스 모드를 종료하게 될 것이다(단계 820, 822).
한편, 비록 도 8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일측에 선택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식별코드 입력창을 구비하고,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가 메뉴창에 구간 식별코드를 입력할 경우 현재의 서비스 모드를 일반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 서비스 모드로 전환한 후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기 단계(812)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선택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704)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구간 식별코드의 입력 항목을 갖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재생 시스템 측(즉, 모니터 측)으로 제공하여 구간 식별코드의 입력을 요구한다(단계 824).
여기에서, 구간 식별코드는 전술한 실시 예1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의 식별코드를 나타내며, 이러한 구간 식별코드는, 예컨대 숫자로서 표현되어 학습용 페이퍼 교재의 일부(교재 하단 일부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때 모니터(자체 모니터 또는 외부 모니터)의 일부(화면의 하단 일부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서비스 받고자하는 영역(구간)에 해당하는 코드 값(구간 식별코드 또는 서브 코드)을 입력하면(단계 826), 제어 블록(704)에서는 입력된 코드 값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깊이 정보간의 비교 등을 통해 구간 식별코드 값을 인식하거나 혹은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는데, 이러한 일 련의 과정들은 828, 830, 832, 834, 836, 838의 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여기에서, 828, 830, 832, 834, 836, 838로 된 단계들에서의 처리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 예1에서 기술하고 있는 도 2의 214, 216, 218, 220, 222, 224로 된 단계들에서의 처리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어 블록(704)에서는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 정보와 함께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선택적인 스트리밍을 요청한다(단계 840).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콘텐츠 DB(714)를 검색하여 스트리밍을 요청받은 콘텐츠 구분자 ID에 대응하는 콘텐트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842, 844), 체크 결과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할 때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인출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원격지의 재생 시스템 측으로 스트리밍한다.
그 결과, 제어 블록(704)이 디멀티플렉서(716)와 음성 처리 블록(718)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도시 생략된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해당 학습용 콘텐츠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음성 및/또는 영상의 학습용 콘텐츠가 출력되는 선택 서비스 모드(스트리밍 서비스 모드)가 실행된다(단계 846).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처리 블록(718) 및/또는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 측으로 출력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의 학습용 콘텐츠에 대 한 선택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842)에서의 체크 결과, 콘텐츠 DB(714)에 스트리밍을 요청받은 콘텐츠 구분자 ID에 대응하는 콘텐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834)로 진행되며, 단계(834)에서는 입력 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재입력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멀티플렉서(716)와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제공하며, 이후의 처리는 다시 단계(826)로 진행하여 새로운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한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재생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코드 값을 잘못 입력하였음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한 후속조치(코드 값 재입력)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계(826)에서부터 단계(846)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반복 수행(즉, 서브 코드 값 입력 또는 구간 식별코드 값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영역(구간)에 있는 학습용 콘텐츠들에 대한 선택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선택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학습용 콘텐츠의 같은 단원 내에서 계속적(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단계(848)에서는 사용자가 구간 선택한 콘텐츠들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이 모두 종료되거나 혹은 선택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조작 블록(702)으로부터 서비스 중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스트리밍 과정이 종료되거나 혹은 서비스 중지신호 가 입력될 때 제어 블록(704)이 선택 서비스 모드를 정지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트리 구조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선택 스트리밍 서비스)가 종료된다(단계 85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학습용 콘텐츠를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질문, 보기,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의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서브 코드(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로 된 구간 식별코드를 각각 부여하고, 상위 서브 코드가 동일한 구간에서 상위 서브 코드를 입력함이 없이 하위 서브 코드만을 입력하는 방식(상위 서브 코드 스킵 방식)으로 학습용 콘텐츠에서 원하는 지점(구간)만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스트리밍)받아 서비스함으로써, 원격지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용 콘텐츠에서의 구간 선택 스트리밍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 횟수(입력 숫자)의 절감을 통해 구간 선택 스트리밍을 위한 랜덤 억세스의 신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은, 비록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주체가 재생 시스템 자체가 아닌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라는 점에 있어서 차이점을 갖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결과(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재생 장치 측에서 이를 구간 식별코드로 인식하거나 혹은 구간 식별코드로 복원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바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서비스 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코드 정보(해당 콘텐츠에 대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모두 갖는 테이블 혹은 리스트)를 인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 장치 측으로 전송해 주고, 재생 장치 측에서는 식별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혹은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가 유효한 식별코드인지를 체크하고, 유효한 식별코드인 경우에만 해당 구간 식별코드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재생 장치 측에서 식별코드의 유효성 체크를 통해 잘못 입력된 식별코드(유효하지 않은 식별코드)인 경우에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코드의 오입력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리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의 불필요한 부하(콘텐츠 검색 등) 발생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재생 장치 측으로 식별코드 정보(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식별코드 리스트)를 먼저 제공하는 상술한 방법은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먼저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과 식별코드 정보를 탐색하여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일 때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 모두에 각각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이용하는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은 입 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 후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탐색하여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유효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해당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한 후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탐색하여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 유효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즉,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이용하는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은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탐색하여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한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식별코드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탐색하여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한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실시 예2의 변형 실시 예]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다른 형태에 따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 값의 처리(예컨대, 입력 코드 값과 깊이 정보를 비교하는 처리, 서브 코드 값과 이전 구간 식별코드 값에 의거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는 처리 등)를 재생 시스템 측에 수행하는 전술한 실시 예2와는 달리,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 측에서 수행한다는 점이 다르며, 그 이외의 모든 처리 프로세스들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처리 프로세스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름을 갖는 처리 프로세스들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단계 902, 904, 906, 908 내지 920의 각 처리 과정(프로세스)들은 도 8에 도시된 단계 802, 804, 806, 810 내지 822의 각 처리 과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 은 생략한다. 즉, 전술한 실시 예2에서는 위 단계들 중에 재생 시스템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재생 시스템이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다음에, 단계 922와 924의 각 과정은 도 8의 단계 824와 826의 각 과정과 동일하며, 이후 제어 블록(704)은 조작 블록(702)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코드 값이 입력되면 이를 사용자 ID 또는 콘텐츠 구분자 ID 정보와 함께 인터페이스 블록(708)과 유무선 네트워크(710) 등을 통해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로 전송하여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한다(단계 925).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택한 콘텐츠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하는데(단계 926), 이러한 깊이 정보의 추출은 해당 콘텐츠의 디렉토리 정보 영역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들어 있는 깊이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단계 928, 930, 932, 936, 938의 각 과정은 도 8의 828, 830, 832, 836, 838의 각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단계(928)에서의 체크 결과 M이 N보다 큰 것으로 판단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712)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무선 네트워크(710)를 통해 재생 시스템 측의 제어 블록(704)으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 블록(704)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재입력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멀티플렉서(716)와 영상 처리 블록(720)을 통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제공하며(단계 934), 처리는 다시 단계(924)로 진행하여 새로운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한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재생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코드 값을 잘못 입력하였음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한 후속조치(코드 값 재입력)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단계(940) 내지 단계(948)에서는, 도 8의 단계(842) 내지 단계(85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선택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재생 시스템 측에서 코드 값 처리(비교 분석, 복원 등)를 수행하는 전술한 실시 예2와는 달리, 재생 시스템 측에서 입력된 코드 값들을 그대로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해 주고, 콘텐츠 서비스 서버 측에서 입력된 코드 값에 대한 비교 분석,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의 복원 등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점에서 비록 차이점을 갖기는 하지만, 전술한 실시 예2에서와 동일한 결과(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구간 식별코드를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 재생 서비스를 제공(이하,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이라 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된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먼저 체크하고,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할 때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와 동시(또는 직후)에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를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도록 하도록 설정(이하,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이라 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은 여러 가지 외적 요인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이를 늦게 인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고려할 때,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 보다는 "식별코드 선 갱신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식별코드 후 갱신 방법"은 수신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이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고,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 단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번호 전체를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구간의 데이터를 선택 재생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예컨대, 단어, 숙어, 문장, 그림, 문제(질문과 보기 포함), 토픽, 차트, 문단 소주제 또는 페이지 등)별로 분류하여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콘텐츠 재생을 위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되어 입력된 코드 값의 코드 개수와 깊이 정보를 비교하고, 입력된 코드 값이 구간 식별코드 값일 때 이를 저장 혹은 갱신 저장하며, 입력된 코드 값이 깊이 정보의 코드 개수보다 작은 서브 코드 값일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위의 서브 코드 값(입력된 서브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과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입력된 구간 식별코드 또는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서비스함으로써, 학습용 콘텐츠에서의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 횟수(입력 숫자)의 절감을 통해 구간 선택 재생을 위한 랜덤 억세스의 신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콘텐츠 재생을 위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입력될 때 이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 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고 콘텐츠 재생을 위한 새로운 하위 서브 코드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 값과의 조합을 통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의 복원을 통해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2.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3.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이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콘텐츠 ID, 콘텐츠 이름, 속성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정보 영역과 다수의 서브 코드로 된 각 구간 식별코드를 나타내는 파일 ID, 파일의 시작 위치 및 크기가 각각 기록된 다수의 파일 정보 레코드가 저장되는 파일 정보 영역으로 된 제 1 기록 영역과,
    상기 각 파일 ID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되는 제 2 기록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콘텐츠 ID, 콘텐츠 이름, 속성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정보 영역과 다수의 서브 코드로 된 각 구간 식별코드를 나타내는 파일 ID, 파일의 시작 위치 및 크기가 각각 기록된 다수의 파일 정보 레코드가 저장되는 파일 정보 영역으로 된 제 1 기록 영역과,
    상기 각 파일 ID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되는 제 2 기록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 후,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기록 매체에 저장된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고,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의 구간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제작한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상기 재생 시스템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할 때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한 후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이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인출하여 선택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상기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상기 해당 영역의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11.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구간 식별코드 값들로 된 식별코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상기 유효한 식별코드일 때,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구간 식별코드 값을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상기 해당 영역의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12.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구간 식별코드 값들로 된 식별코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재생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이 입력될 때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입력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입력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입력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이 유효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그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상기 해당 영역의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을 입력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을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선택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브 코드가 포함된 코드 값을 입력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학습용 콘텐츠의 내용을 아이템별로 구분하며, 각 아이템별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서브 코드와 하위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된 구간 식별코드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코드 값을 구간 식별코드 값으로 인식하고, 이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 값의 코드 개수가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보다 작을 때, 기 저장된 이전의 구간 식별코드 값에서 추출한 상기 코드 값보다 상위의 서브 코드 값들과 상기 코드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구간 식별코드 값에 상응하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구간 식별코드 값 또는 상기 복원된 새로운 구간 식별코드 값을 메모리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콘텐츠 ID, 콘텐츠 이름, 상기 아이템별로 각각 부여된 구간 식별코드 내 유효 서브 코드 개수를 정의하는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 정보 영역과 다수의 서브 코드로 된 각 구간 식별코드를 나타내는 파일 ID, 파일의 시작 위치 및 크기가 각각 기록된 다수의 파일 정보 레코드가 저장되는 파일 정보 영역으로 된 제 1 기록 영역과,
    상기 각 파일 ID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되는 제 2 기록 영역
KR1020060132529A 2006-12-22 2006-12-22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KR10088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29A KR100882857B1 (ko) 2006-12-22 2006-12-22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29A KR100882857B1 (ko) 2006-12-22 2006-12-22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249A KR20080097249A (ko) 2008-11-05
KR100882857B1 true KR100882857B1 (ko) 2009-02-11

Family

ID=4028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529A KR100882857B1 (ko) 2006-12-22 2006-12-22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32B1 (ko) * 2014-06-05 2016-08-29 김신우 트리 구조의 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661230B1 (ko) * 2015-07-08 2016-09-29 주식회사 케이티 닷코드를 이용한 vod 콘텐츠 제공 방법, 셋톱 박스 및 시스템
KR102045050B1 (ko) * 2016-11-21 2019-1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책 단말 및 이의 전자책 콘텐츠를 네비게이션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644A (ko) * 1998-05-20 1999-12-15 김원재 어학학습용 매체 구동방법
KR20000031436A (ko) * 1998-11-06 2000-06-05 박경화 랜덤 재생을 위한 식별 코드를 가지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644A (ko) * 1998-05-20 1999-12-15 김원재 어학학습용 매체 구동방법
KR20000031436A (ko) * 1998-11-06 2000-06-05 박경화 랜덤 재생을 위한 식별 코드를 가지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249A (ko)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330B (zh) 基于在线教育的视频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1202864B (zh) 动画再现装置
US8168876B2 (en) Method of displaying music information in multimedia playback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CN102113009B (zh) 注释媒体内容项目
CN106971009B (zh) 语音数据库生成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20070027844A1 (en) Navigating recorded multimedia content using keywords or phrases
JP2004533756A (ja) 自動コンテンツ分析及びマルチメデイ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の表示
JP2001028722A (ja) 動画像管理装置及び動画像管理システム
US2009025457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accessing multimedia content
JP2004528640A (ja) 自動ビデオ検索の方法、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JP2010245853A (ja) 動画インデクシング方法及び動画再生装置
JP2001306599A (ja) 映像の階層的管理方法および階層的管理装置並びに階層的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82857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
CN101097659A (zh) 语言学习系统及其方法
KR100929688B1 (ko)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인덱싱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미디어 데이터파일의 인덱싱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185801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file reproduce method
JP2001502858A (ja) ディジタル音声及び画像情報の符号化データのデータベースを有したディジタル画像システム
JP2002335478A (ja) ビデオ録画再生システム
JP2006510162A (ja) 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34250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508718B1 (ko) 온라인상에서의 듣고 받아쓰기 시스템
CN112287160A (zh) 一种音频数据的排序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5105109B2 (ja) 検索装置及び検索システム
KR20080053983A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재생 방법
KR100875769B1 (ko) 식별코드와 유효성검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