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094B1 - 피스톤 엔진 - Google Patents

피스톤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094B1
KR100881094B1 KR1020020074343A KR20020074343A KR100881094B1 KR 100881094 B1 KR100881094 B1 KR 100881094B1 KR 1020020074343 A KR1020020074343 A KR 1020020074343A KR 20020074343 A KR20020074343 A KR 20020074343A KR 100881094 B1 KR100881094 B1 KR 10088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ssigned
piston engine
exhaust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600A (ko
Inventor
호에그하로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맨 디젤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에스이, 티스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맨 디젤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에스이, 티스크랜드 filed Critical 맨 디젤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에스이, 티스크랜드
Publication of KR2003004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01P3/14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for cooling intake or exhaus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1/26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36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38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the cylinder heads being of overhead 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2007/0097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for large diese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연소실(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1)를 구비한 피스톤 엔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헤드(4)는 하나의 배기 덕트(13) 뿐 아니라 하나의 가이드 장치(19) 및 제어장치(20)를 포함하는 배기 밸브 하우징(7)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배기 덕트(13)는 상기 연소실(2)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 측면의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밸브(14)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실에 대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장치 및 제어장치는 상기 밸브(14)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은, 원주측에 배치되면서 방사상의 돌출부들(22)을 관통하는 인장볼트(9)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4)에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4) 내에 맞물려지면서 상기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가이드 장치(19)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각각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순환식인 하나의 냉각 덕트(17) 내지 냉각 덕트(21)가 할당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피스톤 엔진의 경우,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4) 내에 맞물려지는 영역에 할당된 냉각 덕트(17)와 상기 가이드 장치(19)를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되는 냉각 덕트(21)는, 적어도 각각의 배기 덕트에 근접하여 있는 방사상의 돌출부(2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할당된 인장볼트(9)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라인(23)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높은 신뢰도와 콤팩트한 구조가 달성된다.
실린더, 실린더 헤드, 배기 밸브 하우징, 배기덕트, 연소실.

Description

피스톤 엔진{PISTON ENGINE}
도 1은 2행정 대형 디젤엔진의 실린더 상부 영역을 절결한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 내 절결선 II-II를 따라 도 1에 의한 장치의 배기 밸브 하우징을 절결한 횡단면도.
본 발명은 피스톤 엔진, 특히 하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 2 사이클 대형 디젤엔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헤드는 하나의 배기 덕트 및 하나의 가이드 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배기 밸브 하우징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 측면의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실에 대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장치 및 제어장치는 상기 밸브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은, 원주측에 배치되면서 방사상의 돌출부들을 관통하는 인장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된다. 동시에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 내에 맞물려지면서 상기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순환식인 각각 하나의 냉각 덕트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장치는 EP 0076348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의 경우, 밸브 시트 영역 내지 밸브 가이드 영역에 할당된 순환식 냉각 덕트들 사이의 영역 내에 배기 덕트에 할당된 추가의 냉각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체의 배기 밸브 하우징이 매우 강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실제로 배기 덕트 내부 표면의 벽부 온도는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기대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이러한 점은 냉간부식(cold corrosion)을 회피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배기 밸브 하우징과 특히 인장볼트에 할당된 지지영역이 매우 강하게 가열되어 그 결과 강한 열팽창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예압(preload)된 인장볼트의 초과 신장(over-elongation) 및 그로 인한 인장볼트 예압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배기 밸브 하우징은 더 이상 신뢰되는 방식으로 실린더 헤드에 압착되지 않음으로써, 지지 및 밀봉면의 영역 내에서는 이른바 블로바이(blow-by) 내지 번(burn)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그에 상응하게 공지된 장치는 충분히 신뢰되지 않는 것으로서 증명된다. 게다가 이러한 경우 내연기관의 최대 표면 온도에 대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배기 밸브 하우징에 충분히 강한 보호 절연(protective insulation)을 제공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사항으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신뢰도가 달성되는 방식으로 전술한 단점들은 해소하고 장점들은 유지하면서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장치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 내에 맞물려지는 영역에 할당되는 냉각 덕트와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되는냉각 덕트가, 적어도 배기 가스 덕트 근처의 방사상의 돌출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할당된 인장볼트 내부에 방사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
순환식 냉각 덕트들간의 상호연결 덕트들(interconnecting ducts)은 마찬가지로 자신의 측면에서 냉각 덕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냉각 덕트는, 인장 볼트들에 할당된 하우징 측 지지영역에 있어서 인장볼트의 초과 신장을 초래하는 열팽창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 특히 위태로운 배기 덕트에 근접한 영역에 유입되는 열을 항상 소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장볼트의 예압 그리고 그로 인한 배기밸브 하우징 및 실린더 헤드간에 신뢰성이 있는 밀봉상태의 유지가 보장된다. 이때, 상기 순환식 냉각 덕트들과 상기 연결 라인들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시스템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바람직하게는 현저하게 100℃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냉각 시스템 내부의 증기기포 형성 및 그로 인한 냉각효과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기 가스 덕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냉각 덕트를 가지는 장치에서 우려되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덕트의 내부 표면이 배기 가스의 이슬점 온도 이하로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장점 외에도, 비교적 간단한 생산 뿐 아니라 비교적 적은 구조 중량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표면에 필요한 보호 절연을 비교적 적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달성 가능한 장점들은 또한 우수한 경제성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구성 및 양호한 변형예들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방사상 돌출부의 영역 내에는 각각 하나의 연결 라인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전체 돌출부들의 영역 내에서 특히 양호한 열소산을 초래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돌출부들은 배기 덕트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한다.
여러 측면에 있어서 선호되는 경우는 냉각된 돌출부들에 각각 다수 개의 병렬 연결 라인들을 할당할 때이다. 이러한 점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라인의 비교적 적은 횡단면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며, 결국 유동량을 사전 지정한 경우 냉각수의 비교적 높은 속도를 제공하며 그로 인해 냉각수를 과도하게 가열하지 않으면서 양호한 열소산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서 증명된 경우는, 연결 라인들의 적어도 하부 영역이, 대략 배기덕트 내부 표면의 간격 내에서 연장될 때이다. 이때, 상기 간격은 방사상의 돌출부들의 외부에 제공된 배기 덕트의 벽부 두께에 상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또한 배기 덕트의 내부 표면이 배기 가스의 이슬점 온도 이하로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통의 벽부 외부에 위치하면서 인장볼트에 할당된 방사상의 지지영역은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비허용 가열로부터 보호된다.
추가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순환식 냉각 덕트들 중 단지 하나의 냉각 덕 트에만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공급라인이 할당되며, 그리고 두 순환식 냉각 덕트들 중 또 다른 냉각 덕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배출라인이 할당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냉각제 순환 및 그로 인한 연결 라인들의 신뢰되는 관류가 강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과 양호한 변형예들은 나머지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도면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2행정 대형 디젤 엔진의 기본적인 구조 및 작동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원과 관련하여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엔진들은 대개 도 1에 도시된 유형인 실린더들(1)을 다수 개 포함하며, 이 실린더들에는 연소실을 제한하면서 본원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각각 하나의 피스톤이 할당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 로드를 통해 크로스 헤드(crosshead)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스 헤드는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축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실리더(1)는 하나의 실린더 라이너(3)(cylinder liner)를 포함하고 있고, 이 실린더 라이너 상에는 실린더 헤드(4)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밸브(5)를 수용하고, 이 실린더 헤드에는 또한 배기 밸브 하우징(7)을 수용하기 위해 중심에 계단식 리세스(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은 그 하부 영역이 상기 리세스(6) 내에 맞물려지며, 플랜지 모양의 지지표면 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6)의 계단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 헤드 측 지지면(8)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면(8) 영역 내에 있어 효과적이면서도 충분한 압착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헤드(4)의 리세스(6) 외부에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으면서 상기 리세스의 하부 단부로는 실린더 헤드 내에 나사 체결 가능한 인장볼트(9)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인장볼트는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의 할당된 각각 하나의 관통 덕트(10)(through-duct)를 관통하며, 상기 인장볼트 자신의 상부 단부는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의 할당된 지지표면(11) 상에 지지되는 각각 하나의 너트(12)를 수용한다.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은 연소실(2)로부터 인출되는 하나의 배기 덕트(13)를 포함하며, 이 배기 덕트(13)는 상기 연소실(2)에 대하여 밸브(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14)는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 상에 수용되는 하나의 제어장치(20)를 이용하여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덕트(13)의 입구 영역 내에 제공되는 하나의 밸브 시트와는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언급한 밸브 시트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에는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하부 시트부(15)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는 실린더 헤드 측의 지지면 상에 지지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트부(15)는, 원형의 접힘 조인트(folded joint)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7)로 표시되는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 인장볼트들(9)에 할당되는 지지면(11)을 포함하는 상부의 하우징 부분(16)에 연결된다.
상기 시트부(15)는 지지면(8)에 할당되는 시트부 자신의 플랜지 상부에서는 실린더 헤드(4)의 리세스(6)의 그에 상응하는 확장부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냉각 덕트(17)에 의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냉각 덕트는 상부 하우징 부분(16)의 하부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4)의 리세스(6) 내에 맞물려지는 플랜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폐쇄된다.
상기 밸브(14)는 자신의 밸브 헤드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의 밸브 스템(18)(valve stem)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밸브 스템은 배기 덕트(13) 및, 이 배기 덕트(13)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 부분(16)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싱(19)(guide bushing)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 부싱(19)의 상부에서는 할당된 제어장치(20)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7)에 있어 상기 가이드 부싱(19)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의 영역에는 마찬가지로 순환식 냉각 덕트(2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인장볼트(9)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16)에는 리브 모양의 돌출부들(22)이 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들(22)은 상기 인장볼트(9)에 할당되어 있으며, 리세스(6)를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4)의 에지 영역에 걸쳐서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들 각각은 하나의 수직 관통 덕트(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들(22)의 상부측면은 인장볼트(9)의 너트들(12)에 할당되는 지지표면(11)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들(22)의 하부측면은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져 기울어지면서 상부 하우징 부분(16)의 하부 단부 영역에까지 연장됨으로써 돌출부들(22)의 무릎 형태의 지지부(knee-type support)가 제공된다.
상기 인장볼트(9)와 이 인장볼트에 할당된 관통 덕트들(10)은 도 2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밸브 축에 대해 동심인 피치원(pitch circle) 상에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례에는 4개의 인장볼트들(9) 내지 관통 덕트들(1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은 밸브 축과 배기 덕트(13)의 중심선에 의해 정의되는 대칭면(S)과 관련하여 쌍을 이루면서 상호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항은 개수 및 각도 거리가 몇몇 인장볼트(9)의 개수 및 각도 거리에 상응하는 돌출부들(22)에도 적용된다. 그러므로 도시한 실례에 있어서 4개의 돌출부들(22)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들은 대칭면(S)과 관련하여 쌍을 이루면서 상호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호간에 항상 인접하면서 대칭면(S)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부들(22)의 각도 거리는 대칭면(S)과 관련하여 항상 상호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돌출부들(22)의 각도 거리보다 작다. 따라서 실제로 배기 덕트(13)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돌출부 쌍이 생성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또한 배기 덕트(13)에 할당된 냉각 리브(cooling ribs)로서 기능한다. 이때, 상기 냉각 리브는 배기 가스로부터 배기 덕트(13)의 벽부에 방출되는 열을 공급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들(22)이 강하게 가열되어 그 결과에 따라 열 팽창함으로써 그에 상응하게 너트들(12)을 죔으로써 예압되는 인장볼트(9)의 초과 신장의 야기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들(22)에는 각각 할당된 관통 덕트(10)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냉각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냉각장치들은 시트부 측면의 하부 순환식 냉각 덕트(17)와 가이드 부싱 측면의 상부 순환식 냉각 덕트(21)를 연결시키는 연결 라인(23)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냉각제로서는 냉각수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냉각수는, 흐름 방향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순환식 냉각 덕트(17)에 할당된 공급 라인(24)을 통해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흐름 방향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 순환식 냉각 덕트(21)에 할당된 배출 라인(25)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로 한 방향으로 관류하는, 냉각 덕트들(17과 21)과 연결 라인들(23)에 의해 형성된 냉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 라인들(23)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밸브 축 내지 인장볼트 축에 대해 평행한 보어 모양의 덕트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덕트들은 냉각 덕트들(17, 21)의 수직 간격을 중계하며, 그리고 상기 냉각 덕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보어 모양의 덕트들은 이미, 주조성형품(casting-molded article)으로서 설계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16)의 주형 시에 제공되거나 혹은 보링에 의한 칩 제거 방식으로 제조된다. 연결 라인들(23)의 보어 모양 덕트들은,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밸브 축에 대해 동심이며, 인장볼트들(9) 내지 관통 리세스들(10)에 할당된 피치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피치원 상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보어 모양 덕트들이 배치되는 피치원의 반경은 상기 관통 덕트들(10)에 할당된 피치원의 반경에 대해 2:3의 비율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냉각 덕트들로서 기능하는 연결 라인들(23)의 보어 모양 덕트들은 실제로,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있어, 배기 덕트(13)를 포함하는 코어에 인접한 방사상의 돌출부들(22)의 연장부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라인들(23)에 있어 상기 축에 평행한 덕트들의 방사상의 위치 결정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대략 밸브 축에 평행한 벽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부분(16)의 하부의 영역 내에서, 배기 덕트(13)의 내부 표면에서부터 연결 라인들(23)의 전술 한 축 평행 덕트들까지의 간격(a)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간격(a)은 벽부 두께(d)의 내부에 극미하게 존재한다.
상기 연결 라인들(23)의 축 평행 덕트들의 하부 단부들은 하부 순환식 냉각 덕트(17)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며, 또한 상기 냉각 덕트(17)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축 평행 덕트들은 하부 순환식 냉각 덕트(17) 쪽으로 개방된 원형의 그루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한 실례에 있어서 연결 라인들(23)의 축 평행 덕트들의 하부 단부들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연결 라인들에 할당된 방사상의 피어싱 보어들(26)(piercing bores)을 통해 냉각 덕트(1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어싱 보어들 대신에 또한 슬롯 모양의 함몰부(sinking)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연결 라인들(23)의 상부 축 평행 단부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순환식 냉각 덕트(21) 바닥의 원주 측 에지 영역 내에서 상기 냉각 덕트(21) 내로 삽입된다.
도시한 실례에 있어서 각각의 방사상의 돌출부(22)에는 평행한 2개의 연결 라인들(23)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 측면에 있어서 거의 충분하게는, 단지 특히 강한 열 공급에 노출되고 상기 배기 덕트(13)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돌출부들(22)에만, 다시 말해 대개 배기 덕트(13)의 배기 횡단면에 있어서 보다 근접하게 위치 결정되는, 도 2에 있어서는 하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돌출부들(22)에만 냉각 장치로서 기능하는 연결 라인들(23)이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종종 돌출부 당 다수 개가 아닌 단지 하나의 연결 라인(23)이 제공되어 있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연결 라인들(23)의 횡단면은 각각 할당된 돌출부(22)의 횡단면에 비해 작은 편이다. 상기 연결 라인들(23)의 개수 및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적합하게는 배기 덕트(13)의 내부 표면에서 생성되는 벽부 온도는 배기가스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게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연결 라인들(23)을 관류하는 냉각수의 온도는 현저하게 증발 온도 이하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상기에서 본원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한성도 결부되어서는 안 되는 선호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치들은 자명하게 인장볼트의 지정된 개수 내지 이 인장볼트에 할당된 돌출부의 지정된 개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시한 실례에서보다 보다 많은 혹은 보다 적은 수의 인장볼트 내지 이 인장볼트에 할당된 돌출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 2 사이클 대형 디젤엔진에 있어서, 배기밸브하우징에 있어서 각 냉각덕트들이 적어도 각각의 배기덕트에 근접하여 있는 방사상의 돌출부의 영역내에 배치되어 할당된 인장볼트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라인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높은 신뢰도와 콤팩트한 구조가 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하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 피스톤 엔진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헤드는 배기 밸브 하우징을 지지하며,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은 하나의 배기 덕트 뿐 아니라 하나의 가이드 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원주 측에 배치되어 방사상의 돌출부들을 관통하고 있는 인장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면서,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 측의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실에 대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장치 및 제어장치는 상기 밸브에 할당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 상기 실린더 헤드 내에 맞물려지며 상기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각각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는 하부 냉각 덕트 및 상부 냉각 덕트가 할당되어 있는 피스톤 엔진에 있어서,
    상기 배기 밸브 하우징에 있어 상기 실린더 헤드 내에 맞물려지는 영역에 할당된 상기 하부 냉각 덕트와, 상기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된 상기 상부 냉각 덕트는, 적어도 상기 배기 덕트 근처의 방사상의 돌출부 각각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볼트 가운데 대응되는 인장볼트의 방사상 내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이 할당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가운데 적어도 상기 배기 덕트 근처의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 라인이 복수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은 밸브 축 및/또는 인장볼트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냉각 덕트들과 연결되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 표면에서부터 상기 연결 라인들의 하부 영역까지의 방사상의 간격(a)은 상기 돌출부의 외부까지의 상기 배기 덕트의 벽부 두께(d)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의 횡단면이 상기 할당된 돌출부들의 횡단면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의 개수 및 횡단면은, 연결 라인 자신을 관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100℃보다 작고,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 표면에서의 벽부 온도가 배기 가스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의 축 평행 영역은 보어 모양 덕트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모양 덕트들은, 하부 단부의 영역 내에서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인접한 상기 하부 냉각 덕트와 연결되며, 상부 단부로는 인접한 상기 상부 냉각 덕트의 바닥의 원주측 에지 영역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냉각 덕트 및 상기 하부 냉각 덕트 가운데 단지 하나의 냉각 덕트에만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공급 라인이 할당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냉각 덕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배출 라인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인장볼트에 할당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4개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들은 밸브 축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중심선에 의해 정의되는 대칭면과 관련하여 쌍을 이루는 방식으로 상호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호간에 인접한 상기 돌출부들은 상호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보다 작은 상호간 각도 거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엔진은 2행정 대형 디젤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는 순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모두에 상기 연결 라인이 복수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15.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가운데 적어도 상기 배기 덕트 근처의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 라인이 2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엔진.
KR1020020074343A 2001-12-01 2002-11-27 피스톤 엔진 KR100881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9100.4 2001-12-01
DE10159100A DE10159100B4 (de) 2001-12-01 2001-12-01 Hubkolben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00A KR20030045600A (ko) 2003-06-11
KR100881094B1 true KR100881094B1 (ko) 2009-01-30

Family

ID=770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343A KR100881094B1 (ko) 2001-12-01 2002-11-27 피스톤 엔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40961B2 (ko)
KR (1) KR100881094B1 (ko)
CN (1) CN1281863C (ko)
DE (1) DE1015910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9941B4 (de) * 2002-10-26 2005-11-10 Man B & W Diesel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Ventils
DE10332226B4 (de) * 2003-07-16 2006-03-30 Man B & W Diesel A/S Zweitakt-Großdieselmotor
CN114352428B (zh) * 2021-12-16 2022-11-08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一研究所 一种分体式气缸盖和气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2406U (ja) * 1983-12-19 1985-07-12 波田 寿秋 排気弁装置
JPH07293212A (ja) * 1994-04-28 1995-11-07 Nittan Valve Kk 排気弁の冷却装置
KR19990052982A (ko) * 1997-12-23 1999-07-15 정몽규 고속 운전시 밸브의 편심 작동 방지장치
KR19990032357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흡배기 밸브 시트
KR20010023374A (ko) * 1997-08-27 2001-03-26 해롤드 푸루 내연엔진용 배기밸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59232B1 (ko) * 1974-01-29 1976-06-25 Semt
CH614014A5 (ko) * 1977-01-28 1979-10-31 Sulzer Ag
DE2737689A1 (de) * 1977-08-20 1979-02-22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entilanordnung
CH627820A5 (en) * 1978-03-21 1982-01-29 Sulzer Ag Valve cage with cooled valve seat for the exhaust valve of a diesel engine
DE3127122C2 (de) * 1981-07-03 1984-10-31 Gebrüder Sulzer AG, Winterthur Flüssigkeitsgekühlter Ventilsitz für ein Auslassventil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DK147131C (da) * 1981-07-09 1984-10-01 Int Power Eng As Koelet ventilsaedeindsats, navnlig til udstoedsventiler til dieselmotorer
DE3171601D1 (en) * 1981-10-12 198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Exhaust valve ca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2406U (ja) * 1983-12-19 1985-07-12 波田 寿秋 排気弁装置
JPH07293212A (ja) * 1994-04-28 1995-11-07 Nittan Valve Kk 排気弁の冷却装置
KR20010023374A (ko) * 1997-08-27 2001-03-26 해롤드 푸루 내연엔진용 배기밸브
KR19990052982A (ko) * 1997-12-23 1999-07-15 정몽규 고속 운전시 밸브의 편심 작동 방지장치
KR19990032357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흡배기 밸브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0961B2 (ja) 2008-01-30
KR20030045600A (ko) 2003-06-11
DE10159100A1 (de) 2003-06-12
CN1281863C (zh) 2006-10-25
JP2003184550A (ja) 2003-07-03
CN1423044A (zh) 2003-06-11
DE10159100B4 (de)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615B1 (ko) 인서트를 구비한 실린더블록 워터자켓 구조
RU2393364C2 (ru) Локомотивный дизе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варианты),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зел цилиндр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нем
US6973897B2 (en) Cooled cylinder head for a reciprocating engine
RU2432482C2 (ru) Головка цилиндра (варианты) и двигатель
US4831917A (en) Multiple piece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65707A (en) Oil-cooled cylinder head
GB2320740A (en) Liquid-cooled multi-cylinder i.c. engine
KR100881094B1 (ko) 피스톤 엔진
US529953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lock having a cylinder liner shunt flow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9739231B2 (en) Engine block
US6363894B1 (en) Diesel engine having a cylinder liner with improved cooling characteristics
KR100319179B1 (ko) 실린더라이너분권유동냉각장치를가진내연엔진블록과그의냉각방법
US20060124765A1 (en) Fuel injection nozzle
US2720193A (en) Oil cooled piston for high spe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542719A (en) Engine cooling system
SU974939A3 (ru) Головка цилиндр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US5755190A (en) Reciprocating machine with cooling jacket
JP2014047784A (ja) 往復ピストン燃焼エンジンのシリンダライナ
US4462343A (en) Cylinder for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US5239949A (en) Cooling jacket and thermal insulation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943944A (ja) オイル冷却ピストン
JP4306986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構造
FI80325B (fi) Oljekyld slagkolv foer en foerbraenningsmotor.
EP0558583A1 (en) CYLINDER RIFLE FOR A WATER-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031215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мотоцикл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