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29B1 - 브러쉬 툴 - Google Patents

브러쉬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29B1
KR100870129B1 KR1020080087509A KR20080087509A KR100870129B1 KR 100870129 B1 KR100870129 B1 KR 100870129B1 KR 1020080087509 A KR1020080087509 A KR 1020080087509A KR 20080087509 A KR20080087509 A KR 20080087509A KR 100870129 B1 KR100870129 B1 KR 10087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brush
key
collet
ela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천순
Original Assignee
최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천순 filed Critical 최천순
Priority to KR102008008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러쉬 툴은 브러쉬를 고정홀더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브러쉬 툴에 관한 것으로, 외부 끝단으로 너트결합부를 구성하고, 내부로는 생크이동부를 구성하되, 상기 생크이동부의 일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개방된 타측방향에는 키 가이드가 형성된 고정홀더와; 중공형 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홀더에 결합되되, 외부 상, 하측으로는 고정홀더의 키 가이드에 대응하는 키 결합부를 형성하며,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는 걸림단턱과 콜릿고정부를 각각 형성한 생크와; 상기 고정홀더의 스프링안착홈과 상기 생크의 일측 내부에 구성된 걸림단턱 사이에 끼워져 탄성작용을 하는 탄성장치와; 상기 생크의 키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홀더의 키 가이드에 끼워지는 키와, 고정홀더의 너트결합부에 고정결합된 너트로 구성되어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따라 움직이는 생크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어부; 브러쉬를 고정하는 콜릿과, 상기 콜릿을 생크에 결합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러쉬 툴을 이용하면,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브러쉬가 마모 되더라도 스프링과 같은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의 마모량이 자동 보정되기 때문에 브러쉬의 마모량에 따른 보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브러쉬의 자동 보정으로 인하여 브러쉬 툴의 교환주기기 늘어나기 때문에 제조품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작업에서 항상 동일한 브러싱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브러쉬, 툴, 마모, 자동보정, 탄성

Description

브러쉬 툴{Brush tool}
본 발명은 브러쉬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브러쉬가 마모되더라도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의 마모량이 자동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브러쉬 툴의 교환주기가 늘어나게 되어 제조품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브러쉬의 마모량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브러싱 효과가 일어나게 되어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브러쉬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쉬 툴은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의 브러쉬를 구성하고 있으며, 브러쉬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물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유용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마무리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에 사용되던 브러쉬 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브러쉬 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브러쉬 툴은 브러쉬 고정홀더(110)와, 브러쉬 고정홀더(110)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브러쉬(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 쉬(120)가 고정된 브러쉬 고정홀더(110)를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브러쉬(120)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브러쉬 툴은 브러쉬(120)와 브러쉬 고정홀더(110)가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계속되는 작업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는 브러쉬(120)의 보정이 불가능하여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브러쉬 툴이 수명이 짧아져 제조품의 생산단가가 증대되는 등, 품질관리를 일정하게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러쉬 툴은 브러쉬를 고정홀더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브러쉬 툴에 있어서, 외부 끝단으로 너트결합부를 구성하고, 내부로는 생크이동부를 구성하되, 상기 생크이동부의 일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개방된 타측방향에는 키 가이드가 형성된 고정홀더와; 중공형 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홀더에 결합되되, 외부 상, 하측으로는 고정홀더의 키 가이드에 대응하는 키 결합부를 형성하며,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는 걸림단턱과 콜릿고정부를 각각 형성한 생크와; 상기 고정홀더의 스프링안착홈과 상기 생크의 일측 내부에 구성된 걸림단턱 사이에 끼워져 탄성작용을 하는 탄성장치와; 상기 생크의 키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홀더의 키 가이드에 끼워지는 키와, 고정홀더의 너트결합부에 고정결합된 너트로 구성되어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따라 움직이는 생크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어부; 브러쉬를 고정하는 콜릿과, 상기 콜릿을 생크에 결합 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툴을 이용하면,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브러쉬가 마모 되더라도 스프링과 같은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의 마모량이 자동 보정되기 때문에 브러쉬의 마모량에 따른 보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브러쉬의 자동 보정으로 인하여 브러쉬 툴의 교환주기기 늘어나기 때문에 제조품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작업에서 항상 동일한 브러싱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브러쉬 툴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장치가 탄성력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공작물에 눌리도록 접촉되어 탄성장치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의 마모량이 자동으로 보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툴(100)은 브러쉬(B)를 고정홀더(10)에 결합한 후,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공작물(M)의 표면을 연마하는데 쓰이는 것으로, 고정홀더(10)와, 생크(20)와, 탄성장치(30)와, 이동제어부(40)와, 고정구(50)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홀더(10)는 일측에 구성된 테이퍼결합부(15)를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타측의 외부 끝단으로는 너트결합부(11)를 구성하고 있다.
아울러, 고정홀더(10)의 내부에는 생크이동부(1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생크이동부(12)의 일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크이동부(13)의 개방된 방향에는 키 가이드(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생크(20)는 중공형 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홀더(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의 상, 하측으로는 고정홀더(10)에 구성된 키 가이드(14)에 대응하는 키 결합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홀더(10)에 삽입되는 측 방향의 내부에는 걸림단턱(22)을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 방향의 내부에는 콜릿고정부(2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장치(30)는 상기 고정홀더(10)의 생크이동부(12)에 삽입된 생크(20)를 상, 하로 작동을 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홀더(10)의 스프링안착홈(13)과 상기 생크(20)의 일측 내부에 구성된 걸림단턱(22) 사이에 끼워져 탄성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의 스프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장치(30)는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재질이나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가공되는 제품의 강도에 따라 적절히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장치(30)가 밀착되는 생크(20)의 걸림단턱(20)에는 와셔(W)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탄성장치(30)가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생크(20)의 상, 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생크(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제어부(40)는 상기 탄성장치(30)의 탄성력에 따라 움직이는 생크(20)의 회전방지와 더불어 상, 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생크(20)의 키 결합부(2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홀더(10)의 키 가이드(14)에 끼워지는 키(41)와, 상기 고정홀더(10)의 너트결합부(11)에 고정결합되는 너트(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41)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42)에 의해 상기 생크(20)에 결합고정되고, 탄성장치(30)의 탄성력에 따라 움직이는 생크(20)의 하측 이동에 따라 고정홀더(10)의 키 가이드(14)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다가 고정홀더(10)에 고정결합된 너트(43)에 걸리는 작용을 하며, 이로써 생크(20)가 고정홀더(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50)는 통상의 콜릿(C)이 생크(2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며, 상기 콜릿에는 통상의 브러쉬가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홀더(10)와, 생크(20)와, 와셔(W)와, 탄성장치(30)와, 키(41)와, 너트(43)와, 고정구(50)와, 콜릿(C)과, 브러쉬(B)를 준비한 다음, 생크(20)에 너트(43)를 끼우고, 상기 생크(20)에 끼워진 너트(43)를 생크(20)의 키 결합부(21)와 콜릿고정부(23)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생크(20)에 구성된 키 결합부(21)에 키(41)를 안착시킨 다음,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42)을 이용하여 상기 키(41)를 생크(2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너트(43)가 생크(20)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만든다.
그 후에는, 상기 고정홀더(10)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13)에 탄성장치(30)를 삽입시키고, 상기 탄성장치(30)가 삽입된 고정홀더(10)의 생크이동부(12)에 생크(20)를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고정홀더(10)에 구성된 키 가이드(14)에 상기 생크(20)에 결합된 키(41)의 위치를 맞춘 상태로 결합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면, 상기 생크(20)에 결합된 키(41)가 고정홀더(10)에 구성된 키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장치(30)가 고정홀더(10)와 생크(20) 사이에 밀착되어 압축된 상태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크(20)에 끼워진 너트(43)를 고정홀더(10)에 구성된 너트결합부(11)에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홀더(10)와 생크(20)와 너트(43)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로써 탄성장치(30)가 생크(20)를 하측으로 지속적으로 미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장치(30)가 밀착되는 생크(23)의 걸림단턱(22)에는 탄성장치(30)의 더욱 안정적인 밀착과 생크(20)의 변형방지를 위한 와셔(W)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후에는, 고정구(50)에 콜릿(C)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50)에 결합된 콜릿(C)에 브러쉬(B)의 축(B1)을 결합하여 상기 브러쉬(B)가 결합된 콜릿(C)과 고정구(5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콜릿(C)을 생크(20)의 콜릿고정부(23) 에 끼운 상태로 고정구(50)를 생크(20)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브러쉬 툴(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브러쉬 툴(100)을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공작기계에 회전하는 브러쉬(B)가 공작물(M)의 표면에 맞닿은 후, 눌리도록 함으로써, 탄성장치(30)를 압축시켜 사용해야 한다.
그러면, 공작물(M)의 표면을 브러쉬(B)가 연마하는 중에 발생하는 조금씩 발생되는 브러쉬(B)의 마모가 탄성장치(3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되기 때문에, 마모량 보정이 어려운 브러쉬 툴(100)의 사용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러쉬(B)의 마모에 따른 보정이 필요 없음으로 브러쉬(B)의 교환주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동일한 브러싱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을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품질관리가 용해해지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브러쉬 툴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브러쉬 툴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장치가 탄성력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공작물에 눌리도록 접촉되어 탄성장치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쉬의 마모량이 자동으로 보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브러쉬 C : 콜릿
M : 공작물 W : 와셔
10 : 고정홀더 11 : 너트결합부
12 : 생크이동부 13 : 스프링안착홈
14 : 키 가이드 15 : 테이퍼결합부
20 : 생크 21 : 키 결합부
22 : 걸림단턱 23 : 콜릿고정부
30 : 탄성장치 40 : 이동제어부
41 : 키 43 : 너트
50 : 고정구 100 : 브러쉬 툴

Claims (2)

  1. 브러쉬를 고정홀더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브러쉬 툴에 있어서,
    외부 끝단으로 너트결합부(11)를 구성하고, 내부로는 생크이동부(12)를 구성하되, 상기 생크이동부(12)의 일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13)이 형성되고, 개방된 타측방향에는 키 가이드(14)가 형성된 고정홀더(10);
    중공형 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홀더(10)에 결합되되, 외부 상, 하측으로는 고정홀더(10)의 키 가이드(14)에 대응하는 키 결합부(21)를 형성하며,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는 걸림단턱(22)과 콜릿고정부(23)를 각각 형성한 생크(20);
    상기 고정홀더(10)의 스프링안착홈(13)과 상기 생크(10)의 일측 내부에 구성된 걸림단턱(22) 사이에 끼워져 탄성작용을 하는 탄성장치(30);
    상기 생크(20)의 키 결합부(2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홀더(10)의 키 가이드(14)에 끼워지는 키(41)와, 고정홀더(10)의 너트결합부(11)에 고정결합된 너트(43)로 구성되어 탄성장치(30)의 탄성력에 따라 움직이는 생크(2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어부(40);
    브러쉬(B)를 고정하는 콜릿(C)과, 상기 콜릿(C)을 생크(20)에 결합하는 고정구(5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브러쉬 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30)의 일측이 밀착되는 생크(20)의 걸림단턱(22)에는 와셔(W)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는 브러쉬 툴.
KR1020080087509A 2008-09-05 2008-09-05 브러쉬 툴 KR10087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09A KR100870129B1 (ko) 2008-09-05 2008-09-05 브러쉬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09A KR100870129B1 (ko) 2008-09-05 2008-09-05 브러쉬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129B1 true KR100870129B1 (ko) 2008-11-25

Family

ID=4028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509A KR100870129B1 (ko) 2008-09-05 2008-09-05 브러쉬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065A (zh) * 2014-06-16 2014-09-17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的轮毂毛刺刷
KR101438100B1 (ko) * 2014-01-09 2014-11-04 이정원 브러시 툴
CN105345627A (zh) * 2015-11-09 2016-02-24 成都金科达铝业有限公司 铝板表面加工装置
KR101642016B1 (ko) * 2016-02-05 2016-07-22 주식회사 다인정공 브러쉬 홀딩 디바이스
KR20230052403A (ko) * 2021-10-13 2023-04-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배관의 내주면 연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351A (ja) 1986-02-26 1987-09-03 Shintou Bureetaa Kk バリ取り研摩法およびバリ取り研摩用ブラッシング装置
JPS62199365A (ja) 1986-02-26 1987-09-03 Shintou Bureetaa Kk バリ取り研摩機用回転ブラシ
JP2000084848A (ja) 1998-09-10 2000-03-28 Noguchi Koki Kk 研削機
JP2002292559A (ja) 2001-03-29 2002-10-08 Noguchi Koki Kk 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351A (ja) 1986-02-26 1987-09-03 Shintou Bureetaa Kk バリ取り研摩法およびバリ取り研摩用ブラッシング装置
JPS62199365A (ja) 1986-02-26 1987-09-03 Shintou Bureetaa Kk バリ取り研摩機用回転ブラシ
JP2000084848A (ja) 1998-09-10 2000-03-28 Noguchi Koki Kk 研削機
JP2002292559A (ja) 2001-03-29 2002-10-08 Noguchi Koki Kk 研削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100B1 (ko) * 2014-01-09 2014-11-04 이정원 브러시 툴
CN104044065A (zh) * 2014-06-16 2014-09-17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的轮毂毛刺刷
CN105345627A (zh) * 2015-11-09 2016-02-24 成都金科达铝业有限公司 铝板表面加工装置
KR101642016B1 (ko) * 2016-02-05 2016-07-22 주식회사 다인정공 브러쉬 홀딩 디바이스
WO2017135616A1 (ko) *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다인정공 브러쉬 홀딩 디바이스
KR20230052403A (ko) * 2021-10-13 2023-04-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배관의 내주면 연마장치
KR102609248B1 (ko) 2021-10-13 2023-12-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배관의 내주면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129B1 (ko) 브러쉬 툴
EP3584019B1 (en) Stripping device for press mold
US1196656A (en) Lens-drilling machine.
KR101761143B1 (ko) 스팟용접기용 팁체인저
KR101957058B1 (ko) 공작기계의 공구 그리퍼
TW201720588A (zh) 衝擊自旋手工具
KR200472903Y1 (ko) 링 가공용 소프트조
US20180361534A1 (en) Tool holding fixture and device for polishing of lenses
FR2935628A1 (fr) Outil de surfacage a qualite optique
KR20130038013A (ko) 자동선반의 가공물 고정 지그
PL1748854T3 (pl) Obrabiarka z napędem podnoszenia do działania narzędzia obróbkowego na detal
US8894469B2 (en) Sanding machine with clamping mechanism
KR20130004968U (ko) 바이스 압력 증강장치
CN210499134U (zh) 一种铆压设备
US1002124A (en) Machine for grinding watch-crystals.
CN218658179U (zh) 一种耐磨滑轨打磨的固定装置
CN217421848U (zh) 一种可拆卸连杆连接结构及具有其的连杆组件
US267094A (en) Benjamin b
JP2000218324A (ja) 穴抜き型
CA2498019C (en) Nail manufacturing tool holder having a quick change mechanism
US336346A (en) Furniture-pad
US979006A (en) Screw-finishing machine.
CN103104578B (zh) 一种夹具
KR200308671Y1 (ko) 숫돌 받침대
CN109968269B (zh) 汽车装配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