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334B1 - 차량용 비상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334B1
KR100872334B1 KR1020070068991A KR20070068991A KR100872334B1 KR 100872334 B1 KR100872334 B1 KR 100872334B1 KR 1020070068991 A KR1020070068991 A KR 1020070068991A KR 20070068991 A KR20070068991 A KR 20070068991A KR 100872334 B1 KR100872334 B1 KR 10087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switch
switch lever
safety cover
emergency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01H13/4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two separate blade springs forming a tog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 중에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된 경우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필요한 회로만은 남기고 나머지의 회로는 끊도록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시 필요한 전기회로만을 연결시키는 한편 나머지의 전기회로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가 돌출형성된 차량의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 스위치 레버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중간 높이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힌지핀을 매개로 서포터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힌지편이 형성되고 타측은 닫힘동작시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안전 커버와; 상기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안전 커버의 상단부 내측면이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개방 동작시 안전 커버가 서포터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의 중간부와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상 스위치, 안전 커버, 작동 스프링, 토글 스위치 레버

Description

차량용 비상 스위치{Emergency switch for vihecles}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스위치의 대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커버가 닫힌 상태의 비상 스위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스위치의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비상 스위치의 도면.
도 6 은 토글 스위치 레버가 온(ON) 동작된 상태의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커버가 닫힘동작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상 스위치 110 : 스위치 바디
120 : 토글 스위치 레버 130 : 가드
140 : 오조립 방지 와셔 150 : 와셔
160 : 너트 200 : 서포터
210 : 힌지핀 300 : 안전 커버
310 : 힌지편 400 : 작동 스프링
410 : 가동핀 420 : 고정핀
500 : 고무커버 510 : 탄성링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된 경우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필요한 회로만은 남기고 나머지의 회로는 끊도록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 스위치는 차량의 운행 중에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화재의 예방 등을 위하여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램프류와 같은 최소한의 전기회로만을 남기고 나머지의 전기회로는 모두 차단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상 스위치의 장착을 법규로서 규제함으로서 유럽에 수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 및 생산되는 차량에는 반드시 장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비상 스위치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비상 스위치(10)는 긴급한 상황의 발생시에만 사용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안전 커버(20)가 씌워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비상 스위치(10)의 바디(12) 일측으로 토글 스위치 레버(14)가 돌출형성되는데, 토글 스위치 레버(14)가 쉽게 조작될 수 없도록 별도의 안전 커버(20)로써 토글 스위치 레버(14)가 감싸지는 것이다. 토글 스위치 레버(14)를 감싸기 위한 종래의 안전 커버(20)는 하부 커버(22)와 상부 커버(24)로 구분 형성되는데, 하부 커버(22)는 바디(12)의 일측면에 바닥이 고정된 상태에서 토글 스위치 레버(14)의 사 방을 마치 벽처럼 감싸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부 커버(24)는 하부 커버(22)의 개방된 상측면이 덮어지되 하부 커버에 대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하부 커버(22) 및 상부 커버(24)의 일측에는 각각 후크 등과 같은 구조의 잠금수단(30)이 마련된다.
한편, 상부 커버(24)의 중앙부에는 안전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토글 스위치 레버(14)의 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26)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비상 스위치(10)가 장착된 차량이 운행되는 중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운전자는 우선 안전 커버(20)의 잠금수단(30)을 해제한 후에 상부 커버(24)를 개방하고 토글 스위치 레버(14)를 조작하게 됨으로서 긴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기회로만을 남겨 두고 나머지 전기회로는 차단되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비상 스위치의 경우에는 긴급한 상황을 제외한 평상시에는 스위치의 조작이 쉽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커버가 스위치 바디와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별도의 조립과정을 통해서 조립이 이루짐에 따른 불편함과 안전 커버의 크기가 크게 형성됨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행 중에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된 경우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필요한 회로만은 남기고 나머지의 회로는 끊도록 하는 차량용 비 상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개방된 상태의 안전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없이도 스위치의 상태가 오프(OFF)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시 필요한 전기회로만을 연결시키는 한편 나머지의 전기회로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가 돌출형성된 차량의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토글 스위치 레버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중간 높이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힌지핀을 매개로 서포터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힌지편이 형성되고 타측은 닫힘동작시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안전 커버와; 상기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안전 커버의 상단부 내측면이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개방 동작시 안전 커버가 서포터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의 중간부와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서 토글 스위치 레버의 하단부 둘레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작동 구간을 제한하기 위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가 드와; 상기 가드의 하측 외주연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한편 직선방향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오조립방지 와셔와; 상기 오조립방지 와셔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오조립방지 와셔의 상부측에서 가드의 외주연과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체결시 오조립방지 와셔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서 너트의 상부측에는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부터 중간부까지를 감싸는 한편 외부에서 너트 및 와셔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커버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서 고무커버의 하단부는 가드의 외주연에 환형상의 탄성링으로써 고정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서 작동 스프링의 일단은 안전 커버의 힌지편과 힌지편 사이를 연결하는 가동핀에 걸리고 한편 다른 일단은 서포터와 서포터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핀에 걸린 상태로 장착되어지되, 작동 스프링의 코일부분은 가동핀과 힌지핀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고정핀에 걸리기 위한 스프링의 일단은 코일부분부터 고정핀까지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서 가동핀과 고정핀이 형성되는 위치는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힌지핀을 기준으로 가동핀은 토글 스위치 레버를 향하여 치우진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 고정핀은 힌지핀의 직하방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스위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 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스위치의 대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커버가 닫힌 상태의 비상 스위치 측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스위치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스위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스위치(100)의 스위치 바디(110) 및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비상 스위치에서의 스위치 바디 및 토글 스위치 레버의 구조와 큰 차이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스위치 바디(110)의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토글 스위치 레버(120)가 돌출형성됨으로서, 운전자가 토글 스위치 레버(120)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느냐에 따라서 비상 스위치(100)가 온(ON) 동작되거나 오프(OFF) 동작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토글 스위치 레버(120)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스위치 바디(110)의 일측으로는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중간높이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서포터(200)가 형성된다. 서포터(2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상단부에는 힌지핀(210)이 꽂혀지기 위한 핀홀(212)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부에는 고정핀(420)이 꽂혀지기 위한 핀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터(200)의 상단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동작되어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구조의 안전 커버(300)가 형성된다. 안전 커버(300)는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토글 스위치 레버(120)가 쉽게 조작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전 커버(300)의 일측에는 서포터와 서포터 사이의 간격에 수용될 수 있는 힌지편(310)이 형성되는데, 힌지편(310)의 중앙부에는 살빼기가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후설할 작동 스프링(400) 및 그 작동 스프링(400)의 일단을 지지하는 가동핀(410)이 위치된다.
한편, 닫힘동작된 상태에서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안전 커버(300)의 다른 일측은 그 양측면과 상측면이 닫혀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하측면 및 외측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운전자가 안전 커버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전 커버(300)의 외측 끝단부의 상부 및 하부는 돌출된 반면에 그 중간부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닫힘동작시에는 안전 커버(300)가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개방동작시에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동 스프링(400)이 안전 커버(300)의 일측과 서포터(200)의 하측 사이에 개재된다. 즉, 작동 스프링(400)의 일단(402)은 힌지편 사이의 공간 깊숙한 위치에 꽂혀지는 가동핀(410)에 걸리는 한편 작동 스프링의 다른 일단(404)은 서포터(200)의 하측에 위치되는 고정핀(420)에 걸리게 된다. 특히, 작동 스프링(4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분은 가동핀과 힌지핀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고정핀에 걸리기 위한 작동 스프링의 일단은 코일부분부터 고정핀까지 길게 연장형성됨으로서 힌지핀(210)과의 간섭없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전 커버(300)의 닫힘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와 개방동작이 이루어 지는 상태가 구분될 수 있도록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힌지핀을 기준으로 가동핀은 토글 스위치 레버를 향하여 치우진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 고정핀은 힌지핀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가 닫혀진 상태의 안전 커버(300)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300)의 외측 끝단부를 들어 올리게 되면 가동핀(410)의 위치가 기준선(L)을 넘어서면서 작동 스프링(400)의 인장력이 안전 커버(30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 스위치 레버(120)를 온(ON)의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반면에, 운전자가 개방된 상태의 안전 커버(300)를 닫기 위해서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300)의 외측 끝단부를 토글 스위치 레버(120) 측으로 내리게 되면 가동핀(410)의 위치가 기준선(L)을 다시 넘게 되면서 작동 스프링(400)의 인장력은 안전 커버(300)가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토글 스위치 레버(120)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하단부 둘레에는 원통형상의 가드(guard,130)가 형성된다. 즉, 원통형상의 가드(130) 하단이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하단이 조립되는 부분의 스위치 바디(11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드(130)의 하측 외주연에는 오조립방지 와셔(140)가 장착되는데, 이 오조립방지 와셔(140)는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한편 토글 스위치 레버(120)가 정해진 진선방향으로만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오조립방지 와셔(140)의 내주연 일측에는 중심부를 향하는 돌기(142)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가드(130) 및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하단부 일측은 돌기(142)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조립방지 와셔(140)의 상부측으로는 오조립방지 와셔(140)의 장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160)가 가드(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면에 체결된다. 오조립방지 와셔(140)와 너트(160) 사이에는 와셔(150)를 개재시켜 너트(16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의 회전력이 오조립방지 와셔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피할 뿐만 아니라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160)의 상부측 외주연과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부는 한꺼번에 감싸므로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측에서 너트 및 와셔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고무커버(500)가 형성된다. 고무커버(500)는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부를 감싸는 부분은 토글 스위치 레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가드(130)의 상단부를 감싸는 부분은 상단의 지름이 하단의 지름보다 큰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고무커버(500)의 하단부(502)는 탄성링(510)으로써 너트(160)의 상부측 부분의 가드(130) 외주연에 고정장착된다.
특히,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개방상태의 안전 커버(300)를 덮는 과정에서 안전 커버(300)의 내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이 자연스럽게 밀리면서 오프(OFF) 동작될 수 있도록 안전 커버(300)의 내측면이 경사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곡면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전 커버(300)가 닫힘 상태로 조작될 때에 토글 스위치 레버(120)의 상단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면서 토글 스위치 레버(120)가 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안전 커버(300)의 내측면과 고무커버(500)의 상단부 등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긴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비상 스위치가 쉽게 조작될 수 없도록 하는 안전 커버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서 비상 스위치의 제작 및 조립공정이 줄어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 스위치 전체가 차지하는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토글 스위치 레버의 오프(OFF)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긴급 상황 발생시 필요한 전기회로만을 연결시키는 한편 나머지의 전기회로는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토글 스위치 레버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스위치 바디의 일측면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중간 높이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힌지핀을 매개로 서포터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힌지편이 형성되고 타측은 닫힘동작시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안전 커버와, 상기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안전 커버의 상단부 내측면이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개방 동작시 안전 커버가 서포터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의 중간부와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토글 스위치 레버의 하단부 둘레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작동 구간을 제한하기 위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드와;
    상기 가드의 하측 외주연에 토글 스위치 레버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한편 직선방향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오조립방지 와셔와;
    상기 오조립방지 와셔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오조립방지 와셔의 상부측에서 가드의 외주연과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체결시 오조립방지 와셔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너트의 상부측에는 토글 스위치 레버의 상단부부터 중간부까지를 감싸는 한편 외부에서 너트 및 와셔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커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무커버의 하단부는 가드의 외주연에 환형상의 탄성링으로써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 스프링의 일단은 안전 커버의 힌지편과 힌지편 사이를 연결하는 가동핀에 걸리고 한편 다른 일단은 서포터와 서포터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핀에 걸린 상태로 장착되어지되, 작동 스프링의 코일부분은 가동핀과 힌지핀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고정핀에 걸리기 위한 스프링의 일단은 코일부분부터 고정핀까지 길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핀과 고정핀이 형성되는 위치는 안전 커버의 닫힘 동작시 힌지핀을 기준으로 가동핀은 토글 스위치 레버를 향하여 치우진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 고정핀은 힌지핀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스위치.
KR1020070068991A 2007-07-10 2007-07-10 차량용 비상 스위치 KR10087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91A KR100872334B1 (ko) 2007-07-10 2007-07-10 차량용 비상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91A KR100872334B1 (ko) 2007-07-10 2007-07-10 차량용 비상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334B1 true KR100872334B1 (ko) 2008-12-05

Family

ID=4037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991A KR100872334B1 (ko) 2007-07-10 2007-07-10 차량용 비상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769A (ja) * 1992-10-30 1994-05-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押釦の乱用防止カバー構造
JPH10291189A (ja) 1997-04-21 1998-11-04 Fanuc Ltd ロボット非常停止用スイッチ機構並びに該機構を設けた教示操作盤
JP2002063833A (ja) * 2000-08-15 2002-02-28 Kojima Press Co Ltd 緊急ボタンスイッチカバー構造
JP2002260473A (ja) 2001-03-06 2002-09-13 Toa Corp 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769A (ja) * 1992-10-30 1994-05-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押釦の乱用防止カバー構造
JPH10291189A (ja) 1997-04-21 1998-11-04 Fanuc Ltd ロボット非常停止用スイッチ機構並びに該機構を設けた教示操作盤
JP2002063833A (ja) * 2000-08-15 2002-02-28 Kojima Press Co Ltd 緊急ボタンスイッチカバー構造
JP2002260473A (ja) 2001-03-06 2002-09-13 Toa Corp 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561B2 (en) Device for opening-closing jaw guard of helmet
US6264253B1 (en) Door lock apparatus provided with a sensing switch
JP3946535B2 (ja) 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操作力伝達部材
KR100872334B1 (ko) 차량용 비상 스위치
US6914205B2 (en) Operating switch for a motor vehicle with a movable protective device
JPH09323885A (ja) 下部滑車
KR100761556B1 (ko) 스패어 타이어 낙하 방지 장치
US6129337A (en) Valve actuating device
JPH03156083A (ja) フードのロック装置
EP0789122B1 (en) Improvements to locks for automobile vehicles
KR200441064Y1 (ko)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CN202353126U (zh) 桌用电线套
KR100844371B1 (ko) 차량용 비상 스위치
KR200250466Y1 (ko) 배전반 도어 잠금장치의 손잡이부 체결구조
KR200146727Y1 (ko)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KR100404540B1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KR100941103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2105440B1 (ko) 차량 트렁크용 안전장치
JP2004353371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0461053B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터 사이드 핸들 고정장치
KR0134827Y1 (ko) 승강기용 비상구출구의 안전장치
KR200162563Y1 (ko) 자동차용 외측 도어 레버 구조
KR20010047334A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리텐션 기구
KR100213739B1 (ko) 엔진 후드의 열림 방지장치
JPS61119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