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872B1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872B1
KR100870872B1 KR1020080062967A KR20080062967A KR100870872B1 KR 100870872 B1 KR100870872 B1 KR 100870872B1 KR 1020080062967 A KR1020080062967 A KR 1020080062967A KR 20080062967 A KR20080062967 A KR 20080062967A KR 100870872 B1 KR100870872 B1 KR 10087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vertical
fix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8006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요철형태의 철부(52) 및 요부(54)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CT)가 충전되며, 하부에 크로스판(56)이 설치되는 본체(50);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 내측에 설치되는 내장앵글(60); 상기 내장앵글(60)상에 고정되는 차폐판(66); 상기 차폐판(66)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양단부를 차폐하는 마감판(68);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본체(5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앵글(70); 상기 상단앵글(70)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사방 모서리에 설치되는 후크걸이(80); 상기 후크걸이(80)가 설치된 상기 본체(50)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CN)에 매립되는 철망(M) 및; 상기 철망(M)이 삽입된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쿠션판(90) 및; 상기 쿠션판(90)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철부(52)를 지지하는 일부분을 갖는 스토퍼판(58);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판(58)의 일부분이 상기 철부(52)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50)의 하부측 강성을 보강하므로 상기 크로스판(56)의 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
가교, 거더, 콘크리트, 도로, 복공판

Description

복공판 { PLATE TYPE TEMPORARY PAVING }
본 발명은 가교의 거더에 설치되어 가교상에 도로를 제공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동시에 자체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교에 설치되는 복공판은 개착식 굴착공사 및 지상공간 구조물 에 설치되어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복개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복공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마감판(12)으로 차폐되어 콘크리트(CN)가 충전된 복수개의 박스형 본체(10)로 이루어져서 개착식 굴착공사 및 지상공간 구조물의 거더(GD)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거더(GD)상에 복개면 형태의 도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복공판(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CN)가 충전된 복수개의 상기 본체(10)로 구성되어 상기 거더(GD)상에 일렬로 안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조립식 도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도로를 제공하는 상기 복공판(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상기 콘크리트(CN)와 결합되는 볼트(14) 및 스페이서(16)가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마감판(12)으로 차폐되어 내부에 철망(M)이 삽입되며, "W"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철부(10a) 및 요부(10b)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CN)가 충전되어 경화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N)가 상부로 범람하지 않는다.
또, 상기 본체(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GD)에 밀착되는 고무재 쿠션판(26) 및 상기 거더(GD)에 걸리는 앵글스토퍼(22)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거더(GD)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공간 형태를 이루는 상기 철부(10a)의 하부에 상기 철부(10a)의 하부측 강성을 보강하는 크로스판(24)이 삽입되어 용접된다.
이와 같은 상기 크로스판(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양단부에 설치된 상기 마감판(12)의 상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N)가 양단부의 상부로 범람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쿠션판(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글스토퍼(22)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후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앵글스토퍼(22)는 상기 쿠션판(26) 보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앵글스토퍼(22)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끼움공(10H)에 상응하는 관통공(5a)이 형성된 지그판(5)이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끼움공(10H)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판(5)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용접으로 부착된다.
즉, 상기 앵글스토퍼(22)는 상기 지그판(5)에 의해 상기 본체(10) 하부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복공판(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기 요부(10b) 상단이 차폐판(18)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상기 요부(10b)에 상기 콘크리트(CN)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차폐판(18)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의 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기 철부(10a)상에 안착되어 용접으로 상기 철부(10a)상에 고정되고, 타측방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요부(10b)의 내측에서 공중에 부상된 상태로 상기 요부(10b)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철망(M)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상기 복공판(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앵글스토퍼(22)의 사이로 약 4개의 크로스판(24)이 설치되므로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볼트(14) 및 상기 철망(M)이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도 상기 볼트(BT)의 단면적이 작고, 상기 철망(M)의 단부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직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N)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의 일부분이 본체를 구성하는 철부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복공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본체의 일부분에 콘크리트가 수용되어 걸리는 구조로 절곡형성된 복공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철망의 단부가 콘크리트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된 복공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크로스판 및 스토퍼판이 고정되는 부위를 표시하는 라인형태의 마킹부가 본체의 일부분에 절곡가공된 복공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쿠션판에 돌출형성된 돌기가 본체의 끼움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 복공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은, 가교의 거더에 설치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요철형태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으로 이루어져서 절곡가공됨에 따라 평평한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면에 볼트가 세워져서 고정된 평판 및 상기 평판의 양측에 절곡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수직형태의 측판으로 이루어져서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는 철부와, 상기 철부를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평평하게 절곡형성되고, 양단부측에 끼움공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철부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부와, 상기 철부의 하부에서 한쌍의 상기 측판들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판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크로스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요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의 높이가 상기 철부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의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요부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요부의 상기 수평판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수평상태의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철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수직의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내장앵글; 상기 내장앵글이 설치된 상기 요부의 상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에 대응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안착되어 테두리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평판과 수평을 이루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부면에 복수개의 볼트가 세워져서 고정되는 금속재 차폐판; 상기 차폐판이 고정된 상기 본체의 양단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양단부를 차폐하고, 상기 수직판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양측의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 금속재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상단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 상기 본체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가 범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감판의 상단 및 상기 수직판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마감판 및 상기 수직판에 수직을 이루면서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직각판으로 이루어진 상단앵글; 상기 상단앵글이 고정된 상기 본체가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공이 형성되고, 양측의 테두리가 상기 마감판 및 상기 수직판에 설치된 상기 상단앵글의 상기 직각판에 각각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기 상단앵글의 단부에 고정되는 후크걸림판과, 상기 후크걸림판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마감판의 상기 중앙부와 인접하는 상기 후크걸림판의 일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 사이를 차폐하는 일측판 및, 상기 일측판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후크걸림판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걸림판의 타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 사이를 차폐하는 타측판으로 이루어진 후크걸이; 상기 후크걸이가 설치된 상기 본체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강화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삽입되는 철망; 상기 철망이 설치된 상기 본체의 하부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고무재로 이루어진 쿠션판 및; 상기 쿠션판이 설치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철부의 상기 측판들 사이로 삽입되어 수직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로스판과 함께 상기 측판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단부에서 상기 보강판과 직각상태로 연장되어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요부 하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밀착판 및 상기 수평밀착판의 단부에서 직각상태로 연장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요부의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거더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거더에 걸리는 수직걸림판로 이루어진 스토퍼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은 스토퍼판의 보강판이 크로스판과 함께 본체를 구성하는 철부의 하부에 삽입되어 크로스판과 함께 철부의 측판을 지지하면서 본체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종래에 사용되던 크로스판의 수량을 절반정도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공판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복공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쿠션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 내장앵글(60); 차폐판(66); 마감판(68); 상단앵글(70); 후크걸이(80); 철망(M); 쿠션판(80) 및; 스토퍼판(58);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상기 본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태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으로 이루어져서 절곡가공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50)는 절곡가공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W"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철부(52) 및 철부(52)의 양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부(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면에 볼트(BT)가 세워져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평판(52a) 및; 상기 평판(52a)의 양측에 절곡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수직형태의 측판(52b);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요부(5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부(52)를 구성하는 상기 측판(52b)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평평하게 절곡형성되고, 양단부측에 끼움공(54')이 형성된 수평판(54a) 및; 상기 수평판(54a)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는 수직판(54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부(52)의 하부에서 한쌍의 상기 측판(52b)들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판(52b)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5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크로스판(5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크로스판(5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이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가 상기 철부(52)의 높이(H)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54b)의 내측으로 후술되는 콘크리트(CN)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본체(50)는 미도시된 프레스금형에 의해 한번에 상기 철부(52) 및 상기 요부(54)가 성형된다.
또, 상기 본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볼트(BT)가 세워져서 용접으로 고정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세워 져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내장앵글(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상기 요부(54)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요부(54)의 상기 수평판(54a)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수평상태의 하부판(62) 및; 상기 하부판(6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철부(52)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1)를 갖는 수직의 절곡판(6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내장앵글(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용접에 의해 상기 요부(54)의 양단부 양측에 밀착상태로 각각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차폐판(66)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평판형의 판재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앵글(60)이 설치된 상기 요부(54)의 상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54)의 길이 및 폭에 대응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폐판(6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볼트(BT)가 세워져서 용접으로 고정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세워져서 고정된다.
또, 상기 차폐판(66)은 도 6의 확대도 "바"에 도시(종단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절곡판(64) 상단에 수평상태로 안착되어 용접에 의해 테두리가 상기 본체(50)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상태로 상기 본체(50)의 상기 평판(52a)과 수평을 이루면서 병렬로 연결된다.
즉, 상기 차폐판(66)은 상기 내장앵글(60)에 안착되어 상기 철부(52)를 구성하는 상기 평판(52a)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마감판(68)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수직형태의 판재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66)이 고정된 상기 본체(50)의 양단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판(54b)과 직각을 이루면서 용접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50)의 양단부를 차폐하고,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2)로 형성되며, 양측의 상부에 절개부(CT)가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중앙부(68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감판(6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68a)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68a)의 상단 양측에 절개부(CT)가 형성됨에 따라 "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판(68)에 형성되는 상기 절개부(CT)는 후술되는 상기 후크걸이(80)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판(68)은 상기 본체(50)의 양단부 중에서 상기 후크걸이(80)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은 모두 차폐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상단앵글(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및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으로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CN)가 범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및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되어 상기 본체(5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수직판(54b)에 수직을 이루면서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밀착판(72) 및, 상기 밀착판(7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 체(50)의 내측을 향하는 직각판(7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단앵글(70)은 수직의 밀착판(72) 및 수평의 직각판(74)으로 구성되어 "ㄱ"형태의 단면을 갖는 앵글이다.
이와 같은 상기 상단앵글(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및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를 이루는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본체(50)의 개방된 상부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본체(50)의 사방에 설치된다.
또, 상기 상단앵글(70)은 도 6의 확대도 "아"에 도시(측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72) 및 상기 직각판(74)이 절곡되는 절곡부위가 굴곡됨 없이 직각으로 절곡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후크걸이(80)는 상기 본체(50)의 사방 모서리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R)의 후크(HK)에 걸리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용접에 의해 상기 본체(5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후크걸이(80)는 도 5의 확대도 "다"에 도시(분해사시도)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앵글(70)이 고정된 상기 본체(50)가 크레인(CR)에 의해 이동되도록 크레인(CR)의 후크(HK)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공(82a)이 형성된 후크걸림판(82); 용접에 의해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일측판(84) 및; 상기 일측판(84)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용접에 의해 상기 후크걸림판(82)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타측판(8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후크걸이(80)의 상기 후크걸림판(82)은 도 6의 확대도 "바"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테두리가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수직판(54b)에 설치된 상기 상단앵글(70)의 상기 직각판(74)에 각각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기 상단앵글(70)의 단부에 고정된다.
또, 상기 후크걸이(80)의 상기 일측판(84)은 전술한 상기 마감판(68)의 상기 중앙부(68a)와 인접(도 5 참조)하는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한다.
또한, 상기 후크걸이(80)의 상기 타측판(86)은 상기 후크걸림판(82)의 타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한다.
이와 같은 상기 후크걸이(80)는 상기 타측판(86)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판(86)의 양단에 수직형태의 리브(8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타측판(86)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86a)는 상기 타측판(86)의 양단이 절곡됨에 따라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철망(M)은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후술되는 상기 콘크리트(CN)의 인장강도가 강화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철망(M)은 상기 본체(50)에 상기 콘크리트(CN)가 타설될 경우 상기 콘크리트(CN)에 매립된다.
즉, 상기 철망(M)은 상기 콘크리트(CN)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CN)에 삽입되는 상기 철망(M)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철망(M)은 도 5의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됨에 따라 단부에 절곡형성된 정착부(M-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절곡형성되는 상기 정착부(M-1)는 상기 콘크리트(CN)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CN)의 내부에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정착부(M-1)는 상기 철망(M)의 단부를 상기 콘크리트(CN)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정착부(M-1)는 정착력이 강화되도록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확대도 "나"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판(90)은 상기 본체(50)의 하부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우수한 고무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쿠션판(90)은 억지끼움식으로 상기 본체(50)에 고정되도록 도 5 및 도 6의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상기 본체(50)의 상기 끼움공(54')에 끼워져서 걸리는 후크형태의 끼움돌기(9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쿠션판(90)은 상기 끼움돌기(92)가 상기 끼움공(54')에 끼워져서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쿠션판(9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92)가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54')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견고하게 걸리도록 상기 걸림돌기(92)의 상단부에 양 단이 개방된 형태의 수직홈(9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쿠션판(90)은 상기 걸림돌기(92)에 일직선으로 관통된 상기 수직홈(9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쿠션판(90)은 도 9의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92)가 상기 끼움공(54')에 삽입될 경우 상기 수직홈(92a)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92)가 탄성변형하면서 수축된 후 상기 끼움공(54')을 관통한 후에는 확대도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92)가 원형복원되면서 상기 끼움공(54')에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92)는 상기 수직홈(92a)에 의해 상기 끼움공(54')에 용이하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끼움공(54')에 용이하게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에 부착되는 상기 상단앵글(70)의 상기 밀착판(72)이 상기 수직판(54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7의 확대도 "카"에 도시(단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72)이 부착되는 상기 수직판(54b)의 부착부위에 상기 밀착판(72)의 두께(T)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굴곡부(50a)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판(72)이 상기 굴곡부(50a)에 정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앵글(70)은 상기 굴곡부(50a)에 의해 상기 밀착판(72)이 상기 수직판(5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상기 스토퍼판(58)은 용접에 의해 상기 요부(54)의 하부 양측에 수직상태로 돌출설치되어 상기 거더(GD)에 걸린다.
즉, 상기 스토퍼판(58)은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토퍼판(58)은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재 앵글이다.
이와 같은 상기 스토퍼판(58)은 "ㄱ"과 같은 단면으로 형성되어 도 6의 확대도 "사"에 도시(본체 하부 사시도)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철부(52)의 상기 측판(52b)들 사이로 삽입되어 수직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측판(52b)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5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58a); 상기 본체(50)의 하부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는 수평밀착판(58b) 및; 상기 수평밀착판(58b)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D)에 걸리는 수직걸림판(58c);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판(58)은 상기 보강판(58a); 상기 수평밀착판(58b) 및 상기 수직걸림판(58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스토퍼판(58)은 상기 본체(50)의 하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확대도 "사"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밀착판(58b)이 상기 본체(50)의 하부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토퍼판(58)은 도 5의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과 같은 단면에 의해 상기 수평밀착판(58b) 및 상기 수직걸림판(58c)으로 이루어진 앵글에서 상기 수평밀착판(58b)의 중앙부분을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하여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보강판(58a)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상기 보강판(58a)의 양측을 "ㄱ"과 같은 단면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스토퍼판(58)은 도 6의 확대도 "사"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판(56)이 삽입되는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삽입됨으로써,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본체(50)의 하부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도 8의 확대도 "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CN)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상기 철부(52)의 상기 평판(52a) 및 상기 요부(54)의 상기 측판(52b)에 상기 콘크리트(CN)를 수용하는 그루브(G)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그루브(G)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를 요철형태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50)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에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G)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부(52)의 상기 평판(52a) 및 상기 요부(54)의 상기 수직판(54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곳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그루브(G)는 상기 본체(50)에 투입되는 상기 콘크리트(CN)가 삽입된 후 경화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CN)는 상기 그루브(G)에 삽입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그루브(G)에 걸려서 상기 본체(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크로스판(56)이 세팅되어 고정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크로스판(56)이 고정되는 위치에 홈형태의 고정라인(L)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라인(L)는 도 9의 확대도 "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금속판에 홈형태의 슬릿이 절곡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의 제조공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은 우선적으로 상기 본체(50)가 제조되도록 금속판을 미도시된 프레스금형으로 절곡가공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의 상기 평판(52a) 및 상기 평판(52a)의 양측에 절곡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수직형태의 상기 측판(52b)으로 이루어져서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는 상기 철부(52)와, 상기 철부(52)를 구성하는 상기 측판(52b)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평평하게 절곡형성되고, 양단부측에 상기 끼움공(54')이 형성된 상기 수평판(54a) 및 상기 수평판(54a)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는 상기 수직판(54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가 상기 철부(52)의 높이(H)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철부(52)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요부(54)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50)를 성형한다.
즉, 금속판을 이용하여 상기 철부(52) 및 상기 요부(54)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50)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형태의 상기 고정라인(L)이 성형시 함께 형성된다.
또, 상기 본체(5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50)에 상기 볼트(BT)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50)의 상기 볼트(BT)를 헤드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평판(52a)상에 용접하여 상기 볼트(BT)를 상기 평판(52a)상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즉, 상기 본체(50)는 상기 볼트(BT)가 내측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볼트(BT)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에 상기 차폐판(66)이 도 6의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볼트(BT)가 고정된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2) 내측에 수평상태의 상기 하부판(62) 및 상기 하부판(6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철부(52)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1)를 갖는 수직의 상기 절곡판(64)으로 이루어진 상기 내장앵글(60)을 상기 요부(54)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요부(54)의 내측면에 상기 내장앵글(60)을 밀착상태로 설치한다.
즉, 상기 내장앵글(60)은 상기 요부(54)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 상기 내장앵글(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차폐판(66)의 표면에 상기 볼트(BT)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도록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절곡판(64)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의 측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평판형태의 상기 차폐판(66) 표면에 헤드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볼트(BT)를 용접하여 상기 차폐판(66)상에 상기 볼트(BT)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즉, 상기 차페판(66)은 표면에 상기 볼트(BT)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볼트(BT)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차폐판(66)이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를 도 6의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하도록 상기 볼트(BT)가 설치된 상기 차폐판(66)을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절곡판(64)상에 수평상태로 안착시켜서 상기 차폐판(66)의 테두리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요부(54)의 내측에서 상기 차폐판(66)을 상기 본체(50)의 상기 철부(52)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한다.
즉, 상기 차폐판(66)은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절곡판(64)에 안착된 상태로 용접됨에 따라 상기 철부(52)와 수평을 이룬다.
또, 상기 차폐판(66)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의 개방된 양단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되도록 상기 차폐판(66)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2)로 형성된 동시에 양측의 상부에 상기 절개부(CT)가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상기 중앙부(68a)가 형성된 수직의 상기 마감판(68)을 상기 본체(50)의 상기 수직판(54b)과 직각상태로 용접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마감판(68)은 상기 수직판(54b)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본체(50)의 양단부를 차폐한다.
또한, 상기 마감판(68)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로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CN)가 범람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68)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에 수직을 이루는 상기 밀착판(72) 및 수평을 이루는 상기 직각판(74)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상기 상단앵글(70)을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테두리에 밀착시킨 후 상기 밀착판(72)의 테두리를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에 용접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상단앵글(70)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의 상단에서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직각판(74)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CN)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의 상단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상단앵글(7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상단앵글(70)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상부측 모서리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R)의 후크(HK)가 걸리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R)의 후크(HK)가 삽입되어 걸리는 상기 후크공(82a)이 형성되고, 양측의 테두리가 상기 상단앵글(70)의 상기 직각판(74)에 각각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기 상단앵글(70)의 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후크걸림판(82)과,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마감판(68)의 상기 중앙부(68a)와 인접하는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하는 상기 일측판(84) 및, 상기 일측판(84)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후크걸림판(82)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걸림판(82) 의 타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하는 상기 타측판(86)으로 이루어진 상기 후크걸이(80)를 상기 본체(50)의 상부측 모서리에 용접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후크걸이(80)는 상기 본체(50)의 사방에 각각 설치되어 크레인(CR)의 후크(HK)에 걸린다.
또한, 상기 후크걸이(8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 하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크로스판(56)과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쿠션판(90)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부재들 중에서 사각형으로 수직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크로스판(56)을 도 6의 확대도 "사"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즉, 상기 크로스판(56)은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크로스판(5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의 하부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라인(L)에 일치시켜서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로스판(56)은 상기 고정라인(L)에 의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또, 상기 크로스판(56)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GD)상에 안착될 경우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판(58)을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고정하되, 도 8의 확대도 "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판(58)을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상기 고정라인(L)에 일치시킨 후 용접으로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고정한다.
즉, 상기 스토퍼판(58)은 상기 고정라인(L)에 의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판(58)은 도 8의 "파"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58a)을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의 하부에 삽입하면서 상기 수평밀착판(58b)을 상기 본체(50)에 밀착시켜서 상기 수평밀착판(58b)의 테두리를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즉, 상기 스토퍼판(58)은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5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GD)상에 안착될 경우 상기 거더(GD)상에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기 쿠션판(90)의 상기 끼움돌기(92)를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54')에 끼워서 걸음으로써,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상기 쿠션판(9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쿠션판(90)은 상기 스토퍼판(58)이 상기 본체(50)에 설치된 후 설치된다.
또, 상기 쿠션판(9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CN)의 인장강도가 강화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망(M)의 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철망(M)의 단부에 상기 정착부(M-1)을 형성한 후 상기 하부부재가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상기 철망(M)을 수평상태로 설치한다.
즉, 상기 철망(M)은 상기 차폐판(66) 및 상기 본체(50)의 상기 철부(52) 상에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철망(M)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마감판(68)에 의해 양단부가 차폐된 상기 본체(50)의 내측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되도록 상기 철망(M)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CN)를 타설하여 충전한다.
즉, 상기 마감판(68)에 의해 양단부가 차폐된 상기 본체(50)는 내부가 상기 콘크리트(CN)로 매립된다.
또, 상기 콘크리트(CN)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상부면에 가설도로의 노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50)에 충전된 상기 콘크리트(CN)를 일정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하여 상기 콘크리트(CN)를 양생하여 복공판의 제조를 완료한다.
즉, 상기 본체(50)는 상기 콘크리트(CN)가 경화됨에 따라 상부면에 콘크리트재 노면이 형성되면서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내장앵글(60)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에 설치하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52)의 상기 수평판(54a) 및 상기 수직판(54b)에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하부판(62) 및 상기 절곡판(64)을 우선적으로 밀착시킨 후 상기 내장앵글(60)의 상기 하부판(62) 및 상기 절곡판(64)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상기 내장앵글(60)을 상기 요부(52)의 내측에 동일체로 고정한다.
즉, 상기 내장앵글(60)은 상기 하부판(62) 및 상기 절곡판(64)이 상기 요부(52)에 우선적으로 밀착된 후 테두리가 용접됨으로써, 상기 요부(52)에 동일체로 고정된다.
또, 상기 상단앵글(70)을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용접으로 부착하려면 도 6의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72)을 상기 본체(50)의 상기 수직판(54b) 및 상기 마감판(68)의 상단부에 밀착시킨 후 상기 밀착판(72)의 테두리를 상기 수직판(54b) 및 상기 마감판(68)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즉, 상기 상단앵글(70)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에 밀착된 후 테두리가 용접됨으로써,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에 동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후크걸이(80)를 상기 본체(50)의 사방에 설치하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판(84)을 상기 마감판(68)의 상기 중앙부(68a) 측면에 밀착시켜서 상기 일측판(84)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상기 중앙부(68a)의 측면에 상기 일측판(84)을 고정한 후 상기 일측판(84)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차폐판(66)상에 안착된 상기 타측판(86)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상기 타측판(86)을 고정한다.
즉, 상기 후크걸이(80)는 상기 일측판(84)이 용접에 의해 상기 마감판(68)에 우선적으로 부착된 후 상기 타측판(86)이 용접에 의해 상기 차폐판(66)상에 부착된다.
또, 상기 크로스판(56)과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쿠션판(90)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부재를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하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판(56)을 상기 본체(50)의 상기 측판(52b)들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판(56)의 테두리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본체(50)에 상기 크로스판(56)을 설치한 후 상기 크로스판(56)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하부측 양단부에 상기 스토퍼판(58)을 밀착시켜서 상기 스토퍼판(58)을 상기 끼움공(54')의 측방에 위치시킨 상 태로 상기 스토퍼판(58)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상기 본체(50)에 상기 스토퍼판(58)을 설치한 다음, 상기 스토퍼판(58)의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끼움공(54')에 상기 쿠션판(90)의 상기 끼움돌기(92)를 끼워서 상기 쿠션판(90)을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한다.
즉,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크로스판(56)과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쿠션판(90)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완제품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은 상기 스토퍼판(58)의 상기 보강판(58a)이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본체(50)를 구성하는 상기 철부(52)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철부(52)의 상기 측판(52b)를 지지하므로 종래에 4개를 사용하던 상기 크로스판(56)의 수량(도 3 참조)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판(58)이 상기 본체(50)의 하부에서 스토퍼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판(58a)을 통해 상기 크로스판(56)을 역할을 동시에 한다.
또, 상기 본체(50)에 상기 그루브(G)가 형성될 경우 상기 콘크리트(CN)가 상기 그루브(G)의 내부에서 상기 그루브(G)에 걸린 상태로 경화하므로 상기 콘크리트(CN)를 종래 보다 견고하게 상기 본체(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철망(M)의 단부에 상기 정착부(M-1)를 구성할 경우 상기 철망(M)을 상기 콘크리트(CN)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정착부(M-1)를 지그재그형태로 형성할 경우 상기 철망(M)을 상기 콘크리트(CN)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요부(54)에 상기 내장앵글(60)이 설치되므로 상기 차폐판(66)을 상기 본체(50)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곡률이 없는 상태로 절곡된 상기 상부앵글(70)이 상기 본체(50) 및 상기 마감판(68)의 상단에 부착되므로 도 7에 확대도 "아"에 도시(측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0)가 병렬로 밀착될 경우 상기 본체(60)의 밀착부 상단에 종래와 같은 이격공간(도 2 확대도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걸이(80)의 상기 일측판(84) 및 상기 타측판(86)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공(82a)의 일측 및 타측을 차폐하여 상기 콘크리트(CN)가 상기 후크공(82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상부에 상기 굴곡부(50a)를 형성할 경우 상기 상단앵글(70)의 상기 밀착판(72)이 상기 굴곡부(50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판(54b)에 부착되므로 상기 밀착판(72)이 상기 수직판(54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후크걸이(80)의 상기 타측판(84)을 절곡하여 상기 타측판(84)의 양측에 상기 리브(84a)를 형성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CN)와 대면하면서 상기 콘크리트(CN)의 하중이 가해지는 상기 타측판(8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판(56)과 상기 스토퍼판(58)이 설치되는 상기 본체(50)의 일부분에 홈형태의 상기 고정라인(L)이 형성되므로 상기 크로스판(56) 및 상기 스토퍼판(58)을 상기 본체(5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쿠션판(90)의 상기 걸림돌기(92)에 상기 수직홈(92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쿠션판(90)을 상기 본체(5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공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공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공판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달리 구성된 일반적인 복공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공판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복공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쿠션판의 사시도;

Claims (6)

  1. 가교의 거더(GD)에 설치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요철형태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으로 이루어져서 절곡가공됨에 따라 평평한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면에 볼트(BT)가 세워져서 고정된 평판(52a) 및 상기 평판(52a)의 양측에 절곡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수직형태의 측판(52b)으로 이루어져서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는 철부(52)와, 상기 철부(52)를 구성하는 상기 측판(52b)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평평하게 절곡형성되고, 양단부측에 끼움공(54')이 형성된 수평판(54a) 및 상기 수평판(54a)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는 수직판(54b)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철부(52)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부(54)와, 상기 철부(52)의 하부에서 한쌍의 상기 측판(52b)들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판(52b)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5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크로스판(56)으로 구성되되,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가 상기 철부(52)의 높이(H)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54b)의 내측으로 콘크리트(CN)가 충전되는 본체(50);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상기 요부(54)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요부(54)의 상기 수평판(54a)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수평상태의 하부판(62) 및 상기 하부판(6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철부(52)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1)를 갖는 수직의 절곡판(64)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내장앵글(60);
    상기 내장앵글(60)이 설치된 상기 요부(54)의 상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54)에 대응형성되고, 상기 절곡판(64)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안착되어 테두리가 상기 본체(50)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50)의 상기 평판(52a)과 수평을 이루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부면에 복수개의 볼트(BT)가 세워져서 고정되는 금속재 차폐판(66);
    상기 차폐판(66)이 고정된 상기 본체(50)의 양단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요부(54)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54b)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판(54b)과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50)의 양단부를 차폐하고, 상기 수직판(54b)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2)로 형성되며, 양측의 상부에 절개부(CT)가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중앙부(68a)가 형성된 금속재 마감판(68);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및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으로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CN)가 범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감판(68)의 상단 및 상기 수직판(54b)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되어 상기 본체(5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수직판(54b)에 수직을 이루면서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밀착판(72) 및, 상기 밀착판(7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50)의 내측을 향하는 직각판(74)으로 이루어진 상단앵글(70);
    상기 상단앵글(70)이 고정된 상기 본체(50)가 크레인(CR)에 의해 이동되도록 크레인(CR)의 후크(HK)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공(82a)이 형성되고, 양측의 테두리가 상기 마감판(68) 및 상기 수직판(54b)에 설치된 상기 상단앵글(70)의 상기 직각판(74)에 각각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기 상단앵글(70)의 단부에 고정되는 후크걸림판(82)과,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마감판(68)의 상기 중앙부(68a)와 인접하는 상기 후크걸림판(82)의 일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하는 일측판(84) 및, 상기 일측판(84)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후크걸림판(82)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걸림판(82)의 타측 하부 및 상기 차폐판(66) 사이를 차폐하는 타측판(86)으로 이루어진 후크걸이(80);
    상기 후크걸이(80)가 설치된 상기 본체(50)에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CN)의 인장강도가 강화되도록 상기 본체(50)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CN)에 삽입되는 철망(M);
    상기 철망(M)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하부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50)의 상기 끼움공(54')에 끼워져서 걸리는 끼움돌기(92)가 형성된 고무재로 이루어진 쿠션판(90); 및
    상기 쿠션판(90)이 설치된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철부(52)의 상기 측판(52b)들 사이로 삽입되어 수직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로스판(56)과 함께 상기 측판(52b)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부(5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58a)과, 상기 보강판(58a)의 단부에서 상기 보강판(58a)과 직각상태로 연장되어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요부(54) 하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밀착판(58b) 및 상기 수평밀착판(58b)의 단부에서 직각상태로 연장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요부(54)의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본체(50)가 상기 거더(GD)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거더(GD)에 걸리는 수직걸림판(58c)로 이루어진 스토퍼판(58);을 포함하는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는,
    상기 콘크리트(CN)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상기 철부(52)의 상기 평판(52a) 및 상기 요부(54)의 상기 측판(52b)에 상기 콘크리트(CN)를 수용하는 그루브(G)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M)은,
    상기 콘크리트(CN)에 단부가 매립되어 정착되도록 단부에 절곡형성된 정착부(M-1);를 더 포함하는 복공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M-1)는 정착력이 강화되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스토퍼판(58) 및 상기 크로스판(56)이 세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50)는 절곡가공에 의해 홈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라인(L);을 더 포함하는 복공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판(90)은,
    상기 걸림돌기(92)가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본체(50)의 상기 요부(54)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54')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견고하게 걸리도록 상기 걸림돌기(92)의 상단부에 양단이 개방된 형태의 수직홈(9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KR1020080062967A 2008-06-30 2008-06-30 복공판 KR10087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67A KR100870872B1 (ko) 2008-06-30 2008-06-30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67A KR100870872B1 (ko) 2008-06-30 2008-06-30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872B1 true KR100870872B1 (ko) 2008-11-27

Family

ID=4028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967A KR100870872B1 (ko) 2008-06-30 2008-06-30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674B1 (ko) * 2017-08-07 2018-12-26 류영준 가설교량의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636865B1 (ko) 2023-08-10 2024-02-15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5U (ko) * 1989-06-01 1991-01-16
KR940001780Y1 (ko) * 1992-04-22 1994-03-24 이상훈 완구 청진기
KR200383505Y1 (ko) 2005-02-23 2005-05-03 오수철 복공판
KR200409324Y1 (ko)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100665967B1 (ko) 2006-08-09 2007-01-09 김진팔 복공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5U (ko) * 1989-06-01 1991-01-16
KR940001780Y1 (ko) * 1992-04-22 1994-03-24 이상훈 완구 청진기
KR200383505Y1 (ko) 2005-02-23 2005-05-03 오수철 복공판
KR200409324Y1 (ko)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100665967B1 (ko) 2006-08-09 2007-01-09 김진팔 복공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674B1 (ko) * 2017-08-07 2018-12-26 류영준 가설교량의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636865B1 (ko) 2023-08-10 2024-02-15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2002888A (es) Molde de concreto vertical ajustable de alta resistencia.
KR100818733B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KR100870872B1 (ko) 복공판
KR100870869B1 (ko) 복공판
KR101747104B1 (ko)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581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일체형 정착구
KR100860850B1 (ko) 복공판의 제조방법
JP201711534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壁高欄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68426B1 (ko) 장경간 교량용 합성 거더
KR20160023247A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JP2022045148A (ja) 仮設開口部用型枠
JP2004169375A (ja) 排水溝構造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KR101414820B1 (ko) 복공판
KR102093672B1 (ko) 일체형 콘크리트 복공체와 이의 제조방법
JP5588328B2 (ja) 蓋の固定構造及び蓋の固定方法
KR101706135B1 (ko)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102555884B1 (ko)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JPH10184299A (ja) トンネル内監視員通路側壁の表面板及び監視員通路の形成施工方法
KR102599781B1 (ko) 데크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데크받이가 구성된 비탈형 거푸집 보
JP2018062818A (ja) 鋼製階段の踏板及びそれを備えた鋼製階段
KR20140046328A (ko)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