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411B1 -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411B1
KR100879411B1 KR1020060065840A KR20060065840A KR100879411B1 KR 100879411 B1 KR100879411 B1 KR 100879411B1 KR 1020060065840 A KR1020060065840 A KR 1020060065840A KR 20060065840 A KR20060065840 A KR 20060065840A KR 100879411 B1 KR100879411 B1 KR 10087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c
aoomp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ching
sphingosylphosphorylch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737A (ko
Inventor
김형준
김광미
김혁
성기사
김대권
박종희
조선아
이창훈
김정주
신재민
조두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에스비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에스비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6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4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2-옥틸옥시메틸-프로판-1,3-디올(2-amino-2-octyloxymethyl-propane-1,3-diol, AOOMP)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sphingosylphosphorylcholine, SPC)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SPC의 생체내 및 생체외 작용에 따른 세포 분열 증식, 염증 반응, 히스타민 분비 또는 가려움증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투여시 심장 박동수의 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므로, 외상 후의 흉터 형성 억제 및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기타 질환에서 나타나는 염증, 소양증, 및 피부 감염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1

Description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FUNCTION OF SPHINGOSYLPHOSPHORYLCHOLINE}
도 1은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sphingosylphosphorylcholine; 이하, SPC)에 의해 유발된 세포 분열 증식 반응에 대한 2-아미노-2-옥틸옥시메틸-프로판-1,3-디올(2-amino-2-octyloxymethyl-propane-1,3-diol; 이하, AOOM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TPA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귀 염증반응에 대한 AOOM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는 SPC로 인해 유발된 긁기 행동에 대한 AOOMP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은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에 의해 유발된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 반응에 대한 AOOM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AOOMP 및 FLY720-P를 정맥주사했을 때 심장 박동수 변화 양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sphingosylphosphorylcholine; 이하, SPC)의 길항제(antagonist)인 2-아미노-2-옥틸옥시메틸-프로판-1,3-디올(2-amino-2-octyloxymethyl-propane-1,3-diol; 이하, AOOMP)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SPC는 라이소스핑고리피드류(lysosphingolipids)로서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SM)의 N-탈아실화된 형태로 인산기에 콜린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핑고미엘린 N-탈아실화 효소에 의해 스핑고미엘린으로부터 생성된다(Higuchi K 등, Biochem J., 350, 747-56, 2000).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2
상기 SPC는 여러 종류의 세포에 대해 미토겐(mitogen)으로서 작용하고, 특정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eyer 등, Biochim Biophys Acta., 1582: 178-89, 2002), 다양한 세포의 성장 및 증식 (Desai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1, 361-366, 1991), 혈관 신생 (Boguslawski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2, 603-609, 2000), 및 세포 사멸 (Jeon ES 등, Biochim Biophys Acta., 1734(1); 25-33, 2005) 등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상처를 치유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문헌 [Wakita 등, J. Invest. Dermatol., 110, 253-258, 1998], 및 [Berger 등, Proc. Natl. Acad. Sci. U. S. A., 92, 5885-5889, 1995] 참조). 한편, SPC는 세포의 소포체로부터 Ca2+를 유리시키고 (문헌 [Desai 등, J. Cell. Biol., 121, 1385-1395, 1993], 및 [Okajima 등, J. Biol. Chem., 270, 26332-26340, 1995] 참조),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 골격 재구성 및 세포 이동 (문헌 [Seufferlein 등, J. Biol. Chem., 270, 24343-24351, 1995], 및 [Rumenapp 등,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61, 1-11, 2000] 참조)에 관여한다.
SPC에 관련된 주요 질환의 예로는 니이만-픽 병(Niemann-Pick Dissase; NPD)을 들 수 있는데, 스핑고미엘린을 분해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아제(Acid sphingomyelinase; ASM)의 결핍으로 많은 양의 지질이 세포에 축적되어 세포가 파괴되고 주요 기관들의 기능 부전을 일으키는 유전성 대사질환이다.
SPC 관련 질환의 또 다른 예는 아토피성 피부염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각질층의 지질 함량 감소로 인하여 항균력이 감소되고 장벽 기능이 약화되어 외부 자극 물질에 대한 방어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염증 반응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가려움증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가려움증은 2차 감염을 유발시키므로 과면역 반응으로 악순환하게 된다.
아토피의 병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환부 또는 그 인근 부위에서 스 핑고미엘린 탈아실화효소 (Sphingomyelin deacylase)의 활성이 증가되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들의 피부에서 SPC가 정상인의 1000배 이상 증가된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문헌 [Higuchi K 등, Biochem. J., 350, 747-756, 2000] 및 [Reiko Okamoto 등, Journal of Lipid Research, 44, 93-102, 2003] 참조). 이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각질층에서 세포간지질(ceramide) 결핍 현상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Junko Hara 등, J. invest. Dermatol., 115, 406-413, 2000). 또한, SPC는 아토피 질환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비정상적 각질화 현상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Higuchi 등, J. Lipid Res., 42, 1562-1570, 2001). 이 같은 연구 결과들은 SPC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피부 장벽기능 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일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염증 반응에서의 SPC의 작용을 뒷받침하는 연구로서, 각질형성세포에 SPC를 처리하면 TNF-α 및 ICAM-1 등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이 대폭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문헌 [Imokawa 등, J. Invest. Dermatol., 112, 91-96, 1999], 및 [Ito 등, J. Biol. Chem., 270, 24370-24374, 1995] 참조). 또한,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호중구(neutrophil)가 주화성 (chemotaxis) 이동을 통해 염증 부위에 몰려들어 병균 등에 대항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화성 이동의 핵심 조절 인자가 rho 키나아제이며 (Verena Niggli,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35, 1619-1638, 2003), rho 키나아제는 동시에 SPC에 의한 세포내 Ca2+ 농 도 변화를 매개하는 물질이기도 하다 (문헌 [Zhu 등, Exp Dermatol., 14, 509-514, 2005]; 및 [Todoroki-Ikeda 등, FEBS Lett., 482, 85-90, 2000] 참조). 따라서, SPC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반응의 기전은 염증 반응 기전과 핵심 요소를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중 환자에게 고통과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는 가려움증에 대해서는, SPC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LPA (lysophosphatidic acid)가 가려움증을 유발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Hashimoto 등, Pharmacology, 72, 51-56, 2004). 따라서, SPC 역시 체내에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SPC를 피내 주사하면 가려움증을 직접 유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최근 입증한 바 있다 (국제특허 제WO 06/04945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SPC의 길항제로서 상기와 같은 SPC의 부정적인 작용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PC의 작용을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기타 질환에서 나타나는 염증, 소양증, 및 피부 감염증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2-아미노-2- 옥틸옥시메틸-프로판-1,3-디올 (2-amino-2-octyloxymethyl-propane-1,3-diol; 이하 AOOMP)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SPC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3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SPC의 길항제인 상기 화학식 1의 AOOMP를 포함함으로써 SPC의 생체내 및 생체외에서의 질병 유발 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AOOMP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염은, 본 발명의 AOOMP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켜 부가염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기로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염인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을, 무기산으로서 염산, 황산 등을, 유기산으로서 아세트산, 말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 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 (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활성 화합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 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험 결과는 모두 표준편차를 포함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두 표본에 있어 평균간의 차의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인 스튜던트 t-검정법(student's t-test)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을 검정하여 산출된 P 값이 0.05 보다 작을 경우에만,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유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예 1: AOOMP의 세포주 분열 증식 반응 억제
SPC는 세포에 처리되었을 때 과도한 세포 분열 증식 반응을 유도하는데, 이는 병리적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Desai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1, 361-366, 1991). 이에 발명자들은 SPC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의 분열 증식 반응을 억제하는 AOOMP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일차적으로 NIH 3T3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 1×105개 (보통 1×104∼106개)를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RPMI 배지에서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 (serum starvation)시켰다. 여기에 AOOMP (에스비 사이언스) 또는 대조 화합물로서 스핑고나인-1-포스페이트 (sphingonine-1 phosphate; S1P)의 작용제 (agonist)인 FTY720 (서울대 Lipidomics NRL.)을 각각 0, 0.1 또는 1 ppm으로 처리하여 30분간 배양한 후, SPC (Biomol, Plymouth Meeting, PA, USA)를 7 μM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증식량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반응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Beales IL, Gastrin and interleukin-1beta stimulate growth factor secretion from cultured rabbit gastric parietal cells. Life Sci 75:29 83-95, 2004) %증식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4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OOMP는 세포 분열 증식 반응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주목할만한 점은, 이러한 효과가 SPC와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가진 스핑고나인-1-포스페이트의 작용제인 FTY720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며, 따라서 AOOMP의 세포 분열 증식 억제 작용은 이 물질만의 고유한 구조 활성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외상을 입었을 때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염증 반응으로 인한 과도한 세포 분열 증식이 흉터를 형성시키므로, AOOMP로 세포 분열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흉터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시험예 2: 마우스 TPA 유발성 귀 염증 모델에서의 AOOMP의 염증반응 억제
염증 반응에서 SPC의 길항제인 AOOMP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트 라데카노일 포볼 아세테이트 (Tetradecanoyl phorbol acetate; 이하 TPA) 유발성 염증 모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TPA 유발성 염증 모델은 염증 반응의 작용기전과 억제물질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 온 실험법이다 (De Young LM 등, Agents and Actions, 26, 335-341, 1989). TPA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피실험체의 귀에 도포하게 되면 홍반과 부종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염증 반응은 백혈구의 세균 공격에 필수 물질인 MPO (myeloperoxidase)의 활성 증가로 측정 가능하다.
6 주령의 ICR 마우스 수컷 40 마리를 준비하여 아세톤에 125 ㎍/㎖ 농도로 녹인 TPA 용액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을 왼쪽 귀에 20 ㎕씩 도포하였다. TPA 도포 1시간 후에 아세톤, 아세톤에 녹인 1% AOOMP, 또는 아세톤에 녹인 1% 하이드로콜티존 (hydrocortisone ;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을 TPA 도포 부위에 20 ㎕씩 도포하였고, TPA 도포 6시간 후에 동일 부위에 20 ㎕씩 재도포하였다. TPA 도포 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마우스를 경추 탈골법으로 안락사시키고, 왼쪽 귀를 일정한 넓이로 채취하여 무게 및 MPO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반응 억제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5
그 결과,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AOOMP는 TPA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을 귀 부종 및 MPO 활성이라는 두 가지 척도 모두에서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그 효능 강도는 항염증 약물로서 널리 사용되는 하이드로콜티존에 필적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실험 결과는 이 물질의 피부 항염증 효능이 특히 염증을 일으킨 귀 부위에 호중구가 침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졌음을 뜻한다.
시험예 3: AOOMP의 가려움증 억제
SPC 투여시 유발되는 가려움증에 대해 AOOMP가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6주령의 ICR 마우스 수컷 30마리를 준비하여 실험 24시간 전에 등과 목 부위를 제모하여 절식시켰으며, 각 군당 10 마리씩 3개 군으로 나누었다. 실험 당일에 AOOMP를 생리 식염수에 녹인 후, 1 ㎎/㎏ 또는 10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동량의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후 1시간이 경과했을 때 SPC를 50 nmol/부위 용량으로 제모 부위에 피내주사하였다. SPC 투여 직후 곧바로 관찰용 우리에 옮긴 다음 40분간 비디오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촬영이 끝나고 실험이 종료된 마우스는 다시 사육용 우리에 옮겨 24시간 경과 시점에 주사 부위에 병리적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안락사시켰다. 만약 주사 부위에 화농이나 혈종 등의 병리적 현상이 관찰되면 시험 결과는 무효로 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2명 이상의 관찰자가 동시에 관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2회 이상 반복 관찰하여 구한 값을 평균하여 표시하였다. 도 3은 마우스가 30분간 보인 긁기 동작 횟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험을 통해 AOOMP가 SPC에 의해 유도된 가려움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용량에서 AOOMP는 SPC에 의해 유발된 긁기 행동을 약 65% 가량 감소시켰다.
시험예 4: AOOMP의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주요 메커니즘 중 하나는 세포으로부터 유리된 히스타민의 농도 증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SPC는 세포의 소포체로부터 Ca2+를 유리시키며 (문헌 [Desai 등, J. Cell. Biol., 121, 1385-1395, 1993], 및 [Okajima 등, J. Biol. Chem., 270, 26332-26340, 1995] 참조), 세포내 Ca2+의 농도 변화는 다시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분비를 유발시키므로 가려움증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표적 비만세포 자극 물질인 칼슘 이오노포어 (ionophore) A23187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을 사용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유발시키고, AOOMP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에 사용할 비만세포를 얻기 위해 12 내지 15주령 수컷 SD 랫트 (오리엔트 바이오)를 CO2 가스 흡입법으로 안락사시킨 후, 0.1% 젤라틴을 포함한 타이로이드 B (Tyrode B) 완충액 20 ㎖를 복강에 주사하여 배 부분을 120초간 부드럽게 마사지하였다. 복강을 조심스럽게 절개하여 복강세포를 포함한 현탁액을 수확한 다음, 상온에서 15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가라앉은 세포 덩어리를 타이로이드 B 완충액 1 ㎖에 현탁시킨 다음, 현탁액을 농도 0.225 g/㎖ 메트리자마이드 (metrizamide;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 (비중: 1.120 g/㎖) 용액 2㎖ 층 위에 조심스럽게 얹어 상온에서 4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층 사이에 남아 있는 세포를 제거하고 가라앉은 세포 덩어리만을 타이로이드 A 완충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다시 칼슘을 포함한 타이로이드 A 완충액 1 ㎖에 현탁시켰다. 상기 타이로이드 A 및 B 완충액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6
상기에서 얻은 세포 현탁액을 24 웰 플레이트에 1.5×105 세포/웰씩 가하여 37℃에서 10분간 안정화시킨 후, 0 nM 내지 900 nM의 AOOMP를 가하였다. 37℃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A23187을 최종 농도 10 μM이 되도록 각 웰에 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배양 상등액만을 수확하여 포함되어 있는 히스타민의 양을 유리 섬유-기반 형광측정법 (glass fiber-based fluoremetric method ; Anderson 등, J. Allergy Clin. Immunol. 86 (5), 815-820, 1990)으로 정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유리 극세사 시트 (glass microfiber sheet)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96 웰 U-바닥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웰 당 한 조각씩 넣은 다음, 배양 상등액과 표준 용액 (standard solution)을 웰마다 가하고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탈이온수로 2회 세척한 후, 기타 불필요한 물질을 완전히 씻어내기 위해 0.05% 트윈 20이 포함된 탈이온수를 가해 37℃, 30분 추가로 반응시켰다. 탈이온수로 1회 세척한 다음, 각 웰 당 OPT 시약 (O-phthalaldehyde reagent; 10 ㎎ OPT가 포함되고 18 ㎖ 0.05 N NaOH로 알칼리화된 2 ㎖ 메탄올 용액;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을 75 ㎕씩 가해 10분간 반응시킨 후, 과염소산 (HClO4) 0.6% 용액을 75 ㎕씩 가해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 정지 후 30분 내에 흡광 파장 353∼360 nm, 및 발광파장 438∼450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히스타민의 양은 기지 농도의 규격 곡선 (standard curve)에 외삽하여 산출하였다. 히스타민 유리 분비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7
그 결과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AOOMP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를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AOOMP의 심장 박동수에 대한 영향
생체 활성 인지질인 SPC는 스핑고사인-1-포스페이트 (이하, S1P)와 구조가 유사한데, S1P 작용제인 FTY720은 심장 박동수를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ragun D 등,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6 (Suppl 2S), 544S-548S, 2004). 따라서 상기 시험예들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생체외(in vitro) 및 생체내(in vivo)에서의 SPC 작용을 억제하는 AOOMP가 FTY720과 유사하게 심장 박동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AOOMP가 심장 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먼저, 체중 200∼300 g의 수컷 SD 랫트 15마리를 펜토바르비탈(phentobarbital;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 60 ㎎/㎏로 복강 주사함으로써 마취하였다. 20분간 안정시킨 랫트를 해부대에 고정하고 서혜부를 절개하여 대퇴정맥에 캐뉼라 (cannula)를 삽입하였다. 생체신호 측정기(physiograph)에 연결된 전침을 G1 (오른쪽 앞다리), Comp (왼쪽 앞다리), G2 (왼쪽 뒷다리) 순서로 꽂은 다음,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기록을 분당 심장 박동수가 안정될 때까지 15분간 측정하였다. 생리식염수에 10% HP-b-CD (hydroxypropyl-β-cyclodextrin; 시그마 알드리치 코리아)를 용해시킨 용매를 단독으로 1 ㎎/㎏ 양으로 1분에 걸쳐 천천히 캐뉼라 주입한 후, 분당 심장박동수가 완전히 안정될 때까지 20분간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투여 후 15분 내지 20분 사이의 분당 심장 박동수 평균치를 기본 심박수로 채택하였다. 용매 투여 20분 경과시점에 동일 용매에 가용화한 시험물질 AOOMP 또는 표준물질 FTY720-P (FTY720의 생체내 활성형; 서울대 김상희 교수님 연구실에서 합성) 용액을 각각 1 ㎎/㎏ 또는 0.1 ㎎/㎏씩 1분에 걸쳐 천천히 캐뉼라 주입한 다음, 20분간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분당 심장 박동수를 계산한 후,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심장 박동수 억제율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표시하였다.
Figure 112006050105045-pat00008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AOOMP는 FTY720-P의 10배 용량에서도 심장 박동수를 억제하는 부작용이 없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SPC의 생체내 및 생체외 작용에 따른 세포 분열 증식, 염증 반응, 히스타민 분비 및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투여시 심 장 박동수의 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므로,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기타 질환에서 나타나는 염증, 소양증, 및 피부 감염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2-아미노-2-옥틸옥시메틸-프로판-1,3-디올(2-amino-2-octyloxymethyl-propane-1,3-di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외상 후 흉터 형성, 염증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가려움증이 히스타민 분비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065840A 2006-07-13 2006-07-13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KR10087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40A KR100879411B1 (ko) 2006-07-13 2006-07-13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40A KR100879411B1 (ko) 2006-07-13 2006-07-13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37A KR20080006737A (ko) 2008-01-17
KR100879411B1 true KR100879411B1 (ko) 2009-01-19

Family

ID=3922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40A KR100879411B1 (ko) 2006-07-13 2006-07-13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88B1 (ko) * 2006-10-17 2014-01-08 (주)아모레퍼시픽 Ccl27/ctack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587A (ko) * 1998-03-11 2001-04-25 도꾸야마 다까시 피부 건전화제
KR20060052445A (ko) * 2004-11-05 2006-05-19 주식회사 태평양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 또는 그 유도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587A (ko) * 1998-03-11 2001-04-25 도꾸야마 다까시 피부 건전화제
KR20060052445A (ko) * 2004-11-05 2006-05-19 주식회사 태평양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 또는 그 유도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37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0057B (zh) 治療乾眼用滴眼劑
KR20020027463A (ko) 스핀고신-1-인산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스핀고신-1-인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선유화 억제제
KR100516827B1 (ko) 일산화질소생산억제제
US8957107B2 (en) Method of treating scars and β-catenin-mediated disorders using Nefopam compounds
EP4043014A1 (en) Pharmaceutical drug containing heterocyclidene acetamide derivative
DE69723688T2 (de) Verbindungen mit zytoprotektiver wirkung
EP3091972B1 (en) Method of treating liver disorders
KR100879411B1 (ko)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JP2018508479A (ja) 虚血性脳卒中を予防・治療するための薬物の調製におけるビフェノールの使用
KR100879253B1 (ko) 에이디피-라이보실 사이클레이즈 억제제를 이용한 고혈압 및 당뇨병성 신증의 치료제
WO2019088881A1 (ru) Комбинации эдаравона для лечения ишемических повреждений мозга
Kondo et al. Neutral endopeptidase inhibitor potentiates the tachykinin-induced increase in ciliary beat frequency in rabbit trachea
CZ20013149A3 (cs) Léčivo proti chronické obstrukční pulmonární chorobě a způsob jeho výroby
JP2007533668A (ja) 心筋の病気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Ndlovu et al. Amelioration of L-Dopa-associated dyskinesias with triterpenoic acid in a Parkinsonian rat model
US20120208875A1 (en) Method for inhibiting blood vessel stenosis
JP4096122B2 (ja) 心臓線維芽細胞の増殖および心線維症を抑制する方法
KR101086040B1 (ko) 간섬유화 및 간경화 치료 효과를 갖는 아시아트산 유도체
JPH06239757A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1210008B1 (ko)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 또는 그 유도체의 용도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2655168B1 (ko)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 및 핑고리모드의 병용투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WO2008008494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mucosal inflammation
EP2852385B1 (en) Dronedarone for use in leishmaniasis, formulations and associations for use in leishmaniasis.
EP1408944B1 (en) Erucamid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turbances of the secret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