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285B1 -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285B1
KR100877285B1 KR1020070088582A KR20070088582A KR100877285B1 KR 100877285 B1 KR100877285 B1 KR 100877285B1 KR 1020070088582 A KR1020070088582 A KR 1020070088582A KR 20070088582 A KR20070088582 A KR 20070088582A KR 100877285 B1 KR100877285 B1 KR 10087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strip
supercritical
extrusion system
extrusion
molding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이효재
손세곤
김백진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적으로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이 가교에 의한 고무의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가 입력되는 단계; 유체의 성질과 기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 초임계유체(SCF : Supercritical Fluid)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와 상기 초임계유체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스(Dies)로 구성된 성형 압출기를 통해 성형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된 발포체가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이 가능한 TPV소재를 이용한 웨더스트립 제조로 인해 폐기물을 절감하고, 발포 소재개발로 인한 원료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단순화에 의한 노동력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원가절감에 의한 가격 경쟁력 확보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웨더스트립, 초미세발포, 초임계, 압출, 질소, 자동차, TPV

Description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 {Method and Weatherstrips for vehicle using SCF extrusion system }
본 발명은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와 초임계유체 제조장치로 구성된 초미세 압출발포 시스템을 통해 질소(N2)를 사용하여 TPV소재를 발포시켜 발포 웨더스트립류를 제조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고 경량화 및 난연성 등의 물성을 지니는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국의 경우, 용기 포장제에 대한 재활용에 관한 법안이 잇달아 시행되고 있고, 배출된 플라스틱 량의 감량화를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룸에 따라 소재개발에 대한 요구도 매우 커지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소재산업에 있어서 가장 큰 요구사항은 경량화 및 재활용이다.
차량용 웨더스트립(Weather strips)은 자동차용 부품으로서, 자동차 내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자동차 내부로의 먼지, 물, 기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자동차의 바디(Body)와 도어(Door) 등에 장착되어 차체 내/외부의 누수방지, 외부소음 등으로부터 기밀성을 부여하고 몸체의 진동이나 유리의 요동을 방지하여 몸체의 완충작용 등을 부여함으로써 자동차의 쾌적성과 안락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부품이다.
또한, 자동차의 방음, 방풍, 방수 등을 위하여 부착하는 웨더 스트립 소재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폴리메틸렌(이하 "EPDM"라 함) 경화고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에서 EPDM 경화고무로 제조된 웨더 스트립은 압출된 단면을 별도 가공 즉, 고무프레스를 이용하여 금형속으로 밀어넣은 후 가류를 시키는 복잡한 코너 및 말단부의 성형공정 등을 거쳐야 비로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미가류 특수 EPDM 배합물은 상온 점도 차이에 따른 프레스 가공성이 외부온도에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계절변화에 따른 성형성이 달라져 불량발생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고, 성형설비인 고무프레스는 점도가 높은 연고무를 압착, 삽입해야 하므로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여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또 형판의 이동속도가 느려 공수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EPDM 소재의 경우는 제반 물성이 양호하지만, 웨더스트립 제조 시 가교공정이 포함되어 생산 Line이 매우 길고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아울러, 소재를 가교시키기 때문에 재활용은 불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수명이 지난 EPDM의 처리비용이 지출되어 경제적인 손실과 소재 처리에 따른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소재산업의 경량화와 재활용 요구사항에 부합하고 경제적 손실 및 환경적인 문제의 해결이 가능한 웨더스트립 소재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지와 초임계유체(SCF)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Dies)로 구성된 압출기와 초임계유체 제조장치로 구성된 초미세 압출발포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웨더스트립 재료인 EPDM 대신 100% 환경친화적인 TPV 소재를 이용하여 초미세 발포 웨더스트립류(Hood seal, Door side, Body side, Trunk lid)를 제조함으로써, 100% 재활용이 용이하고 경량화 및 난연성 등의 물성을 지니는 차량용 웨더스트립류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과물인 웨더스트립의 외관 및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질소가스의 유입량과 압출기의 스크류 RPM 및 온도조건 등의 압출 성형조건과 다이(Dies 제작 및 다이 갭(Dies gap)의 조건설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열적으로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이 가교에 의한 고무의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가 입력되는 단계(S10); (b) 유체의 성질과 기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 초임계유체(SCF : Supercritical Fluid)가 입력되는 단계(S20); (c)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와 상기 초임계유체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스(Dies)로 구성된 성형 압출기를 통해 성형되는 단계(S30); 및 (d) 상기 성형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된 웨더스트립이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이 가능한 TPV소재를 이용하여 웨더스트립 제조로 인해 폐기물을 절감하고, 발포 소재개발로 인한 원료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단순화에 의한 노동력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원가절감에 의한 가격 경쟁력 확보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인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웨더스트립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초임계 압출 시스템은 압출기에 삽입되어 공정보다 다양한 온도범위에서 사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류공정이 불필요하여 원료 손실 및 금형 손상에 따른 바리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완전가류성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 10)소재와 상기 TPV 소재와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 SCF, 20)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시키도록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Dies)로 구성된 성형 압출기(30), 및 상기 성형 압출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성형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발포체가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압출용 헤드(40)를 통해 웨더스트립을 제조한다.
즉, 상기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초임계 압출 시스템은 압출기 호퍼로 TPV 소재가 투입되고, 중간에 질소N2(초임계유체)가 투입되어 완전히 믹싱되어 최종형상의 다이(Die)를 통과하면, 압출기내에서는 압력에 의해 발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대기압으로 노출되는 순간에 외부로 발포된다.
먼저, 완전가류성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 10) 소재는, 상기 압출장치에 삽입되어 공정보다 다양한 온도범위에서 사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류공정이 불필요하여 원료 손실 및 금형 손상에 따른 바리(burr) 발생을 감소시킨다.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 SCF, 20)는 임계 압력 및 임계 온도 이상의 조건을 갖는 상태에 있는 물질로 정의되며 일반적인 액체나 기체와는 다른 고유의 특성을 갖는다.
임계점(critical point)은 물질이 액체 또는 기체 상(phase)으로 평형(equilibrium)을 이루며 존재할 수 있는 한계점을 의미한다.
성형 압출기(30)는 상기 TPV 소재(10)와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 SCF, 20)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Dies)를 통하여 초미세 발포 웨더스트립을 제조한다.
상기 성형 압출기(3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크류와 배럴 사이의 가공 간극에서 중합체 물질을 하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배럴 내에 회전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압출기(30)의 하부에 압출용 헤드(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압출용 헤드(40)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구성 될 수 있으며, 다중 압출의 경우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2개의 압출기가 만나게 되는 다이스 부분에서 2가지 방향의 용융된 수지가 서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Y자 형태의 배열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용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용 헤드의 최종적으로 압출된 단면은 철심(46), TPV솔리드(45), TPV 발포(47) 3중으로 이루어지는데 헤드에서 상기에 언급한 철심(46), TPV솔리드(45), TPV 발포(47) 3중이 접촉되고, 헤드 상부 투입구에 TPV솔리드(45) 소재가 투입되고, 하부 투입구에 TPV 발포(47) 소재가 투입되며, 중심부 후면에 철심(46)이 투입 된다.
따라서, 철심(46)과 TPV 솔리드(45)가 접촉된 후, TPV발포(47)가 접촉되어 3중 압출이 된다.
성형 압출기와 다이(Die)가 장착되는 압출용 헤드(40)와의 연결 부위를 아답터(Adapter, 42)라고 하고, 아답터로부터 다이(Die)소재가 나오는 부분을 유동 경로(flow channel, 43)라고 한다.
상기 유동 경로(flow channel, 43)는 발포와 솔리드용 압출기가 서로 접촉하고, 초임계 상태의 질소가 유입이 되어 고압상태를 유지하며 압력강화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시스템 공정 중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Dies 설계 및 제작은 압력강화를 그대로 유지하여 최종 해압이 되면서 핵 생성 및 성장에 의해 발포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수지흐름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경로(flow channel, 43)를 아답터(adapter) 이후에 연결하여, 압력 강하 손실을 막아주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다이스 끝부분까지 연결되는 부분을 정밀하게 제작하여 제어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 갭의 간격과 직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다이 갭의 간격과 직경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갭(Die gap)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압력강하가 급격하게 이루어져 셀의 개수 증가 및 직경이 작아지고 균일해진다.
즉, 핵 생성사이트 발포 셀(Cell)이 많아지고, 핵 생성사이트 발포 셀(Cell)의 직경이 작아지며,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최종 다이(Dies)의 갭(gap)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질소공급장치의 질소를 초임계 상태로 도 1의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압력은 33.5 atm 이상, 온도는 -147℃상태로 유지 하여야 하고 이 상태의 질소 가스를 압출기 내의 미터링(Metering)과 믹싱(Mixing) 사이에 주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후드 씰(Hood seal) 웨더스트립의 최적 가공 조건은 압출기의 스크류 RPM은 30, 온도 조건은 170℃ ~ 180℃이다. 그리고 바디 사이드(Body Side), 트렁크 리드(Trunk Lid) 웨더스트립의 경우에는 압출기의 스크류 RPM은 10 ~ 50, 온도 조건은 150℃ ~ 190℃일 때 가장 이상적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전용 다이(Dies)의 트렁크 리드 구금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트렁크 리드 구금을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는 트렁크 리드(Trunk lid)는 'ㅡ' 형태로 형성되고, 도 4b와 같이 스틸(steel) 이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전용 다이의 바디 사이드 실(Body side seal)타입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상기 바디 사이드 실 타입을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바디 사이드 실(Body side seal)은 오메가 타입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스틸(steel)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은 'ㄷ'자 형태로 꺾어져서 자동차에 장착이 되어지지만, 압출 당시 모양은 후드 씰(Hood seal)의 형상과 거의 유사하다.
상기 오메가 타입의 형상은 세가지 영역으로 나뉘어지며, 첫째는 원형모양의 미세발포 부분, 스틸(Steel)을 포함하고 있는 솔리드(Solid) 부분, 및 스틸(Steel) 부분이므로 이러한 성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3가지 재질이 동시에 압출되는 3중 압출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6은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제조방법은 열적으 로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이 가교에 의한 고무의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가 입력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다음으로, 성형 압출기 내에 유체의 성질과 기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 초임계유체(SCF : Supercritical Fluid)가 입력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다음으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와 상기 초임계유체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스(Dies)로 구성된 성형 압출기를 통해 성형되고(S30), 상기 성형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된 웨더스트립이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물의 셀(Cell)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의 압출성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은 수지와 초임계유체(SCF)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Dies)로 구성된 압출기와 초임계유체 제조장치로 구성된 초미세 압출발포 시스템을 통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압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용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 갭의 간격과 직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상기 도 3a의 다이 갭의 간격과 직경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전용 다이(Dies)의 트렁크 리드 구금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상기 트렁크 리드 구금을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전용 다이의 바디 사이드 실(Body side seal)타입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상기 바디 사이드 실 타입을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물의 셀(Cell)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의 압출성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PV 소재 20 : SCF 유체
30 : 성형 압출기 40 : 압출용 헤드
42 : 유동 경로 43 : 아답터

Claims (4)

  1.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열적으로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이 가교에 의한 고무의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PV : thermo plastic vulcanizate)가 입력되는 단계(S10);
    (b) 유체의 성질과 기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 초임계유체(SCF : Supercritical Fluid)가 입력되는 단계(S20);
    (c)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와 상기 초임계유체를 균일하게 혼련 확산 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및 전용 다이스(Dies)로 구성된 성형 압출기를 통해 성형되는 단계(S30); 및
    (d) 상기 성형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된 웨더스트립이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성형 압출기의 하부에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2개의 압출기가 접촉되는 다이스 부분에서 용융된 수지가 서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Y자 형태의 압출용 헤드를 통해 압출되는 단계(S4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성형 압출기의 하부로 갈수록 발포 셀(Cell)의 양이 많아지고, 상기 발포 셀(Cell)의 직경이 작아지며, 상기 발포 셀(Cell)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최종 다이스(Dies)의 갭(gap) 간격이 작아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70088582A 2007-08-31 2007-08-31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KR10087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82A KR100877285B1 (ko) 2007-08-31 2007-08-31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82A KR100877285B1 (ko) 2007-08-31 2007-08-31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285B1 true KR100877285B1 (ko) 2009-01-07

Family

ID=4048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582A KR100877285B1 (ko) 2007-08-31 2007-08-31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88A (ko) 2017-09-22 201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장 범퍼용 웨더 스트립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웨더 스트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844B1 (ko) * 1997-12-29 2000-06-15 정몽규 웨더 스트립 코너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344980A (ja) 1999-06-09 2000-12-12 Mitsui Chemicals Inc ウエザーストリップスポンジ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8149A (ja) * 2002-03-20 2003-09-25 Nishikawa Rubber Co Ltd ウェザストリ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844B1 (ko) * 1997-12-29 2000-06-15 정몽규 웨더 스트립 코너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344980A (ja) 1999-06-09 2000-12-12 Mitsui Chemicals Inc ウエザーストリップスポンジ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8149A (ja) * 2002-03-20 2003-09-25 Nishikawa Rubber Co Ltd ウェザスト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88A (ko) 2017-09-22 201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장 범퍼용 웨더 스트립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웨더 스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8018A1 (en) Thermoplastic elastomeric foam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EP2374645B1 (en) Glass run channel, glass run chann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run channel
KR101272296B1 (ko) 창유리를 오버몰딩하기 위한 방법
CN102189919A (zh) 车门密封条
CN101481463A (zh) 硬质聚氯乙烯型材软硬共挤胶条的生产方法
CN101249793B (zh) 密封条及其制造方法
CN104476698A (zh) 一种废弃汽车塑料微孔发泡回收再利用方法
CN1986626A (zh) 一种抗堵塞橡塑渗灌管及其生产工艺
KR100877285B1 (ko)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CN107438506A (zh) 制造包括抗摇晃装置的由塑料材料制成的储箱的方法
KR100781691B1 (ko) 재활용 봉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90126540A (ko) 초임계 압출시스템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이용한웨더스트립 제조방법
CN103895202A (zh) 一种用物理发泡工艺一次性挤出成型生产xps装饰条异型材檐板的方法
CN102634110A (zh) 一种高流动性、耐永久变形性优异的热塑性弹性体pp专用料的制备方法
US20090246505A1 (en)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with cantilevered skin por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6039040B (zh) 一种塑料制品的挤压成型设备及其成型工艺
CN105623181A (zh) 一种儿童三轮车用免充气内胎及其制备方法
CN106079471A (zh) 硅胶热水袋的制备方法
CN114502350B (zh) 注射成型品
CN109027223A (zh) 高性能橡胶复合密封件及其制造方法
KR101779693B1 (ko) 글라스울을 보강제로 이용한 플라스틱부품 제조용 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2128758B1 (ko)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DE502004009055D1 (de) Spritzgussanlage und spritzgiessanlage mit einem mehrwellenextruder, insbesondere ringextruder
KR100842332B1 (ko) 자동차 도어창 및 고정창용 웨더스트립의 제작방법
KR20100079988A (ko)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실링 제품의 단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