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957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957B1
KR100869957B1 KR1020070006220A KR20070006220A KR100869957B1 KR 100869957 B1 KR100869957 B1 KR 100869957B1 KR 1020070006220 A KR1020070006220 A KR 1020070006220A KR 20070006220 A KR20070006220 A KR 20070006220A KR 100869957 B1 KR100869957 B1 KR 10086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topper
chassis
tray
lowe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425A (ko
Inventor
송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0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2Brakes other than speed-regulating brak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D)의 급작스러운 인출시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디스크회전정지장치이다. 본 발명은 마찰로 인해 디스크(D)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54)를 상부샤시 스커트(52)에 부착한 상부샤시(50)와, 상기 스토퍼(54)가 관통하는 도피공(33)이 있는 하부샤시(30)와, 디스크(D)를 안착시켜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로딩 및 언로딩 시키는 트레이(34)를 포함하는 디스크회전정지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회전정지장치는,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공간확보에 유리하며, 스토퍼와 디스크 간의 간섭량 감소로 인해 기기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효과적이다. 또한 도피공은 스토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기기의 내구성 향상과 함께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디스크, 회전정지, 스토퍼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Rotation stopping device for disk of disk dr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1의 종래 기술에서 디스크가 인출되는 것을 평면도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은 도1의 종래 기술에서 디스크가 인출되는 것을 단면도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회전정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하부샤시 32: 하부샤시 스커트 33: 도피공
34: 트레이 36: 트레이 몸체 38: 디스크안착면
40: 턴테이블 42: 클램프 50: 상부샤시
52: 상부샤시 스커트 54: 스토퍼 56: 쿠션패드
58: 펠트 130: 하부샤시 132: 하부샤시 스커트
133: 도피공 150: 상부샤시 152: 상부샤시 스커트
154: 스토퍼 D: 디스크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디스크의 급작스런 인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부 외관을 하부샤시(1)가 형성하고, 상기 하부샤시(1) 상에는 트레이(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3)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크(D)의 구동을 위한 구성과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트레이(3)의 중앙에는 디스크(D)를 안착시키고, 디스크(D)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5)이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5)의 상면에는 디스크(D)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는 광픽업(8)이 트레이(3)에 형성된 픽업창(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3)의 전면에는 전면플레이트(10)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트레이(3)의 입출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인 스위치노브(12)가 노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샤시(1)의 일측에는 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4)는 트레이(3)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디스크(D)의 회전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14)는 그 일면이 상기 트레이(3)가 외부로 인출될 때, 디스크(D)의 일측단이 이동되는 궤적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14)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트레이(3)가 어떠한 이유에서든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인출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이 디스크(D)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디스크(D)가 정지된 상태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디스크(D)를 로딩 또는 언로딩 하기위해서는 트레이(3)를 인출시켜야 한다. 보통 사용자는 디스크(D)의 사용이 정지된 상태에서 트레이(3)를 인출시키게 되는데,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회전 중인 디스크(D)의 인출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회전하는 디스크(D)는 순간적인 편심의 생성이나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파손이나 경로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디스크(D)의 인출경로에 스토퍼(14)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4)는 하부샤시(1)에 장착되는데, 기록매체의 특성에 따라 광픽업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턴테이블(5)의 위치가 하부샤시(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상기 스토퍼(14)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며, 디스크(D)와의 마찰에서 간섭량이 크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D)와 스토퍼(14) 간 공간부족으로 간섭량이 크게 되어 평상시 디스크(D)의 로딩 또는 언로딩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샤시와 하부샤시는 서로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없어,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의 결합이 틀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품질이 나빠지고 심한 경우 디스크드라이브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의 비상인출시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하는 스토퍼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디스크와의 마찰에서 간섭량을 최적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작시에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샤시와; 상기 상부샤시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샤시와; 상기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디스크를 안착시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트레이와; 상기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도피공에 위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인출시에 상기 디스크의 측면에 밀착되어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샤시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하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샤시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샤시 스커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상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을 관통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샤시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샤시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샤시 스커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하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을 관통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도피공의 폭은 상기 스토퍼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쿠션패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회전정지용 펠트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인출시에 디스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의 간섭량을 최적화하여,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피공을 통해서 하부샤시에 대한 상부샤시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회전정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부 외관을 하부샤시(30)가 형성한다. 상기 하부샤시(30)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부샤시 스커트(32)가 적어도 하부샤시(30)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 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부샤시(30)의 좌우양단과 후단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샤시 스커트(32)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샤시 스커트(32)에는 도피공(33)이 형성된다. 상기 도피공(33)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샤시 스커트(52)에 구비된 스토퍼(54)를 지지한다. 하부샤시(30)에 도피공(33)을 형성하고 상부샤시(50)에 스토퍼(54)를 부착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 내에서 하부샤시 스커트(32)의 두께만큼 스토퍼(54)의 설치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도피공(33)의 폭은 상기 스토퍼(54)의 폭과 동일하게 하여 하부샤시(30)와 상부샤시(50)의 결합이 정확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대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부샤시(30)에는 트레이(34)가 내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샤시(30)에는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이나 트레이(34)를 인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4)에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품과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읽기 위한 부품 등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샤시(30)의 내부 상면 양측에는 트레이(3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4)를 구성하는 트레이몸체(36)는 대략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그 하면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도시되지 않음)와 대응되는 가이드채널(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36)의 상면에는 디스크안착면(38)이 원형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34)는 그 상면에 디스크(D)를 안착시켜 이송하는 것으로, 디스크(D)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로딩 및 언로딩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트레이(34)에는 디스크(D)를 안착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40)이 그 중앙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4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디스크(D)가 회전중에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42)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34)의 하면에는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광픽업(도시되지 않음) 등의 구성이 구비된다.
상부샤시(50)는 상기 하부샤시(30)의 상부와 양측면을 덮어 상기 하부샤시(3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을 보호하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샤시(50)에는 상부샤시 스커트(52)가 적어도 상부샤시(50)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부샤시(50)의 좌우양단과 후단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샤시 스커트(52)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샤시 스커트(52)에는 디스크(D)의 측면과 접촉하여 트레이(34)의 인출시 디스크(D)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스토퍼(54)가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Stopper)(54)는 유연한 쿠션패드(Cushion Pad)(56)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회전정지용 펠트(Felt)(58)를 접착 제(57)로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4)의 설치 위치는 사용되는 디스크(D)가 상기 트레이(34)에 안착된 상태로 트레이(34)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의 단부가 상기 하부샤시의 내면에 가장 인접한 부분을 벗어난 위치이다. 즉, 트레이(34)의 입출 방향에 직교하게 상기 턴테이블(40)을 통과하는 가상선에서 트레이(34)의 선단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스토퍼(54)가 위치된다. 이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정상 동작중에 상기 턴테이블(40)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D)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스크회전정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하부샤시(130)와 상부샤시(1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는 디스크(D)의 측면과 접촉하여 트레이(34)의 인출시 디스크(D)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스토퍼(154)가 도피공(133)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부샤시(150)는 하부샤시(130)의 상부를 덮고, 하부샤시 스커트(132)의 안쪽면에 상부샤시 스커트(152)가 위치하도록 하부샤시(130)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샤시 스커트(152)에는 하부샤시 스커트(132)에 구비된 스토퍼(154)가 관통하는 도피공(133)이 있다. 상기 상부샤시(150)에 상기 도피공(133)을 형성하고 상기 도피공(133)을 통해 상기 하부샤시(130)에 스토퍼(154)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 내에서 상부샤시 스커트(152)의 두께만큼 스토퍼(154)의 작동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도피공(133)은 스토퍼(154)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흔들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스토퍼(154)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크(D)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로 로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이(34)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인출하여 내고, 턴테이블(40)에 디스크(D)를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D)가 트레이(34)에 의해 이동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트레이(34)는 별도의 구성에 의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에 고정되고, 스핀들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해 턴테이블(40)이 회전되면서 상기 디스크(D)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D)가 회전하는 동안에 픽업창(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광픽업(도시되지 않음)에서 조사된 광이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되면서 신호의 재생 및 기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디스크(D)의 로딩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이젝트 신호가 전달되면,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디스크(D)의 삽입시와는 반대로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34)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스토퍼(54)는 그 일면이 상기 트레이(34)가 인출될 때, 디스크(D)의 일측단이 이동되는 궤적상에 위치하고, 디스크(D)는 스토퍼(54)와의 마찰에 의해 회 전이 정지된다.
디스크(D)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동작은, 정상적인 언로딩 동작시에도 필요하지만 비상동작시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즉 상기 턴테이블(40)에 의해 회전중인 디스크(D)가 불의의 외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34)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인출되는 비상동작시에, 상기 디스크(D)의 회전이 정지하지 않게 되면 회전되는 디스크(D)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34)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디스크(D)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54)에 디스크(D)가 닿지 않아 디스크(D)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트레이(34)가 인출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54)는 디스크(D)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그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회전정지장치는, 스토퍼의 설치를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공간확보에 유리하며, 스토퍼와 디스크 간의 간섭량 감소로 인해 기기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효과적이다.
또한 트레이의 인출시 디스크의 측면에 밀착하는 스토퍼가 도피공을 관통하여 구성되므로,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의 결합을 정확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디 스크 드라이브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킨다.

Claims (5)

  1. 상부샤시와;
    상기 상부샤시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샤시와;
    상기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디스크를 안착시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트레이와;
    상기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도피공에 위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인출시에 상기 디스크의 측면에 밀착되어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시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하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샤시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샤시 스커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상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을 관통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시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부샤 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샤시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샤시 스커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하부샤시 스커트에는 상기 도피공을 관통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공의 폭은 상기 스토퍼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쿠션패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회전정지용 펠트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KR1020070006220A 2007-01-19 2007-01-19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KR10086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20A KR100869957B1 (ko) 2007-01-19 2007-01-19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20A KR100869957B1 (ko) 2007-01-19 2007-01-19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25A KR20080068425A (ko) 2008-07-23
KR100869957B1 true KR100869957B1 (ko) 2008-11-24

Family

ID=3982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20A KR100869957B1 (ko) 2007-01-19 2007-01-19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9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812A (ja) * 2001-11-01 2003-05-16 Nec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制動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812A (ja) * 2001-11-01 2003-05-16 Nec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制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25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20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229781B1 (en) Disk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creased reliability of disk holding and clamping operations when installed in its vertical position
JP3600448B2 (ja)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ック機構
KR100869957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회전정지장치
US8074237B2 (en) Optical disk device including buffer mechanism for buffer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optical pickup side of a disk motor plate
JP3866559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制動機構
JP369267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3168254A (ja) ディスク装置
JP3036350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
US7013474B2 (en) Disk drive apparatus having movably-positioned vibration-absorbing member
JP3551638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のピックアップ装置
JP4051951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693139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진동방지구조
JP4297237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3660840B2 (ja) ディスク装置
US20070124742A1 (en) Disk device having ribs for preventing fall-in of disk medium
CN102148044A (zh) 光盘装置
JP3221934B2 (ja) マガジン位置規制装置
KR10072765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스토핑장치
JP398280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防塵機構
KR200153602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3869789B2 (ja) ターンテーブルが昇降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KR890005700Y1 (ko) 디스크 카아트리지용 기록 재생장치
WO2020144819A1 (ja) 光ディスク装置
JP2702472B2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