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94B1 -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94B1
KR100878894B1 KR1020080054502A KR20080054502A KR100878894B1 KR 100878894 B1 KR100878894 B1 KR 100878894B1 KR 1020080054502 A KR1020080054502 A KR 1020080054502A KR 20080054502 A KR20080054502 A KR 20080054502A KR 100878894 B1 KR100878894 B1 KR 10087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ide rail
noise reduction
arm member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이승건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이상도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도,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filed Critical 이상도
Priority to KR102008005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6Lubricating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철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철로 레일과 평행하도록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안착되는 바닥판과, 슬라이드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로 레일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과, 도유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유수단을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절감될 뿐 아니라 고장율이 낮고 설치가 간편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철로, 소음저감장치, 슬라이드 레일, 바닥판, 소음저감재, 도유수단

Description

철로용 소음저감장치{NOISE DECREASING APPARATUS FOR RAILROAD}
본 발명은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철로 레일의 상부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함으로써 차륜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 레일 중 곡선지점을 열차가 진행할 때에는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어, 열차가 선회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열차가 쏠리게 된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한 열차의 쏠림은 당연히 레일상에 열차 차륜이 연접회전할 시에 레일과 차륜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마찰로 인해 귀에 거슬리는 심한 소음이 발생하고, 장시간이 지나면 차륜의 마모가 심하여 탈선 등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자주 차륜을 원래 형상대로 재생하기 위한 기계가공이 필요하고 그 결과로 차륜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경제적 손실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도 철로 레일의 곡선지점에 그리스와 같은 윤활유를 급유할 수 있도록 한 도유기가 일부에서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곡선 레일부위에 설치하여 차량이 지나갈때 이를 감지한 후, 레일에 직접 윤활유를 분사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레일에 직접 설치되는 종래의 도유기는 차량의 운행중 진동에 의해 손상이 잦고, 유지 보수시 사고의 위험성 때문에 레일로부터 도유기를 분리한 후 작업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주로 커브지점의 외측 레일 내측면의 마모와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내측 레일 상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에는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도유기는 브래킷 등으로 분사노즐을 레일에 고정시킨 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조건에 따라 급유지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고, 급유 구간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철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철로 레일과 평행하도록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안착되는 바닥판과, 슬라이드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로 레일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과, 도유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유수단을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비용과 시간이 절감될 뿐 아니라 고장율이 낮고 설치가 간편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철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철로 레일과 평행하도록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안착되는 바닥판, 슬라이드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로 레일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 및 도유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유수단을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유수단은 슬라이드 레일에 안착되고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한 아암부재, 및 아암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철로 레일의 상측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포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블록의 상측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아암부재의 일단은 회전축에 축결합되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되,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지지블록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암부재의 일단 저면에 고정되어, 아암부재에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아암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아암부재 스토퍼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수단은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랙기어와, 지지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고, 이송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의 왕복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바닥판의 양측에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닥판의 상측에 결합하되, 아암부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에 의하면, 철로 레일 상부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철로 레일 상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 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절감될 뿐 아니라 고장율이 낮고 설치가 간편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철로 레일에 고정하여 윤활유를 분사하는 종래의 도유기와는 달리, 철로 레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차량의 운행중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지 않고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종래의 고정식 도유기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로용 소음저감장치는, 철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소음저감재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일정 거리의 구간에 대한 도유작업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유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로용 소음저감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로 레일(800)과 평행하도록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210)이 안착되는 바닥판(200)과, 슬라이드 레일(2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로 레일(800)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300)과, 도유수단(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유수단(300)을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0)은 스틸 재질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레일(210)이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데, 이 슬라이드 레일(210)의 개수와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지지부(31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가능하고, 철로 레일(80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210)의 상측에 도유수단(300)이 설치되는데, 이 도유수단(300)은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로 레일(800)의 상측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도유수단(300)은 후술하는 이송수단(400)에 의해 왕복 이동하게 되며, 크게 지지부(310), 지지블록(320), 아암부재(330), 도포구(34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310)는 슬라이드 레일(2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레일(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홈이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슬라이드 레일(210)의 상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310)의 상측에는 육면체 형상의 지지블록(320)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지지블록(320)의 상단 중앙에 회전축(321)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321)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아암부재(330)의 일단이 축결합된다.
여기서 아암부재(330)는, 소음저감재 도포작업 전에는 슬라이드 레일(210)과 평행하게 원위치하고 있다가, 소음저감재 도포작업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슬라이드 레일(210)과 수직방향으로 전개되며, 작업 후에는 다시 안쪽(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재(330)는 원판형의 힌지부(331)와, 힌지부(331)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접촉부(332)와, 접촉부(332)의 일단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333)와, 연결부(333)의 일단에서 접촉부(33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작동부(334)로 나눌 수 있는데, 힌지부(331)는 회전축(321)에 축결합되어 아암부재(330)의 회전이 가능하게끔 하고, 접촉부(332)는 아암부재(330) 원위치시 후술하는 아암부재 스토퍼(500)와 접촉하여 아암부재(330)가 원위치될 수 있도록 힘을 받는 부분이며, 작동부(334)는 단부에 소음저감재 도포를 위한 도포구(340)가 구비되며 연결부(333)에 의해 접촉부(332)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21)의 외주면에는 토션스프링(335)이 설치되는데, 토션스프링(335)의 일단은 지지블록(320)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암부재(330)의 힌지부(331)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아암부재(330)는 토션스프링(3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항상 바깥쪽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아암부재(330)의 끝단에 구비되는 도포구(340)는 소음저감재를 철로 레일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단에 도포용 솔이 마련되거나 분사노즐이 형성될 수 있고, 소모된 소음저감재를 보충할 수 있도록 소음저감재 공급관(미도시)에 의해 철로 레일(800) 주변에 별도로 마련되는 소음저감재 저장탱크(미도시)에 연결되며, 소음저감재로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것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때, 소음저감재가 도포구(340)에 공급되는 것은 소음저감재 공급관이 연결된 체크밸브(341)가 압력에 의해 개방되면서 이루어지고, 이 체크밸브(341)는 소음저감재가 일정량 철로 레일에 도포되고 나면 스프링 자중에 의해 잔여량을 차단하게 되는데, 소음저감재 공급관에 가해지는 송출압력은, 철로 레일(800) 주변에 소음저감재 저장탱크와 함께 별도로 설치되고 차량 통과를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슬라이드 레일(210)의 일측에는 아암부재 스토퍼(500)가 설치되는데, 이 아암부재 스토퍼(50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하단은 바닥판(200)에 고정되고 상단은 슬라이드 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단부에는 원판형의 스토퍼부재(510)가 핀결합된다.
이 아암부재 스토퍼(500)는, 바깥쪽으로 90°회전하여 전개된 아암부재(330)가 다시 안쪽으로 90°회전하여 원위치 되게끔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이송수단(400)에 의해 지지부(310)가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전진한 후 다시 후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바깥쪽으로 전개된 아암부재(330)의 접촉부(332)가 스토퍼부재(510)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계속하여 지지부(310)와 아암부재(330)가 후진하면 접촉부(332)가 아암부재 스토퍼(500)에 밀려서 안쪽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토션스프링(335)에 의해, 아암부재(330)가 바깥쪽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복원력이 계속 가해지고 있고, 소음저감재 도포작업 전에는 접촉부(332)에 밀착된 아암부재 스토퍼(500)의 스토퍼부재(510)가 아암부재(330)의 회전을 막고 있다가, 지지부(310)가 전진하여 스토퍼부재(510)로부터 아암부재(330)가 이탈되면 아암부재(330)가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철로 레일(800)의 상측에 도포구(34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지지부(310)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면 접촉부(332)에 스토퍼부재(510)가 접촉되면서 아암부재(330)가 스토퍼부재(510)에 밀려 안쪽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되고, 토션스프링(335)이 비틀리면서 아암부재(33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수단(400)은 도유수단(300)을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랙기어(410)와 이송모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랙기어(410)는 슬라이드 레일(210)의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이송모터(420)는 지지블록(320)의 후단에 브래킷(421)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송모터(420)의 구동축에 피니언기어(422)가 결합되고, 이 피니언기어(422)는 랙기어(410)에 치합되는데, 이에 따라 이송모터(420)가 작동하여 피니언기어(422)가 정회전하면 지지블록(320)에 결합된 지지부(310)가 랙기어(410)를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송모터(420)가 역회전하면 피니언기어(422)가 역회전하면서 랙기어(410)를 따라 지지부(310)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310)가 전진하면 아암부재(330)가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전개되고, 소음저감재가 체크밸브(341)를 지나 도포구(340)를 통해 철로 레일(800)에 도포되며, 지지부(310)가 후진하여 원위치되면 체크밸브(341)내의 스프링 힘에 의해 잔여 압력을 차단하면서 소음저감재의 도포가 중지되고, 아암부재(330)가 안쪽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여기서, 지지부(310)의 전후 왕복이동의 시작은 철로 레일(800)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어 차량 통과를 감지하는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제어반(미도시)에 미리 입력된 딜레이 시간이 지난 후 시작되며, 바닥판(200)의 양측 즉, 랙기어(4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위치감지센서(620,630)로 지지부(31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하고 지지부(310)가 원위치되면서 왕복운동을 종료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랙기어(410) 일단에 설치된 시작위치감지센서(620)에 의해 지지부(310)의 이동이 조절되고, 소음저감재 공급관에 연결된 체크밸 브(341)가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소음저감재가 도포구(340)를 통해 철로 레일(800)에 도포되며, 랙기어(410) 타단에 설치된 리턴위치감지센서(630)가 지지부(310)를 감지하면 이송모터(420)를 역회전시켜 지지부(310)를 슬라이드 레일(210)과 랙기어(410)를 따라 후진시키고, 이어서 시작위치감지센서(620)가 지지부(310)를 감지하면 이송모터(420)가 정지되면서 지지부(310)가 원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랙기어(410)의 양단에는 브래킷(610)에 의해 바닥판(200)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600)를 설치하여, 도유수단(300)의 왕복이동시 슬라이드 레일(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송모터(420)와 위치감지센서(620,630)에 연결된 전원선(640)이 지지부(310)와 함께 이동하면서 꼬이거나 다른 부품의 고장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 형태의 배선정리구(650) 내부를 전원선(640)이 통과하여 이송모터(420) 등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선정리구(650)는 일단이 바닥판(20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부(310)의 일측에 브래킷(651)에 의해 결합되며, 체인 형태로서 상하 굴곡지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지지부(3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변형되고, 내부에 삽입된 전원선(640)은 이 배선정리구(650)에 의해 꼬임이나 다른 부품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한편,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닥판(200), 도유수단(300) 및 이송수단(400)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700)을 마련하여, 바닥판(200)의 상측에 결합함으로써, 이들이 비나 바람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하우징(700)은 내부에 바닥판(20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아암부재(330)가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홈(7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절개홈(710)을 통해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7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홈(710)의 상부에 커튼(720)을 부착하여 절개홈(710)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커튼(720)은 아암부재(330)의 움직임에 따라 부드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철로용 소음저감장치(100)가 설치된 철로 레일(800) 구간을 차량이 통과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딜레이 시간이 지난 후에 철로용 소음저감장치(100)의 작동이 개시되는데 이때, 차량 통과를 감지하는 장치는 철로 레일(800)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며 소음저감재 저장탱크로부터 소음저감재 공급관을 통해 소음저감재가 송출된다.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 이송모터(420)가 구동되면서 피니언기어(422)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422)는 랙기어(410)를 따라 회전하게 되며, 슬라이드 레일(210) 상에 장착되는 지지부(310)가 전진이동하게 된다.
이후, 아암부재 스토퍼(500)의 스토퍼부재(510)로부터 아암부재(330)의 접촉부(332)가 이탈하면서, 토션스프링(3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아암부재(330)가 바깥쪽으로 90°회전하여 전개된다.
이때, 시작위치감지센서(620)가 지지부(31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며, 소음저감재 저장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소음저감재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341)가 개방되어, 소음저감재 공급관을 통해 아암부재(330) 끝단에 연결된 도포구(340)로부터 소음저감재가 철로 레일(800)의 상측에 도포된다.
아암부재(330)가 전개된 상태에서 철로 레일(800)을 따라 지지부(310)가 계속 전진하다가, 리턴위치감지센서(630)가 지지부(310)를 감지하면서 이송모터(420)가 역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422)가 역회전하면서 지지부(310)는 랙기어(410)와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어서, 시작위치감지센서(620)가 지지부(310)의 이동을 감지하면 이송모터(420)가 작동을 종료하고, 아암부재(330)의 접촉부(332)가 스토퍼부재(510)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서 원위치로 접히게 되며, 이송모터(420)의 회전이 정지되어 소음저감재의 도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유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로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200 : 바닥판
210 : 슬라이드 레일 300 : 도유수단
310 : 지지부 320 : 지지블록
321 : 회전축 330 : 아암부재
335 : 토션스프링 340 : 도포구
400 : 이송수단 410 : 랙기어
420 : 이송모터 422 : 피니언기어
500 : 아암부재 스토퍼 600 : 이탈방지부재
620 : 시작위치감지센서 630 : 리턴위치감지센서
640 : 전원선 650 : 배선정리구
700 : 하우징 710 : 절개홈
720 : 커튼 800 : 철로 레일

Claims (7)

  1. 철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철로 레일과 평행하도록 일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철로 레일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 및
    상기 도유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유수단을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도유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안착되고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한 아암부재, 및 상기 아암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철로 레일의 상측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포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아암부재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상측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아암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암부재의 일단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아암부재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함으로써, 상기 이송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왕복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결합하되, 상기 아암부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KR1020080054502A 2008-06-11 2008-06-11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KR10087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02A KR100878894B1 (ko) 2008-06-11 2008-06-11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02A KR100878894B1 (ko) 2008-06-11 2008-06-11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894B1 true KR100878894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502A KR100878894B1 (ko) 2008-06-11 2008-06-11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2699A (zh) * 2016-07-23 2016-10-12 中国包装和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双轨道岔
CN107355757A (zh) * 2016-11-14 2017-11-17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铁路照明夹持支架
KR101910590B1 (ko) * 2016-10-06 2018-10-22 와이에스플랜트 주식회사 레일 스토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93B1 (ko) * 2005-10-24 2006-06-30 주식회사 케이이엘 철도 레일용 코팅 윤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93B1 (ko) * 2005-10-24 2006-06-30 주식회사 케이이엘 철도 레일용 코팅 윤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2699A (zh) * 2016-07-23 2016-10-12 中国包装和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双轨道岔
KR101910590B1 (ko) * 2016-10-06 2018-10-22 와이에스플랜트 주식회사 레일 스토퍼 장치
CN107355757A (zh) * 2016-11-14 2017-11-17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铁路照明夹持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90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ly conveying wheeled vehicles
KR100878894B1 (ko) 철로용 소음저감장치
CN108360311B (zh) 一种齿轨铁路轮轨-齿轨过渡装置
KR100389588B1 (ko) 도유기
CN204624516U (zh) 一种积放式输送机积放机构
CN111041910A (zh) 一种用于老旧铁路轨道的除锈涂油装置
CN110374995A (zh) 一种双向式滑动导轨
TW201309521A (zh) 用於將軌條頭潤濕或潤滑的裝置
KR101100689B1 (ko) 열차의 차륜 도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륜 도유 시스템
US43423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ly conveying wheeled vehicles
KR100701511B1 (ko) 선로변환레일의 자동 급유장치
CN210140359U (zh) 一种电梯润滑用滴油润滑装置
EP1999000B1 (en) Lubricating device for railway rails
CN105197520B (zh) 一种柔性车身存储输送系统
KR101665785B1 (ko) 도유장치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CN210162083U (zh) 一种物料车的抛带伸缩机构
CN114321343A (zh) 一种齿轮自动注油润滑系统
CN218370105U (zh) 一种具有逆止功能的电动滚筒
RU2459734C1 (ru) Смазывающий стержень
CN105485321A (zh) 可适应变位的大齿轮周期性喷雾润滑装置及方法
DE10158905B4 (de) Bürsten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Transportbahnen
CN201981449U (zh) 一种曲尖轨自动涂油器
CN205371585U (zh) 可适应变位的大齿轮周期性喷雾润滑装置
KR200334709Y1 (ko) 컨베어벨트 크리닝장치
CN112441029B (zh) 设备支架组件和具有其的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