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064B1 -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064B1
KR100879064B1 KR1020070055028A KR20070055028A KR100879064B1 KR 100879064 B1 KR100879064 B1 KR 100879064B1 KR 1020070055028 A KR1020070055028 A KR 1020070055028A KR 20070055028 A KR20070055028 A KR 20070055028A KR 100879064 B1 KR100879064 B1 KR 10087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port
control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115A (ko
Inventor
이진수
강현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06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83Preventing or reducing vibrations or noise, e.g. avoiding cavi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16H2061/0209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with independent solenoid valves modulating the pressure individually for each clutch or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6개의 마찰부재를 5개의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어하되, 최소한의 스풀밸브의 적용으로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고, 정밀 제어가 이루어져 변속 충격의 최소화와 운전성 향상은 물론 연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제1 클러치가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제1 클러치 제어부와; 제2 클러치가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을 제1 페일 세이프 밸브를 경유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제2 클러치 제어부와; 제3 클러치가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3 클러치 제어부와; 상기 제1 브레이크가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가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5 압력 제어밸브의 제어압을 공유하는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55028
스위치 밸브.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Description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HYDRAULIC CONTROL SYSTEM OF 8-SHIFT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클러치 제어부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클러치 제어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클러치 제어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어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전진 1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9는 전진 2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0은 전진 3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1은 전진 4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2는 전진 5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3은 전진 6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4는 전진 7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5는 전진 8속 변속시의 계통도.
도 16은 후진 변속시의 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5개의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4개의 클러치와 2개의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변속 충격의 최소화는 물론 연비를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변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차량용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와, 이 토크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 변속기어 메커니즘인 파워 트레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파워 트레인의 작동요소 중 어느 하나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제어시스템을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순 유성기어세트를 조합하여 요구되는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복합 유성기어세트와 다수의 마찰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워 트레인과,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파워 트레인의 마찰부재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파워 트레인과 유압 제어시스템은 각 자동차 생산 메이커에 따라 형식을 달리하면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 통상적으로는 4속 자동 변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연비향상과 엔진 구동력의 효율적인 이용으로 동 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6속 및 7속 자동 변속기까지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7속 자동 변속기에 만족하지 않고, 배기가스 규제에 따른 연비 향상과 고성능화 된 승용차의 수요 증가로 자동 변속기의 다단화가 요구되고 있는 외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8속 자동 변속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6개의 마찰부재를 5개의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어하되, 상기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이 가능한 마찰요소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스풀밸브의 적용으로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고, 정밀 제어가 이루어져 변속 충격의 최소화와 운전성 향상은 물론 연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자동 변속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제어하여 라인압을 형성하는 라인압 제어부(A)와;
토크 컨버터(TC)의 토크 증대와 댐퍼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제어하는 발진 제어부(B)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감압시켜 제1,2,3,4,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 ~ VFS5)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1 리듀싱 밸브(12)로 이루어지는 제1 감압 제어부(C)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감압시켜 제1,2,3,4,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 ~ VFS5)에 적용되는 제1,2,3,4,5 압력 스위치 밸브(20)(24)(30)(34)(38) 및 제1 스위치 밸브(40)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2 리듀싱 밸브(14)로 이루어지는 제2 감압 제어부(D)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운전자의 매뉴얼 변속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여 전진압 관로(54)와 후진압 관로(56)로 공급하는 매뉴얼 밸브(16)로 이루어지는 매뉴얼 변속 제어부(E)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의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18)로 제어하여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으로 공급하는 제1 클러치 제어부(F)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의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2)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24)로 제어하여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를 경유하여 제2 클러치(C2)의 작동압을 공급하는 제2 클러치 제어부(G)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라인압 관로(52)를 통해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28)로 제어하여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3 클러치 제어부(H)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의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제어하여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I)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라인압 관로(52)를 통해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5 압력제어밸브(38)로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제4 클러치(C4) 및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유압 제어시스템은 라인압 제어부(A), 발진 제어부(B), 제1, 2 감압 제어부(C)(D), 매뉴얼 변속 제어부(E), 제1 클러치 제어부(F), 제2 클러치 제어부(G), 제3 클러치 제어부(H), 제1 브레이크 제어부(I),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워 트레인에 적용되는 각각의 마찰부재(C1)(C2)(C3)(C4),(B1)(B2)에 유압의 공급 및 해제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라인압 제어부(A)와 발진 제어부(B)는 공지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라인압 제어부(A)는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4)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1)로 이루어져 오일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운전조건에 따라 라인압을 가변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비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진 제어부(B)는 가속시 토크 컨버터(T/C)의 토크 증배 효과를 사용하고, 고속시에는 연비 향상을 위한 댐퍼 클러치를 제어를 위하여 라인압을 감압시키는 토크 컨버터 컨트롤 밸브(6)와, 댐퍼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제어하는 댐퍼 클러치압 컨트롤 밸브(8)와,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댐퍼 클러치압 컨트롤 밸브(8)를 제어하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2)와, 록업 스위치 밸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1 감압 제어부(C)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리듀싱 밸브(12)는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4)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감압시켜 전체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VFS2)(VFS3)(VFS4)(VFS5)(S1)(S2)의 제어압으로 공급하고, 제2 감압 제어부(D)를 형성하는 제2 리듀싱 밸브(14)는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4)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감압시켜 상기 제1,2,3,4,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다수의 압력 스위치 밸브에 제어압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매뉴얼 변속 제어부(E)는 운전자의 매뉴얼 변속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는 매뉴얼 밸브(16)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클러치 제어부(F)는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18)와,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클러치(C1)에 선택적으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 2 클러치 제어부(G)는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22)와,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와, 4개의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클러치(C1)에 선택적으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3 클러치 제어부(H)는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28)와, 상기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 클러치(C2)에 선택적으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 브레이크 제어부(I)는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와,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브레이크(B2)에 선택적으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는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5 압력제어밸브(36)와, 상기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 드 밸브(VFS5)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5 압력 스위치 밸브(38)와,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라인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40)와,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에 의해 제어되면서 라인압을 2개의 경로로 절환하는 제2 스위치 밸브(42)와, 상기 제2 스위치 밸브(42)로부터 제3 브레이크(B3)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개폐하는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와, 상기 제2 스위치 밸브(42)로부터 제3 클러치(C3)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개폐하는 제3 페일 세이프 밸브(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클러치(C3)와 제1 브레이크(B1)의 사이에는 이들 작동압을 선택적으로 제1,2,3 페일 세이프 밸브(26)(44)(46)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셔틀밸브(48)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레이크(B2)와 제4 클러치(C4) 사이에는 이들 작동압을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셔틀밸브(5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압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뉴얼 밸브(16)는 도 1에서와 같이, 레귤레이터 밸브(4)와 연결되어 있는 라인압 관로(5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레인지 변환에 따라 전진압 관로(54)과, 후진압 관로(56)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압 관로(52)는 상기 제1,2 리듀싱 밸브(12)(14) 및 매뉴얼 밸브(16) 이외에도 제1, 3 페일 세이프 밸브(26)(50)의 제어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 및 제1 스위치 밸브(40)연결되고, 상기 전진압 관 로(54)는 제1, 2 압력제어밸브(18)(22)와, 제3,5 압력스위치 밸브(30)(38)과 연결되며, 후진압 관로(56)는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제1 클러치 제어부(F)의 상세도로서, 제1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는 제1 리듀싱 밸브(1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입력포트(100)와, 상기 입력포트(100)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1 유압 제어밸브(18) 및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로 공급하는 출력포트(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전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압력 제어밸브(18)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181)와, 상기 매뉴얼 밸브(16)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2 포트(182)와, 상기 제2포트(182)로 공급된 유압을 제1 클러치(C1)로 공급하는 제3포트(183)와, 상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184)와, 상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는 작동압 일부가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를 통해 유입되는 제5포트(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18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랜드(191)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184)를 개폐하는 제2랜드(192)와, 상기 제2랜드(192)와 함께 상기 제2포트(182)를 제3포트(183)와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주는 제3 랜드(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랜드(18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1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과 탄성부 재(19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풀이 좌우 가변 이동되면서 제2포트(18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3포트(183)를 통해 제1 클러치(C1)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01)와, 상기 제1포트(20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02)와, 상기 제1 압력제어밸브(18)로부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는 작동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203)와, 상기 제1 압력제어밸브(18)의 제5포트(185)와 연결되는 제4포트(204)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204)와 연통되는 제5포트(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20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5포트(205)를 개폐하는 제1랜드(211)와, 상기 제2포트(20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제3포트(203)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제1랜드(211)와 함께 선택적으로 제4, 5포트(204)(205)를 연통시켜 주는 제2랜드(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랜드(212)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201)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동 상태에서는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가 작동되면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203)를 폐쇄하면서 제4,5포트(204)(205) 를 연통시켜 주고, 상기 제1 비례 제어솔레노이드 밸브(VFS1)가 작동 해제되면 제1포트(201)의 제어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203)와 제4포트(204)를 연통시켜 준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ACC는 유압의 맥동을 저감시켜 주는 어큐믈레이터이다.
도 3은 제2 클러치 제어부(G)의 상세도로서, 제2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는 제1 리듀싱 밸브(1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입력포트(104)와, 온 제어시 상기 입력포트(104)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2 유압 제어밸브(24) 및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6)로 공급하는 출력포트(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전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압력 제어밸브(22)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21)와, 상기 매뉴얼 밸브(16)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2 포트(222)와, 상기 제2포트(22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 및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로 공급하는 제3포트(223)와, 상기 제3 포트(22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224)와,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로 공급되었던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5포트(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22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 랜드(231)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 포트(224)를 개폐하는 제2 랜드(232)와, 상기 제2 랜드(232)와 함께 상기 제2포트(222)를 제3포트(223)와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주는 제3 랜드(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랜 드(23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과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풀이 좌우 가변 이동되면서 제2 포트(22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3포트(223)를 통해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 및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41)와, 상기 제1포트(24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42)와, 상기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243)와, 상기 제3포트(243)을 제2 압력제어밸브(22)의 제5포트(225)와 연결하는 제4포트(244)와,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와 연결되는 제5포트(245)와,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와 연결되는 제6포트(246)와, 상기 제5포트(245)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제3 압력제어밸브(28)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7포트(247)와, 상기 제7포트(247)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248)와, 상기 제6포트(246)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제4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하는 제9포트(249)와, 상기 제9포트(249)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10포트(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24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5포트(245)를 개폐하는 제1 랜드(251)와, 상기 제1 랜 드(251)와 함께 제7포트(247)를 선택적으로 제5포트(245) 또는 제8포트(248)와 연결하여 주는 제2랜드(252)와, 상기 제2 랜드(252)와 함께 제9포트(249)를 선택적으로 제6포트(246) 또는 제10포트(250)와 연결하여 주는 제3랜드(253)와, 상기 제2포트(24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3 랜드(253)와 함께 제4포트(244)를 선택적으로 제3포트(243) 또는 제10포트(250)와 연결하여 주는 제4랜드(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4 랜드(254)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241)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는 4개의 경로로 유입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1 클러치(C1)에 작동압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밸브보디는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 일부를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포트(261)와, 제4 클러치(C4) 또는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2포트(162)와, 제3클러치(C2)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3포트(163)와, 제2 압력제어밸브(22)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4포트(264)와, 상기 제4포트(264)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2 클러치(C2)로 공급하는 제5포트(265)와,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6포트(266)와, 상기 제5포트(265)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7포트(2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261)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랜드(271)와, 상기 제2포트(262)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2랜드(272)와, 상기 제3포트(263)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3랜드(273)와, 상기 제6포트(266)의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4포트(264)를 선택적으로 제5포트(265)와 연통시켜 주는 제4랜드(274)와, 상기 제6포트(266)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5랜드(2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3포트(261)(262)(263) 및 제6포트(266)로 공급된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상기 제2 압력제어밸브(2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2 클러치(C2)의 작동압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제3 클러치(C3) 제어부의 상세도로서,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는 제1 리듀싱 밸브(1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입력포트(108)와, 오프 제어시 상기 입력포트(108)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3 유압제어밸브(28) 및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로 공급하는 출력포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전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3 압력 제어밸브(28)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81)와, 상기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와 연결되어 배출라인을 형성하는 제2포트(282)와, 상기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283)와, 상기 제3포트(283)로 공급된 유압을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4포트(284)와, 상기 제4포트(284)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285)와, 상기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0)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2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28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랜드(291)와, 상기 제2포트(28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2랜드(292)와, 상기 제2랜드(292)와 함께 제4포트(284)를 선택적으로 제3포트(283)와 제5포트(285)에 연결하여 주는 제3랜드(2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랜드(29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과 탄성부재(29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풀이 좌우 가변 이동되면서 제3 포트(28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4포트(284)를 통해 제2 클러치(C2)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01)와, 상기 제1포트(30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02)와, 상기 제3 압력제어밸브(28)로부터 제3 클러치(C3)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03)와, 상기 제3포트(303)를 제3 압력제어밸브(28)의 제6포트(286)와 연결하는 제4포트(304)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304)와 연통되어 제4포트(304)의 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305)와, 매뉴얼 밸브로부터 전진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306)와, 상기 제6포트(306)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하는 제7포트(307)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7포트(307)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30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8포트(308)를 개폐하는 제1랜드(311)와, 상기 제1랜드(311)과 함께 상기 제7포트(307)를 제6포트(306) 또는 제8포트(308)과 연통시켜 주는 제 2랜드(312)와, 상기 제2포트(30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제3포트(303)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제2랜드(312)와 함께 제4포트(304)를 선택적으로 제3포트(303)과 제5포트(305)에 연통시켜 주는 제3랜드(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랜드(31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301)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동상태에서는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가 온 제어되면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303)를 폐쇄하면서 제4, 5포트(304)(305)를 연통시켜 줌과 동시에 제7포트(307)와 제8포트(308)를 연통시켜 주고, 상기 제3 비례 제어솔레노이드 밸브(VFS3)가 오프 제어되면 제1포트(306)의 제어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303)와 제4포트(304)를 연통시켜 줌과 동시에 제6포트(306)와 제7포트(307)를 연통시켜 주는 것이다.
도 5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I)의 상세도로서,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는 제1 리듀싱 밸브(1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입력포트(112)와, 오프 제어시 상기 입력포트(112)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4 유압 제어밸브(32) 및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로 공급하는 출력포트(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전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21)와, 상기 제2 압력 스위치 밸브(24)와 연결되어 배출라인을 형성하는 제2포트(322)와, 상기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3 포트(323)와, 상기 제3포트(323)로 공급된 유압을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하는 제4포트(324)와, 상기 제4포트(324)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325)와, 상기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32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 랜드(331)와, 상기 제2포트(32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2랜드(332)와, 상기 제2랜드(332)와 함께 제4포트(324)를 선택적으로 제3포트(323)와 제5포트(325)에 연결하여 주는 제3랜드(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랜드(33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제어압과 탄성부재(3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풀이 좌우 가변 이동되면서 제3 포트(32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4포트(324)를 통해 제2 브레이크(B2)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4 압력 스위치 밸브(34)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41)와, 상기 제1포트(34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42)와,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32)로부터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43)와, 상기 제3포트(343)를 제4 압력제어밸브(32)의 제6포트(326) 와 연결하는 제4포트(344)와,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345)와, 상기 제5포트(345)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3 압력제어밸브((28)로 공급하는 제6포트(346)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344)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7포트(347)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6포트(346)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3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34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8포트(348)를 개폐하는 제1랜드(351)와, 상기 제1랜드(351)과 함께 상기 제5포트(347)를 제6포트(346)와 연통시켜 주는 제2랜드(352)와, 상기 제2포트(34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제3포트(343)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제2랜드(352)와 함께 제4포트(344)를 선택적으로 제3포트(343)와 제7포트(347)에 연통시켜 주는 제3랜드(3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랜드(35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341)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동상태에서는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가 온 제어되면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343)를 폐쇄하면서 제4, 7포트(344)(347)를 연통시켜 줌과 동시에 제6포트(346)와 제8포트(348)를 연통시켜 주고, 상기 제4 비례 제어솔레노이드 밸브(VFS4)가 오프 제어되면 제1포트(341)의 제어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343)와 제4포트(344)를 연통시켜 줌과 동시에 제5포트(345)와 제6포트(346)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셔틀밸브(48)는 제3 클러치(C3)의 작동압 및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 일부를 상기 제1,2,3 페일 세이프 밸브(26)(44)(46)의 제어압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의 밸브 보디는 제3 클러치(C3)와 연통되는 제1포트(481)와, 제1 브레이크(B1)와 연통되는 제2포트(482)와, 상기 제1포트(48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포트(483)와, 상기 제2포트(48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4포트(4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스풀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단순히 하나의 랜드(491)로 이루어져 일측단은 제1포트(48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제1포트(481)를 제3포트(483)와 연통시키고, 타측단은 제2포트(48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제2포트(482)를 제4포트(484)와 연통시킴으로써, 제2 클러치(C2)의 작동압 및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 일부를 제1,2,3 페일 세이프 밸브(26)(44)(46)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의 상세도로서,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는 제1 리듀싱 밸브(1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입력포트(116)와, 온 제어시 상기 입력포트(116)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5 유압 제어밸브(36) 및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8)로 공급하는 출력포트(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의 전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5 압력 제어밸브(36)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61)와, 제1 스위치 밸브(40)로부터 라인압을 공급받는 제2 포트(362)와, 상기 제2포트(36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하는 제3포트(363)와, 상기 제3포트(36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364)와, 상기 제5 압력스위치 밸브(38)로 공급되는 작동압의 일부가 공급되는 제5포트(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36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 랜드(371)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 포트(364)를 개폐하는 제2 랜드(372)와, 상기 제2 랜드(372)와 함께 상기 제2포트(362)를 제3포트(363)와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주는 제3 랜드(3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랜드(37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의 제어압과 탄성부재(37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풀이 좌우 가변 이동되면서 제2 포트(362)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3포트(363)를 통해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5 압력 스위치 밸브(38)의 밸브보디는 상기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81)와, 상기 제1포트(38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82)와,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83)와, 상기 제3포트(383)을 상기 제3 압력제어밸브(36)의 제5포트(365)와 연결하여 주는 제4포트(384)와, 매뉴얼 밸브(16)와 연결되어 전진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385)와, 배출포트인 제6,7포트(386)(3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 포트(38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 랜드(391)와, 상기 제4포트(384)와 제7포트(387)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주는 제3랜드(392)와, 상기 제2포트(38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제3포트(343)와 제4포트(384)를 연통시켜 주는 제3랜드(3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랜드(39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381)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라인압을 상기 제5 압력 제어밸브(36)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40)의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401)와, 라인압 관로와 연통되는 제2포트(402)와, 상기 제2포트(402)의 유압을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하는 제3포트(403)와 상기 제3포트(40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404)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40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동하는 제1랜드(411)와, 상기 제1랜드(411)와 함께 선택적으로 제2포트(402)를 제3포트(403)와 연결하여 주는 제2랜드(412)와, 밸브보디와의 사이에 탄성부재(414)가 탄지되는 제3랜드(4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항시 리듀싱압을 받으면서 밸브스풀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라인압을 제5 압력제어밸브(36)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스위치 밸브(42)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5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2개의 경로로 절환하게 되는데, 이의 밸브보디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 트(421)와, 제5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422)와, 상기 제2포트(42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로 공급하는 제3포트(423)와, 상 기 제2포트(422)로 공급된 유압을 제3 페일 세이프 밸브(46)로 공급하는 제4포트(4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421)의 제어압에 작동하는 제1랜드(431)와, 상기 제1랜드(431)와 함께 제2포트(422)를 선텍적으로 제3, 4포트((423)(424)와 연통시켜 주는 제2랜드(4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랜드(432)와 밸브보디 사이에는 탄성부재(433)가 탄지되어 밸브스풀을 항시 제1포트(421)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되는 유압을 절환하는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의 밸브보디는 양단부에 위치하여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2 포트(441)(442)와, 상기 제2 스위치 밸브(42)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443)와, 후진압을 공급받는 제4포트(444)와, 상기 제3, 4포트(443)(444)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제3 브레이크(B3)로 공급하는 제5포트(445)와, 제3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6포트(4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441)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랜드(451)와, 상기 제1랜드(451)와 함께 제5포트(445)를 선택적으로 제3,4포트(443)(444)와 연통시켜 주는 제2랜드(452)와, 상기 제2포트(452)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3랜드(4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랜드(453)와 밸브보디 사이 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54)를 포함한다.
상기 제4 클러치(C4)로 공급되는 유압을 절환하는 제3 페일 세이프 밸브(46)의 밸브보디는 양단부에 위치하여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2 포트(461)(462)와, 상기 제2 스위치 밸브(42)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463)와, 상기 제3포트(46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4포트(464)와, 제3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5포트(445)와, 상기 제4포트(464)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6포트(4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1포트(461)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1랜드(471)와, 상기 제1랜드(471)와 함께 제4포트(464)를 선택적으로 제3,7포트(463)(467)와 연통시켜 주는 제2랜드(472)와, 상기 제2포트(462)의 제어압에 작용하는 제3랜드(4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랜드(473)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셔틀밸브(50)는 제4 클러치(C4)의 작동압 및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 일부를 상기 제1,2,3 페일 세이프 밸브(26)(44)(46)의 제어압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의 밸브 보디는 제2 브레이크(B2)와 연통되는 제1포트(501)와, 제4 클러치(C4)와 연통되는 제2포트(502)와, 상기 제1포트(50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포트(503)와, 상기 제2포트(50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4포트(5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스풀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단순히 하나의 랜드(511)로 이루어져 일측단은 제1포트(501)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제1포트(501)를 제3포트(503)와 연통시키고, 타측단은 제2포트(502)로 공급되는 제어압에 작용하면서 제2포트(502)를 제4포트(504)와 연통시킴으로써, 제4 클러치(C4)의 작동압 및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 일부를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18)는 입구측이 매뉴얼 밸브(16)와 연결되어 전진압을 공급받고, 출구측은 제1 클러치(C1)와 직접 연결되고,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22)는 입구측이 매뉴얼 밸브(16)와 연결되고, 출구측이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는 4개의 경로로 유입되는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2 클러치(C2)에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28)는 입구측이 라인압을 공급받고, 출구측은 제3 클러치(C3)에 직접 연결되고,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는 입구측이 매뉴얼 밸브(16)와 연결되어 전진압을 공급받고, 출구측은 제1 브레이크(B2)와 직접 연결된다.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5 압력 제어밸브(36)는 입구측이 라인압 관로에 연결되고, 출구측이 제2 스위치 밸브(42)와 연결 되며, 상기 제2 스위치 밸브(42)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상기 제5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를 경유하여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하거나 제3 페일 세이프 밸브(46)를 경유하여 제4 클러치(C4)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의 경우에는 후진 변속시에는 매뉴얼 밸브(16)의 후진압을 제2 브레이크(B2)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 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별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진 1속]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발을 위하여 매뉴얼 밸브(16)를 D 레인지로 절환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매뉴얼 밸브(16)의 전진압이 제1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 유압 제어밸브(18)에서 제어되어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고, 반력은 자동적으로 미도시된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되면서 담당하게 된다.
[전진 2속]
상기와 같은 1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1속의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클러치(C1)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를 온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도 9에서와 같이 제1 클러치(C1)가 작동하고 있는 과정에서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전진압이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되고,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32)에 공급되는 유압은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됨으로써, 제1 클러치(C1)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는 전진 2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3속]
상기와 같은 2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2속의 상태에서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그러면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도 10에서와 같이 제1 클러치(C1)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라인압이 제4 압력 스위치 밸브(24)를 경유하여 제3 압력 제어밸브(28)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압력 제어밸브(28)에 공급되는 유압은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3 클러치(C3)로 공급됨으로써, 제1, 3 클러치(C1)(C3)가 작동하는 전진 3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4속]
상기와 같은 3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3속의 상태에서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을 오프 제어하고, 제2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그러면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던 제3 클러치(C3)의 작동이 해제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제2 압력제어밸브(22)로 공급된 전진압이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페일 세이프 밸 브(26)를 경유하여 제2 클러치(C2)로 공급됨으로써, 제1, 2 클러치(C1)(C2)가 작동하는 전진 4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5속]
상기와 같은 4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4속의 상태에서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그러면 전진 1속에서 4속까지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C1)의 작동이 해제되고, 도 12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4)를 경유하여 제3 압력 제어밸브(28)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3 클러치(C3)로 공급됨으로써, 제2 클러치(C2)와 제3 클러치(C3)가 작동하는 전진 5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6속]
상기와 같은 5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5속의 상태에서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를 온 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클러치(C3)의 작동은 해제되고,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치 밸브(40)를 통해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된 유압은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되며, 제2 스위치 밸브(42)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의 제어에 따라 상기의 유압을 제3 페일 세이프 밸브(46)를 통해 제4 클러치(C4)로 공급함으로써, 제2, 4 클러치(C2)(C4)가 작동하는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7속]
상기와 같은 6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6속의 상태에서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와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를 오프 제어하고,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를 온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4 클러치(C3)의 작동은 해제되고, 도 14에서와 같이 제3 압력 스위치 밸브(30)를 경유하여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되는 유압이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됨으로써, 제2 클러치(C2)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는 전진 7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8속]
상기와 같은 7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미도시)에서는 상기의 7속의 상태에서 제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를 오프 제어하고,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와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를 온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도 15에서와 같이 제1 클러치(C1)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스위치 밸브(40)를 통해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된 유압은 제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5)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되며, 제2 스위치 밸브(42)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의 제어에 따라 상기의 유압을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를 통해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함으로써, 제2 클러치(C2)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는 전진 8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후진]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가 온 제어된다.
그러면 도 16에서와 같이 제4 스위치 밸브(34)를 경유하여 제3 압력제어밸브(28)로 공급된 라인압이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에 의해 제어되어 제3 클러치(C3)로 공급되며, 매뉴얼 밸브(16)의 후진압은 제2 페일 세이프 밸브(44)를 경유하여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됨으로써, 제3 클러치(C3)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는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6개의 마찰부재를 5개의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어하되, 상기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압력제어밸브의 제어압이 가능한 마찰요소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스풀밸브의 적용으로 구성을 보다 간단하고, 정밀 제어가 이루어져 변속 충격의 최소화와 운전성 향상은 물론 연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자동 변속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4)

  1. 오일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제어하여 라인압을 형성하는 라인압 제어부(A)와;
    토크 컨버터(TC)의 토크 증대와 댐퍼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제어하는 발진 제어부(B)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감압시켜 제1,2,3,4,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 ~ VFS5)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1 리듀싱 밸브(12)로 이루어지는 제1 감압 제어부(C)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감압시켜 제1,2,3,4,5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 ~ VFS5)에 적용되는 제1,2,3,4,5 압력 스위치 밸브(20)(24)(30)(34)(38) 및 제1 스위치 밸브(40)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2 리듀싱 밸브(14)로 이루어지는 제2 감압 제어부(D)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라인압 관로(52)를 통해 공급되는 라인압을 운전자의 매뉴얼 변속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여 전진압 관로(54)와 후진압 관로(56)로 공급하는 매뉴얼 밸브(16)로 이루어지는 매뉴얼 변속 제어부(E)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의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18)로 제어하여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으로 공급하는 제1 클러치 제어부(F)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의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2)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24)로 제어하여 제1 페일 세이프 밸브(26)를 경유하여 제2 클러치(C2)의 작동압을 공급하는 제2 클러치 제어부(G)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28)로 제어하여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3 클러치 제어부(H)와;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E)로부터 공급되는 전진압 관로(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제어하여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I)와;
    상기 라인압 제어부(A)로부터 라인압 관로(52)를 통해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5 압력제어밸브(38)로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제4 클러치(C4) 및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2,4 압력제어밸브(18)(22)(32)는 매뉴얼 밸브(16)에서 공급되는 전진압을 제어하고, 제3,5 압력제어밸브(28)(38)는 라인압을 제어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클러치 제어부(F)는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압력제어밸브(18)와;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압력제어밸브(18)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밸브보디는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181)와, 상기 매뉴얼 밸브(16)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182)와, 상기 제2포트(182)로 공급된 유압을 제1 클러치(C1)로 공급하는 제3포트(183)와, 상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184)와, 상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는 작동압 일부가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를 통해 유입되는 제5포트(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제1 압력 스위치 밸브(20)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01)와, 상기 제1포트(20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02)와, 상기 제1 압력제어밸브(18)로부터 제1 클러치(C1)로 공급되는 작동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203)와, 상기 제포트(20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제1 압력제어밸브(18)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4포트(204)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204)와 연통되는 제5포트(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 2 클러치 제어부(G)는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압력제어밸브(22)와;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2 압력스위치밸브(24)와;
    라인압과,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3 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 작동압,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2 브레이크(B2) 또는 제4 클러치(C4)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1 페일세이프밸브(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압력제어밸브(22)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21)와, 매뉴얼 밸브(16)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22)와, 상기 제2포트(22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압력스위치밸브(24) 및 제1 페일세이프밸브(26)로 공급하는 제3포트(223)와, 상기 제3포트(22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224)와, 제2 압력스위치밸브(24)로 공급되었던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5포트(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8. 제6에 있어서, 제2 압력스위치밸브(24)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41)와, 상기 제1포트(24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2)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42)와, 상기 제1 페일세이프밸브(26)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243)와, 상기 제3포트(24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2 압력제어밸브(22)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4포트(244)와,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와 연결되는 제5포트(245)와,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와 연결되는 제6포트(246)와, 상기 제5포트(245)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제3 압력제어밸브(30)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7포트(247)와, 상기 제7포트(247)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248)와, 상기 제6포트(246)로 공급되는 제어압을 제4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하는 제9포트(249)와, 상기 제9포트(249)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10포트(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제1 페일세이프밸브(26)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 일부를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포트(261)와, 제4 클러치(C4) 또는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2포트(261)와, 제3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3포트(263)와, 제2 압력제어밸브(24)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4포트(264)와, 상기 제4포트(264)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2 클러치(C1)로 공급하는 제5포트(265)와,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6포트(266)와, 상기 제5포트(265)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7포트(2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제3 클러치 제어부(H)는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3 압력제어밸브(28)와;
    상기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3 압력스위치밸브(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3 압력제어밸브(28)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281)와, 상기 제2 클러치(C2)로 공급되었던 유압의 배출을 위하여 제2 클러치 제어부(G)와 연결되는 제2포트(282)와, 상기 라인압을 공급받기 위하여 제1 브레이크 제어부(B1)와 연결되는 제3포트(283)와, 상기 제3포트(283)로 공급된 유압을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4포트(284)와, 상기 제4포트(284)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285)와, 상기 제3 압력스위치밸브(30)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2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제3 압력스위치밸브(30)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01)와, 상기 제1포트(30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3)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02)와, 상기 제3 압력제어밸브(28)로부터 제3 클러치(C3)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03)와, 상기 제3포트(303)를 제3 압력제어밸브(28)의 제6포트(286)와 연결하는 제4포트(304)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304)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305)와, 매뉴얼 밸브(16)로부터 전진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306)와, 상기 제6포트(306)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제4 압력제어밸브(32)로 공급하는 제7포트(307)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7포트(307)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제어부(I)는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4 압력제어밸브(32)와;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4 압력스위치밸브(34)와;
    제3 클러치(C1)의 작동압 및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 일부를 상기 제2 클러치 제어부(G)와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1 셔틀밸브(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4 압력제어밸브(32)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21)와, 상기 제2 클러치 제어부(G)의 제어압으로 공급되었던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의 제어압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라인을 형성하는 제2포트(322)와, 상기 제3 클러치 제어부(H)를 통해 매뉴얼 밸브(16)의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323)와, 상기 제3포트(323)로 공급된 유압을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하는 제4포트(324)와, 상기 제4포트(324)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5포트(325)와, 상기 제4 압력스위치밸브(34)로부터 제어압이 공급되는 제6포트(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제4 압력스위치밸브(34)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41)와, 상기 제1포트(34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42)와,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32)로부터 제1 브레이크(B1)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43)와, 상기 제3포트(34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4 압력제어밸브(32)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4포트(344)와,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345)와, 상기 제5포트(345)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3 압력제어밸브(28)로 공급하는 제6포트(346)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4포트(344)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7포트(347)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6포트(346)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8포트(3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 셔틀밸브(48)는 제3 클러치(C1)와 연통되는 제1포트(481)와, 제1 브레이크(B1)와 연통되는 제2포트(482)와, 상기 제1포트(48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포트(483)와, 상기 제2포트(48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4포트(4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4포트(483)(484)는 상기 제1,2포트(481)(482)로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2 클러치 제어부(G)와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J)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제4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J)부는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5 압력제어밸브(36)와;
    상기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제5 압력스위치밸브(38)와;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라인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40)와;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에 의해 제어되면서 라인압을 2개의 경로로 절환하는 제2 스위치밸브(42)와;
    상기 제2 스위치밸브(42)로부터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개폐하는 제2 페일세이프밸브(44)와;
    상기 제2 스위치밸브(42)로부터 제4 클러치(C4)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개폐하는 제3 페일세이프밸브(46)와;
    상기 제4 클러치(C4) 및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압 일부를 제2 클러치 제어부(G)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2 셔틀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5 압력제어밸브(36)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61)와, 제1 스위치밸브(40)로부터 라인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62)와, 상기 제2포트(36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스위치밸브(42)로 공급하는 제3포트(363)와, 상기 제3포트(36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364)와, 상기 제5 압력스위치밸브(38)로부터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5포트(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제5 압력스위치밸브(38)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381)와, 상기 제1포트(381)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5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FS5)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382)와,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제2 스위치 밸브(42)로 공급되는 유압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3포트(383)와, 상기 제3포트(38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5 압력제어밸브(36)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제4포트(384)와, 매뉴얼 밸브(16)와 연결되어 전진압이 공급되는 제5포트(385)와, 배출포트인 제6,7포트(386)(3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치밸브(40)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제2 리듀싱 밸브(14)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401)와, 라인압 관로(52)와 연통되는 제2포트(402)와, 상기 제2포트(402)의 유압을 제5 압력제어밸브(36)로 공급하는 제3포트(403)와 상기 제3포트(403)로 공급되었던 유압을 배출하는 제4포트(4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제2 스위치밸브(42)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의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1포트(421)와, 제5 압력제어밸브(36)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422)와, 상기 제2포트(422)로 공급된 유압을 제2 페일세이프밸브(44)로 공급하는 제3포트(423)와, 상기 제2포트(422)로 공급된 유압을 제3 페일세이프밸브(46)로 공급하는 제4포트(4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제2 페일세이프밸브(44)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양단부에 위치하여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2 포트(441)(442)와, 상기 제2 스위치밸브(42)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443)와, 후진압을 공급받는 제4포트(444)와, 상기 제3, 4포트(443)(444)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제2 브레이크(B2)로 공급하는 제5포트(445)와, 제3 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6포트(4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제3 페일세이프밸브(46)는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을 구비하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보디는 양단부에 위치하여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1,2 포트(461)(462)와, 상기 제2 스위치밸브(42)로부터 전진압을 공급받는 제3포트(463)와, 상기 제3포트(463)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3 클러치(C3)로 공급하는 제4포트(464)와, 제3 클러치(C3) 또는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압을 제어압을 공급받는 제5포트(465)와, 상기 제4포트(464)의 유압을 배출하는 제6포트(4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제2 셔틀밸브(50)는 제2 브레이크(B2)와 연통되는 제1포트(501)와, 제3 클러치(C3)와 연통되는 제2포트(502)와, 상기 제1포트(50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포트(503)와, 상기 제2포트(50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4포트(5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4포트(503)(504)는 제2 클러치 제어부(G)의 제어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8속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20070055028A 2007-06-05 2007-06-05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87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28A KR100879064B1 (ko) 2007-06-05 2007-06-05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28A KR100879064B1 (ko) 2007-06-05 2007-06-05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15A KR20080107115A (ko) 2008-12-10
KR100879064B1 true KR100879064B1 (ko) 2009-01-15

Family

ID=4036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028A KR100879064B1 (ko) 2007-06-05 2007-06-05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4661A (zh) * 2010-09-29 2012-05-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自动变速器的液压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336A (ko) * 2004-02-26 2005-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520529B1 (ko) 2003-09-16 2005-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6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680641B1 (ko) 2005-12-12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6속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20070028674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529B1 (ko) 2003-09-16 2005-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6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20050087336A (ko) * 2004-02-26 2005-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20070028674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680641B1 (ko) 2005-12-12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6속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4661A (zh) * 2010-09-29 2012-05-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自动变速器的液压控制装置
US8528712B2 (en) 2010-09-29 2013-09-10 Hyundai Motor Company Auto transmissio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15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801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6速パワートレイン及び油圧制御システム
KR100969362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969363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33162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520529B1 (ko) 차량용 6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868207B1 (ko)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0969364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953307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38750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JP2001200925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パワートレイン及び油圧制御システム
KR10032052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3806817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システム
KR100879064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879067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85097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101080797B1 (ko) 차량용 8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KR20020024399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907051B1 (ko)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46091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9990073653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및 그 유압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