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27Y1 -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6727Y1 KR200146727Y1 KR2019950017002U KR19950017002U KR200146727Y1 KR 200146727 Y1 KR200146727 Y1 KR 200146727Y1 KR 2019950017002 U KR2019950017002 U KR 2019950017002U KR 19950017002 U KR19950017002 U KR 19950017002U KR 200146727 Y1 KR200146727 Y1 KR 2001467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er
- vehicle
- fire
- mounting por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헤드 라이닝(1)에 소화기 장착부(2)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기 장착부(2)에 소화기(3)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랫치(4)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소화기 장착부(2)가 개폐기(5)에 의해 힌지(6)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차량 사고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소화기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라이닝 2 : 소화기 장착부
3 : 소화기 4 : 랫치
5 : 개폐기 6 : 힌지
7 : 소화기 호스 8 : 실내등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화재시 소화기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 헤드 라이닝(HEAD LINING)에 별도의 소화기 장착구조를 설치하여 자동차 화재로 인한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의 수로 인하여 이에 따른 여러 종류의 자동차 사고도 늘어가고 있다. 이 중에서 차량 충돌로 인한 화재나 엔진 과열시 발생하는 차량 화재 사고는 그 피해가 매우 커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화재 사고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가 매우 드물며, 소화기를 차량에 설치한 경우에도 차량 화재 사고시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없어 인명 피해로 까지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 헤드 라이닝에 소화기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두어 화재로 인한 차량 사고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 헤드 라이닝(1)에 소화기 장착부(2)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기 장착부(2)에 소화기(3)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랫치(LATCH) (4)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소화기 장착부(2)가 개폐기(5)에 의해 힌지(HINGE) (6)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소화기 호스를 나타내며, 부호 8은 실내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2도 내지 제5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상기 랫치(4)는 소화기(3)를 손쉽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소화기 장착부(2)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5)는 제4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소화기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6)는 소화기 장착부(2)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소화기 장착부(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5도는 사용자가 소화기 호스(7)를 잡아 당겨서 사용하는 경우에 소화기 호스(7)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이 끝나면 자동으로 감겨져서 원상태 대로 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 진공 청소기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제4도에서와 같이 개폐기(5)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개폐기(5)에 의해 고정되어 닫혀있던 소화기 장착부(2)가 힌지(6)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랫치(4)를 풀어 소화기를 탈착한 후에 화재 진압에 사용할 수 있다.
제5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처럼 소화기 호스(7)만을 잡아 당기어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소화가 끝난 후에 잡고 있던 소화기 호스(7)를 놓으면 코일 스프링의 작용으로 소화기 호스(7)가 자동으로 복원된다.
사용자는 소화가 끝난 후에는 소화기 장착부(2)를 위쪽으로 밀어서 헤드 라이닝(1)과 수평을 이루게 한 후 개폐기(5)를 돌려 잠그면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은 차량 헤드 라이닝에 소화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설치하여 소화기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 화재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헤드 라이닝에 소화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매우 훌륭한 고안이다.
Claims (1)
- 차량 헤드 라이닝(1)에 소화기 장착부(2)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기 장착부(2)에 소화기(3)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랫치(4)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소화기 장착부(2)가 개폐기(5)에 의해 힌지(6)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7002U KR200146727Y1 (ko) | 1995-07-11 | 1995-07-11 |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7002U KR200146727Y1 (ko) | 1995-07-11 | 1995-07-11 |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318U KR970004318U (ko) | 1997-02-19 |
KR200146727Y1 true KR200146727Y1 (ko) | 1999-06-15 |
Family
ID=1941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7002U KR200146727Y1 (ko) | 1995-07-11 | 1995-07-11 |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6727Y1 (ko) |
-
1995
- 1995-07-11 KR KR2019950017002U patent/KR2001467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318U (ko) | 1997-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00905A (en) | Electrical power disconnect switch with both manual and electrical trip operation | |
KR200146727Y1 (ko) | 자동차의 소화기 장착구조 | |
US4524287A (en) | Post-collision fire prevention device | |
JPH07277159A (ja) | 車輪止め装置 | |
US3119979A (en) | Warning light and switch therefor | |
US3710294A (en) | Convertible thermal safety cut-out switch | |
CN208869112U (zh) | 一种电梯无线对讲报警装置 | |
US3584164A (en) | Electrical switch with cantilever spring retaining means for prevention of axial shaft movement | |
GB2387578A (en) | Impact responsive means for raising a vehicle bonnet | |
CN215552942U (zh) | 一种商用车盲区监测装置 | |
JPS6332952Y2 (ko) | ||
KR100872334B1 (ko) | 차량용 비상 스위치 | |
KR0134827Y1 (ko) | 승강기용 비상구출구의 안전장치 | |
KR200180949Y1 (ko) |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 |
JPS642935Y2 (ko) | ||
JPS6111942Y2 (ko) | ||
US2763745A (en) | Theft alarm for automobiles | |
KR0116017Y1 (ko) | 차량의 자동 소화장치 | |
KR200168061Y1 (ko) | 에어백의 작동 제어장치 | |
KR100198093B1 (ko) | 도어 개방시 차량 출발 저지장치 | |
KR0151647B1 (ko) | 자동차용 비상조명장치 | |
KR0131889Y1 (ko) | 자동차의 안전장치 | |
KR100427240B1 (ko) | 자동차용후드 | |
KR100297191B1 (ko) | 버스 지붕의 비상구 탈거 장치 | |
JPS6325983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