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758B1 -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758B1
KR102128758B1 KR1020190046531A KR20190046531A KR102128758B1 KR 102128758 B1 KR102128758 B1 KR 102128758B1 KR 1020190046531 A KR1020190046531 A KR 1020190046531A KR 20190046531 A KR20190046531 A KR 20190046531A KR 102128758 B1 KR102128758 B1 KR 10212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gent
extrusion
weather strip
co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
박규식
김원수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고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4Extrusion nozzles or die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1Curv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4Door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는, 그립부와 튜브부를 가지며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복수 개의 압출 다이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그립부와 튜브부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부를 압출 다이에 형성하고 있는 다이 어셈블리와, ⅱ)다이 어셈블리에서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엔드 압출 다이의 압출부 측에 설치되며, 압출부를 통하여 액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유닛과, ⅲ)코팅제 도포유닛과 접촉되게 엔드 압출 다이에 장착되며, 슬립 코팅제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EXTRUDING DIE FOR MANUFACTURING WEATHER STRIP}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는 차량용 웨더 스트립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실링을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와 무빙 부품으로서의 도어, 트렁크 리드 또는 후드 사이에는 빗물이나 먼지 등이 차내, 트렁크 룸 또는 엔진 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기밀재(機密材) 또는 실링재로서의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을 채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웨더 스트립은 유연성을 지닌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정체로서의 차체에 대해 이동체인 도어, 트렁크 리드 및 후드 등을 개폐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차체와 도어, 트렁크 리드 또는 후드와의 틈새에 의한 외부 공기나 소음의 유입 차단 및 흡출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적인 웨더 스트립의 제조 방법은 압출 설비의 말단에 금형 다이를 설치하고, 그 금형 다이를 통해 고무 재료를 압출시킴으로써, 설정된 단면 형상을 지닌 웨더 스트립을 제조하고 있다.
한편, 차체의 도어 대응하여 바디 측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인너 도어 오프닝 웨더 스트립"이라고도 하며, "바디 사이드 웨더 스트립"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편의 상 "바디 웨더 스트립"이라고 한다.
차량용 바디 웨더 스트립은 바디의 사이드 오픈 구간 전 둘레에 장착되며, 도어가 닫힐 경우에 그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된다. 이러한 바디 웨더 스트립은 일 예로서, 실 립과 핀들을 가지며 바디에 고정되는 본체, 기저부, 솔리드부 또는 캐리어로서의 그립부와, 그립부와 연결되는 실링부 또는 스폰지부로서의 튜브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튜브부는 내부에 기공(발포 셀)을 형성하고 있는 스폰지 형태로서, 바디의 사이드 오픈 구간으로 노출되며, 도어의 닫힘 시에 그 도어와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 사이의 실링 기능을 수행하는 바, 방수성, 방진성, 방음성 및 도어 개폐 시의 완충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에서 바디 웨더 스트립의 튜브부는 내구 성능이 매우 열세하기도 하며, 탑승자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표면에서의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튜브부의 표면에 액상의 유성 코팅제를 도포하여 그 튜브부 표면의 내 마모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에서의 유성 코팅제는 극한 지역에서 차량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튜브부의 표면이 얼지 않도록 하는 동결 방지의 기능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성 코팅제는 기준 폴리머로서 슬립성과 내한성이 비교적 우수한 실리콘 수지와, 내구성이 비교적 우수한 우레탄 수지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튜브부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튜브부에서의 유성 코팅제 휘발, 탑승자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한 튜브부 표면에서의 유성 코팅제 마모 등으로 튜브부의 손상 또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바디 웨더 스트립의 기능적 저하를 유발하는데, 이러한 웨더 스트립의 품질 저하는 필드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웨더 스트립 제조 분야에서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당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압출 금형 다이를 통해 고무 재료를 상기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의 웨더 스트립으로 압출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도포 챔버에서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통하여 액상의 유성 코팅제를 웨더 스트립의 튜브부 표면으로 도포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스프레이 도포 방식이라 함은 공기가 유성 코팅제와 함께 분사되면서 유성 코팅제 성분이 튜브부의 표면에 코팅되는 방식을 일컫는다.
이와 같이 에어 스프레이 방식으로 유성 코팅제를 웨더 스트립의 튜브부에 유성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한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유성 코팅제의 휘발 및 마모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성 코팅제의 분사량을 증대시키며 유성 코팅제의 코팅 두께를 증가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선 방식은 튜브부의 표면에 얼룩 등이 발생됨에 따라 감성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유성 코팅제의 코팅 두께를 증가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한 방식은 웨더 스트립의 압출 성형 이후에 에어 스프레이 방식으로 유성 코팅제를 튜브부에 도포함에 따라, 그 튜브부에 대한 유성 코팅제의 균일한 코팅 두께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튜브부의 표면에 코팅한 바디 웨더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금형 다이를 통해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동시 압출하며 튜브부에 코팅할 수 있도록 한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는, 그립부와 튜브부를 가지며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복수 개의 압출 다이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상기 그립부와 튜브부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부를 상기 압출 다이에 형성하고 있는 다이 어셈블리와, ⅱ)상기 다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엔드 압출 다이의 압출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를 통하여 액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유닛과, ⅲ)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접촉되게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립 코팅제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 어셈블리는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히팅유닛에 의해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에서 상기 슬립 코팅제는 상기 히팅유닛에 의해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폴리메틸렌(EPDM)과 폴리프로필렌(PP)를 혼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Vulcanizates Elastomer)에 실리콘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첨가한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압출과 동시에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 압출 다이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상기 압출부를 상기 장착 홈의 내측에 두고 상기 압출부를 관통하며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압출부와 연결되는 코팅제 유동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장착되는 유로부재와,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연결되는 코팅제 주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압출부를 지지하는 관통 지지 면을 가지며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에서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압출부로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의 노즐 면을 상기 압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코팅제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에 랜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코팅제 노즐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며, 설정된 압력으로 유입하는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코팅제 노즐부로 분산하는 코팅제 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체결되는 플랜지부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는 상기 코팅제 주입부와 연결되는 홈 형태로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코팅제 노즐부의 노즐 면과 설정된 유격을 두고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상기 압출부를 연결하는 코팅제 노즐 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노즐 단은 상기 압출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장착 홈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분의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가장자리 부분의 체결 단을 통하여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유로부재와 커버부재를 상호 체결한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를 통하여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와 커버부재는 황동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상호 접촉되게 구비되고, 가장자리 부분의 내측에 수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 홈에 장착되며,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링 하는 히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에 의해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설정된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는, 그립부와 튜브부를 가지며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복수 개의 압출 다이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상기 그립부와 튜브부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부를 상기 압출 다이에 형성하고 있는 다이 어셈블리와, ⅱ)상기 다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엔드 압출 다이의 압출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를 통하여 액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유닛과, ⅲ)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접촉되게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립 코팅제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유닛과, ⅳ)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 사이 및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히팅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열 차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구비된 장착 홈에 장착되며, 상기 압출부와 연결되는 코팅제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부재와,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연결되는 코팅제 주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커버부재 보다 더 넓은 면적을 지니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호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출 다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된 수용 홈에 수용되며,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링 하는 히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유닛은 상기 장착 홈의 바닥 면과 상기 유로부재 사이 및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튜브부의 표면에 코팅한 바디 웨더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코팅층의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탑승자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한 코팅층의 마모 및 이로 인한 튜브부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다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코팅제 도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코팅제 도포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에 적용되는 실링재로서 고무 소재의 웨더 스트립을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더 스트립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에 대응하여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 웨더 스트립(1)은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어, 도어 프레임, 판넬, 도어 트림과 접촉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를 실링하고, 도어의 닫힘 시 그 도어와 차체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바디 웨더 스트립(1)은 유연성을 지닌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기저부 또는 캐리어부로서의 그립부(3)와, 내부 중공을 지닌 실링부 또는 스폰지부로서의 튜브부(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그립부(3)는 차체 부위별 다양한 플랜지 형상에 대해 삽입성 및 탈거 방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질 고무소재의 솔리드 구조서, 실 립(4a)과 핀(4b)들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 립(4a)은 차체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그 플랜지와의 틈새를 마감하며, 플랜지를 타고 들어오는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4b)은 플랜지에 대한 그립부(3)의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5)는 도어와 차체 사이의 실링 기능 외에 방수성, 방진성 및 방음성을 지니며 도어 개폐 시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데, 내부 기공을 지닌 연질 고무 소재의 발포 스폰지로 구비된다. 상기 튜브부(5)는 내부 중공을 지닌 튜브 형태로 그립부(3)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 웨더 스트립(1)에서 그립부(3)에는 심금(7)(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코어, 코어 바, 철심, 심재, 보강심, 보강재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도 명명되고 있다)이 내재되는데, 이러한 심금(7)은 그립부(3)를 보강하며, 그 그립부(3)에 그립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부재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심금(7)은 설정된 길이의 금속 박판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설정된 형상으로 연속 타발하고, 그 연속 타발체를 그립부(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고무 재료의 압출 경로로 그 고무 재료와 함께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그립부(3) 및 튜브부(5)를 포함하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구성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바디 장착형 웨더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설정된 압출 경로를 따라 배치되면서 그 압출 경로를 통해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그립부(3: 이하 도 1 참조)와 튜브부(5: 이하 도 1 참조)를 포함하는 바디 웨더 스트립(1: 이하 도 1 참조)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한 바와 같은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제조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스폰지부로서의 튜브부를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고무 시일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정된 압출 경로는 통상 공정라인에서의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기 압출 금형 장치(100)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하기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압출 금형 장치(100)의 장착 상태 등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계(이하에서는 편의 상 "TP계"라고 한다)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코팅한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제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TP계 슬립 코팅제(9a)를 동시 압출하며 튜브부(5)에 코팅할 수 있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를 제공한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탑승자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한 내 마모성 및 내구성을 보강하면서 고 슬립성과 슬라이딩 성능을 지닌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Plastic: TP) 계열의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코팅하여 그 표면에 슬립 코팅제(9a)의 코팅층(9)을 형성하고 있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고무 재료를 투입하여 일체화 된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압출과 동시에 그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하며 코팅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고무 재료의 압출 경로를 따라 심금(7)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그 고무 재료와 심금(7)을 함께 압착 및 압출하면서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는 다이 어셈블리(10), 코팅제 도포유닛(30), 히팅유닛(50), 그리고 열 차단유닛(7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이 어셈블리(10)는 설정된 압출 경로를 따라 투입하고 그 투입된 고무 재료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압출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그립부(3)와 튜브부(5)를 포함하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구성 요소들은 다이 어셈블리(10)에 설치되는 바, 다이 어셈블리(10)는 이들 구성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블록, 리브, 돌기, 홈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종 부속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구성 요소들을 다이 어셈블리(1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다이 어셈블리(10)로 통칭한다.
상기 다이 어셈블리(10)는 복수 개의 압출 다이(11, 12, 13)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것으로서, 그 압출 다이(11, 12, 13)들은 원반 형태의 다이로 구비되며, 고무 재료의 투입 측에서 최종 압출 측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압출 다이(11, 12, 13)들은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적층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무 재료 투입 측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를 리드 압출 다이(11)라 하고, 고무 재료의 최종 압출 측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를 엔드 압출 다이(13)라 하며, 리드 압출 다이(11)와 엔드 압출 다이(13) 사이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를 미들 압출 다이(12)라고 한다.
상기에서 엔드 압출 다이(13)에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홀 형태의 압출부(15)를 형성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에 적용되는 다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압출 다이(11)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최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정 높이를 지닌 원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리드 압출 다이(11)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에 대응하는 경질 고무 재료를 미들 압출 다이(12)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부(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안내부(21)는 열이 부가된 상태로 스크류를 통해 토출되는 고무 재료를 미들 압출 다이(1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부(21)는 리드 압출 다이(11)의 하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안내부(21)는 리드 압출 다이(11) 하면의 입구 단으로부터 미들 압출 다이(12) 측으로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 면을 형성하며, 리드 압출 다이(11)의 상면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내부(21)의 안내 면은 테이퍼 가공을 통해 입구 단으로부터 리드 압출 다이(11)의 상면으로부터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안내부(21)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심금(7: 이하 도 1 참조)을 고무 재료의 압출 경로로 공급하기 위한 심금 공급 코어(17)가 설치된다. 상기 심금 공급 코어(17)는 리드 압출 다이(11)의 입구 단에서 제1 안내부(21)를 관통하며, 안내 면과의 사이에 고무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압출 다이(12)는 리드 압출 다이(11)와 결합하는 것으로, 원반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미들 압출 다이(12)는 리드 압출 다이(11)의 제1 안내부(21)를 통해 안내되는 고무 재료를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로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부(2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들 압출 다이(12)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의 튜브부(5)에 대응하는 연질 고무 재료로서의 발포 스폰지를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로 안내하기 위한 제3 안내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안내부(22)는 리드 압출 다이(11)의 제1 안내부(21)와 연결되며, 미들 압출 다이(12)의 하면에서 개방되고,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와 연결되는 통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안내부(22)는 제1 안내부(21)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안내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 안내부(22)에는 심금 공급 코어(17)의 단부(도면에서의 상단부)가 위치하며, 그 단부와 안내 면과의 사이에는 고무 유입 통로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미들 압출 다이(12)는 튜브부(5)에서의 내부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안내부(22)와 별개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성형 돌기부(2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3 안내부(23)는 열이 부가된 상태로 토출되는 발포 스폰지 타입의 연질 고무 재료를 성형 돌기부(25)를 통해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3 안내부(23)는 리드 압출 다이(11)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안내 홈(24)과 연결되며, 미들 압출 다이(12)의 일정 원주 구간이 오픈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 그 오픈 구간 측에는 상기한 성형 돌기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엔드 압출 다이(13)는 미들 압출 다이(12)와 결합하는 것으로, 원반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엔드 압출 다이(1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압출부(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압출부(15)는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 제3 안내부(23) 및 성형 돌기부(25)와 연결된다.
상기 압출부(15)는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와 연결되는 제1 압출 홀(16)과,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3 안내부(23) 및 성형 돌기부(25)와 연결되는 제2 압출 홀(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압출 홀(16)은 리드 압출 다이(11)의 제1 안내부(21) 및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를 통해 유입되는 경질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를 성형한다. 이러한 제1 압출 홀(16)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심금 공급 코어(17)의 단부와 연결되며, 심금(7)이 내재된 그립부(3)를 압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출 홀(18)은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3 안내부(23) 및 성형 돌기부(25)를 통하여 유입되는 연질 고무 재료의 발포 스폰지를 압출하며, 바디 웨더 스트립(1)의 튜브부(5)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출 홀(18)은 엔드 압출 다이(13)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 형상의 돌기 결합부(19)를 통해 형성되는 바, 돌기 결합부(19)에 미들 압출 다이(12)의 성형 돌기부(25)가 암수 식으로 끼워지면서 그 돌기 결합부(19)와 성형 돌기부(25) 사이의 틈새(유격)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압출 홀(18)은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3 안내부(23)를 통해 돌기 결합부(19)와 성형 돌기부(25)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유입되는 연질 고무 재료의 발포 스폰지를 압출하며, 내부 중공을 지닌 튜브부(5)를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이 어셈블리(10)의 구성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바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다이 조립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이 어셈블리(10)는 열이 부가된 상태의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그립부(3)와 튜브부(5)를 포함하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이 어셈블리(10)는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고무 재료에 열을 인가한 상태로 그 고무 재료를 압출하면서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성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다이 어셈블리(10)에서 엔드 압출 다이(13)의 제2 압출 홀(18)을 통해 튜브부(5)를 압출시킴과 동시에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갖는 액상의 TP계 슬립 코팅제(9a)를 제2 압출 홀(18)을 통해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하며 코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TP계 슬립 코팅제(9a)를 동시 압출하며, 튜브부(5)의 표면에 슬립 코팅제(9a)의 코팅층(9: 이하 도 1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TP계 슬립 코팅제(9a)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폴리메틸렌(EPDM)과 폴리프로필렌(PP)를 혼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Vulcanizates Elastomer)에 실리콘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첨가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V라고 함)는 동적 가교된 EPDM과 열가소성 수지인 PP의 물리적 결합(비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EPDM과 PP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아크릴 수지를 첨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리콘 수지는 튜브부(5)의 코팅층(9)에 대한 고 슬립성과 슬라이딩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첨가된 것이다.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다이 어셈블리(10)의 엔드 압출 다이(13)에서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 측에 설치된다.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펠릿 형태에서 가온된 스크류를 통해 1차적으로 용융된 슬립 코팅제(9a)를 코팅제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엔드 압출 다이(13)에서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 측에 형성된 장착 홈(3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을 장착 홈(31)의 내측에 두고 그 압출부(15)에서의 성형 돌기부(25)를 관통하며 그 성형 돌기부(25)와 일정 유격을 두고 장착 홈(3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의 유격은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을 통해 압출되면서 코팅제 도포유닛(30)에 의하여 슬립 코팅제(9a)의 코팅층(9)이 표면에 코팅된 튜브부(5)를 안내하는 통로로 구비된다.
이러한 코팅제 도포유닛(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재(33)와 커버부재(35)를 포함하는 바, 유로부재(33)와 커버부재(35)를 상호 체결한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비된다.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에 장착되며, 커버부재(35)를 통하여 그 엔드 압출 다이(13)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부재(33)와 커버부재(35)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황동 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부재(33)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비되며,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에 장착된다. 상기 유로부재(33)는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과 연결되는 홈 형태의 코팅제 유동 통로(37)를 상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유로부재(33)는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을 형성하는 돌기 결합부(19)를 지지하면서 장착 홈(31)에 장착되는 바, 돌기 결합부(19)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돌기 결합부(19)의 외측 면을 지지하는 관통 지지 면(39)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부재(33)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커버부재(35)와 체결되는 플랜지부(41)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며, 그 플랜지부(41)의 내측으로 홈 형태의 코팅제 유동 통로(37)를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유로부재(33)는 코팅제 유동 통로(37)에서 슬립 코팅제(9a)를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로 유도하기 위한 코팅제 노즐부(4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코팅제 노즐부(43)는 코팅제 유동 통로(37)의 바닥에서 제2 압출 홀(18) 측의 돌기 결합부(19) 둘레를 따라 테이퍼 형상의 노즐 면(4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재(33)는 코팅제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설정된 압력으로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유입하는 슬립 코팅제(9a)를 코팅제 노즐부(43)로 분산하기 위한 코팅제 분산부(4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팅제 분산부(47)는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유입되는 슬립 코팅제(9a)의 주입 압력이 그 코팅제 유동 통로(37)에서 특정 구간에 편중되지 않고, 코팅제 유동 통로(37)의 전체 구간에 골고루 분산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코팅제 분산부(47)는 코팅제 유동 통로(37)의 바닥에서 랜드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코팅제 노즐부(43)와 별개로 그 코팅제 노즐부(43)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5)는 유로부재(33)의 코팅제 유동 통로(37)를 커버링 하는 것으로서, 그 코팅제 유동 통로(37)와 연결되는 코팅제 주입부(42)를 가지며 유로부재(33)의 상단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비된다. 상기 코팅제 주입부(42)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코팅제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5)는 가장자리 부분을 통해 유로부재(33)의 플랜지부(41)와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 부분의 체결 단(44)을 통하여 엔드 압출 다이(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단(44)은 볼트와 같은 공지 기술의 체결부재가 결합하는 체결 홀로 구비되고, 그 체결부재는 체결 단(44)에 결합되면서 엔드 압출 다이(13)에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35)는 가장자리 부분을 통해 유로부재(33)의 플랜지부(41)와 결합되면서 코팅제 노즐부(43)의 노즐 면(45)과 설정된 유격을 두고 코팅제 유동 통로(37)와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을 연결하는 코팅제 노즐 단(4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코팅제 노즐 단(46)은 압출부(15)에서의 성형 돌기부(25)가 유로부재(33)의 관통 지지 면(39)을 통하여 커버부재(35)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제 노즐 단(46)은 상기한 설정된 유격만큼 커버부재(35)를 성형 돌기부(2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커버부재(35)를 유로부재(33)의 플랜지부(41)와 결합함으로써,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유입된 슬립 코팅제(9a)를 상기한 유격을 통하여 제2 압출 홀(18)로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제 노즐 단(46)을 통하여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로 분사된 슬립 코팅제(9a)는 그 제2 압출 홀(18)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튜브부(5)의 표면으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에 장착되는 코팅제 도포유닛(30)에서 유로부재(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홈(31)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극(G1)을 두고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분의 플랜지부(41)를 통해 커버부재(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의 간극(G1)은, 장착 홈(31)의 깊이를 유로부재(33)의 두께보다 더 크게 설정하고, 커버부재(35)와 결합된 유로부재(33)를 장착 홈(31)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부재(35)를 엔드 압출 다이(13)에 체결함으로써, 유로부재(33)의 하면과 장착 홈(31)의 바닥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히팅유닛(50)은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유입된 슬립 코팅제(9a)에 열을 인가하며, 슬립 코팅제(9a)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히팅유닛(50)은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히팅하며,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이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온도를 160℃ 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슬립 코팅제(9a)의 주 성분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V)의 특성 상 160℃ 이상의 온도에서 흐름이 양호하며, 그 미만의 온도에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V)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상기 히팅유닛(50)은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코팅제 주입부(42)를 관통하며,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와 접촉되게 엔드 압출 다이(13)에 장착된다. 이러한 히팅유닛(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51), 히팅 플레이트(53) 및 히터 커버(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51)는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와 상호 접촉되게 구비되고, 엔드 압출 다이(13)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재(51)는 평판 형태의 케이스로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부재(51)는 상면 가장자리 부분의 내측에 수용 홈(57)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재(51)는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와 접촉된 상태로, 볼트와 같은 공지 기술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엔드 압출 다이(1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53)는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59)이 내장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51)의 수용 홈(57)에 장착된다. 상기한 열선(59)은 상호 분리 가능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열선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봉 또는 패드 형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 커버(55)는 베이스부재(51)의 상단에 체결되며, 히팅 플레이트(53)를 수용하는 베이스부재(51)의 수용 홈(57)을 커버링 하는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공지 기술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베이스부재(51)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히팅유닛(50)에서 베이스부재(51)는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 보다 넓은 면적을 지니며 그 커버부재(35)와 상호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베이스부재(5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에 의해 엔드 압출 다이(13)의 상면과 설정된 간극(G2)을 두고 그 엔드 압출 다이(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열 차단유닛(70)은 히팅유닛(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코팅제 도포유닛(30)에 집중적으로 인가되게 하고,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 차단유닛(70)은 히팅유닛(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다이 어셈블리(10)가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코팅제 도포유닛(30)이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케 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유닛(70)은 엔드 압출 다이(13)와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사이, 및 엔드 압출 다이(13)와 히팅유닛(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열 차단유닛(70)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 바닥 면과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유로부재(33) 사이의 설정된 간극(G1: 도 8 참조)과, 엔드 압출 다이(13)의 상면과 히팅유닛(50)의 베이스부재(51) 사이의 설정된 간극(G2: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간극(G1, G2)은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 바닥 면과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유로부재(33) 사이의 공간, 및 엔드 압출 다이(13)의 상면과 히팅유닛(50)의 베이스부재(51) 사이의 공간(공극)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간극(G1, G2)은 히팅유닛(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를 이용한 바디 웨더 스트립(1)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이 어셈블리(10)에 대하여 리드 압출 다이(11)의 제1 안내부(21)를 통해 심금 공급 코어(17)를 장착한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심금 공급 코어(17)의 심금 공급 통로는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를 통하여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의 제1 압출 홀(16)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심금 공급 코어(17)를 통한 심금(7)의 공급과 동시에, 제1 안내부(21)에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에 대응하는 경질 고무 재료를 설정된 압력으로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경질 고무 재료는 제1 안내부(21)의 안내 면과 심금 공급 코어(17) 사이의 고무 유입 통로를 통해 투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경질 고무 재료는 제1 안내부(21)를 통해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로 안내되며, 제2 안내부(22)의 안내 면과 심금 공급 코어(17) 단부 사이의 고무 유입 통로를 통하여 엔드 압출 다이(13)의 제1 압출 홀(16)로 유입된다.
상기한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3 안내부(23)에 발포 스폰지 타입의 연질 고무 재료를 설정된 압력으로 투입한다. 이에 상기 연질 고무 재료는 제3 안내부(23)를 통해 안내되며, 엔드 압출 다이(13)의 압출부(15)에서 제2 압출 홀(18)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연질 고무 재료는 제3 안내부(23)를 통하여 미들 압출 다이(12)의 성형 돌기부(25)와 그 성형 돌기부(25)가 관통하는 엔드 압출 다이(13)의 돌기 결합부(19) 사이의 유격인 제2 압출 홀(18)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리드 압출 다이(11)의 제1 안내부(21) 및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2 안내부(22)를 통해 유입되는 경질 고무 재료를 압출부(15)의 제1 압출 홀(16)을 통해 압출하며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를 성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미들 압출 다이(12)의 제3 안내부(23)를 통해 유입되는 연질 고무 재료의 발포 스폰지를 돌기 결합부(19)와 성형 돌기부(25) 사이의 제2 압출 홀(18)을 통해 압출하며, 내부 중공을 지닌 튜브부(5)를 그립부(3)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 어셈블리(10)는 대략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고무 재료에 열을 부가한 상태로 그 고무 재료를 압출하면서 바디 웨더 스트립(1)의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동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팅제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1차적으로 용융된 슬립 코팅제(9a)를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코팅제 주입부(42)로 공급한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팅유닛(50)의 히팅 플레이트(53)에 내장된 열선(59)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열선(59)에서의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열을 베이스부재(51)를 통하여 코팅제 도포유닛(30)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51)는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커버부재(35)와 접촉되어 있고,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유로부재(33)와 커버부재(35) 소재가 열 전도성이 우수한 황동 소재이기 때문에, 히팅유닛(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코팅제 도포유닛(30)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히팅유닛(50)은 코팅제 도포유닛(30)을 급속 가열하며,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을 160℃ 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코팅제 주입부(42)로 공급되는 슬립 코팅제(9a)를 유로부재(33)와 커버부재(35) 사이의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이 히팅유닛(50)에 의해 16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주입된 슬립 코팅제(9a)에 열을 인가하며, 그 슬립 코팅제(9a)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슬립 코팅제(9a)는 16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코팅제 도포유닛(30)의 코팅제 유동 통로(37)에서 코팅제 노즐부(43) 측으로의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팅유닛(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것을 열 차단유닛(70)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열 차단유닛(70)을 통하여 열을 코팅제 도포유닛(30)에 집중적으로 인가하며, 그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엔드 압출 다이(13)의 장착 홈(31) 바닥 면과 유로부재(33) 사이의 간극(G1) 및 엔드 압출 다이(13)의 상면과 베이스부재(51) 사이의 간극(G2)으로서, 히팅유닛(50)에서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해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팅유닛(50)에서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다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 함으로써, 다이 어셈블리(10)는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코팅제 도포유닛(30)은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팅제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설정된 압력으로 코팅제 유동 통로(37)로 유입된 슬립 코팅제(9a)를 코팅제 분산부(47)를 통해 코팅제 노즐부(43)로 분산시킬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팅제 유동 통로(37)에서 유동성을 지닌 슬립 코팅제(9a)가 코팅제 분산부(47)에 부딪히며, 특정 구간에 편중되지 않고, 코팅제 유동 통로(37)의 전체 구간에 골고루 분산됨에 따라, 슬립 코팅제(9a)의 압력 불균형으로 인해 슬립 코팅제(9a)가 특정 구간에서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후, 상기에서와 같이 코팅제 유동 통로(37)에서 코팅제 분산부(47)를 통해 분산된 슬립 코팅제(9a)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로부재(33)의 코팅제 노즐부(43)를 통해 압출부(15)의 제2 압출 홀(18)로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제 노즐부(43)는 코팅제 유동 통로(37)의 바닥에서 제2 압출 홀(18) 측의 돌기 결합부(19)를 둘러 싸는 테이퍼 형상의 노즐 면(45)을 통하여 슬립 코팅제(9a)를 제2 압출 홀(18)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35)의 코팅제 노즐 단(46)에 의해 코팅제 노즐부(43)의 노즐 면(45) 사이에 형성된 유격을 통하여 슬립 코팅제(9a)를 제2 압출 홀(18)로 분사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코팅제 노즐 단(46)을 통해 제2 압출 홀(18)로 분사되는 슬립 코팅제(9a)를 그 제2 압출 홀(18)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튜브부(5)의 표면으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이 어셈블리(10)를 통해 그립부(3)와 튜브부(5)를 포함하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 코팅제 도포유닛(30)을 통하여 튜브부(5)의 표면에 슬립 코팅제(9a)를 동시 압출(도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코팅)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5)의 표면에 슬립 코팅제(9a) 조성의 코팅층(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9)은 슬립 코팅제(9a)의 조성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폴리메틸렌(EPDM)의 탄성 특성,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고 내구성, 아크릴 수지의 접착성 및 실리콘 수지의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100)에 의하면, 다이 어셈블리(10)를 통하여 그립부(3)와 튜브부(5)를 압출 성형함과 동시에 액상의 TP계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압출)하여 코팅층(9)을 형성한 바디 웨더 스트립(1)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접착 성능이 우수하며,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지닌 TP계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코팅한 코팅층(9)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코팅층(9)은 종래 기술의 유성 코팅제(800~1200회의 마모 시 튜브부의 손상을 야기) 대비 3500~6200회의 마모 시 튜브부의 손상이 일어나는 내 마모성 및 내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종래 기술의 유성 코팅제(마찰계수: 0.809) 대비 0.434의 마찰계수를 지닌 고 슬립성 및 슬라이딩 성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팅층(9)의 내 마모성, 내구성 및 고 슬립성/슬라이딩 성능을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지속적인 튜브부(5) 접촉으로 인한 코팅층(9)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튜브부(5)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압출과 동시에 그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하며 코팅층(9)을 형성함에 따라, 코팅층(9)의 균일한 두께 유지 및 두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코팅층(9)의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코팅층(9)은 종래 기술의 유성 코팅제(1~3㎛ 두께) 대비 38~58㎛의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디 웨더 스트립의 압출 성형 이후에 별도의 도포 챔버에서 유성 코팅제를 에어 스프레이 방식으로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튜브부(5)의 압출과 동시에 슬립 코팅제(9a)를 튜브부(5)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디 웨더 스트립(1)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포 챔버의 삭제에 따른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 공정의 환경 문제와 스프레이 건의 막힘 등에 따른 지속적인 품질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바디 웨더 스트립 3: 그립부
4a: 실 립 4b: 핀
5: 튜브부 7: 심금
9: 코팅층 9a: 슬립 코팅제
10: 다이 어셈블리 11: 리드 압출 다이
12: 미들 압출 다이 13: 엔드 압출 다이
15: 압출부 16: 제1 압출 홀
17: 심금 공급 코어 18: 제2 압출 홀
19: 돌기 결합부 21: 제1 안내부
22: 제2 안내부 23: 제3 안내부
24: 안내 홈 25: 성형 돌기부
30: 코팅제 도포유닛 31: 장착 홈
33: 유로부재 35: 커버부재
37: 코팅제 유동 통로 39: 관통 지지 면
41: 플랜지부 42: 코팅제 주입부
43: 코팅제 노즐부 44: 체결 단
45: 노즐 면 46: 노즐 단
47: 코팅제 분산부 50: 히팅유닛
51: 베이스부재 53: 히팅 플레이트
55: 히터 커버 57: 수용 홈
59: 열선 70: 열 차단유닛
G1, G2: 간극 100: 압출 금형 장치

Claims (19)

  1. 그립부와 튜브부를 가지며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로서,
    복수 개의 압출 다이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상기 그립부와 튜브부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부를 상기 압출 다이에 형성하고 있는 다이 어셈블리;
    상기 다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엔드 압출 다이의 압출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를 통하여 액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유닛; 및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접촉되게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립 코팅제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 압출 다이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상기 압출부를 상기 장착 홈의 내측에 두고 상기 압출부를 관통하며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어셈블리는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히팅유닛에 의해 16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폴리메틸렌(EPDM)과 폴리프로필렌(PP)를 혼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Vulcanizates Elastomer)에 실리콘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첨가한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압출과 동시에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압출부와 연결되는 코팅제 유동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장착되는 유로부재와,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연결되는 코팅제 주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압출부를 지지하는 관통 지지 면을 가지며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에서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압출부로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의 노즐 면을 상기 압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코팅제 노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에 랜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코팅제 노즐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며, 설정된 압력으로 유입하는 상기 슬립 코팅제를 상기 코팅제 노즐부로 분산하는 코팅제 분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체결되는 플랜지부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며,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는 상기 코팅제 주입부와 연결되는 홈 형태로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코팅제 노즐부의 노즐 면과 설정된 유격을 두고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상기 압출부를 연결하는 코팅제 노즐 단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제 노즐 단은 상기 압출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장착 홈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분의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가장자리 부분의 체결 단을 통하여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유로부재와 커버부재를 상호 체결한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를 통하여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고정되고,
    상기 유로부재와 커버부재는 황동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상호 접촉되게 구비되고, 가장자리 부분의 내측에 수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 홈에 장착되며,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링 하는 히터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에 의해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설정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6. 그립부와 튜브부를 가지며 차체의 바디 사이드 오픈 구간에 장착되는 바디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로서,
    복수 개의 압출 다이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고무 재료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고무 재료를 압출하며 상기 그립부와 튜브부를 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부를 상기 압출 다이에 형성하고 있는 다이 어셈블리;
    상기 다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튜브부를 최종적으로 압출하는 엔드 압출 다이의 압출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를 통하여 액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TP)계 슬립 코팅제를 상기 튜브부의 표면에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유닛;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과 접촉되게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립 코팅제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유닛; 및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 사이 및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히팅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열 차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제 도포유닛은, 상기 엔드 압출 다이에 구비된 장착 홈에 장착되며 상기 압출부와 연결되는 코팅제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부재와, 상기 코팅제 유동 통로와 연결되는 코팅제 주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커버부재 보다 더 넓은 면적을 지니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호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출 다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된 수용 홈에 수용되며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링 하는 히터 커버를 포함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유닛은,
    상기 장착 홈의 바닥 면과 상기 유로부재 사이 및 상기 엔드 압출 다이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KR1020190046531A 2019-04-22 2019-04-22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KR10212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31A KR102128758B1 (ko) 2019-04-22 2019-04-22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31A KR102128758B1 (ko) 2019-04-22 2019-04-22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758B1 true KR102128758B1 (ko) 2020-07-02

Family

ID=7159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31A KR102128758B1 (ko) 2019-04-22 2019-04-22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1976A (zh) * 2023-07-31 2023-11-07 浙江吴越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层用挤塑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13A (ja) * 1993-02-26 1994-09-06 Tokai Kogyo Kk 押出成形品のコーティング膜成形装置
KR20030019901A (ko) * 2001-08-31 2003-03-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용도
JP2008044572A (ja) * 2006-08-21 2008-02-28 Toyoda Gosei Co Ltd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3547A (ja) * 2010-02-25 2011-09-08 Toyoda Gosei Co Ltd ウエ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KR101342690B1 (ko) * 2012-06-27 2013-12-17 유일고무 주식회사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13A (ja) * 1993-02-26 1994-09-06 Tokai Kogyo Kk 押出成形品のコーティング膜成形装置
KR20030019901A (ko) * 2001-08-31 2003-03-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용도
JP2008044572A (ja) * 2006-08-21 2008-02-28 Toyoda Gosei Co Ltd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3547A (ja) * 2010-02-25 2011-09-08 Toyoda Gosei Co Ltd ウエ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KR101342690B1 (ko) * 2012-06-27 2013-12-17 유일고무 주식회사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1976A (zh) * 2023-07-31 2023-11-07 浙江吴越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层用挤塑机
CN117001976B (zh) * 2023-07-31 2024-02-09 浙江吴越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层用挤塑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7820B1 (en) Seals for vehicles
CN101190651B (zh) 门洞装饰密封条
US6786007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weather strip
US8205391B2 (en) Automobile weather strip
US8765041B2 (en) Weather stri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60137255A1 (en) Weather strip for vehicle
US6119406A (en) Door trim panel assembly and plastic inner panel for use therein
US5267846A (en) Device for producing weather strip
KR102128758B1 (ko)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US7237359B2 (en) Glass run for motor vehicle
CN101249793B (zh) 密封条及其制造方法
JPH07503425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材料とエラストマー材料の共同加硫方法および装置
GB2260290A (en) Producing a weather strip
US6502832B2 (en) Automotive seal component for vehicle door
KR20030031002A (ko) 합성 스트립을 위한 팽창된 열가소성 표면층
US7758798B2 (en) Process for fabricating weatherseals
KR101814355B1 (ko) 장척체의 제조 방법
CA2527187C (en) Stuffer plug for automotive extrudate
KR102188401B1 (ko)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JP200205949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2005329728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KR100877285B1 (ko) 초임계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제조방법
JP2011194961A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6896A (ja) 自動車用シール部材
JP2000272350A (ja) 自動車用グラス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