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750B1 -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750B1
KR100872750B1 KR1020070093610A KR20070093610A KR100872750B1 KR 100872750 B1 KR100872750 B1 KR 100872750B1 KR 1020070093610 A KR1020070093610 A KR 1020070093610A KR 20070093610 A KR20070093610 A KR 20070093610A KR 100872750 B1 KR100872750 B1 KR 10087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on
handle
door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금배
Original Assignee
오금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배 filed Critical 오금배
Priority to KR102007009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는 그 중심에 회전지지되며 외주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가 그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핸들 몸체와, 상기 회전체 근방에서 회전지지되며, 그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 부재를 갖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핸들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 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돌기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1 핸들 몸체와 대응되는 측에 배치되며, 그 일면에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곡면이 형성되는 작동 부재를 갖는 제 2 핸들 몸체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내부 외부에어 용이하게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 양측에서의 부피를 줄여 공간 상의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ROTARY DOOR OPEN AND CLOSE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부 외부에어 용이하게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 양측에서의 부피를 줄여 공간 상의 미려함을 부여한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자물쇠와 같이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는 단독 주택 또는 공동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도어에 채택된다.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의 문고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어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둥근 형상으로 돌출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자물쇠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잠금 장치가 내장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그 부피가 일정 부피를 갖고, 도어의 내부 및 상기 도어의 양측에 배치되는 둥근 형상의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는 일정 부피를 갖는 잠금 장치를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함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 문제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잡이의 제작 상의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잠금 장치의 다수개의 작동 부재들을 갖기 때문에, 도어로부터 분리 또는 고장시에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의 손잡이는 둥근 형상으로 도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의 외측인 실외와 도어의 내측인 실내에서 사용자가 보행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된 손잡이에 부딪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손잡이는 둥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 전체로 볼 때에, 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도어의 양측에 원판 형상의 손잡이를 배피하여 공간상의 제약 문제와, 손잡이의 제작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고장시에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도어의 외측인 실외와 도어의 내측인 실내에서 사용자가 보행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된 손잡이에 부딪치는 안전상의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도어 전체에 있어서 미관상 미려함이 상승시킬 수 있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는 그 중심에 회전지지되며 외주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가 그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핸들 몸체와, 상기 회전체 근방에서 회전지지되며, 그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 부재를 갖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핸들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 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돌기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1 핸들 몸체와 대응되는 측에 배치되며, 그 일면에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곡면이 형성되는 작동 부재를 갖는 제 2 핸들 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핸들 몸체에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1회전 개폐 부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는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핸들 몸체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홀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는 서로 볼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핸들 몸체에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 1도어 손잡이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도어 손잡이는 일단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중심축과, 일정 길이의 연결 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핸들 몸체에는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심홀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중심축이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는 일정 길이 돌출되는 회전 지지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홀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돌기물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곡선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핸들 몸체에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개폐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개폐 부재는 상기 제 2핸들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들의 사이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제 2핸들 몸체의 타측에서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 삽입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핸들 몸체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되는 제 2도어 손잡이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도어의 양측에 원판 형상의 손잡이를 배피하여 공간상의 제약 문제와, 손잡이의 제작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고장시에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외측인 실외와 도어의 내측인 실내에서 사용자가 보행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된 손잡이에 부딪치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전체에 있어서 미관상 미려함이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핸들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는 제 1핸들 몸체(110)와, 이에 대응되는 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 2핸들 몸체(120)와, 상기 제 1핸들 몸 체(110)와 상기 제 2핸들 몸체(1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400)와, 상기 연결 부재(400)와 연결되어 제 1,2핸들 몸체(110,12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를 개폐하는 작동축(410)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축(410)의 일단에는 도어(10)의 삽입구(11)에 삽입되도록 탄지되는 걸림단(411)이 마련된다.
도 2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핸들 몸체(1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에 회전지지되며 외주에 걸림홈(211)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210)가 그 일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 1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체(210) 근방에서 회전지지되며, 그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 부재(221)를 갖는 회전 부재(22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는 그 일단에 축 결합 되며, 상기 회전 부재(220)가 회전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걸림홈(211)에 끼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 부재(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 부재(220)와 상기 회전체(21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220)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걸림 부재(230)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걸림 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220)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곡선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제 1회전 개폐 부재(31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310)는 돌출된 회전축(311)과, 상기 회전축(31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31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축(311)이 관통되는 회전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220)에는 상기 결합 돌기(31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220)와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310)는 서로 볼트(B)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체(210)를 회전시키는 제 1도어 손잡이(25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도어 손잡이(250)는 일단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중심축(251)과, 일정 길이의 연결 부재(400)의 일단이 끼워지는 상기 중심축(251)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홀(25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중심축(311)이 관통되어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심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210)에는 상기 중심축(311)이 끼워지는 끼움홀(212)이 형성된 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에는 회전 지지홀(2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23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홀(223)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돌기물(2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와 대응되는 측에는 제 2핸들 몸체(12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핸들 몸체(120)에는 상기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개폐 부재(3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2회전 개폐 부재(320)는 상기 제 2핸들 몸체(120)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들(221)의 사이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작동 부재(321)와, 상기 제 2핸들 몸체(120)의 타측에서 열쇠(미도시)가 삽입되는 열쇠 삽입홀(32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 부재(321)의 일단은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2)에 끼워져 고정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핸들 몸체(120)에는 상기 연결 부재(200)의 타단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되는 제 2도어 손잡이(260)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도어 손잡이(250)를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210)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된다.
즉, 제 1도어 손잡이(250)는 그 중심축(251)이 회전체의 끼움홀(212)에 끼워져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 1도어 손잡이(250)와 회전체(210)는 서로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210)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홈(211)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핸들 몸체(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1회전 개폐 부재(310)를 도 3의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위치된다.
이때, 회전 부재(220)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걸림 부재(230)는 그 양측면이 가이드 부재(240)에 의하여 회전 경로가 가이드 되고, 그 일단은 회전체(210)의 걸림홈(211)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210)는 상기 걸림홈(211)에 걸림 부재(230)가 끼워져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역으로, 상기의 걸림 부재(230)를 걸림홈(211)으로부터 이탈시키어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회전 부재(220)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 부재(230)는 가이드 부재(240)에 의하여 안내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210)는 걸림 부재(23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회전 부재(220)의 회전 동작은 상기와 같이 제 1핸들 몸체(110)에 마련된 제 1회전 개폐 부재(310)의 회전동작과 연동될 수 있고, 제 2핸 들 몸체(120)에 마련되는 제 2회전 개폐 부재(320)의 회전동작과 연동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2회전 개폐 부재(320)의 일단에는 작동 부재(321)가 회전 부재(220)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 부재들(221)의 사이에 걸치어지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열쇠 삽입홀(322)에 열쇠를 삽입하고 일측으로(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 부재(321)는 회전되고 돌기 부재들(221)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상기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작동 부재(321)의 일단이 회전 부재(22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22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321)는 상기 회전 부재(220)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걸림 부재(230)는 가이드 부재(240)를 따라 하향으로 회전되고, 그 일단은 회전체(210)의 걸림홈(211)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210)는 상기 걸림홈(211)에 걸림 부재(230)가 끼워져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역으로, 상기의 걸림 부재(230)를 걸림홈(211)으로부터 이탈시키어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핸들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 1핸들 몸체 120 : 제 2핸들 몸체
210 : 회전체 220 : 회전 부재
230 : 걸림 부재 240 : 가이드 부재
250 : 제 1도어 손잡이 260 : 제 2도어 손잡이
310 : 제 1회전 개폐 부재 320 : 제 2회전 개폐 부재

Claims (7)

  1. 그 중심에 회전지지되며 외주에 걸림홈(211)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210)가 그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핸들 몸체(110);
    상기 회전체(210) 근방에서 회전지지되며, 그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 부재(221)를 갖는 회전 부재(220);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에 축 결합 되며, 상기 회전 부재(220)가 회전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걸림홈(211)에 끼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 부재(230);
    상기 회전 부재(220)와 상기 회전체(21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220)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 부재(221)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돌기 부재(22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240); 및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와 대응되는 측에 배치되며, 그 일면에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221)의 사이에 위치되는 곡면이 형성되는 작동 부재(321)를 갖는 제 2 핸들 몸체(120)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제 1회전 개폐 부재(31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310)는 돌출된 회전축(311)과, 상기 회전축(31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31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축(311)이 관통되는 회전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220)에는 상기 결합 돌기(31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220)와 상기 제 1회전 개폐 부재(310)는 서로 볼트(B)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회전체(210)를 회전시키는 제 1도어 손잡이(250)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제 1도어 손잡이(250)는 일단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중심축(251)과, 일정 길이의 연결 부재(400)의 일단이 끼워지는 상기 중심축(251)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홀(252)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핸들 몸체(110)에는 상기 중심축(251)이 관통되어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심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10)에는 상기 중심축(251)이 끼워지는 끼움홀(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에는 회전 지지홀(22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23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홀(223)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돌기물(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상기 회전되는 회전 부재(220)의 일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곡선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핸들 몸체(120)에는 상기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개폐 부재(320)를 구비하며,
    상기 제 2회전 개폐 부재(320)는 상기 제 2 핸들 몸체(120)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돌기 부재(221)들의 사이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작동 부재(321)와, 상기 제 2 핸들 몸체(120)의 타측에서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 삽입홀(3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핸들 몸체(120)에는 상기 연결 부재(400)의 타단과 연결되어 회전 지지되는 제 2도어 손잡이(2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KR1020070093610A 2007-09-14 2007-09-14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KR10087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10A KR100872750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10A KR100872750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750B1 true KR100872750B1 (ko) 2008-12-08

Family

ID=4037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610A KR100872750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7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299U (ko) 1977-03-04 1978-09-27
JPH094287A (ja) * 1995-06-16 1997-01-07 Miwa Lock Co Ltd 錠のラッチ機能一時停止機構
JP2006169907A (ja) 2004-12-20 2006-06-29 Tadayoshi Sudo ケースハンドルのハンドル機構
US7134699B1 (en) 2003-04-11 2006-11-14 Hardware Specialties, Inc. Locking rotary la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299U (ko) 1977-03-04 1978-09-27
JPH094287A (ja) * 1995-06-16 1997-01-07 Miwa Lock Co Ltd 錠のラッチ機能一時停止機構
US7134699B1 (en) 2003-04-11 2006-11-14 Hardware Specialties, Inc. Locking rotary latch
JP2006169907A (ja) 2004-12-20 2006-06-29 Tadayoshi Sudo ケースハンドルのハンドル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710B (zh) 電子鎖安裝於左開門或右開門的方法
CN103184812B (zh) 可换向把手装置
US8621900B2 (en) Electric door lock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11035148B2 (en) Return cartridge for door handles
KR20180033891A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CN104612497B (zh) 挂锁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JPH05141136A (ja) ドアロツク組立体
KR100872750B1 (ko) 회전식 도어 개폐 장치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CA2878539A1 (en) Dual cam lock apparatus
WO2018095198A1 (zh) 用于齿轮传动机构的箱体组件
CN104948022A (zh) 高强度u型密码锁
US8820128B2 (en) Anti-picking device for lock and key thereof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JP2008101392A (ja) 可変コード型シリンダ錠
KR200488643Y1 (ko) 손잡이부의 고정이 용이한 도어핸들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CN205297045U (zh) 锁闩的电控机构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EP3009810B1 (en) A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ment, a second element and a locking device for fastening the first element to the second element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device
CN106869606A (zh) 电控锁闩
EP2944747B1 (en) Lock for left or right hand operation
CN103842600A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