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678B1 -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678B1
KR100870678B1 KR1020070122690A KR20070122690A KR100870678B1 KR 100870678 B1 KR100870678 B1 KR 100870678B1 KR 1020070122690 A KR1020070122690 A KR 1020070122690A KR 20070122690 A KR20070122690 A KR 20070122690A KR 100870678 B1 KR100870678 B1 KR 10087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ventilation
construction step
construction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102007012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 연기,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부터 대피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제연구역(화재 발생시 각층의 승강기앞의 대피구역 등)에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시키는 제연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연용 환기구 및 제연덕트는 단면 형상이 트랙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비(기존 덕트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 급,배기 효율이 개선됨(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서 배기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설치 단면적(제연용 환기구)의 소형화로 인해 전용면적 확보가 용이하고 제연용 환기구의 구조 시공시 층간 환기구의 차지 면적이 협소하게 설계되어 작업자의 추락 등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와;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의 제연덕트는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제연용 환기구가 트랙형상으로 시공되는 한편, 상기 제연용 환기구 내로 층간 작업자가 떨어져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연용 환기구를 트랙형상의 철판 덮개로 임시 덮어두도록 형성되는 제1시공단계(S100)와;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가 제연용 환기구 내로 설치되는 제2시공단계(S200)와; 상,하 연결덕트(100)를 서로 이음하도록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설치되는 제3시공단계(S300)와; 제2,3시공단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연덕트를 각 층의 배기구(3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4시공단계(S400)와; 제4시공단계에 의해 결합된 제연덕트를 층별로 이음하는 한편, 측벽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제5시공단계(S500)가; 이루어져 시공된다.
제연덕트, 제연구역, 연결덕트, 브이밴드

Description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Track type smoke prevention duct and method of execution}
본 발명은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 연기,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부터 대피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제연구역(화재 발생시 각층의 승강기앞의 대피구역 등)에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시키는 제연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연용 환기구 및 제연덕트는 단면 형상이 트랙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비(기존 덕트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 급,배기 효율이 개선됨(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서 배기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설치 단면적(제연용 환기구)의 소형화로 인해 전용면적 확보가 용이하고 제연용 환기구의 구조 시공시 층간 환기구의 차지 면적이 협소하게 설계되어 작업자의 추락 등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지정된 장소에는 제연덕트 구조체가 시공되어 있고, 화재 발생시 배출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의 제연구역으로 더이상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불의의 인명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건물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제연구역에 강제적으로 유입시켜주는 제연댐퍼가 자동 또는 수동조작으로 구동하는 모터 또는 풍압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통상의 제연구조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제연구역)에 설치되는 제연덕트구조체는 바닥슬라브와 바닥슬라브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덕트패널에 의해서 풍도(風道)가 형성되어 있고, 덕트패널의 외측에는 내화벽돌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내화벽돌이 시공된 후에는 외면에 미장시공을 하고, 도료등의 지정된 마감재료로 마감이 행하여진다.
또한, 각 층의 덕트패널 및 내화벽돌에는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제연댐퍼가 마련되어서, 화재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화벽돌은 실질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제연덕트 구조체에 실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제연덕트 구조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률적으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바, 이는 외부공기의 강제 유입시 순환하는 흐름 공기가 사각면 및 모서리에 부딪히며 유입되는 바, 소음이 발생되고 공기의 순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특히 사각형상의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적지 않은 환기구 면적이 요구되는 바, 이는 시공상 전용면적을 많이 차지함은 물론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 연기,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부터 대피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제연구역(화재 발생시 각층의 승강기앞의 대피구역 등)에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시키는 제연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연용 환기구 및 제연덕트는 단면 형상이 트랙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비(기존 덕트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 급,배기 효율이 개선됨(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서 배기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설치 단면적(제연용 환기구)의 소형화로 인해 전용면적 확보가 용이하고 제연용 환기구의 구조 시공시 층간 환기구의 차지 면적이 협소하게 설계되어 작업자의 추락 등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와;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다.
이에 본 발명의 제연덕트는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제연용 환기구가 트랙형상으로 시공되는 한편, 상기 제연용 환기구 내로 층간 작업자가 떨어져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연용 환기구를 트랙형상의 철판 덮개로 임시 덮어두도록 형성되는 제1시공단계(S100)와;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가 제연용 환기구 내로 설치되는 제2시공단계(S200)와; 상,하 연결덕트(100)를 서로 이음하도록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설치되는 제3시공단계(S300)와; 제2,3시공단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연덕트를 각 층의 배기구(3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4시공단계(S400)와; 제4시공단계에 의해 결합된 제연덕트를 층별로 이음하는 한편, 측벽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제5시공단계(S500)가; 이루어져 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층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연기,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부터 대피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제연구역(화재 발생시 각층의 승강기앞의 대피구역 등)에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시키는 제연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연용 환기구 및 제연덕트는 단면 형상이 트랙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비(기존 덕트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 급,배기효율이 개선됨(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서 배기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단면적의 소형화로 인해 전용면적 확보가 용이하고 제연용 환기구의 구조 건설시 환기구의 차지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연결되는 복수의 트랙형 연결덕트(100)와, 이들을 결합하는 브이밴드(200)로 크게 구성되어 제연덕트의 시공상 문제점 및 순환 공기의 흐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덕트(100)는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덕트는 종래 제연덕트와는 달리 단면 형상을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이는 사각 제연덕트의 공기 흐름시 장애가 되었던 것 면과 모서리 부분을 없애고 원형에 근접한 트랙형상을 이룸으로써 상,하 이송되는 외기의 순환이 신속하고 원활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트랙형상은 원형에 비해 단면적이 넓고, 특히 사각형상과 동일 면적일 경우 상하로 좁게 좌우로 길게 형상을 이루므로써 제연용 환기구의 시공 면적을 소형화로 만들 수 있다.
이는 결국 건물의 층별 전용면적이 확보되어 거주자의 제연구역 및 주거 공간을 소폭이나마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건물의 시공시 가장 위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단면적의 소형화로 인해 좁게 형성된 제연용 환기구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브이밴드(200)는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트랙형상의 연결덕트와 대응되도록 외주면을 형성하여 정밀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이밴드는 수갑처럼 일측이 개구되어 타측을 힌지 삼아 분할된 양 연결덕트의 맞닿은 체결판을 결속하는 것으로, 이는 작업자의 정면에서 간단한 체결이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종래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판의 4면을 볼팅하도록 형성되었던 바, 이는 작업자의 정면에서 벽체 측 고정시 손을 뒤로 넣어 작업해야 했었다. 즉, 고정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따랐다.
아울러, 본 발명을 공동주택에 시공함에 있어서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5단계에 걸쳐 시공된다.
즉, 제1시공단계(S100)는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제연용 환기구가 트랙형상으로 시공되는 한편, 상기 제연용 환기구 내로 층간 작업자가 떨어져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연용 환기구를 트랙형상의 철판 덮개로 임시 덮어 두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철판 덮개는 제연용 환기구의 커버를 이루는 것으로, 통상 종래에는 합판 재질의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개구된 환기구를 완전히 커버하기 어려워 작업자의 추락에 대해 충분히 대처하지 못하였다.
이에 제2시공단계(S200)는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가 설치된다.
이에 제3시공단계(S300)는 상기 상,하 연결덕트(100)를 서로 이음하도록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설치된다.
이에 제4시공단계(S400)는 상기 제2,3시공단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연덕트를 각 층의 환기관과 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5시공단계(S500)는 상기 제4시공단계에 의해 결합된 제연덕트를 층별로 이음하는 한편, 측벽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덕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덕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연결덕트 110 ... 환기공
120 ... 체결판 200 ... 브이밴드

Claims (2)

  1. 삭제
  2.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 고층건물의 제연용 환기구가 트랙형상으로 시공되는 한편, 상기 제연용 환기구 내로 층간 작업자가 떨어져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연용 환기구를 트랙형상의 철판 덮개로 임시 덮어두도록 형성되는 제1시공단계(S100)와;
    단면이 트랙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연용 환기공(1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판(120)이 형성되어 상,하 2관이 1조로 형성되는 연결덕트(100)가 제연용 환기구 내로 설치되는 제2시공단계(S200)와;
    상,하 연결덕트(100)를 서로 이음하도록 외형이 연결덕트(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트랙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덕트(100)의 상,하관이 맞닿는 양단부 체결판(120)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용 브이밴드(200)가 설치되는 제3시공단 계(S300)와;
    제2,3시공단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연덕트를 각 층의 배기구(3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4시공단계(S400)와;
    제4시공단계에 의해 결합된 제연덕트를 층별로 이음하는 한편, 측벽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제5시공단계(S500)가;
    이루어져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KR1020070122690A 2007-11-29 2007-11-29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KR10087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90A KR100870678B1 (ko) 2007-11-29 2007-11-29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90A KR100870678B1 (ko) 2007-11-29 2007-11-29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678B1 true KR100870678B1 (ko) 2008-11-26

Family

ID=4028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690A KR100870678B1 (ko) 2007-11-29 2007-11-29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6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786A (ja) * 1990-02-17 1992-08-03 Metu Syst Meinig Kg 二つの鋼板製空気ダクト・セグメント間の突合せ継手
KR960001030Y1 (ko) * 1993-02-16 1996-02-05 최슬기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구멍 덮개판
KR200381010Y1 (ko) 2005-01-28 2005-04-08 정대원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덕트
KR200429678Y1 (ko) * 2006-08-02 2006-10-25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고정밴드
KR200430183Y1 (ko) 2006-08-24 2006-11-03 (주)대양기연 입상형 에어덕트용 브이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786A (ja) * 1990-02-17 1992-08-03 Metu Syst Meinig Kg 二つの鋼板製空気ダクト・セグメント間の突合せ継手
KR960001030Y1 (ko) * 1993-02-16 1996-02-05 최슬기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구멍 덮개판
KR200381010Y1 (ko) 2005-01-28 2005-04-08 정대원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덕트
KR200429678Y1 (ko) * 2006-08-02 2006-10-25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고정밴드
KR200430183Y1 (ko) 2006-08-24 2006-11-03 (주)대양기연 입상형 에어덕트용 브이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423A (ko) 조립식 환기장치
TWI741624B (zh) 具通風排煙及隔音防水之中空樓板層
KR100870678B1 (ko) 급,배기효율 및 설치공간 확보가 개선된 트랙형 제연덕트의 시공방법
US3538909A (en) Pre fab fireplace liner
JP3044021B1 (ja) 中高層共同住宅の換気構造
CN111980368B (zh) 一种装配式钢结构组合式风道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512008B1 (ko) 제연덕트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H04306431A (ja) 屋外熱交換機の配置方法
JP3368486B2 (ja) 建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H0559773A (ja) 建築用内装材及びそれを備えた建築構造
CN214469111U (zh) 一种基于夹层的消防排烟风机房构造
KR200447781Y1 (ko) 제연덕트용 분기관
JP2000314186A (ja) 庇ユニット
CN216080209U (zh) 一种多层地下建筑物通风排烟系统
CN218714700U (zh) 一种位于建筑外立面的燃气管井
JP6958224B2 (ja) 壁体通気構造
JP2012132206A (ja) 建物の防火換気の構造
JP4927520B2 (ja) 設備設置スペースを備えた建物
JPH085116A (ja) 建築物のエアフローシステム
JPS6317953Y2 (ko)
JP3471057B2 (ja) セントラル空調装置
AU770031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ing appliances
AU728563B3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ing appliances
JPH06257230A (ja) 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