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319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319B1
KR100869319B1 KR1020060115112A KR20060115112A KR100869319B1 KR 100869319 B1 KR100869319 B1 KR 100869319B1 KR 1020060115112 A KR1020060115112 A KR 1020060115112A KR 20060115112 A KR20060115112 A KR 20060115112A KR 100869319 B1 KR100869319 B1 KR 10086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head
case
printing machine
digital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882A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06011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3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11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ink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362Assembling elements of head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해진 개수의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출시키는 판부재를 병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병렬 상태로 배치되는 각 노즐을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노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프린팅 머신, 헤드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head of digital print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조작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조작 상태에 따른 노즐의 배열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케이스에 새겨진 이동거리확인부재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2: 장착홀
14: 이동거리확인부재 20a: 고정용 설치부재
20b: 이동용 설치부재 22: 슬롯홀
24: 가이드홈 26: 브라켓
28: 바닥판 30: 판부재
32: 노즐 40: 잉크공급부재
50: 위치고정부 60: 위치조절부
63: 위치이동부재 64: 탄성지지부
65: 바디 67: 탄성부재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해진 개수의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출시키는 판부재를 병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병렬 상태로 배치되는 각 노즐을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노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마젠타,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이라는 삼원색을 공급하여 색을 프린팅용지(메시아)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상기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 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특히,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헤드 각각을 알루미늄으로 제조한 헤드고정블럭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 헤드고정블럭의 상측면에 기판고정부재를 고정나사로 체결하고, 상기 기판고정부재의 상측에는 수용커넥터부재가 납땜으로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체결하고, 기판고정부재에는 잉크공급수단인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연결호스를 헤드에 연결 설치하여 헤드조립체를 제조한 후, 바닥플레이트의 결합나사공에 다수의 방향조절나사를 체결하여 설치하므로 헤드조립체를 컴팩트하게 형성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정해진 규격 즉 정해진 개수의 헤드의 노즐을 증가시키기 위해 헤드를 직렬로 다수 개 배열함에 따라 부피가 커지게 되며, 직렬 배치에 따른 구조의 복잡함 및 조립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는 하나의 헤드 하부에 노즐을 2열 이상 배치시 잉크를 인쇄지에 1 열처럼 분출시키도록 프로그래밍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규격화된 개수의 노즐을 갖는 판부재를 병렬로 배열하면서 병렬로 배열된 각 노즐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으로 인쇄 속도 및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 도록 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로 개방되며 바닥면에 장착홀을 다수 개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장착홀 개수만큼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에 일부 삽입되며 각각을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의 하부로 노출하도록 바닥면에 슬롯홀을 형성한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 각각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슬롯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부에 노즐을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조작시 공급되는 잉크의 분사를 유도하는 판부재와, 상기 슬롯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상기 설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부재를 이동시키며 해당하는 상기 판부재의 노즐 각각을 인접한 상기 노즐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해당되는 상기 설치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조작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조작 상태에 따른 노즐의 배열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케이스에 새겨진 이동거리확인부재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는 케이스(10), 설치부재(20a,20b), 판부재(30), 잉크공급부재(40), 위치고정부(50) 및 위치조절부(6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부를 개방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바닥면에 장착홀(12)을 다수 열 통공한다.
이때, 상기 장착홀(1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편의상 상기 장착홀(12)은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각각의 장착홀(12) 상부에 해당되는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설치부재(20a,20b)의 하부에는 제 1단턱(23)이 형성되어 장착홀(12)의 양단부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설치부재(20a,20b)는 하부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하면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하면에 바닥판(28)을 볼트(29)로써 분리 가능하게 장착한다.
물론, 상기 바닥판(28)이 설치부재(20a,20b)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바닥판(28)을 장착홀(12)의 하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특히, 상기 바닥판(28)과 케이스(10)의 바닥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28)은 슬롯홀(22)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바닥판(28)이 설치부재(20a,20b)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경우 이 설치부재(20a,20b)의 하면에 슬롯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홀(22)은 장착홀(12)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30)는 설치부재(20a,20b) 각각에 고정 장착되며, 하부에 일직선상으로 다수 개의 노즐(32)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32)은 설치부재(20a,20b)의 슬롯홀(22)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부재(30)는 양측 하단부에 제 2단턱(33)을 형성하여 슬롯홀(22)의 양단부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판부재(30)는 하부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판부재(30)는 외부 조작시 잉크를 공급받아 노즐(32)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메디아(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가이드홈(24)을 함몰 형성하여 설치부재(20a,20b)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수용한다.
그래서,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견고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판부재(30)는 외부에서 잉크를 공급받기 위해 일측에 잉크공급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잉크공급부재(40)는 가이드홈(24)에 일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잉크공급부재(40)는 둘레에 클립(42)을 끼워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부재(30)가 설치부재(20a,20b)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설치부재(20a,20b)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상부 및 설치부재(20a,20b) 각각에 장착된 판부재(30)의 상측 가장자리 일부는 브라켓(26)에 의해 커버링된다
즉, 상기 브라켓(26)의 일단부는 판부재(30)의 가장자리를 누르고 있으며, 타단부는 설치부재(20a,20b)에 결합부재(27)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스크류나 볼트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부재(30) 각각은 정해진 개수 및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되게 형성된 노즐(32)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판부재(30)는 병렬로 배치하되, 노즐(32)을 서로 엇갈리도록 병렬 배치함으로써 간단히 노즐(32)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판부재(30)를 각각 고정하고 있는 설치부재(20a,20b)가 서로 이동되며 병렬 상태인 노즐(32)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편의상, 상기 설치부재(20a,20b)는 케이스(10) 내부에 한 쌍 구비된 것으로 하고, 그 중 하나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장착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고정되는 설치부재는 고정용 설치부재(20a)라 하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설치부재는 이동용 설치부재(20b)라고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고정용 설치부재(20a)는 위치고정부(50)에 의해 케이 스(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부(50)는 고정홀(52) 및 고정부재(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마주하는 측면에 고정홀(52)을 내외부로 연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홀(52) 각각에는 고정부재(54)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4) 각각은 고정용 설치부재(20a)의 각 측부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용 설치부재(20a)를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54)는 둘레에 탭을 형성하여 고정홀(52)에 나사 결합되고, 일직선상에 위치한 모든 노즐(32)이 슬롯홀(22)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 결정된 후 고정용 설치부재(20a)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함으로써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54)는 일반적인 무드볼트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60)는 고정용 설치부재(20a)를 케이스(10)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용 설치부재(20b)를 조립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며 병렬상태인 노즐(32)을 서로 엇갈리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위치조절부(60)는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설치부재(20b)와 접하는 케이스(10)의 양측면에 통공되는 설치홀(62)과,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홀(62)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력 작용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시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의 일측면을 밀어 위치 이동시키거나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후진시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를 미는 지지력을 제거하는 위치이동부재(63)와, 상기 케이스(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홀(62)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위치이동부재(63)의 전진시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의 타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위치이동부재(63)의 후진시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를 밀어 상기 위치이동부재(63)와 접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홀(62)은 케이스(10)의 측면에서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이동부재(63)는 둘레에 탭을 형성한 일반적인 무드볼트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64)는 케이스(10)의 타측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며 내부에 입구보다 큰 직경의 수용홈(66)을 형성한 바디(65)와, 상기 바디(65)의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부재(67)와, 상기 수용홈(66)의 입구보다 직경이 작아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66)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67)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압축 또는 이완되는 상기 탄성부재(67)에 의해 상기 이동용 설치부재(20b)를 미는 플런저(6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65)는 둘레에 탭을 형성하여 케이스(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설치홀(62)에 체결되고, 케이스(10)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홈(66)을 갖는다.
특히, 상기 바디(65)의 수용홈(66)은 입구의 직경보다 내부 직경을 크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65)의 수용홈(66)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67) 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67)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7)의 상단에는 플런저(plunger,68)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68)는 직경이 수용홈(66)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용홈(66)의 외부로 임의적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플런저(68)의 둘레 일부는 탄성부재(67)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위치이동부재(6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용 설치부재(20b)는 장착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동하면서 플런저(68)를 밀어 탄성부재(67)를 압축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위치이동부재(6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용 설치부재(20b)는 탄성부재(6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0)의 일측면으로 밀리게 되면서 위치이동부재(63)와 접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이동용 설치부재(20b)의 노즐(32)과 병렬상태로 배치된 고정용 설치부재(20a)를 서로 엇갈리게 구비함으로써 간단하게 노즐(32)의 개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케이스(10)는 이동용 설치부재(20b)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테두리에 이동거리확인부재(14)를 형성함으로써 이동용 설치부재(20b)의 이동 거리등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거리확인부재(14)는 케이스(10)의 테두리에 새겨진 눈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의하면, 정해진 개수의 노즐을 갖는 판부재를 병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병렬상태인 노즐을 서로 엇갈리게 구비함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노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상부로 개방되며, 바닥면에 장착홀을 다수 개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장착홀 개수만큼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에 일부 삽입되며, 각각을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의 하부로 노출하도록 바닥면에 슬롯홀을 형성한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 각각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슬롯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부에 노즐을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조작시 공급되는 잉크의 분사를 유도하는 판부재와;
    상기 슬롯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해당되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상기 설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부재를 이동시키며 해당하는 상기 판부재의 노즐 각각을 인접한 상기 노즐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해당되는 상기 설치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재의 양측 하부에는 제 2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홀에 걸림으로써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착홀과 나란한 테두리에 이동거리확인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재의 이동거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 하부에는 제 1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에 걸림으로써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판부재의 가장자리를 각각 수용함으로써 상기 판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 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슬롯홀을 형성한 바닥판을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가장자리에 잉크공급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잉크공급부재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로 삽입되는 둘레에 클립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설치부재와 접하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통공되는 설치홀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홀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력 작용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시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면을 밀어 위치 이동시키거나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후진시 상기 설치부재를 미는 지지력을 제거하는 위치이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홀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전진시 상기 설치부재의 타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후진시 상기 설치부재를 밀어 상기 위치이동부재와 접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된 설치홀에 체결 고정되며, 내부에 입구보다 큰 직경의 수용홈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입구보다 직경이 작아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설치부재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압축 또는 이완되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부재를 미는 플런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KR1020060115112A 2006-11-21 2006-11-21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KR10086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12A KR100869319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12A KR100869319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882A KR20080045882A (ko) 2008-05-26
KR100869319B1 true KR100869319B1 (ko) 2008-11-18

Family

ID=3966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112A KR100869319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3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959A (ja) * 1992-09-04 1994-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9966A (ja) * 1995-07-19 1997-02-04 Fujitsu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2127442A (ja) 2000-10-20 2002-05-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KR20050075980A (en) * 2004-01-19 2005-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head position adjustment method thereof
KR20060004608A (ko) * 2005-09-08 2006-01-12 이지마크(주) 잉크 젯 프린터
KR20070011926A (ko) * 2005-07-22 200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헤드의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배향막인쇄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의 정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959A (ja) * 1992-09-04 1994-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9966A (ja) * 1995-07-19 1997-02-04 Fujitsu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2127442A (ja) 2000-10-20 2002-05-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KR20050075980A (en) * 2004-01-19 2005-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head position adjustment method thereof
KR20070011926A (ko) * 2005-07-22 200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헤드의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배향막인쇄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의 정렬 방법
KR20060004608A (ko) * 2005-09-08 2006-01-12 이지마크(주) 잉크 젯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882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557B2 (en) Recording unit and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recording unit
US6456495B1 (en) Logic controller having DIN rail backplane and locking means for interconnected device module
EP1946927B1 (en) Ink supply unit for a printhead assembly
EP0807529B1 (en) A carriage assembly retaining two inkjet print cartridges
KR101089880B1 (ko) 멀티 잉크젯 헤드 패키지, 이를 이용한 잉크젯 기록 장치 및 멀티 잉크젯 헤드 패키지를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에 얼라인하는 방법
CA2301864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printing apparatus
WO2010064587A1 (ja) キャリッジユニット、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キャリッジユニットの固定方法
JPWO2017109833A1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アッセンブリ
JP735212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6931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JP4304941B2 (ja) 記録ヘッドの骨組構造体、記録ヘッド及びプリンタ
WO2010101034A1 (ja) キャリッジユニット、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の固定方法
JP2004090496A (ja) 記録ヘッド及びプリンタ
JP7350611B2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US20020113841A1 (en) Recording apparatus
JP330710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747659B1 (en)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JP2009045937A (ja) 高効率画像アレイ微小電気機械システム(mems)ジェット
KR200364927Y1 (ko) 헤드고정블럭을 구비한 헤드조립체
JP4061456B2 (ja) 記録装置における電気基板の取外し方法及び取付方法
KR200364791Y1 (ko) 디지털 프린팅머신의 헤드조립체
KR100672210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부 구조
KR200159496Y1 (ko) 잉크젯프린터의 헤드전기 접점구조물
JP2006102984A (ja) 液体噴射装置
JPH1034908A (ja) 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