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074B1 -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 Google Patents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074B1
KR100875074B1 KR1020060012084A KR20060012084A KR100875074B1 KR 100875074 B1 KR100875074 B1 KR 100875074B1 KR 1020060012084 A KR1020060012084 A KR 1020060012084A KR 20060012084 A KR20060012084 A KR 20060012084A KR 100875074 B1 KR100875074 B1 KR 10087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color toner
type organic
organic powder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704A (ko
Inventor
이형진
이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1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0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32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 G07F17/3234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about the performance of a gaming system, e.g. revenue, diagnosis of the gaming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 A63F2250/142Coin operated with pay-out or rewarding with a prize
    • A63F2250/144Dispensing a gift
    • A63F2250/146Dispensing a gift by issuing a winning ti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인더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에, a)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과; b)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와; c) 평균입경 50 내지 300 nm의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는 고대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전 균일성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화상특성을 보여준다.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 장기안정성, 보울 형의 유기분말,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

Description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Color Toner for Nonmagnetic One-Component Development Having Excellent Tribo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울 형 유기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의 전자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대전 분포가 좁고 고대전성을 가지며, 전사효율, 및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사진 등의 화상형성방법을 이용한 하드카피, 프린터 기술은 흑백에서부터 풀 칼라로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칼라 프린터의 경우는 시장이 급속하게 팽창하고 있다. 풀 칼라 전자사진법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은 일반적으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yellow)의 3 색의 칼라 토너, 또는 여기에 흑색(black)을 가한 4 색의 칼라 토너를 이용하여 모든 색을 재현한다.
이와 같이 급팽창하는 풀 칼라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고화질, 고신뢰성은 물론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화, 고속화, 더 나아가 저에너지화, 리사이클 등의 환경대응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기 위한 화상형성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토너의 개선과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1.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공정;
2. 드럼의 표면을 노광하고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공정;
3.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이용하여 드럼의 표면에 잠상을 현상하고 토너 화상을 얻는 현상 공정;
4. 해당 토너 화상을 피 전사재상에 전사하는 전사 공정;
5. 피 전사재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공정; 및
6. 상기 전사 공정에서 드럼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각 공정과 관련하여 토너에 요구되는 기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상 공정은 적합한 토너 대전량, 대전 유지성, 환경 안정성 등이 요구되고, 전사 공정은 양호한 전사 성능이 요구되고, 정착 공정은 저온 정착성, 내 옵셋(offset)성이 요구되며, 또한 클리닝 공정은 클리닝 성능, 내오염성 등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고화질화, 고속화, 칼라화의 촉진에 따라 위의 특성들이 점점 복잡하고도 복합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요구되는 특성들 중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프린트 중에도 장기적으로 화상이 변하지 않고, 특히 전사 공정에서 칼라 화상을 형성할 때 감광드럼에서 직접 4 색을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보다 정밀한 색재현성을 위하여 중간전사체를 이용하여 드럼 표면의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체에 칼라별로 중첩 전사한 후, 중간전사체에서 피 전사재에 전사하는 간접전사형 화상형성장치가 있는데, 이는 보다 고속 및 고화질의 실현가능성으로 인해 최근 풀 칼라 프린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고속화 추세에 발맞추어 각 칼라 별로 각각의 드럼을 가지도록 하며 고속 프린터에 적합한 탠덤 방식의 현상방식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접전사형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의 전사 단계 수의 증가로 인하여 대전부가 오염되기 쉽고, 이러한 오염에 의해서 정확한 전사성능을 나타내기가 어렵다.
탠덤 방식을 채용하는 고속 프린터의 경우에도 역시 전사벨트를 사용하는 간접전사의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어 위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있다.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안정된 고화질의 풀 칼라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안정된 대전성능을 위해 고대전성을 가지면서 감광드럼과의 부착(adhesion)을 줄임으로서 토너에서 종이로의 전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표면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클리닝 공정은 장치의 소형화, 저가격화뿐만 아니라, 환경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사 잔류 토너 양을 줄이고, 클리닝 장치를 축소해 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위의 전사 공정 및 클리닝 공정에 있어서 새로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고대전성을 유지하고 감광드럼과의 부착(adhesion)을 줄임으로서 대전특성의 저하를 막고, 고전사효율을 유지함으로써 현상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토너와 감광드럼 사이의 부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너에 실리카 등의 박리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실리카 미립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리카 미립자를 토너와 드럼 사이에 개재시켜 토너와 드럼의 부착력을 낮추어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 높은 전사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미립자에 의한 토너 표면의 피복율을 높게 설정해야 하며, 이에 따라 미립자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토너 대전성의 악화, 정전 잠상 담지체 등에 대한 미립자의 부착, 필밍(filming), 정착성 장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리카 입자는 환경의존성이 크기 때문에 저온 저습에서 화상농도 얼룩, 고온 고습에서 비화상부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토너 대전의 환경의존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실리카 입자에 비해 전기저항이 낮고, 전하 교환성이 좋은 산화티탄 등의 무기물 미립자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기저항이 낮은 무기물 미립자를 이용할 경우 토너의 전하분포가 변하기 쉽고, 중간전사체를 이용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시의 전사불량이나 풀 칼라 토너의 다중 전사 시에 역극성 토너의 재전사(retransfer)가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형 유기분말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구형 유기분말의 경우에는 그 자체의 대전 성능은 우수하나 토너 모입자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전체 토너 입자의 대전특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고 대전성을 가지는 구형 유기입자 분말들은 토너 모입자와 같은 대전특성을 가지므로 서로 반발력으로 떨어지기 쉽고 자유롭게 토너 입자와 혼합되어 있으면 오히려 대전 균일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유기 분말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토너의 전사에 있어서 대전 분포가 좁고, 고대전성을 가지며, 외첨제에 의한 오염이 적어서 장기에 걸쳐서 안정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정전하상 현상용 칼라토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토너 모입자의 표면에 보울 형의 유기분말을 사용하고,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를 코팅한 결과, 대전 분포가 좁고 고대전성이며, 외첨제에 의한 오염이 적고 장기신뢰성이 우수한 토너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구형 유기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기 쉬운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PCR이나 전사벨트의 오염 및 드럼 오염을 방지하고, 일반적인 구형 유기분말 사용 시에 비하여 보다 높은 대전특성을 가질 수 있는 칼라토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인더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에, a)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과; b)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와; c) 평균입경 50 내지 300 nm의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의 대전 거동은 토너 입자 표층에 나온 보울 형의 유기분말 및 그 유기분말을 둘러싼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고 대전성 및 대전 균일성을 유지하여 외첨제들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화상특성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의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는 보울 형(bowl type)의 유기분말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바인더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에, a)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과; b) 실리카 미분말과; c)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는, 그 평균입경이 최대 2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이다. 상기 평균입경이 3 ㎛ 보다 작으면 토너의 비상 현상이 현저해 지며, 상기 평균입경이 20 ㎛ 보다 크면 화상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는 상기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 0.3 내지 2.0 중량부;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 1.0 내지 4.0 중량부; 및 평균입경 50 내지 200 nm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0.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 상기 토너 모입자에 코팅되는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 분말 0.3 내지 2.0 중량부; 상기 토너 모입자에 코팅되는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토너 모입자에 코팅되는 평균입경 50 내지 200 nm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있어서, 상기 토너 모입자는 바인더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 아크릴산 메틸, 폴리 아크릴산 에틸, 폴리 아크릴산 부틸, 폴리 아크릴산 2-에틸 헥실, 또는 폴리 아크릴산 라우릴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 폴리 메타크릴산 부틸, 폴리 메타크릴산 헥실, 폴리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또는 폴리 메타크릴산 라우릴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폴리 초산 비닐, 폴리 프로피온산 비닐, 폴리 낙산 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및 그 공중합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타이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또는 스타이렌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스타이렌계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비닐 에테르계 수지; 폴리비닐 케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스타이렌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스타이렌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스타이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타이렌 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소 블랙, 자성분,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니구로신 염료, 아닐린 블루, 카르코일 블루, 크롬 옐로, 군청색 블루, 듀폰 오일 레드, 메틸렌 블루 염화물, 프탈로시아닌 블루, 램프 블랙, 로즈벤갈, C.I.안료·레드 48:1, C.I.안료·레드 48:4, C.I.안료·레드 122, C.I.안료·레드 57:1, C.I.안료·레드 257, C.I.안료·레드 296, C.I.안료·옐로 97, C.I.안료·옐로 12, C.I.안료·옐로 17, C.I.안료·옐로 14, C.I.안료·옐로 13, C.I.안료·옐로 16, C.I.안료·옐로 81, C.I.안료·옐로 126, C.I.안료·옐로 127, C.I.안료·블루 9, C.I.안료·블루 15, C.I.안료·블루 15:1, 또는 C.I.안료·블루 15: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너 모입자는 헥사메틸디실라잔, 디메틸 디클로로 실레인, 옥틸 트리 메톡시 실레인 등의 소수화 처리가 가해진 SiO2, TiO2, MgO, Al2O3, MnO, ZnO, Fe2O3, CaO, BaSO4, CeO2, K2O, Na2O, ZrO2, CaO·SiO, K2O·(TiO2)n(여기서, n은 정수) 또는 Al2O3·2SiO2 등의 무기물 산화물 미립자를 유동촉진제로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이형제 또는 전하조절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하조절제는 함크롬의 아조금속착체, 살리실산 금속 착화합물, 함크롬 유기염료, 또는 4급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이하에 설명될 실리카와 함께 토너 모입자에 코팅됨으로써 토너의 고대전성, 대전 유지성, 및 고색도 유지를 가능하게 하며, 안정적인 화상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상기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토너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너무 많은 보울 형의 유기분말에 의해서 표면 대전특성이 저하되므로, 오히려 배경오염이나 전사효율 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그 평균입경이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내지 0.8 ㎛인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울 형 유기분말의 평균 횡단 외경은 0.1 내지 1 ㎛이고, 그 평균 종단 높이는 0.05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토너 입자 표면에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울 형태 입자의 평균 횡단 내경은 0.03 내지 0.3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인 것이고, 그 평균 종단 높이는 0.02 ㎛ 내지는 0.3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빈공간이 너무 크게 되면 입자들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어 인쇄가 진행됨에 따라서 토너 모입자의 표면에서 부서지거나 이탈된 후에 부서지게 되어 현상 특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코팅 시에도 일부가 부서져서 원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코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는 토너의 유동성을 높여 토너가 층규제 부제로 빠르게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이로부터 토너의 블로킹(blocking)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울 형 유기분말과 함께 토너의 고대전성, 대전 유지성, 및 고색도 유지를 가능하게 하며, 안정적인 화상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는 상기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착(fixing)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 50 내지 200 nm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는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과 함께 토너 조성물에 첨가되어, 이산화티타늄 단독으로 첨가되는 경우보다 토너의 전하분포 및 전하 교환성을 개선 내지는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평균입경 50 내지 200 nm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는 상기 토 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표면 대전 특성의 저하를 보여주게 되며, 또한 이탈된 입자들이 대전부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기 쉽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는 그 평균입경이 50 내지 200 nm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입경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충분한 토너의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고 전사효율을 유지하면서 드럼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 유의적이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에 포함되는 상기 평균입경 0.3 내지 1.0 ㎛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고분자 구조를 가지며, 다음과 같은 단량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즉,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디메틸스타이렌, 에틸스타이렌, 페닐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헥실스타이렌, 옥틸스타이렌, 또는 노닐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류; 비닐클로라이드, 또는 비닐플루오라이드 등의 비닐 할라이드류;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벤조에이트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류;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산 유도체류;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1-디플루오르에틸렌,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의 디엔계 단량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스타이렌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화중합이나 분산중합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량체는 보울 형상의 미형성 유기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이다.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원하는 보울 형상을 얻기 어려우며, 그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하는 것 이외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미중합체가 발생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가) 상기한 여러 가지 단량체, 분자량 조절제, 및 전도성 고분자 등을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나)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넣고, 교반하며 반응시키는 제1차 반응 단계; 다) 상기 제1차 반응물을 분산제 용액과 혼합하고, 초고속 전단력 및 원심력을 가하며 반응시키는 제2차 반응 단계; 및 라) 상기 제2차 반응이 완료되기 전에 유기용매를 첨가하기 시작하여 계속 교반시키면서 상기 제2차 반응물에 원심력을 가하며 상기 제1차 반응물 부분을 녹여내는 제3차 반응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 라)에서, 제2차 반응이 완료되기 전이라 함은 일부 미리 반응이 완료된 입자들에 의해서 부가적인 반응이 진행되어 3차 반응 시에 1차 반응물 부분을 녹여내기 어려운 상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전히 반응이 완료되어 용액 상태를 만들기 전에 유기용매를 첨가하면서 교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에서 제1차 반응물 생성 후 제2차 반응이 완료되기 전에 제1차 반응물을 녹여낼 수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교반시키면서 제1차 반응물을 녹여내면 도 1에 예시적으로 보인 바와 같은 보울 형상의 유기분말 입자가 형성된다.
상기 제2차 반응물을 녹일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 입자는 유기 고분자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부터 중합되는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기 고분자 매트릭스 부분은 단량체들의 반응 중에 생성되는 부분들 중에 나중에 유기용매에 녹아 나오지 않는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a) i) 스타이렌, 모노클로로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및 디메틸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ⅱ)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ⅲ)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 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ⅳ)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가,
b) 디비닐벤젠, 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및 테트라알릴옥시에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크로스링킹제로부터 중합되는 유기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링킹제는 유기분말 입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울 형상의 유기분말의 크기 및 보울의 정도 등은 상기 단량체의 사용량, 및 분자량 조절제 및 분산제 등의 사용량에 따라 더욱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 가)에서 사용되는 분자량 조절제로는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 또는 t-헥사데실머캅탄 등을 1 종 이상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과량 사용은 분자량을 급격히 감소시켜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상기 단계 가)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페닐렌비닐렌계 고분자; 폴리아세탈계 고분자; 폴리티오펜계 고분자; 폴리파라페닐렌계 고분자; 폴리피롤계 고분자; 폴리아닐린계 고분자; 및 폴리이소티아나프텐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사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류를 흘려 대전 특성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단계 나)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로는 유용성 개시제와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록사이드, 라우로일퍼록사이드 등의 유기 퍼록사이드; 및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과 같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수용성 개시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단량체 1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단량체의 중합이 충분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울 형의 유기 입자 크기를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반응 개시제가 잔류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단계 다)에서 상기 유기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고 입자의 반응 매체 중의 분산을 안정적이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분산제로는 무기분산제로 인산 칼슘염, 마그네슘염, 친수성 실리카, 소수성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용성 유기고분자 분산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분산제는 수용액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분산 안정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 며, 상기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하는 것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유기고분자 분산제로는 비이온성 고분자 분산제와 이온성 고분자 분산제가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알킬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 황산에스테르염, 디알킬 설포숙신산염, 알킬 인산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액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고분자 분산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놀에테르, 소비탄지방산 에스테르,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비닐 알콜,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액 전체에 대하여 0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성 고분자 분산제로는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폴리비닐 아민 N-옥사이드, 폴리비닐 암모늄염, 폴리디알킬디알릴 암모늄염, 폴리아크릴산, 폴리스타이렌 설폰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스타이렌 설폰산염, 폴리아미노알킬 아크릴산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액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알킬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 황산에스테르염, 디알킬 설포숙신산염, 알킬 인산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액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보울 형의 유기 분말은 평균입경 5 내지 20 ㎚의 실리카 및 평균입경 50 내지 200 nm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와 함께 상기 토너 모입자에 코팅함으로써 고 대전성, 대전 유지성, 및 고색도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울 형의 유기 분말 및 실리카는 토너 모입자 표면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고 있어도 좋지만, 특히 헨셀믹서, 하이브리다이저 등의 기계적인 혼합 처리에 의해 토너 모입자 표면에 정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헨셀믹서를 사용하는 경우 팁 스피드 기준 10 m/sec 이상의 교반 속도가 필요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에 정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부착되기 위해서는 5 내지 10 kg/㎠의 고전단력을 필요로 하고, 고체 부착의 방지 및 구형화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교반속도가 팁 스피드 기준 10 m/sec 이상의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토너는 고 대전특성을 가짐으로써, 각종 외첨제 오염을 방지하고, 고색도를 가지는 고품질의 칼라토너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조예 1>
보울 형의 유기분말 입자 제조
스타이렌 단량체와 분자량 조절제인 t-도데실 머캡탄 그리고 폴리 아닐린계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만든 후에, 상기 혼합물을 회전수 10,000rpm 정도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중합 개시제를 넣고 교반시키면서 반응을 시킨 후에 30,000 rpm 이상의 초고속 전단력 및 원심력을 가하면서 이때 크로스링킹제를 첨가하면서 추가 반응을 진행 시킨다. 그러면, 이때 초고속의 전단력 및 원심력에 의해서 일차 반응물들이 표면으로 나오는데 부분적으로 크로스링킹이 덜된 부분으로 2차 반응물을 뚫고 터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입자들의 표면 중 한 부분은 1차 반응물이 나오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크로스링킹된 형태를 보여주게 된다. 물론, 이때 크로스링킹제를 첨가하기 전에 입자들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분산제를 사용하는데, 스타이렌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와 같은 무기 분산제를 사용하였는데, 그 양은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가 적절하다.
<제조예 2>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분말 제조
이상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분말은 DEGUSSA 제를 사용하였으며, 화염 가수 분해법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한 복합체를 사용하였다. 본 제조예에서는 일반적인 사염화 티타늄과 사염화 규소를 사용하지 않고, 규소 및 티타늄 할로겐화물을 사용하여 증발시킨 후, 이 증기를 운반 가스(Argon)와 혼합하여 버너에서 250 -7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1-1. 마젠타 토너 모입자 제조
폴리에스테르수지(분자량: 2.5 ×104) 92 중량부, 퀴나크리돈 Red 122 5 중량부, 4급 암모늄염 1 중량부,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2 중량부를 헨셀믹서로 혼합하였다. 이를 2축 용융 혼련에서 165 ℃의 온도로 용융 혼련하고, 제트밀 분쇄기로 미분쇄한 후, 풍력분급기에서 분급하여 체적 평균입경이 9.0 ㎛인 토너 모입자를 제조하였다.
1-2.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0.5 ㎛의 제조예 1의 보울 형의 유기 분말 0.5 중량부, 평균입경 7 ㎚의 실리카 2.5 중량부, 및 70 nm의 제조예 2의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 0.7 중량부를 상기 구형 유기분말과 함께 선속도 20 m/s로 5 분 동안 교반, 혼합하고 코팅하여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3>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제조하였다.
구분 bowl type 유기 분말 Silica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실시예 2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4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5 0.5 ㎛의 bowl type 유기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6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7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8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9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10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11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12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13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14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15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16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0.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17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18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19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20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0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1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22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3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24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7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5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16 nm의 Silica 1.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6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16 nm의 Silica 2.0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27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16 nm의 Silica 2.0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8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40 nm의 Silica 1.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29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40 nm의 Silica 2.0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30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40 nm의 Silica 3.0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1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40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32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16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3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16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34 0.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16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5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16 nm의 Silica 2.0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36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40 nm의 Silica 3.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7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5 wt% 40 nm의 Silica 2.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38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0.5 wt% 40 nm의 Silica 3.0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39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40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40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40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41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40 nm의 Silica 3.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실시예 42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16 nm의 Silica 1.5 wt% 1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4 wt%
실시예 43 1.0 ㎛의 bowl type 유기 분말 1.5 wt% 40 nm의 Silica 2.5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7 wt%
<비교예 1~47>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의 보울 형의 유기분말,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이산화규소 복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제조하였다.
구분 bowl type 유기 분말 Silica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비교예 1 × 7 nm의 Silica 2.0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5 wt%
비교예 2 × 16 nm의 Silica 2.0 wt% 7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0 wt%
비교예 3 × 7 nm의 Silica 2.0 wt% 14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5 wt%
비교예 4 × 16 nm의 Silica 2.0 wt% 14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0 wt%
비교예 5 × 7 nm의 Silica 2.0 wt% 2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5 wt%
비교예 6 × 16 nm의 Silica 2.0 wt% 2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0 wt%
비교예 7 × 40 nm의 Silica 2.0 wt% 2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0 wt%
비교예 8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9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40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10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16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11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12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13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14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15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16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16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17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18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19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20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40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21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22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23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24 0.1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0 wt% 50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25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26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27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28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29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30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16 nm의 Silica 3.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31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40 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32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40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33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0.1 wt% 50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34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35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36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37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7 nm의 Silica 2.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38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39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40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16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41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16 nm의 Silica 0.1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42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2.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43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5.0 wt% 2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44 2.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16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1 wt%
비교예 45 2.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16 nm의 Silica 5.0 wt% 50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3.0 wt%
비교예 46 2.5 ㎛의 bowl type 유기 분말 2.5 wt% 50 nm의 Silica 5.0 wt% 14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1.0 wt%
비교예 47 2 ㎛의 bowl type 유기 분말 3.0 wt% 16 nm의 Silica 5.0 wt% 250 nm의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복합체 0.5 wt%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3, 및 비교예 1 내지 47에서 제조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를 접촉식 현상기구로 구성된 시판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의 프린터(HP4600, Hewlett-Packard사)를 이용하여 상온, 상습(20 ℃, 55 % RH)의 조건에서 5,000 매까지 프린트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프린트 환경 조건에 따른 Q/M, 화상농도, 전사효율, 및 장기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1) Q/M (uC/g)
Q/M 미터기로 Trek사의 제품을 사용하여 프린트 중 각 1,000 매 마다 슬리브관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의 전하값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였다.
A : 20 uC/g 이상
B : 10~20 uC/g
C : 5~10 uC/g
D : 5 uC/g 이하
2) 화상농도(I.D)
솔리드(solid) 면적 화상을 맥베스 반사 농도계 RD918로 측정하였다.
A: 화상의 이미지 밀도가 1.4 이상
B: 화상의 이미지 밀도가 1.3 이상
C: 화상의 이미지 밀도가 1.2 이하
D: 화상의 이미지 밀도가 1.0 이하
3) 전사효율
상기 프린트한 5,000 매에 대하여 각 500 매 단위로 소모량에서 낭비량을 뺀 순 소모량을 계산하여 순수하게 종이로 전사된 토너의 %를 계산하였다.
A: 전사효율 80 % 이상
B: 전사효율 70∼80 %
C: 전사효율 60∼70 %
D: 전사효율 50∼60 %
4) 장기성
5,000 매까지 프린트하여 화상농도(I.D) 및 전사효율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였다.
A: 5,000 매까지 I.D. 1.4 이상, 전사효율 75 % 이상
B: 5,000 매까지 I.D. 1.3 이상, 전사효율 70 % 이상
C: 5,000 매까지 I.D. 1.2 이하, 전사효율 60 % 이상
D: 5,000 매까지 I.D. 1.0 이하, 전사효율 40 % 이상
이상과 같은 실험을 상온, 상습(20 ℃, 55 % RH) 조건에서 실시하여 그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Q/M 화상농도 전사효율 장기성 구분 Q/M 화상농도 전사효율 장기성
실시예 1 A B A A 비교예 1 D D D D
실시예 2 A B A A 비교예 2 D D D D
실시예 3 A A A A 비교예 3 D D D D
실시예 4 A A A A 비교예 4 D D D D
실시예 5 A A B A 비교예 5 D D D D
실시예 6 A A B A 비교예 6 D D D D
실시예 7 A A A A 비교예 7 D D D D
실시예 8 A B A A 비교예 8 C D D D
실시예 9 A A A A 비교예 9 D C D D
실시예 10 A A A A 비교예 10 D D D D
실시예 11 A B A A 비교예 11 D D C D
실시예 12 A A A B 비교예 12 D D D C
실시예 13 A A A A 비교예 13 D D D D
실시예 14 A A A A 비교예 14 D C D D
실시예 15 B A B A 비교예 15 D D D C
실시예 16 A A A A 비교예 16 D D D D
실시예 17 A A A A 비교예 17 D C C D
실시예 18 A B A A 비교예 18 D D D D
실시예 19 A A A B 비교예 19 D D D D
실시예 20 A A A A 비교예 20 D D C D
실시예 21 B A A A 비교예 21 D D D D
실시예 22 A A A A 비교예 22 C C D D
실시예 23 A A A B 비교예 23 D D D C
실시예 24 A A A A 비교예 24 D D D C
실시예 25 B A A A 비교예 25 D C C D
실시예 26 A A A A 비교예 26 D D D C
실시예 27 A B A A 비교예 27 D D D D
실시예 28 A A A A 비교예 28 D D D D
실시예 29 A A A A 비교예 29 D D D C
실시예 30 A B A A 비교예 30 D D D D
실시예 31 A A A A 비교예 31 D D D D
실시예 32 A B A A 비교예 32 D D D D
실시예 33 A A A A 비교예 33 D D D C
실시예 34 A A A A 비교예 34 D D D C
실시예 35 A B A A 비교예 35 C D D D
실시예 36 A A A A 비교예 36 D D D D
실시예 37 A A A A 비교예 37 C D D D
실시예 38 A A A A 비교예 38 D D D D
실시예 39 A A A A 비교예 39 D D C D
실시예 40 B A A A 비교예 40 D D C D
실시예 41 A A A A 비교예 41 D D D D
실시예 42 A A A A 비교예 42 D C D D
실시예 43 A A A A 비교예 43 C D D D
비교예 44 D C D D
비교예 45 D D D D
비교예 46 D D C D
비교예 47 D D D D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토너 모입자에 코팅되는 0.3-1.0 ㎛의 보울 형의 유기 분말, 실리카, 및 이산화 티탄/이산화규소 복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43은 비교예 1-47의 경우에 비해서 Q/M, 화상농도, 전사효율, 및 장기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는 보울 형의 유기 분말이 토너 모입자의 표면에서 고 대전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전체적으로 토너의 대전특성을 향상시키고 부분적으로 대전특성이 떨어지거나 과다한 대전특성을 가지는 입자들을 제어함으로써 대전 균일성을 향상시킨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 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는 높은 대전특성을 가지면서, 그 대전분포가 좁으며, 동시에 화상특성이 우수하고, 대전 유지성을 향상시켜 고 대전성을 유지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바인더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에, a) 직경이 0.1 내지 1 ㎛이고 그 높이가 0.05 내지 1 ㎛인 보울 형의 유기분말과; b)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와; c) 평균입경 50 내지 300 nm의 이산화티타늄 및 이산화규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토너는 평균입경이 최대 20 ㎛인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직경이 0.1 내지 1 ㎛이고 그 높이가 0.05 내지 1 ㎛인 보울 형의 유기분말 0.3 내지 2 중량부; 평균입경 5 내지 20 nm의 실리카 1 내지 4 중량부; 및 평균입경 50 내지 300 nm의 이산화티타늄 0.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스타이렌류, 비닐 할라이드류, 비닐에스테르류, 메타크릴레이트류, 아크릴산 유도체류, 아크릴레이트류, 및 디엔 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단량체의 중합체인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은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디메틸스타이렌, 에틸스타이렌, 페닐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헥실스타이렌, 옥틸스타이렌, 노닐스타이렌;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플루오라이드; 비닐아세테이트, 비닐벤조에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1-디플루오르에틸렌,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단량체의 중합체인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형의 유기분말이,
    제5항에 따른 단량체, 분자량 조절제, 및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넣고, 교반하며 반응시키는 제1차 반응 단계; 상기 제1차 반응물을 분산제 용액과 혼합하고, 초고속 전단력 및 원심력을 가하며 반응시키는 제2차 반응 단계; 및 상기 제2차 반응이 완료되기 전에 유기용매를 첨가하기 시작하여 계속 교반시키면서 상기 제2차 반응물에 원심력을 가하며 상기 제1차 반응물 부분을 녹여내는 제3차 반응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가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 및 t-헥사데실머캅탄 중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페닐렌비닐렌계 고분자; 폴리아세탈계 고분자; 폴리티오펜계 고분자; 폴리파라페닐렌계 고분자; 폴리피롤계 고분자; 폴리아닐린계 고분자; 및 폴리이소티아나프텐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디비닐벤젠, 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및 테트라알릴옥시에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크로스링킹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벤조일퍼록사이드, 라우로일퍼록사이드; 과황산칼륨, 및 과황산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가 실리카, 불용성 칼슘염 및 불용성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분산제; 지방산염, 알킬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 황산에스테르염, 디알킬 설포숙신산염, 알킬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놀에테르, 소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콜, 알킬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반응물을 녹일 수 있는 유기용매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스타이렌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스타이렌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스타이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타이렌 말레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가 니구로신 염료, 아닐린 블루, 카르코일 블루, 크롬 옐로, 군청색 블루, 듀폰 오일 레드, 메틸렌 블루 염화물, 프탈로시아닌 블루, 램프 블랙, 로즈벤갈, C.I.안료레드 48:1, C.I.안료레드 48:4, C.I.안료레드 122, C.I.안료레드 57:1, C.I.안료레드 257, C.I.안료레드 296, C.I.안료옐로 97, C.I.안료옐로 12, C.I.안료옐로 17, C.I.안료옐로 14, C.I.안료옐로 13, C.I.안료옐로 16, C.I.안료옐로 81, C.I.안료옐로 126, C.I.안료옐로 127, C.I.안료블루 9, C.I.안료블루 15, C.I.안료블루 15:1, 및 C.I.안료블루 15: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모입자는 무기물 산화물 미립자, 이형제 및 전하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KR1020060012084A 2006-02-08 2006-02-08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KR10087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84A KR100875074B1 (ko) 2006-02-08 2006-02-08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84A KR100875074B1 (ko) 2006-02-08 2006-02-08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704A KR20070080704A (ko) 2007-08-13
KR100875074B1 true KR100875074B1 (ko) 2008-12-18

Family

ID=3860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084A KR100875074B1 (ko) 2006-02-08 2006-02-08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0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623A (ja) 2000-11-28 2002-07-19 Xerox Corp トナー、プロセス及び潜像の現像プロセ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623A (ja) 2000-11-28 2002-07-19 Xerox Corp トナー、プロセス及び潜像の現像プロセ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704A (ko) 200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9339B2 (ja) 非磁性一成分系カラートナー
US805315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ner having good charging characteristics
JP4125777B2 (ja) 印刷品質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非磁性一成分系カラー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1046B1 (ko) 표면 개질에 의해 배경오염이 낮고 및 전사효율이 우수한비자성 일성분 칼라토너
KR100450233B1 (ko) 장기신뢰성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의제조방법
JPS6013168B2 (ja) 電子写真トナ−
KR100875074B1 (ko) 고대전성을 갖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KR100713780B1 (ko)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5197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659B1 (ko) 환경의존성이 적은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JPH1063035A (ja)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KR100446652B1 (ko)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의 제조방법
JP2009053712A (ja) 静電荷像現像用キャリア
KR101243715B1 (ko) 우수한 장기 안정성을 가지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및이의 제조방법
KR100635286B1 (ko) 저온현상 특성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JP2000003064A (ja) カラートナーによる画像形成方法
JPH06332264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KR100463173B1 (ko)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의 제조방법
KR101184965B1 (ko) 표면 개질에 의해 배경오염이 낮고 전사효율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 칼라토너의 제조방법
JP2010191218A (ja) トナー
JP2000089517A (ja) 正帯電性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45438A (zh) 静电图像显影用调色剂
JPH11338195A (ja) 正帯電性トナー
JPH11249332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H03424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