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03B1 -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03B1
KR100878903B1 KR1020070068362A KR20070068362A KR100878903B1 KR 100878903 B1 KR100878903 B1 KR 100878903B1 KR 1020070068362 A KR1020070068362 A KR 1020070068362A KR 20070068362 A KR20070068362 A KR 20070068362A KR 100878903 B1 KR100878903 B1 KR 10087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fertilizer
soil
plan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276A (ko
Inventor
이충렬
Original Assignee
이충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렬 filed Critical 이충렬
Priority to KR102007006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9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2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fish or from fish-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활용되는 해파리 해산물을 이용하여 토양 비료, 토양 미생물제 및 액체 비료를 제조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하는 해파리파쇄단계와;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하는 입상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해파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토양에 투입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해파리, 토양 비료, 토양 미생물제, 식물대사활성액체비료.

Description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soil fertilizer and plant metabolism activity fertilizer making Method in use of Medusa.}
본 발명은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활용되는 해파리 해산물을 이용하여 토양 비료, 토양 미생물제 및 액체 비료를 제조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예로부터 해양자원이 풍부하여 그 이용면에서 광범위하며 해양자원의 활용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 중 해파리는 전세계 바다에 널리 분포하며, 극히 소수만 담수(淡水) 및 기수산(汽水産)으로서, 해산 해파리는 대부분 내만이나 깊이 수 미터까지의 얕은 바다에 살고 있으며 히드로충류의 경해파리류는 특히 외양에 많고, 해파리류의 관해파리는 대부분 수백 미터 이상 심해에 살고 있다.
해파리는 대부분 부착성 폴립 세대를 거치며, 일반적으로 먹이가 풍부한 얕은 바다에 살고 있으며, 보통 해파리(Rhopilema esculentum)는 남중국해에서 황해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 종으로 늦여름과 초가을에 풍부하게 관찰된다.
해파리는 수영하는 사람들과 어부들에게 침을 쏘아 홍반성 발진, 가려움증, 불에 댄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데, 고열, 피로감, 근육통, 호흡 곤란, 권태감, 혈압강하, 사망에 이르는 증상을 나타낸다. 해파리의 단백질성 독은 효소 활성, 용혈, 간세포 독성, 심장 독성, 항산화 활성과 같은 많은 생물 활성들이 보고되었으나, 살충력에 관해서는 어떤 연구도 이뤄지지 않았었다.
해파리의 이용은 식품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으나, 이에 따른 해양부산물의 폐기물이 대량으로 버려지며 환경오염원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해양부산물을 이용한 비료, 식의약품 첨가제, 사료첨가제 및 환경산업 둥에서 다양하게 이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동양에서는 해파리를 식용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으며, 식용 해파리는 해파리류의 뿌리입해파리를 주로 먹으며, 뿌리입해파리는 갓이 두껍고 지름이 46∼60㎝로 매우 크고 갓은 청남색이며, 한천질이 두껍고 딱딱하다.
식용 해파리는 한국·중국·일본 연안에서 잡히며, 중국요리에 특히 많이 쓰이고 있으며, 해파리의 날것은 함수량이 98%이며, 이것을 말리거나 염장하여 사용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대형해파리인 노무라입깃해파리가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우리나라 연안에 대량 나타나고 있으며, 해파리는 7-8월에 해안 근처에 나타나 수영하는 사람들과 어부들에게 침을 쏘아 홍반성 발진, 가려움증, 불에 덴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데, 고열, 피로감, 근육통, 호흡 곤란, 권태감, 혈압강하, 사망에 이르는 증상을 나타나는데, 이와같은 해파리의 독은 효소 활성, 용혈, 간세포 독성, 심장 독성, 항산화 활성과 같은 많은 생물 활성들이 보고되었으나, 유용자원화에 대한 것은 어떤 연구도 이뤄지지 않았었다.
따라서, 미활용 해파리해산물을 이용하여 토양 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제공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하는 해파리파쇄단계와;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하는 입상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해파리용해단계와;
상기 제조된 용액을 가열기에 의해 80℃로 가열시켜 물을 증발시킨 후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파리용해단계는,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킬 경우의 NaOH와 KOH는 각각 0.5 ~1.0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은 해파리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에 유용한 유기물과 인산 및 각종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해파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토양에 투입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하는 해파리파쇄단계와;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하는 입상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해파리용해단계와;
상기 제조된 용액을 가열기에 의해 80℃로 가열시켜 물을 증발시킨 후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파리용해단계는,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킬 경우의 NaOH와 KOH는 각각 0.5 ~1.0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는,
토양비료에 있어서,
건조 해파리 분말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는,
식물대사활성비료에 있어서,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가열시켜 분말화한 해파리 분말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S100)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10)와;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하는 해파리파쇄단계(S120)와;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하는 입상화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바다에서 해파리를 채집하여 채취한 해파리를 대형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S100)하고, 염분이 제거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S110)시키고,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S120)하게 된다.
이때, 해파리 분말은 초미세분말이 아니므로 토양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S130)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는 바람직하게는 토양에 기비와 추비로 사용하는 토양비료 및 미생물제제의 제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펠렛기, 건조기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기를 이용하게 되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를 토양에 투입하면 토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아래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은,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S200)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해파리용해단계(S210)와;
상기 제조된 용액을 가열기에 의해 80℃로 가열시켜 물을 증발시킨 후 분말 화하는 분말화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파리용해단계는,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킬 경우의 NaOH와 KOH는 각각 0.5 ~1.0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바다에서 해파리를 채집하여 채취한 해파리를 대형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S200)하고,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생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S210)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NaOH와 KOH 용액은 각각 0.5N ~ 1.0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해단계를 거쳐 제조한 용액을 가열기에 의해 80℃로 가열시켜 물을 증발시킨 후 분말화(S220)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는 입도가 아주 낮아 물에 녹여 식물 잎에 엽면 살포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활성액체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수화입제로 사용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또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의 해파리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파리에는 식물에 유용한 유기물과 인산 및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물생장조절제인 사이토키닌과 오옥신도 함유되어 있다.
해파리에 함유된 유기물은 식물의 성장 및 발육에 유용한 물질로서 토양에 시용하게 되면 토양 내 영양분이 많아져 토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생산 량을 증대시킨다.
특히, 해파리에는 인산의 함유량이 높은데 인산은 식물의 주요 핵산의 구성성분으로 세포분열과 생장에 필요적인 성분이며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인지질에도 들어 있다.
ATP와 NADP 등의 구성성분으로 모든 대사작용에서 에너지 공급과 수소전달에 관여하는 주요성분이다.
그 외 함유된 미네랄 성분은 식물에 있어서 필수영양성분으로 토양 중에 해파리를 비료화 함으로서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이 있다.
사이토키닌은 세포분열을 촉진시키고 오옥신은 식물의 뿌리에서 합성하여 다른 기관에 전류시켜 세포분열을 촉진시키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오옥신은 생장을 촉진시키고 뿌리의 부정근의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파리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은 토양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식물 발아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식용 작용의 종자 처리에 해파리에서 추출한 용액으로 발아 시험 결과 발아율이 벼의 경우 대조구가 89,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 투입후 97.3으로 대폭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벼 어린싹 생육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샤레에 발아한 종자를 Growth chamber에 넣고 광량 16시간, 암조건 8시간, 온도 27-30℃의 조건에서 벼 어린 싹을 생육시켰다. 이때 샤레에 일반 수돗물과 해파리 추출액을 처리하여 7일간 생육시킨 결과 해파리추출액처리에서 생육이 도시한 바와 같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를 이용한 유묘 생육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소형 폿트에 해파리 분말 5g을 혼합하여 벼와 고추의 생육 시험을 수행한 결과 생육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를 이용한 포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밭토양에 해파리 분말을 평당 50g을 처리한 후 유묘를 이식하여 20일 생육시킨 후 조사한 결과 토마토의 생장이 해파리 처리구에서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엽면 살포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해파리 추출액을 잎들깨에 처리하여 들깻잎의 생장을 조사하였던 바, 결과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엽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해파리추출액에서 10%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엽폭에서도 7% 증가하였고,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17% 증가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의 해파리의 미생물 생육촉진 효과 검토시 사용 배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해파리의 미생물 생육촉진 효과 검토시 농작물의 근권 토양에서 분리되었으며, 불용성 인산을 가용화시킴으로서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Pantoea agglomerans, Pseudomonas fluorescence를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NBRIP medium을 미생물 생육을 검토하기 위한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로 파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기본 배지에 각각 0, 0.5%, 1%, 1.5%, 2%씩 첨가하였다.
이때, 배양 조건은 250ml flask에 각각 50ml의 배지를 첨가한 후, nutrient broth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전배양액을 1%(v/v)씩 접종하였으며, 본 배양은 30℃, 200 rpm에서 4-5일 동안 회전 진탕 배양하였다.
그리고, 일정시간별로 배양액을 회수한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파리 분말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Pantoea agglomerans, Pseudomonas fluorescence의 생육도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토양에 사용할 경우에 해파리에 함유된 유기물이 토양에 흡수되어 토양내 영양분이 많아져 토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성장 및 발육을 도와 식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킨다.
그 외 해파리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의해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 제조 방법 을 통해 제조된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를 토양에 사용할 경우에 해파리에 함유된 유기물이 토양에 흡수되어 토양내 영양분이 많아져 토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성장 및 발육을 도와 식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해파리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의해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며 균형적 영양을 갖추게 되어 병충해에도 견디는 힘을 제공하여 재배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이점과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농업 분야에서 활발히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또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의 해파리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식물 발아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벼 어린싹 생육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를 이용한 유묘 생육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를 이용한 포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식물대사활성비료 용액을 이용한 엽면 살포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토양비료의 해파리의 미생물 생육촉진 효과 검토시 사용 배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자연 상태 혹은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해파리를 분쇄기에 넣어 미세한 분말로 파쇄하는 해파리파쇄단계와;
    파쇄된 해파리에 결착제를 삽입한 후 펠렛기(또는 제환기)에 넣어 입자 크기가 2mm ~ 7mm가 되도록 입상(펠렛)으로 생성하는 입상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제조 방법.
  2. 해파리를 용기에 넣고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와;
    염분을 제거한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해파리용해단계와;
    상기 제조된 용액을 가열기에 의해 80℃로 가열시켜 물을 증발시킨 후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용해단계는,
    해파리를 알칼리 용액, NaOH와 KOH 용액으로 용해시킬 경우의 NaOH와 KOH는 각각 0.5 ~1.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를 이용한 식물대사활성비료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70068362A 2007-07-06 2007-07-06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KR10087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62A KR100878903B1 (ko) 2007-07-06 2007-07-06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62A KR100878903B1 (ko) 2007-07-06 2007-07-06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76A KR20090004276A (ko) 2009-01-12
KR100878903B1 true KR100878903B1 (ko) 2009-01-15

Family

ID=4048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362A KR100878903B1 (ko) 2007-07-06 2007-07-06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00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케이시에프엔시 해파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질소 액상 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628B2 (ja) * 1986-05-24 1994-06-29 株式会社間組 有機肥料原料の製造方法
JPH07292646A (ja) * 1994-04-28 1995-11-07 Taiho Ind Co Ltd 海洋構築物におけるクラゲの減容化処理方法
JP2004075450A (ja) 2002-08-16 2004-03-11 Keiichi Fukushi クラゲから肥料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628B2 (ja) * 1986-05-24 1994-06-29 株式会社間組 有機肥料原料の製造方法
JPH07292646A (ja) * 1994-04-28 1995-11-07 Taiho Ind Co Ltd 海洋構築物におけるクラゲの減容化処理方法
JP2004075450A (ja) 2002-08-16 2004-03-11 Keiichi Fukushi クラゲから肥料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00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케이시에프엔시 해파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질소 액상 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76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44171A (zh) 一种新型绿色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3392642B (zh) 一种利用微生物饲料养殖桂花鱼的方法
CN110616171B (zh) 一株耐盐碱太平洋芽孢杆菌及其活菌制剂与应用
Jothinayagi et al. Effect of seaweed liquid fertilizer of Sargassum wightii on the growth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elmoschus esculentus (L.) Medikus
CN106941906B (zh) 一种甘薯种苗栽培基质
Yong et al.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Kappaphycus alvarezii (Doty) Doty ex Silva (Rhodophyta, Solieriaceae) in outdoor nursery system
Feng et al. The resource utilization of anaerobic fermentation residue
CN103613470A (zh) 蔬菜育苗基质
CN111187731A (zh) 一种生物改底培藻水质改良菌剂及其制备方法
CN105964680B (zh) 一种滨海盐碱地连作棉花土壤生态修复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030581A (zh) 新型多功能生物有机种衣剂及其制备方法
WO2019104755A1 (zh) 一种滩涂盐碱地的生物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90578A (zh) 一株耐盐碱暹罗芽孢杆菌及其活菌制剂的生产方法与应用
CN101406203B (zh) 植物生长调节剂及其生产方法
Park et al. Inoculation with Bacillus licheniformis MH48 promotes nutrient uptake in seedlings of the ornamental plant Camellia japonica grown in Korean reclaimed coastal lands
Aly et al. Evaluation of Spirulina platensis as bio stimulator for organic farming systems
CN106146115A (zh) 一种利用蚝壳提取海洋生物钙离子的生物土壤调理剂及其制备工艺
CN102584382B (zh) 有机液肥组成物
KR100878903B1 (ko) 해파리를 이용한 토양비료 및 식물대사활성비료와 그의제조 방법
KR102132065B1 (ko)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CN105418301A (zh) 一种有机复合肥料及其制备方法
Jaiswar et al. Apical, sub-apical, and basal explants of industrially exploited marine red alga Gracilaria salicornia exhibited differential response to commercial seaweed-derived plant bio-stimulants
Ali et al. Optimizing the dose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for salt tolerance in maize
CN108707052A (zh) 一种富硒蔬菜专用肥的制备方法及所得产品
CN108147891A (zh) 园林花卉专用肥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