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99B1 -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99B1
KR100880499B1 KR1020060131903A KR20060131903A KR100880499B1 KR 100880499 B1 KR100880499 B1 KR 100880499B1 KR 1020060131903 A KR1020060131903 A KR 1020060131903A KR 20060131903 A KR20060131903 A KR 20060131903A KR 100880499 B1 KR100880499 B1 KR 10088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andering
drive frame
roll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946A (ko
Inventor
라신현
김봉렬
조상훈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설비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의 사행을 완충 및 억제할 뿐만 아니라 대차트럭의 대차휠이 레일선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r)선상의 이동수단에 연결된 연결부(30)에 결합되어 벨트(B)의 사행에 의한 벨트(B)와의 접촉시, 벨트(B)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B)의 사행을 완충 및 억제하는 사행방지부(10)가 벨트(B)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제공하여, 벨트의 사행을 그 정도에 따라 알맞은 힘으로 완충 및 억제함으로서 벨트의 사행에 의한 접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대차트럭이 레일선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벨트의 사행 및 대차트럭의 이탈로 인한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컨베이어, 벨트, 사행, 대차, 이탈, 완충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erpentine moving of conveyorbelt}
도 1은 종래의 벨트컨베이어 및 대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대차트럭 상에 적용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사시도
도 5a ~ 도 5b는 도 2의 구동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벨트 R : 롤러부 T : 대차트럭
h : 대차휠 r : 레일 10 : 사행방지부
11 : 연결프레임 11a : 중심축 12 :구동프레임
12a : 완충스프링 12b : 복귀스프링 13 : 제 1장구롤러
14 : 제 2장구롤러 15 : 리턴롤러 20 : 이탈방지부
21 : 휠케이스 22 : 지지롤러 23 : 휠홈
24 : 회전축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의 사행을 완충 및 억제할 뿐만 아니라 대차트럭의 대차휠이 레일선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벨트의 사행 및 대차트럭의 이탈로 인한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 설비는 제철소의 수송물을 각 공정별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를 회전시키는 롤러부(R)가 상부에 결합되며, 레일(r)선상에서 이동하는 대차휠(h)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여 벨트(B)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대차트럭(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수송물의 상태, 기후, 주변설비 특성, 수송물의 낙하각도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편적이 발생되어 수송되면 벨트가 사행되어 진행하게 되며, 벨트의 사행이 지속될 경우, 벨트의 접힘 현상으로 인해 주변설비와 과밀착되고, 그로인해 벨트 가루가 쌓여 열화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이 생기게 될 뿐만 아니라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편마모가 발생되고 고질적 사행이 발생되어 벨트의 조기 교환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벨트의 사행으로 인해 대차트럭의 균형이 분산되어 대차트럭의 대차휠이 레일선상에서 이탈함으로서, 벨트가 절단/절손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벨트의 손상 및 주변설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에 의한 벨트와의 접촉시, 벨트의 사행 정도에 따라 각도가 변함으로서, 벨트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의 사행을 완충 및 억제할 뿐만 아니라 대차트럭의 대차휠이 레일선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벨트의 사행에 따른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레일선상의 이동수단에 연결된 연결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벨트의 사행에 의한 벨트와의 접촉시, 벨트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의 사행을 다단계로 완충 및 억제하는 사행방지부가 벨트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대차트럭의 대차휠에 체결되어 상기 대차트럭이 레일선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의 사행방지부는, 양단에 돌출부를 각각 형성한 프레임을 구비하여, 그 일단이 타단 보다 돌출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두 돌출부의 상단에 각각 제 1장구롤러와 제 2장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 1장구롤러를 매개로 벨트의 사행을 1차 완충/억제하고, 상기 제 2장구롤러를 매개로 벨트의 사행을 2차 완충/억제할 수 있게 하는 구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대차휠을 감싼 상태로 회전축에 의해 체결되는 휠케이스와; 상기 휠케이스의 하부에 구성되어 레일의 하단부에 결착됨으로서, 상기 휠케이스가 대차휠의 이동과 대응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휠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의 사행방지부(10)는, 상기 구동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며, 벨트의 사행이 과해질 경우, 벨트의 사행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프레임의 도출부위가 용이하게 밀려 후진되도록 하는 리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의 사행방지부는, 돌출부위의 밀림에 의한 구동프레임의 후진 시, 상기 구동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벨트의 사행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이 상기 구동프레임의 돌출부위의 후면에 구성되며, 벨트의 사행에 의해 각도가 변한 구동프레임을 벨트의 사행 복귀 후, 상기 돌출부위의 반대편 타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시킴으로서, 구동프레임을 원위치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상기 구동프레임의 타단부위의 후면에 구성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대차트럭 상에 적용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의 전체구성과 대차트럭 상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는, 사행방지부(10)와, 이탈방지부(20)와,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행방지부(10)는, 벨트(B)의 양측면에 구성되어 벨트(B)의 사행에 의한 벨트(B)와의 접촉시, 벨트(B)의 사행 정도에 따라 각도가 변하여(도 5a ~ 도 5b참조), 벨트(B)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B)의 사행을 완충 및 억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연결프레임(11)과, 구동프레임(12)과, 장구롤러(13,14)와, 리턴롤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1)은, 사행방지부(10)와 연결부(30)를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프레임(12)은, 상기 연결프레임(11)과 중심축(11a)에 의해 일단이 타단 보다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프레임(12)의 하단에 용접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의 홈에 리턴롤러(15)가 삽입된다.
상기 구동프레임(12)은, 장구롤러(13,14)를 매개로 벨트(B)와 접촉되어 벨트(B)의 사행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프레임(11)과 중심축(11a)에 의해 일단이 타단 보다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돌출된 일단이 제 1장구롤러(13)를 매개로 벨트(B)의 사행을 1차 완충/억제하고(도 5a참조),
벨트(B)의 사행이 과해질 경우, 상기 돌출된 일단이 밀려 후진되는 동시에 타단이 전진하며 제 2장구롤러(14)를 매개로 벨트(B)와 접촉됨으로서(도 5b참조), 구동프레임(12)의 양측이 장구롤러(13,14)를 매개로 벨트(B)와 접촉하여 벨트(B)의 사행을 2차 완충/억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된 일단이 밀림에 의해 후진함에 있어,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 후면에 완충스프링(12a)이 구성되어 구동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1)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벨트(B)의 사행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위의 후면에 복귀스프링(12b)이 구성되어 벨트(B)의 사행에 의해 각도가 변한 구동프레임(12)을 벨트(B)의 사행 복귀 후, 상기 돌출부위의 반대편 타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시킴으로서, 구동프레임(12)을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장구롤러(13,14)는, 구동프레임(12)의 양측에 결합되어 벨트(B)와의 접촉 시, 벨트(B)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된 일단에 결합되는 제 1장구롤러(13)와, 타단에 결합되는 제 2장구롤러(1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리턴롤러(15)는,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 하부에 구성된 브라켓의 홈에 상기 리턴롤러(15)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하여 상기 리턴롤러(15)와 상기 구동프레임(12)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벨트(B)와의 마찰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을 억제하며, 사행방지부(10)는 벨트(B)의 사행이 과해질 경우, 벨트(B)의 사행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벨트(B)와 함께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를 밀게되어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가 용이하게 밀려 후진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행방지부(10)와 더불어 본 발명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이탈방지부(20)는, 대차트럭(T)의 대차휠(h)에 체결되어 상기 대차휠(h)이 레일(r)선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휠케이스(21)와, 지지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휠케이스(21)는, 대차휠(h)이 레일(r)선상의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대차휠(h)을 감싼 상태로 회전축(24)에 의해 체결되어 구성되며, 대차휠(h)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휠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롤러(22)는, 휠케이스(21)의 하부에 구성되어 레일(r)의 하단부에 결착됨으로서(도 2참조), 상기 휠케이스(21)가 대차휠(h)의 이동과 대응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휠케이스(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행방지부(10) 및 이탈방지부(20)와 더불어 본 발명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사행방지부(10)와 이탈방지부(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탈방지부(20)의 일단에 결합한 상태로 그 끝단이 사행방지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사행방지부(10)와 이탈방지부(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a ~ 도 5b는 도 2의 구동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이 방지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벨트(B)가 진행됨에 있어, 수송물의 상태, 기후, 주변설비 특성, 수송물의 낙하각도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편적이 발생되어 벨트(B)가 사행되어 진행하게 되 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가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에 결합된 제 1장구롤러(13)에 접촉되면 제 1장구롤러(13) 및 완충스프링(12a, 도 4참조)과 리턴롤러(15)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이 1차 완충/억제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의 사행이 상기 1차 완충/억제력보다 과할 경우, 상기 돌출된 일단이 밀려 후진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위의 반대편 타단이 전진하여 제 2장구롤러(14)를 매개로 벨트(B)와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구동프레임(12)이 제 1장구롤러(13)와 제 2장구롤러(14)를 매개로 벨트(B)와 접촉하여 벨트(B)의 사행을 2차 완충/억제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된 부위가 밀려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위 하부에 결합된 리턴롤러(15)가 벨트(B)의 사행방향으로 벨트(B)와 같이 이동함으로서,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가 용이하게 밀려 후진 될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의 사행을 그 정도에 따라 알맞은 힘으로 완충 및 억제함으로서 벨트의 사행에 의한 접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벨트의 사행에 따른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대차트럭이 레일선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벨트(B)를 회전시키는 롤러부(R)가 상부에 결합되며, 레일(r)선상에서 이동하는 대차휠(h)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여 벨트(B)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대차트럭(T)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사행을 방지장치에 있어서,
    레일(r)선상의 이동수단에 연결된 연결부(3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벨트(B)의 사행에 의한 벨트(B)와의 접촉시, 벨트(B)의 사행정도에 대응하는 힘으로 벨트(B)의 사행을 다단계로 완충 및 억제하는 사행방지부(10)가 벨트(B)의 양측면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사행방지부(10)는,
    양단에 돌출부를 각각 형성한 프레임을 구비하여, 그 일단이 타단 보다 돌출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30)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두 돌출부의 상단에 각각 제 1장구롤러(13)와 제 2장구롤러(14)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 1장구롤러(13)를 매개로 벨트(B)의 사행을 1차 완충/억제하고, 상기 제 2장구롤러(14)를 매개로 벨트(B)의 사행을 2차 완충/억제할 수 있게 하는 구동프레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는,
    상기 연결부(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결부(30)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대차트럭(T)의 대차휠(h)에 체결되어 상기 대차트럭(T)이 레일(r)선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부(20)는,
    상기 대차휠(h)을 감싼 상태로 회전축(24)에 의해 체결되는 휠케이스(21)와;
    상기 휠케이스(21)의 하부에 구성되어 레일(r)의 하단부에 결착됨으로서, 상기 휠케이스(21)가 대차휠(h)의 이동과 대응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휠케이스(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롤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행방지부(10)는,
    상기 구동프레임(12)의 하부에 결합되어 벨트(B)와의 마찰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을 억제하며, 벨트(B)의 사행이 과해질 경우, 벨트(B)의 사행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가 용이하게 밀려 후진되도록 하는 리턴롤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부(10)는,
    돌출부위의 밀림에 의한 구동프레임(12)의 후진 시, 상기 구동프레임(12)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벨트(B)의 사행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12a)이 상기 구동프레임(12)의 돌출부위의 후면에 구성되며,
    벨트(B)의 사행에 의해 각도가 변한 구동프레임(12)을 벨트(B)의 사행 복귀 후, 상기 돌출부위의 반대편 타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시킴으로서, 구동프레임(12)을 원위치시키는 복귀스프링(12b)이 상기 구동프레임(12)의 타단부위의 후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KR1020060131903A 2006-12-21 2006-12-2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KR10088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03A KR100880499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03A KR100880499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46A KR20080057946A (ko) 2008-06-25
KR100880499B1 true KR100880499B1 (ko) 2009-01-28

Family

ID=3980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903A KR100880499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41B1 (ko) * 2011-08-29 2013-08-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사행 조정용 릴레이 벨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4B1 (ko) * 2009-04-13 2011-06-08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1399882B1 (ko) * 2012-02-28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조절장치
KR101411847B1 (ko) * 2012-09-27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102136822B1 (ko) * 2020-05-26 2020-07-23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 장치
KR102260069B1 (ko) 2020-05-28 2021-06-02 윤금식 벨트 컨베이어의 롤러유동 방지장치
CN114701801A (zh) * 2022-05-07 2022-07-05 江苏艾科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托盘运输用皮带挡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009A (ja) 1981-12-28 1983-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調芯装置
JPH0263835A (ja) * 1988-08-31 1990-03-05 Hitachi Chem Co Ltd ベルト蛇行防止用ガイドロール装置
JPH04117815U (ja) * 1991-04-02 1992-10-21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防止装置
JPH0977235A (ja) * 1995-09-12 1997-03-25 Kokusai Electric C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横振れ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009A (ja) 1981-12-28 1983-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調芯装置
JPH0263835A (ja) * 1988-08-31 1990-03-05 Hitachi Chem Co Ltd ベルト蛇行防止用ガイドロール装置
JPH04117815U (ja) * 1991-04-02 1992-10-21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防止装置
JPH0977235A (ja) * 1995-09-12 1997-03-25 Kokusai Electric C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横振れ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41B1 (ko) * 2011-08-29 2013-08-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사행 조정용 릴레이 벨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46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99B1 (ko)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CN101891046B (zh) 集装箱内置移动托盘
CN102105371A (zh) 具有和缓的可缩回的停止部件的传送装置
JP2010506780A (ja) 無限軌道車両
EP1612126B1 (fr) Dispositif de châssis de véhicule automobile
JP2016078984A (ja) 搬送装置
EP1792785B1 (fr) Dispositif de châssis de véhicule automobile
US9637317B2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KR10083815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완충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JP3981633B2 (ja) トラフアイドラのピボット制限機構
US6523671B2 (en) Conveyor escapement
JP2012091762A (ja) 搬送台車の駆動輪の支持構造
US20210114644A1 (en) Load wheel designs for pallet entry
KR101367299B1 (ko) 사행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행 방지 방법
KR100905633B1 (ko)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철편 검출기 보호 장치
JP2721644B2 (ja) ストレージコンベヤ押動フック装置
JP4206121B1 (ja) 自走動力式搬送ローラ装置
KR20000018542U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200228225Y1 (ko) 소재 이송용 링크체인
CN216234642U (zh) 一种铸铁成品输送装置
CN220844535U (zh) 一种物料平台缓冲装置
CN117902228B (zh) 一种港口码头货物运输机
KR10112928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