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283B1 -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283B1
KR100879283B1 KR1020070069205A KR20070069205A KR100879283B1 KR 100879283 B1 KR100879283 B1 KR 100879283B1 KR 1020070069205 A KR1020070069205 A KR 1020070069205A KR 20070069205 A KR20070069205 A KR 20070069205A KR 100879283 B1 KR100879283 B1 KR 100879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39A (ko
Inventor
박태길
Original Assignee
박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길 filed Critical 박태길
Priority to KR102007006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2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활력을 주고, 자연 보습막을 형성하여 영양과 수분 보유 기능을 강화하므로 피부 노화를 억제하며, 마사지 효과가 있어 항상 탄력 있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역귀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및 모자반 추추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eaweeds extracts}
본 발명은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활력을 주고, 자연 보습막을 형성하여 영양과 수분 보유 기능을 강화하므로 피부 노화를 억제하며, 마사지 효과가 있어 항상 탄력 있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는 인체 기관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체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 성분이 피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기능과, 온도 조절 기능, 배설 기능, 호흡 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피부는 연륜에 따른 노화와 대기오염에 의한 피부오염과 강렬한 자외선에 의한 노출, 영양부족 등으로 손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는 신체를 완벽하게 감싸고 있으며 생체의 생명력을 보호하는 보호막으로서 피부의 두께는 평균 1.4mm 정도이나, 신체부위중 가장 얇은 피부조직은 얼굴로서 외부영향에 가장 노출이 심한 부위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얼굴은 인체의 아름다움이 표현되는 부위이기도 하며, 아름다움을 특별히 유지 관리하는 여성들에게 얼굴의 피부관리는 일상생활에 각별한 부위이기도 하다.
한편, 종래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그 용도와 성분에 따라 다양하나 일반적인 기능은 피부표면의 수분증발을 억제시키며, 별도의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시키며, 피부를 안정시키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가 촉촉하고 탄력있게 유지되도록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은 인공 화합물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어 저마다 다른 특성을 갖는 피부에서 트러블을 유발하므로 피부 자극에 민감한 젊은 여성이나 예민한 피부를 갖는 사람들에게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및 영양 공급 작용 등이 불충분하며, 피부에 윤기 및 생기를 공급하는 에센스 기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며, 탄력 및 윤기있는 피부를 유지하고, 피부 활성도의 증대, 기미 및 주근깨의 제거와 외부의 자극과 유해 환경으로부터의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천연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및 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시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귀 추출물 5 내지 300중량부, 모자반 추출물 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점증제, 방부제 또는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은 각각 다시마, 미역귀 또는 모자반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물에 침지한 후 10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0시간 동안 저온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며, 특히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및 알송이 모자반 추출물과 같은 해조 추출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해조는 바다에 생육하는 식물을 총칭하며, 이 중에는 수중에 부유하는 단세포체의 식물, 즉 미세 조류도 있고, 또 그 수는 많으나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ae)에 속하는 이른바 해산 현화식물, 즉 해초(海草, sea grass)라고 부르는 것도 포함되는데, 바다에서 생육하는 은화(隱花植物, cryptogamae)중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크기이면서 정착성의 것을 해조라 칭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해조류 중에서 다시마, 미역귀 및 알송이 모자반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추출물을 에센스 화장료에 사용함으로써 탄력 및 윤기있는 피부를 유지하고, 피부 활성도의 증대, 기미 및 주근깨의 제거와 외부의 자극과 유해 환경으로부터의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미역귀는 해수 속의 다양한 미네랄이 해변 바윗돌 미네랄과 결합하여 창조해낸 것이 돌미역이며, 그 가운데서도 미역귀(생식기관)속에 칼슘, 마그네슘, 철분, 칼륨과 같이 몸에 필요한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어 미네랄의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며, 티아민, 리보플라민,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이 풍부하여 몸의 밸런스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다시마는 갈조식물인 다시과마에 속해 있으며, 한대, 아한대의 연안에 분포하는 한해성 식물이다. 다시마에는 카로틴류, 크산토필류, 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의 결과 만들어지는 마니트, 퓨코이단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요오드, 비타민 B2 및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이들 성분은 다시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 단백질 7 %, 지방 1.5 %, 탄수화물 49%, 그리고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 %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 칼륨, 칼슘 등 무기염류를 대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무기염료의 공급원이다.
상기 모자반은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 를 통칭하며,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한 알카리성 해조류로서 특히 요오드 및 철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혈관경화를 막아주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모자반으로서는 , , , , ,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시마, 미역귀 및 모자반을 물 또는 알콜에서 저온 추출한 추출물을 에센스 화장료의 주원료로서 사용한다.
추출방법으로서는 상기 다시마, 미역귀 및 모자반을 소정 함량으로 혼합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침지하고, 이를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저온에서 5 내지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12 내시 24시간 동안 저온 추출한 후, 이를 건조하여 분말 또는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시마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귀 5 내지 300중량부, 모자반 1 내지 1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은 별도로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성분을 상기와 같이 추출하여 독립적인 추출물을 분말상 또는 액상으로 제조한 후, 이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귀 추출물 5 내지 300중량부, 모자반 추출물 1 내지 1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및 모자반 추출물은 서로 혼합하여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및 모자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참가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점증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 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코카마이드디이에이,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 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 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 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 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쿼터늄-15,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소르비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부필,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에칠 등을 사용할 수 있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중량%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로서 유용하다. 상기 에센스는 페이스트,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용액, 유탁액, 현탁액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 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탄력 및 윤기있는 피부를 유지하고, 피부 활성도의 증대, 기미 및 주근깨의 제거와 외부의 자극과 유해 환경으로부터의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하여 에센스를 포함하는 각종 화장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다시마 (건제품) 70g, 건미역귀 (건제품) 10g 및 알송이 모자반 (건제품) 5g을 정제수 10리터에 담근 후, 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 여과한 후, 여액을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삭제
실시예 2: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분말상의 추출물 3중량%,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4중량%, 페녹시에탄올 0.2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중량%를 혼합한 후 100℃에서 가열 용해시켜 살균하고, 이 용액에 정제수 77.8중량%를 가한 후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목적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화장료에 대하여 장기보존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온조 (-5℃, 37℃, 43℃, 50℃) 및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한 후 결과 성분의 분리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타 불순물도 발생하지 않아 보존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 안쪽에 상기 에센스 적당량을 첩포시험용 헤이즐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챔버를 제거하고 1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제거한 후 48시간 이후에 다시 판독한 결과, 반응이 없거나, 약간의 홍반반응에 불과하여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피부가 건강하고 병력이 없으며 지성 피부를 가진 20대 여성 10명의 안면을 대상으로 피부 탄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용기간은 8주로 하여 사용전과 제품 사용 4주 후, 8주 후 피부 탄력을 측정한 결과, 이들 모두 피부 탄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다시마 추출물 100중량부, 미역귀 추출물 5 내지 300중량부 및 알송이 모자반 추출물 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이 각각 다시마, 미역귀 또는 모자반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물에 침지한 후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0시간 동안 저온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점증제, 방부제 또는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 화장품.
KR1020070069205A 2007-07-10 2007-07-10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9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205A KR100879283B1 (ko) 2007-07-10 2007-07-10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205A KR100879283B1 (ko) 2007-07-10 2007-07-10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39A KR20090005839A (ko) 2009-01-14
KR100879283B1 true KR100879283B1 (ko) 2009-01-16

Family

ID=4048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205A KR100879283B1 (ko) 2007-07-10 2007-07-10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2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73A (ko) 2013-11-06 2015-05-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0535A (ko) 2014-10-30 2016-05-11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고리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9814A (ko) 2015-12-31 2017-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2017-01-26 2018-08-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58B1 (ko) * 2009-07-14 2011-05-1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 2010-04-23 2017-02-22 (주)아모레퍼시픽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67557A1 (en) 2014-04-30 2015-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pical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to reduce the signs of skin aging
AU2014392689B2 (en) 2014-04-30 2020-1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US10548835B2 (en) 2014-04-30 2020-0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reducing the signs of skin aging
BR112016023571B1 (pt) * 2014-04-30 2020-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étodos para reduzir os sinais de envelhecimento da pele em um indivíduo, para aumentar a adipogênese da face e do corpo de um indivíduo e para aumentar a lipogênese da face e do corpo de um indivíduo
KR102306785B1 (ko) * 2019-04-18 2021-09-30 구원림 소나무 줄기와 해조류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41A (ko) * 1999-11-30 2002-08-21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JP2006045188A (ja) * 2004-02-23 2006-02-16 Nagase & Co Ltd β−グルクロニダーゼ阻害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41A (ko) * 1999-11-30 2002-08-21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JP2006045188A (ja) * 2004-02-23 2006-02-16 Nagase & Co Ltd β−グルクロニダーゼ阻害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73A (ko) 2013-11-06 2015-05-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0535A (ko) 2014-10-30 2016-05-11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고리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9814A (ko) 2015-12-31 2017-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2017-01-26 2018-08-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39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283B1 (ko)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210513B2 (ja)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947637B1 (ko) 용암해수으로부터 분리된 탈염미네랄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6812B1 (ko)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714A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5584A (ko)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94513A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6382B1 (ko)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9093B1 (ko) 편백나무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