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109B1 -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109B1
KR100882109B1 KR1020057019082A KR20057019082A KR100882109B1 KR 100882109 B1 KR100882109 B1 KR 100882109B1 KR 1020057019082 A KR1020057019082 A KR 1020057019082A KR 20057019082 A KR20057019082 A KR 20057019082A KR 100882109 B1 KR100882109 B1 KR 10088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atch
cap
load bearing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955A (ko
Inventor
브라이언 로버트 시워트
마크 에스. 톰슨
리차드 엘. 홀로웰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5701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1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된 캡(22)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20)에 관한 것이다. 인장 장치(44)는 승강구의 일단부(26)에 인접하여 존재한다. 인장 장치(44)는 캡(22)의 중량을 지지하고 승강구 내에서 캡의 소정의 배치를 달성하도록 이동하는 하중 지지 부재 상에 소정의 인장을 유지한다. 하중 지지 부재(30)는 캡을 향해 승강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1 도르래(36)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1 단부(24)를 향해 제1 도르래(36)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2 도르래(38)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26)를 향해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3 도르래(40)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제3 도르래로부터 캡을 향해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4 도르래(42)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인장 장치(44)에 고정된 제4 도르래로부터 연장된다.
승강기 시스템, 승강구, 카, 하중 지지 부재, 인장 장치, 도르래

Description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강구 효율을 최대화한 로핑(roping) 배열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통상 승강구 내에서의 다른 층들 사이들 이동하도록 지지된 캡을 포함한다. 캡은 통상 시스템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도르래(sheave)들을 따라 이동하는 로프 또는 다른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이동한다. 평형추는 통상 캡과 결합되고, 또한 하중 지지 부재 또는 로프에 의해 지지된다. 통상의 평형추는 캡이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승강구의 일부를 통해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한다.
종래의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늘 개선을 필요로 했다. 고려의 측면은 승강기 시스템의 효율을 최대화하고 경제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것이 달성될 수 있는 방법은 승강기 시스템에 의해 요구되는 승강구 공간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종래의 평형추는 그들의 이동이 수용되어야만 했기 때문에 승강구 내에 추가적인 공간을 요구한다. 추가적인 비용이 평형추 자체와 평형추를 승강구를 통해 안내하기 위한 추가적인 안내 레일을 제공하는 것에 포함된다. 종래 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부품들을 적절하게 조립하는데 포함되는 설치, 노동 및 시간과 관련한 단점들이 존재한다.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승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승강기 시스템 내의 부품들의 독특한 배열을 제공하여 이러한 요구들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평형추가 필요하지않는 방식으로 배열된 하중 지지 조립체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승강기 효율을 최대화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은 승강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캡을 포함한다. 하중 지지 부재는 승강구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된 일 단부를 갖는다. 하중 지지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캡을 향해 연장되며, 캡과 결합된 제1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하중 지지 부재는 승강구의 제1 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1 단부에 인접한 제2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하중 지지 부재는 승강구의 제2 대향 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2 단부에 인접한 제3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하중 지지 부재는 캡을 향해 연장되며, 캡과 결합된 제4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그 후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하중 지지 부재의 다른 단부는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유지되는 인장 장치에 고정된다.
모터는 하중 지지 부재의 이동과 이에 상응하는 캡의 이동을 유발한다. 일 예에서, 모터는 제1 내지 제4 도르래 중 하나와 결합되어, 이들 도르래 중 하나는 시스템에 대한 견인 도르래로 작동한다. 다른 예에서는, 별개의 견인 도르래가 모터와 함께 제공된다. 후자의 예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승강구의 외측에 모터의 유리한 배치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승강기 시스템은 하중 지지 부재의 2:1 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소정의 시스템 특성을 얻기 위한 2:1, 3:1, 4:1 또는 더 높은 로핑 비율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 예에서, 인장 장치는 승강구의 바닥에 밀접하게 남아있는 질량부를 포함한다. 질량부의 중량은 적절한 인장의 양이 하중 지지 부재에 남아 있어 소정의 캡 이동을 달성하고 필요할 경우 캡의 중량과 평형을 맞춘다.
일 예시적 시스템에서, 중량은 승강기 시스템이 설치될 위치로 더 용이하게 이송되는 복수의 상호 결합부를 포함한다. 조립되면, 결합부는 승강기 시스템 내에 소정의 인장량과 평형을 제공하는 전체 중량을 함께 구성한다.
다른 예에서, 쉘 또는 폼(form)은 소정의 중량을 달성하도록 선택된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인장 장치는 하장 지지 부재 상에 소정량의 인장을 제공하도록 조절 가능한 수압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와 같은 가압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성과 장점들은 일반적인 양호한 실시에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하는 도면들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승강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승각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승각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승각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예시적 인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다른 예시적 인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다른 예시적 인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승강기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은 승강구의 제1 단부(즉, 상부)(24)와 제2 단부(즉, 바닥부) 사이에서 소정의 위치로의 캡(2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승강기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20)은 캡의 중량을 지지하고 캡(22)의 소정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하중 지지 부재(30)를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양한 하중 지지 부재(30)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피복된 강철 벨트가 사용된다. 다른 예시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강철 로프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후속하는 설명에서는 임의의 유형의 하중 지지 부재와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용어 "벨트"가 사용되며, 용어 "벨트"는 가장 엄격한 의미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하중 지지 부재(30)는 승강구의 제1 단부(24) 부근에 고정된 일 단부(32)를 갖는다. 상기 도면은 일반적인 말단(3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벨트(30)는 캡(22)을 향해 연장되며, 캡(22)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36)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그 후, 벨트(30)는 승강구의 제1 단부(24)를 향해 연장되고, 다른 도르래(38)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그 후, 벨트(30)는 승강구의 제2 단부(26)를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40)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그로부터, 벨트(30)는 캡(22)을 향해 연장되고, 승강구를 통해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다른 도르래(42)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다. 벨트(30)는 그후 승강구의 제2 단부(26)를 향해 다시 연장된다.
인장 장치(44)는 벨트(30)의 다른 단부(45)를 고정하여, 캡을 적절하게 지지 하고 소정의 캡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하중 지지 부재에 정당량의 인장이 가해지는 것을 보장한다. 캡 이동은 구동 도르래 둘레에서 벨트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모터를 포함하는 기계(46)를 제어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1의 예에서, 기계(46)는 승강구의 제2 단부(26) 부근에서 도르래(40)와 결합되어, 도르래(40)가 견인 또는 구동 도르래가 된다. 모터가 벨트(30)를 도르래 둘레로 이동시킬 때, 캡은 모터와 구동 도르래 이동의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인장 장치(44)는 벨트(30) 상에 인장의 필요량을 유지하기 때문에, 견인 도르래는 벨트와 캡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인장 장치는 승강구의 일 단부 부근에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된다. 도1의 예에서, 인장 장치는 승강구의 제2 단부(26) 부근에 지지된다. 다른 예에서, 인장 장치(44)는 제1 단부(24) 부근에 지지된다. (종래의 평형추와 같은) 승강구를 통해 이동하지 않는 인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승강기 시스템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양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승강구 효율을 최대화한다. 이동 평형추를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절감은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된 단지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2:1 로핑 비율이 달성되고, 벨트(30)는 벨트의 이러한 이동에 반응하는 캡(22)에 의한 수직 이동 거리에 두 배만큼 구동 도르래 둘레를 이동한다. 다른 2:1 배열이 예컨대 도2 내지 도5를 통해 도시된다. 3:1과 4:1과 같은 다른 비율도 본 발명에서 가능하다.
도2의 예시적 배열은 우선 기계(46)의 배치에서 도1의 배열과는 다르다. 이 예에서, 기계(46)는 승강구의 제1 단부(24) 부근에 지지된다. 도르래(38)는 이 예에서 견인 도르래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캡(22)과 결합된 도르래는 언더슬렁(underslung) 배열이다. 도르래(36)는 승강구의 제1 단부(24)를 향해 연장되는 벨트(30)의 부분이 도르래(38) 둘레를 감는 경우에도 캡(22) 아래에서 지지된다. 구조를 지지하는 특정 캡에 따라, 이러한 배열이 추가의 시스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4는 소위 오버슬렁(overslung) 배열을 갖는 또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도르래(42)와 도르래(36)는 캡(22) 위에서 지지된다.
도5는 다른 예시적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기계(46)는 이전 예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도르래들 중 하나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이 예는 기계(46)와 결합된 전용 구동 도르래(50)를 포함한다. 편위기 도르래(52)는 기계 위치로 벨트(30)를 유도하고 승강구 내에서 도르래와 협동하도록 후속되는 경로로 다시 유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일 예에서, 기계(46)는 승강구 외피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임의의 바람직한 위치에서 기계가 전략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인장 장치(44)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장 장치는 상대적으로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질량부를 포함한다. 도6의 예에서, 질량부(54)는 승강구의 제2 단부(26) 부근에 위치된다. 예시적 질량부(54)는 설치 장소에서 질 량부의 조립을 가능하게하는 결합부(56a, 56b)를 갖는다. 작업장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는 여러 부분의 질량부(54)를 제조하여, 작업장으로 질량부(54)를 운송하고 승강기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간단해질 수 있다. 다양한 결합 또는 연결 배열이 필요에 따라 결합부(56a, 56b)를 함께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질량부(54)는 설치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충전되는 쉘 또는 폼을 포함한다. 콘크리트와 같은 소정량의 선택된 재료가 소정 중량을 달성하도록 쉘 또는 폼을 충전한다.
질량부(54)의 최종 중량은 소정량의 인장이 소정의 승강기 시스템 작동을 달성하도록 하중 지지 부재(30) 상에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질량부(54)는 캡(22)에 의해 운반될 것으로 예측되는 충격(duty) 하중 질량과 캡(22)의 질량의 합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는 식
Figure 112005056718118-pct00001
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캡의 가속도가 무시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견인비(즉, 구동 도르래(34)의 일 측면 상에서의 인장의 비율)이 대략 2인 예시적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다른 예에서, 질량부(54)의 크기는 후속의 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56718118-pct00002
이 때,
ρ는 선형 로프 밀도(kg/m)
H는 건물 높이(m)
a는 카(car) 가속도(m/s2)
g는 중력 가속도(m/s2)
MCAR은 카 질량(kg)
MDL은 충격 하중 질량(kg)
MCWT는 평형추 질량(kg)
ρTC는 선형 이동 케이블 밀도(kg/m)
TR는 견인비
공지된 바와 같이, 견인의 양은 벨트 또는 로프의 감는 각과 마찰 계수의 함수이다. 더 큰 마찰을 제공하는 부품(즉, 둥근 로프 대신 편평한 벨트)을 선택하는 것은 작은 질량부(54)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질량부(5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절감을 강화하도록 종래의 평형추보다 작다.
도6의 예는 예컨대, 승강구 벽에 적절하게 고정된 피봇(60) 주위에서 질량부(54)를 지지하는 레버식 조립체(58)를 포함한다. 레버식 조립체(58)는 기계적 장점을 얻기 위해 현수된 질량(54)에 대한 위치에 벨트(30)를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작은 질량부(54)를 사용하는 성능을 더 강화하면서도, 매우 큰 질량추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인장을 얻을 수 있다.
질량부(54)의 이러한 이동은 승강기 시스템 작동 중 소정의 조건 하에서 요구된다. 예컨대, 하중 지지 부재(30) 상의 조건 또는 하중이 변하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해 질량부(54)의 약간의 이동을 요구할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30) 내의 탄성적 변화는 일반적인 것으로 약간의 제한된 이동이 이러한 변화를 수용한다. 하지만, 질량부(54)의 임의의 이러한 이동은 승강구 내의 캡(22)의 이동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질량부(54)는 사실상 고정적이며 임의의 이동도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종래의 평형추의 이동량에 비해 매우 작다.
안내 장치(62)가 승강구의 바닥부(26)에 대해 질량부(54)의 임의의 요구되는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도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예에서, 안내 장치(62)는 승강구 내에 정 위치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 레일형 구조를 포함한다. 레일(62)들 중 하나는 승강구의 바닥부(26)에 플로어에 고정된 기부를 갖는다. 다른 레일(62)은 종래의 방식으로 승강구 벽에 고정된다.
다른 예시적 인장 장치(44)가 도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벨트(30)를 인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64)를 포함한다. 커넥터(66)는 밸트(30)의 단부(45)의 말단을 스프링 부재(64)의 배열에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다른 예시적 인장 장치(44)는 도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액추에이터(68)는 소정의 시스템 작동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인장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68)는 예를 들어 수압식이다. 다른 예에서, 액 추에이터는 공압식이다. 종래의 인장 조절 기술은 소정량의 인장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커넥터(66)는 복수의 액추에이터(68)가 필요한 인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벨트(30)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상세한 설명의 이익을 갖는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예를 들어, 적절한 질량, 스프링 조립체 또는 가압식 액추에이터 장치가 그들의 특성 상황의 필요를 만족하도록 선택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장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을 설계할 때 구현될 수 있다. 큰 장점 중 하나는 승강구 공간의 사용이 공간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최소화되어, 승강기 시스템의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인장 장치(44)는 승강구 내에 선택된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남아 있기 때문에, 별도의 평형추 안내 레일이 요구되지 않고, 다수의 다른 부품들이 감소될 수 있으며, 승강구의 최종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구동 및 제동 부품들이 간단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들 들어, 이동 평형추가 없기 때무에 단지 한 방향으로의 버팀대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의 다른 장점은 이 시스템이 용이하게 가동될 수 있는 점프 리프트(jump lift) 설치 방식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도9는 승강구 내의 제1 상태에서 임시로 설치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상부 지지부(70)가 건물 내의 제1층 또는 높이(72)에서 승강구에 대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것은 예컨대 건물이 공사중일 때 이루어 질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의 적덜한 부품들을 상부 지지부(70)에 고정하 는 것은 종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70)는 종래 방식으로 승강기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캡(22)은 높이(72) 아래 건물 내에의 다른 층들 사이에서 아이템들을 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설치 상태에서, 하중 지지 부재(30)의 일부(74)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부로부터 분리된 스풀(75) 상에 유지된다. 하중 지지 부재(30) 상에 선택된 위치는 종래의 클램핑 기구(73)를 사용하여 인장 장치(44)에 고정될 수 있다. 느슨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팽팽한 벨트(74)를 시스템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하중 지지 부재(30)는 임시로 설치된 상태로 시스템 내에 제1 길이를 갖는다.
제2 설치 위치는 도9에 은선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70)는 건물 내에 제2 층 또는 높이(76)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배열은 안전한 위치에서 캡을 충분히 고정하여 제1 높이(72)로부터 제2 높이(76)로의 이러한 변환을 가능하게 하고, 하중 지지 부재를 인장 장치(44)에 대한 연결로부터 해제하고, 제2 높이 위치로 상부 지지부(70)를 이동시킨 후, 인장 장치(44)에 하중 지지 부재(30)를 다시 고정시킨다. 제2 위치에서, 사전에 팽팽해진 부분(74)은 작동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고, 하중 지지 부재(30)는 승강기 시스템 내에서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위치에서, 승강기 캡(22)은 건물 내에 다른 층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공정은 특정 상황의 요구 및 특정 건물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만큼 종종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열은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점프 리프트 순서로 승강기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설치된 위치들 사이의 하중 지지 부재의 팽팽한 길이를 조절하는 성능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은 특성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다. 개시된 예들에 대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정수 내에 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확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단지 학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8)

  1. 승강기 시스템이며,
    승강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된 캡과,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서 고정된 제1 위치를 갖고, 캡을 향해 승강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1 도르래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1 단부를 향해 제1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2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3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제3 도르래로부터 캡을 향해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4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제4 도르래로부터 연장되도록 시스템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중 지지 부재와,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하중 지지 부재의 제2 부분을 고정하고 승강구 내에서 캡의 모든 이동에서 하중 지지 부재 상에 인장을 유지하는 승강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인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 장치는 승강기의 제2 단부 부근에 유지되는 질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은 캡 중량을 가지고 충격 하중 중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량부는 캡 중량과 충격 하중 질량의 합의 1/2 이상인 중량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캡의 소정 이동을 달성하도록 도르래 둘레에서 하중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기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기계는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 지지되는 승강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기계는 모터와 결합된 도르래가 시스템 내에서 견인 도르래가 되도록 제1, 제2, 제3 또는 제4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승강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모터와 결합된 견인 도르래와, 적어도 하나의 편위기 도르래를 포함하고, 견인 도르래와 편위 도르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도르래들 중 둘 사이의 하중 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승강기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질량부의 제한된 이동을 안내하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질량부는 함께 고정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질량부는 소정의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 쉘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13. 승강기 시스템이며,
    승강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된 캡과,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서 고정된 제1 위치를 갖고, 캡을 향해 승강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1 도르래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1 단부를 향해 제1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1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2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지지된 제3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제3 도르래로부터 캡을 향해 연장되고,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된 제4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승강구의 제2 단부를 향해 제4 도르래로부터 연장되도록 시스템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중 지지 부재와,
    승강구의 제2 단부 부근에 하중 지지 부재의 제2 부분을 고정하고 승강구 내에서 캡의 모든 이동에서 하중 지지 부재 상에 인장을 유지하는 승강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인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 장치는 승강구의 일부분에 대해 피봇되도록 지지된 일 단부와 인장 장치의 인장 부재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갖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하중 지지 부재는 제1 및 제2 레버 단부들 사이에 소정의 위치에서 레버 부재에 고정된 승강기 시스템.
  14. 캡, 복수의 도르래, 캡의 소정 이동을 유발하도록 도르래 둘레에서 이동하는 하중 지지 부재 및 캡이 이동하는 동안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남아있는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이며,
    (A) 승강구 내에 소정 높이에서 상부 지지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상부 지지부에 하중 지지 부재의 제1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와,
    (C)시스템 내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도르래들을 지지시키는 단계와,
    (D) 소정의 패턴으로 도르래들 둘레를 하중 지지 부재로 권취하는 단계와,
    (E) 하중 지지 부재의 총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하중 지지 부재의 제1 섹션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인장 장치에 하중 지지 부재의 제2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와,
    (F) 소정의 높이 아래 위치들 사이의 승강구 내에서 캡을 이동하는데 승강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와,
    (G) 하중 지지 부재의 제2 부분을 인장 장치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와,
    (H) 승강구 내의 제2의 더 높은 높이로 상부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I) 제1 섹션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하중 지지 부재의 제2 섹션이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인장 장치에 하중 지지 부재의 제3 부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부재의 제3 부분을 인장 부재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와,
    제2 높이보다 높은 승강구 내의 제3 높이에 상부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제2 섹션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하중 지지 부재의 제3 섹션이 제1 부분과 제4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하중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을 인장 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H)와 (I)를 수행한 후 제2 높이 아래 위치들 사이에서 승강구 내의 캡을 이동시키도록 승강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제1 도르래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와, 상부 지지부 부근에 제2 도르래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와, 승강구의 단부 부근에 제3 도르래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와, 캡과 함께 이동하도록 제4 도르래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D)는 하중 지지부재가 캡을 향해 상부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제1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상부 지지부를 향해 제1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제2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제3 도르래를 향해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되고 제3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제3 도르래로부터 캡을 향해 연장되고, 제4 도르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고, 인장 장치를 향해 제4 도르래로부터 연장되도록 하중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19082A 2005-10-07 2003-04-22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KR10088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082A KR100882109B1 (ko) 2005-10-07 2003-04-22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082A KR100882109B1 (ko) 2005-10-07 2003-04-22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55A KR20060002955A (ko) 2006-01-09
KR100882109B1 true KR100882109B1 (ko) 2009-02-06

Family

ID=3710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82A KR100882109B1 (ko) 2005-10-07 2003-04-22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1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875A (ja) * 1984-02-07 1985-08-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JPH11209032A (ja) * 1998-01-23 1999-08-03 Otis Elevator Co 釣り合いロープ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JP2001524060A (ja) * 1996-12-30 2001-11-2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ロー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875A (ja) * 1984-02-07 1985-08-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JP2001524060A (ja) * 1996-12-30 2001-11-2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ロープ装置
JPH11209032A (ja) * 1998-01-23 1999-08-03 Otis Elevator Co 釣り合いロープ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55A (ko)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306B2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US7562744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delivery assembly
US8141684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US6193017B1 (en) Pulley-driven elevator
JP5095401B2 (ja) エレベータの設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US8118138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US7481299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ng device
EP1631516B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AU2006225212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 lift cage to a lift cage and to a lift shaft as well as a lift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KR100882109B1 (ko)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KR20050123146A (ko)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US20070131490A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JP2875603B2 (ja) 工事用昇降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64173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206263A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JP2006168846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非常止め試験方法
CN115215180A (zh) 电梯系统
JP5778738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方法
KR20230097899A (ko)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