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02B1 -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02B1
KR100878902B1 KR1020070098802A KR20070098802A KR100878902B1 KR 100878902 B1 KR100878902 B1 KR 100878902B1 KR 1020070098802 A KR1020070098802 A KR 1020070098802A KR 20070098802 A KR20070098802 A KR 20070098802A KR 100878902 B1 KR100878902 B1 KR 10087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body
button
seal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09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902B1/ko
Priority to PCT/KR2007/005320 priority patent/WO200904495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3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누름부를 갖는 버턴부재와; 누름부가 노출되는 버턴개구를 가지고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의 폐쇄 시 누름부가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버턴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안내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버턴개구와 누름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링부재를 밀봉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실링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버턴개구를 밀봉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 중에 실링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증대, 생산비용을 절감 및 외관품위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다.
버턴부재, 실링부재, 지지부재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스위치{DOOR SWITCH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스위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차체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폐 시 도어와 접촉해제 및 접촉된다. 도어스위치는 도어개방여부를 알려주거나 차체 내부에 마련된 실내등이 점등되도록 제어부에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도어스위치의 주 구성은 도어와 접촉 및 접촉 해제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버턴부재와, 버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용하며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나눠진다. 여기서, 버턴부재는 하우징의 버턴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부분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의 도어스위치는 버턴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실링부재로 버턴부재의 노출부분과 하우징 전면을 밀봉하였다. 그리고, 하우징과 차체의 결합방식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과 차체에 형성된 삽입공을 연통 결합 하고, 하우징과 차체의 결합유지를 위해 용접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도어스위치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던 실링부재는 도어스위치 전면을 밀봉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와 함께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고무재질의 특성 상 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외관품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스위치와 차체의 결합방식은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조립 시간이 증대되어 생산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며 생산비용의 절감 및 외관품위품질의 향상시키도록 밀봉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와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차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누름부를 갖는 버턴부재와; 상기 누름부가 노출되는 버턴개구를 가지고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버턴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버턴개구와 상기 누름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밀봉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소켓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누름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 및 폭을 가진 그루브가 형성된 실링부재몸체와, 상기 실링부재몸체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체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절곡 연장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차체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차체에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실링부재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버턴개구를 밀봉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 중에 실링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증대, 생산비용을 절감 및 외관품위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탄성브래킷을 이용하여 결합자재 없이 차체와 하우징을 결합함으로써, 자재비용의 절감 및 조립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1)와 도어(미도시) 사이에 마련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는 버턴부재(30)와, 차체(1)에 장착되어 버턴부재(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안내하는 하우징(70)과, 하우징(70)의 내부에서 밀봉하는 실링부재(90)와, 실링부재(90)를 밀봉상태에 유지하는 지지부재(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는 하우징(70)과 결합되는 소켓부재(130)와, 차체(1)에 하우징(70)을 탄력적으로 결합시키는 탄성브래킷(170)과,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버턴부재(30)는 도어와의 접촉 및 접촉해제에 의해 하우징(70)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버턴부재(30)는 슬라이딩부(32)와, 슬라이딩부(32)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누름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32)는 하우징(7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딩부(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후술할 하우징(70)에 마련된 소켓컨택터(socket contactor)(134)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버턴컨택터(button contactor)(50)가 결합되어 있다.
누름부(34)는 슬라이딩부(32)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누름부(34)는 하우징(7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가 도어와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7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누름부(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바(bar) 형상을 가지 고 있으며, 도어와 접촉되는 일단은 파손 방지를 위해 곡률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버턴컨택터(50)는 슬라이딩부(32) 하부에 삽입된다. 버턴컨택터(50)는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소켓부재(130)의 소켓컨택터(134)에 접속 및 접속 해제된다. 예를 들어, 버턴컨택터(50)는 누름부(34)가 하우징(7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때는 소켓컨택터(134)와 접속되고, 누름부(34)가 도어와 접촉되어 하우징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소켓컨택터(134)와 접속 해제된다. 버턴컨택터(50)는 소켓컨택터(134)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하우징(70)은 누름부(34)가 노출되는 버턴개구(74)를 가지고 차체(1)에 장착되며, 도어의 폐쇄 시 누름부(34)가 도어에 의해 가압된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용 안내한다. 하우징(70)은 버턴부재(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안내하는 하우징본체(72)와, 하우징본체(72)의 외표면에 마련되어 차체(1)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탄성결합부(76)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72)에는 하우징본체(72)의 판면 방향을 따라 누름부(34)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누름부(34)가 관통 이동되도록 전술한 버턴개구(74)가 형성되어 있다. 버턴개구(74)는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누름부(34)와 공차를 가지고 형성되나. 누름부(34)와의 공차의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결합부(76)는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하우징본체(72)의 일측 외표면에 마련된다. 탄성결합부(76)는 후술할 탄성브래킷(170)과 같은 역할을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우징본체(72)와 일체로 제작된다. 그러나, 탄성결합부(76)는 본 발명과 달리, 탄성브래킷(170)이 2개 이상 사용될 때는 하우징본 체(72)에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링부재(90)는 하우징(70) 내부에 수용되어 버턴개구(74)와 누름부(34) 사이를 밀봉한다. 실링부재(90)는 실링부재몸체(92)와, 실링부재몸체(92)로부터 누름부(34)를 향해 돌출 형성된 밀봉부(96)를 포함한다. 실링부재(90)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오링(o-ring)이 사용된다.
실링부재몸체(92)는 실링부재(9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가 중공된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실링부재몸체(92)의 표면에는 일정 깊이 및 폭으로 'U'자 단면 형상에 가까운 그루브(94)가 폐루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몸체(92)의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94)는 실링부재(90)에 대해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 시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실링부재(90)가 탄력적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밀봉부(96)는 실링부재몸체(92)의 내부, 즉 중공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밀봉부(96)는 누름부(34)와 접촉되며,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에 관계없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지지부재(110)는 하우징(70)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링부재(90)를 밀봉상태에 유지한다. 즉, 지지부재(110)는 실링부재(90)가 버턴개구(74)의 하부에서 유지되도록 실링부재(90)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10)는 실링부재(90)가 안착되는 안착부(112)와, 안착부(112)로부터 하우징(70)이 차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부(112)에는 누름부(34)가 관통 이동되도록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16)는 소켓부재(130)에 지지되어 누름부(34)의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관계없이 지지부재(110)가 하우징(70) 내부에서 항상 같은 위치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소켓부재(130)는 하우징(70)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소켓부재(130)는 지지부재(110)를 지지하고,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용 안내하며,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도록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켓부재(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소켓본체(132)와, 소켓본체(132)의 일단에 마련된 소켓컨택터(134)와, 소켓본체(132)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단자(136)를 포함한다.
소켓본체(132)는 하우징(70)과 결합되며 버턴부재(30)와 결합된 지지부재(110)를 지지한다. 소켓본체(132)의 내부로는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용 안내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소켓컨택터(134)는 소켓본체(132)의 일단, 즉 지지부재(110)가 지지되는 일단부에 마련되어 버턴부재(30)에 결합된 버턴컨택터(50)와 접속 및 접속 해제된다. 소켓컨택터(134)는 접속단자(136)와 연통되어 있다. 접속단자(136)는 소켓컨택터(134)와 연통되어 있으며, 버턴컨택터(50)와 소켓컨택터(134)의 접속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소켓부재(130)와 하우징(70) 사이에는 스프링(150)이 개재된다. 스프링(150)은 버턴부재(30)의 하부와 소켓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부(34)가 하우징(7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0)은 누 름부(34)가 도어와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70) 내부에서 수용된 후, 도어와 누름부(34)의 접촉해제 시 누름부(34)가 즉시 슬라이딩 이동되어 하우징(7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턴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150)의 탄성작용으로 인해 도어의 개방 시 누름부(34)가 하우징(7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버턴컨택터(50)와 소켓컨택터(134)의 접속이 즉시적으로 이루어져 도어의 개방여부를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브래킷(170)은 하우징(70)과 소켓부재(130) 사이에 결합된다. 탄성브래킷(170)은 차체(1)와 하우징(70)의 결합 시 차체(1)에 하우징(70)을 탄력적으로 결합시킨다. 탄성브래킷(170)은 하우징(70)에 수용되는 수용부(172)와, 수용부(172)로부터 하우징(70)의 외부로 절곡 연장된 결합부(174)를 포함한다. 탄성브래킷(170)의 결합부(174)는 하우징(70)이 차체(1)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차체(1)로부터 하우징(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결합부(174)의 일단은 절곡 되어 있다. 차체(1)의 삽입공에 하우징(70)이 삽입되면 결합부(174)의 절곡된 일단은 차체(1)의 삽입공에 접촉하여 차체(1)에 대해 하우징(70)을 지지한다.
탄성브래킷(1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탄성결합부(76)와 대향 배치되어 1개가 하우징(70)에 결합된다. 그러나, 탄성브래킷(170)은 2개 이상이 하우징(70)에 결합되어 차체(1)와 하우징(7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패킹부재(190)는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에 마련되어, 차체(1)에 하우징(70)의 결합 시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를 밀봉한다. 전술한 실링부재(90)는 버턴개구(74)를 통해 이물질이 하우징(7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반면 패킹부재(190)는 하우징(70)과 차체(1)의 결합 시 하우징(70)과 차체(1)의 결합영역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패킹부재(190)의 재질은 고무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를 밀봉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의 조립 과정 및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버턴부재(30)의 누름부(34)와 지지부재(110)를 결합한다. 지지부재(110)의 안착부(112)에 실링부재(90)를 안착하고, 버턴부재(30)의 슬라이딩부(32) 하부에 버턴컨택터(50)를 결합한다.
그리고, 하우징(70)의 버턴개구(74)를 통해 지지부재(110), 실링부재(90) 및 버턴컨택터(50)가 결합된 버턴부재(30)를 하우징(70)과 결합한다. 버턴부재(30)와 소켓부재(130) 사이에 스프링(150)을 개재하고, 탄성브래킷(170)을 하우징(70)에 삽입한 후 하우징(70)과 소켓부재(130)를 결합한다. 버턴부재(30), 실링부재(90), 지지부재(110), 탄성브래킷(170) 및 소켓부재(130)가 결합된 하우징(70)과 차체(1)의 삽입공 사이에 패킹부재(190)를 개재하고 하우징(70)을 차체의 삽입공에 삽입시킨다.
이 때, 탄성브래킷(170)이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하우징(70)을 차체(1)의 삽입공에 삽입시킬 때는 하우징(70) 내측을 향해 오므라들고, 하우징(70)이 차체(1)의 삽입공에 삽입된 후 탄력적으로 전개되면 차체(1)의 삽입공에 탄성브래킷(170) 의 결합부(174) 일단이 접촉되어 하우징(70)이 차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소켓부재(130)의 접속단자(136)를 전기적으로 제어부와 연결한다.
한편, 도어스위치(10)가 차체(1)에 결합된 후 도어를 폐쇄하면 버턴부재(30)는 도어와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7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실링부재(90)는 버턴부재(30)의 이동과 관계없이 지지부재(110)에 의해 버턴개구(74) 하부에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가 개방되면 외부로 노출된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에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34)는 하우징(7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버턴컨택터(50)와 소켓컨택터(134)는 접속되어 접속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상태로 인지하여 도어 개방상태를 알려주는 것과 같이 도어의 개방에 따른 다양한 인식 신호를 승객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도어가 개방되면 유입될 수 있는 빗물과 같은 이물질은 하우징(70)과 차체(1) 사이에 개재된 패킹부재(190)에 의해 차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 - Ⅲ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탄성브래킷을 결합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차체에 결합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 Ⅵ 절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30 : 버턴부재
32 : 슬라이딩부 34 : 누름부
70 : 하우징 74 : 버턴개구
90 : 실링부재 92 : 실링부재몸체
94 : 그루브 96 : 밀봉부
110 : 지지부재 130 : 소켓부재
170 : 탄성브래킷 190 : 패킹부재

Claims (5)

  1. 차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누름부를 갖는 버턴부재와;
    상기 누름부가 노출되는 버턴개구를 가지고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버턴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버턴개구와 상기 누름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밀봉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소켓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누름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 및 폭을 가진 그루브가 형성된 실링부재몸체와, 상기 실링부재몸체로부터 상기 누름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체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절곡 연장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차체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차체에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1020070098802A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10087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02A KR100878902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PCT/KR2007/005320 WO2009044957A1 (en) 2007-10-01 2007-10-26 Door switch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02A KR100878902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902B1 true KR100878902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802A KR100878902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8902B1 (ko)
WO (1) WO200904495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379A (en) 1979-06-28 1983-01-04 Disyuntor-Regulador A.S.D.,S.A. Multiple selective switch
US4698464A (en) * 1984-12-25 1987-10-06 Ichikoh Industries Limited Control switch for motor driven remote control mirror in vehicle
US6576855B2 (en) 2001-02-02 2003-06-10 Cole Hersee Co. Rocker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2833A (en) * 1982-10-15 1985-01-08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Door jamb switch
JPH08235960A (ja) * 1995-02-28 1996-09-13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用ドアスイッチ
JP2001035294A (ja) * 1999-07-15 2001-02-09 Tokai Rika Co Ltd ドア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379A (en) 1979-06-28 1983-01-04 Disyuntor-Regulador A.S.D.,S.A. Multiple selective switch
US4698464A (en) * 1984-12-25 1987-10-06 Ichikoh Industries Limited Control switch for motor driven remote control mirror in vehicle
US6576855B2 (en) 2001-02-02 2003-06-10 Cole Hersee Co. Rocke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4957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591A (en) Electrically heatable automobile window power-supply connector assembly
US20170159839A1 (en) SMA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ized Air Supply to an Air Cell in a Vehicle Seat
CN103584814B (zh) 洗碗机
US7564234B2 (en) Seat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 rail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a movable body detecting apparatus
KR20090060575A (ko)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KR100999966B1 (ko)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JP2013018403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0878902B1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US20140367234A1 (en) Dust and waterproof switch
CN104518357A (zh) 连接器
KR101799856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CN201364826Y (zh) 紧急断电开关
CN104271402A (zh) 杂物箱
US12048104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terminal to circuit substrate within case
US5642806A (en) Rocker actuated switch assembly
US9129764B2 (en) Switch device
KR20090014262A (ko) 감지식 수전
CN110299645A (zh) 防水连接器
KR101834946B1 (ko)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 버클용 스위치
KR20180044805A (ko) 푸시버튼 및/또는 구동 부재의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을 가진 전기 푸시버튼 스냅 스위치
CN116406975A (zh) 烹饪容器用装拆式把手
US20050189207A1 (en) Shaving head cleaner
KR100798337B1 (ko) 자동차용 도어 램프의 스위치
CN105702487A (zh) 电气按钮速动开关
US7679014B2 (en) Pressur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