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563B1 - 집게끌게가위 - Google Patents

집게끌게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563B1
KR100868563B1 KR1020080041555A KR20080041555A KR100868563B1 KR 100868563 B1 KR100868563 B1 KR 100868563B1 KR 1020080041555 A KR1020080041555 A KR 1020080041555A KR 20080041555 A KR20080041555 A KR 20080041555A KR 100868563 B1 KR100868563 B1 KR 10086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pouch
blades
lower blades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호
차영희
Original Assignee
박지호
차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호, 차영희 filed Critical 박지호
Priority to KR102008004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끌게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날이 겹쳐지는 부위에 마련되어 물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와, 상˙하가 수평으로 맞닿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위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훑어낼 수 있는 끌게부와, 상기 상˙하부날 중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반대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레토르트 파우치에 들어있는 식품을 먹기 위해 파우치를 뜨겁게 데웠을 시 뜨거워진 파우치를 집게부로 집고 절단부로 파우치의 일부를 자르고 끌게부로 파우치 내부에 들어있는 식품을 끌어내서 간편하게 레토르트 파우치에 들어있는 식품을 즐길 수 있는 집게끌게가위에 관한 것이다.
집게, 끌게, 가위

Description

집게끌게가위{The scissors which is a combination tongs and drags}
본 발명은 집게끌게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 파우치에 들어있는 식품을 먹기 위해 파우치를 뜨겁게 데웠을 시 뜨거워진 파우치를 집게부로 집고 절단부로 파우치의 일부를 자르고 끌게부로 파우치 내부에 들어있는 식품을 끌어내서 간편하게 레토르트 파우치에 들어있는 식품을 즐길 수 있는 집게끌게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가위는 물체의 일부를 자르거나 음식물이 포장되어 있는 파우치의 일측단을 잘라내는데 주로 사용된다.
상기 가위는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날이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크로스되어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고 가위날에 연장형성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벌렸다 오므리며 단순히 물체를 자르거나 오려낼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가진 가위의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가위에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한 가위들이 많이 발명되고 있다.
상기 사용범위를 넓힌 가위 중에서 파우치에 수용된 내용물을 훑어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가위(국내 실용신안 제2003-0037289호)는 가위날의 선단에 파우 치를 집어낼 수 있는 집게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위날 중 어느 하나의 가위날등에 대하여 좁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훌치기봉을 이용하여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훑어내고자 하였으나 상기 가위의 가위날보다 좁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훌치기봉은 얇은 봉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져 파우치의 양측단을 잡아주지 못해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깨끗하게 훑어낼 수 없었고, 상기 훌치기봉에 받침판이 마련되지 않아 뜨거워진 파우치에서 수용된 음식물을 훑어내기 위해 파우치를 삽입하고 빼낼 때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뜨거워진 파우치를 집게부로 집고 절단부로 일부를 자르고 끌게부로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깨끗하게 훑어내며 파우치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동작이 하나의 가위에서 이루어져 간편하게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즐길 수 있는 집게끌게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오므려 파우치를 집고 절단하여 안의 내용물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집게끌게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는 부위에 마련되어 파우치를 절단하는 절단부(20), 상기 상˙하부날(13, 14)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날(13, 14)의 일단에 삽입되되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의 등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16, 17)에 의해 고정되도록 마련된 끼움홈(33, 34)이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하판(31, 32)의 일단에 마련되어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끌어내는 끌게부(30), 상기 상˙하판(31, 32)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끌게부(30)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판(31, 32) 중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파우치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끌게부(30)와 집게부(40)가 마련된 상기 상˙하판(31, 32)이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탈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손잡이(11, 12)에 연장형성되는 상˙하부날(13, 14)이 X자로 겹쳐지고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는 부위에 마련되어 파우치를 절단하는 절단부(20),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절단부(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부날(13, 14)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판형태의 상˙하부판(35, 36)으로 마련되어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끌어내게 형성된 끌게부(30),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끌게부(30)에 연장형성하며 상˙하부날(13, 14)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된 '∧' 형태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날이 물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와, 상˙하가 수평으로 맞닿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위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파우치 내의 내 용물을 훑어낼 수 있는 끌게부와,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반대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뜨거워진 파우치를 집어들고 일부를 자르고 안정되게 받쳐주며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깨끗하게 훑어내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끌게부 및 집게부가 마련된 상˙하판이 상˙하부날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가위만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묻은 끌게부 및 집게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사용 실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상세도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일단의 양쪽 손잡이부와 타단의 양쪽 날부가 형성된 양 작동체가 X자 형태로 힌지 조립된 주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쪽 날부가 서로 완전히 겹쳐지도록 마련되나 본 발명의 집게끌게가위(10)는 X자 형태로 힌지 조립된 주조로 이루어지되,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일단이 절곡되어 양쪽 날부가 일부만 겹쳐질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하부날(13, 14)의 절곡되지 않은 일단이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며 물체를 자를 수 있는 절단부(20)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날(13, 14)의 절곡되어 평행한 타단에 파우치 내부에 삽입된 음식물을 훑어낼 수 있는 끌게부(30)와,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40)가 마련되어 파우치를 집고 파우치의 일단을 잘라서 잘려진 일단으로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끌어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게끌게가위(10)는, 상기 상˙하부 손잡이(11, 12)에 연장형성되는 상˙하부날(13, 14)이 X자로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는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15)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5)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20)가 마련되고, 상기 절단부(20)에 연장형성된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절곡되어 상˙하부날(13, 14)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날(13, 14)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끌어내기 위해 넓은 면적의 면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끌게부(30)와, 상기 끌게부(30)에 연장형성되며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반대측이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40)가 마련되며 상˙하부날(13, 14)에 끼워지고 상˙하부날(13, 14)에 돌출 형성된 돌기(16, 17)에 의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끼움홈(33, 34)이 구비되는 상˙하판(31, 32)이 상기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슬라이드되며 탈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끌게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끼워지고,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의 등부분에 돌출된 돌기(16, 17)에 고정되는 상˙하판(31, 32)으로 구비되되, 상기 상˙하판(31, 32)이 수평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며, 파우치 내부에 음식물을 외부로 끌어낼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날(13, 14)의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 및 상기 파우치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날(13, 14)의 선단부터 슬라이드되며 끼워지되, 상기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하판(31, 3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끼움홈(33, 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33, 34)은 상˙하부날(13, 14)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의 등부분에 돌출된 돌기(16, 17)는 끼움홈(33, 34)의 폭보다 약간 넓은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판(31, 32)에 형성된 끼움홈(33, 34)이 쉽게 고정되고 사용자가 힘으로 상˙하판(31, 32)을 돌기(16, 17)로부터 빼내면 쉽게 빠져나 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집게부(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판(31, 32)에 형성되어 상˙하판(31, 32)을 상기 상˙하부날(13, 14)에 끼웠을 때 상기 상˙하부날(13, 14)의 선단에 위치되며, 상기 상˙하판(31, 32) 끝단 중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반대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지거나, 상˙하부날(13, 14)의 선단부를 90도 절곡하여 가위날 부분에 횡방향의 돌조를 마주보게 돌설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오므려 파우치를 집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절단부(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날(13, 14)이 X 자로 겹쳐져 형성되는 중심부에 마련된 회전축(15)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어,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움켜쥐는 힘에 의해 상˙하부날(13, 14)이 서로 겹쳐지며 음식물이 들어있는 파우치를 자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끌게부(3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움켜쥐는 힘에 의해 상˙하부날(13, 14)이 수평으로 마주보게 되어 파우치를 누르며 상부에서 하부로 훑어내서 파우치 내부에 들어있는 음식물을 외부로 솟아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상˙하판(31, 32)으로 이루어진 끌게부(30) 및 집게부(40)는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상˙하판(31, 32)에 형성된 끼움홈(33, 34)으로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마련되어 미사용시에는 상˙하부날(13, 14) 전면이 절단부(20)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하판(31, 32)을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의 등부분에 끼워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에 끼워서 파우치를 훑어내거나 파우치를 집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10)는 상˙하부날(13, 14)의 길이가 상이하며 상˙하부 손잡이(11, 12)에 연장형성된 상˙하부날(13, 14)의 일단이 절단부(20)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날(13, 14)이 절곡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절단부(20) 하부가 끌게부(30)로 형성되며, 상기 끌게부(30) 하부가 집게부(4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끌게부(30)는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에서 서로 수평으로 맞닿고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날(13, 14)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는 상˙하부판(35, 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부(40)는 상˙하부날(13, 14)의 선단에 돌출된 '∧' 형태와 상기 '∧' 형태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게부(40) 및 끌게부(30)는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탈부착되는 상˙하판(31, 32)으로 이루어짐으써 분실될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부(40) 및 끌게부(30)는 상˙하부날(13, 14)에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분실우려가 없도록 마련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기술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음식물이 들어있는 파우치를 먹기 위해 데웠을 때 뜨거워진 파우치를 집게부(40)로 집어들고 절단부(20)로 일부를 자른 후 끌게부(30)로 파우치에 수용된 음식물을 깨끗하게 훑어내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사용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게끌게가위의 상세도.
삭제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집게끌게가위 11, 12 : 상˙하부 손잡이
13, 14 : 상˙하부날 15 : 회전축
16, 17 : 돌기
20 : 절단부 30 : 끌게부
31, 32 : 상˙하판 33, 34 : 끼움홈
35, 36 : 상˙하부판
40 : 집게부

Claims (3)

  1.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오므려 파우치를 집고 절단하여 안의 내용물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집게끌게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손잡이(11, 12)에 연장형성되는 상˙하부날(13, 14)이 X자로 겹쳐지고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는 부위에 마련되어 파우치를 절단하는 절단부(20);
    상기 상˙하부날(13, 14)의 폭보다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날(13, 14)의 일단에 삽입되되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의 등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16, 17)에 의해 고정되도록 마련된 끼움홈(33, 34)이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하판(31, 32)의 일단에 마련되어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끌어내는 끌게부(30);
    상기 상˙하판(31, 32)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끌게부(30)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판(31, 32) 중 어느 하나가 '∧' 형태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져 파우치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4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끌게부(30)와 집게부(40)가 마련된 상기 상˙하판(31, 32)이 상˙하부날(13, 14)의 가위날 부분 및 가위날의 등부분에서 탈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끌게가위.
  2. 가위의 상˙하부날(13, 14)의 길이가 상이하며, 상˙하부 손잡이(11, 12)를 오므려 파우치를 집고 절단하여 안의 내용물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집게끌게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손잡이(11, 12)에 연장형성되는 상˙하부날(13, 14)이 X자로 겹쳐지고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어느 하나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날(13, 14)이 겹쳐지는 부위에 마련되어 파우치를 절단하는 절단부(20);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절단부(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부날(13, 14)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판형태의 상˙하부판(35, 36)으로 마련되어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끌어내게 형성된 끌게부(30);
    상기 상˙하부날(13, 14) 중 끌게부(30)에 연장형성하며 상˙하부날(13, 14)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된 '∧' 형태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끌게가위.
  3. 삭제
KR1020080041555A 2008-05-02 2008-05-02 집게끌게가위 KR10086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555A KR100868563B1 (ko) 2008-05-02 2008-05-02 집게끌게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555A KR100868563B1 (ko) 2008-05-02 2008-05-02 집게끌게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563B1 true KR100868563B1 (ko) 2008-11-13

Family

ID=4028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555A KR100868563B1 (ko) 2008-05-02 2008-05-02 집게끌게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34Y1 (ko) * 2010-01-15 2012-03-22 김혜선 레토르트 식품 파우치용 압출기
CN103940498A (zh) * 2014-04-14 2014-07-23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单只螃蟹称重器
KR20200129438A (ko) 2019-05-08 2020-11-18 조준래 집게 가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627A (ja) * 1996-03-11 1997-11-25 Top Prod:Kk 多機能鋏
JP3067351U (ja) * 1999-09-10 2000-03-31 耀一 門田 絞り出し鋏
KR200342914Y1 (ko) 2003-11-28 2004-02-21 전승택 가위
JP2007068938A (ja) 2005-09-07 2007-03-22 Taisuke Kitamura レトルト食品袋開封用はさ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627A (ja) * 1996-03-11 1997-11-25 Top Prod:Kk 多機能鋏
JP3067351U (ja) * 1999-09-10 2000-03-31 耀一 門田 絞り出し鋏
KR200342914Y1 (ko) 2003-11-28 2004-02-21 전승택 가위
JP2007068938A (ja) 2005-09-07 2007-03-22 Taisuke Kitamura レトルト食品袋開封用はさ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34Y1 (ko) * 2010-01-15 2012-03-22 김혜선 레토르트 식품 파우치용 압출기
CN103940498A (zh) * 2014-04-14 2014-07-23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单只螃蟹称重器
KR20200129438A (ko) 2019-05-08 2020-11-18 조준래 집게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39203U (zh) 多用途剪刀
US8959776B2 (en) Knife safety apparatus
KR100868563B1 (ko) 집게끌게가위
US6464271B1 (en) Cooking utensil
US10933543B2 (en) Multipurpose scissors
US20150147947A1 (en) Oyster Liquor-Collecting And Oyster Beak-Opening Device
CN211775483U (zh) 一种刮灰刀
US1456844A (en) Potjltby-pltjckiitg device
CN203542632U (zh) 多功能鸡骨剪
JP2001170372A (ja) 包 丁
JP3153578U (ja) 多機能はさみ
US20160193739A1 (en) Novel Hand-Held Shearing Device
FR2859356A1 (fr) Dispositif de scarification notamment pour produits de boulangerie
CN107242276A (zh) 推割刮除鱼鳞器
KR200477942Y1 (ko) 자동 손톱깎이
CN204658466U (zh) 阻滑柄弯口式切菜刀
CN205685363U (zh) 一种多功能刀具
CN205466339U (zh) 一种具有多功能的菜刀
KR200263762Y1 (ko) 가위형 국자
CN208317271U (zh) 一种省力空心锄头
CN209868660U (zh) 一种新型厨房用剪刀
JP3184288U (ja) 調理用鋏
JP3234108U (ja) 板付き蒲鉾用の調理器具
JP6833219B2 (ja) 手で握って使用される道具
US20070251098A1 (en) Multi-function pizza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